KR20080006837A -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837A
KR20080006837A KR1020060066075A KR20060066075A KR20080006837A KR 20080006837 A KR20080006837 A KR 20080006837A KR 1020060066075 A KR1020060066075 A KR 1020060066075A KR 20060066075 A KR20060066075 A KR 20060066075A KR 20080006837 A KR20080006837 A KR 20080006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atopic dermatitis
cloves
inflamm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7393B1 (ko
Inventor
노향선
송기세
채희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우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우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우코스
Priority to KR1020060066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393B1/ko
Publication of KR20080006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3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8Plantaginaceae (Plantai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백선피, 정향, 조각자, 계지 및 차전초의 저급알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항염증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뛰어난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과를 가져, 피부 등에 적용 시 부작용 없이 아토피 피부염 등을 포함한 피부건조증 및 피부염증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거나 완화할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 백선피, 정향, 조각자, 계지, 차전초, 보습, 항염증

Description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atopic dermatiti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 보습 및 항염증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서, 백선피, 정향, 조각자, 계지 및 차전초의 저급알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항염증 조성물, 특히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atopy)'란 말은 '부적당한' 또는 '특이한'이란 의미로 1925년 코카(Coca)라는 학자가 처음으로 사용했다. 음식물이나 흡입성 물질에 대한 과민반응으로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등 알레르기성 증상이 나타나는 경향을 가리키는 말이다. 특히 많은 사람들(세계 인구의 0.5%-1%, 어린이의 경우 5-10%)이 '아토피 피부염'으로 고생하는데,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이란 아토피성 체질인 사람에게 일어나는 가려움이 매우 심한 습진이다. 아토피 피부염은 유발원인이 아직까지 확실하게 규명되지 못한 유전적 질환으로서, 그 발증과 악화에는 환 경인자가 크게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 건조한 피부, 정상인에 비해 쉽게 피부가려움증을 느끼는 특성, 세균·바이러스·곰팡이 등에 의한 감염, 정서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아토피 피부염에서의 면역 이상은 면역글로불린(IgE)이 인체 내의 혈관 주위나 피부에 있는 비만세포의 표면에 붙어 있다가 재차 항원이 인체에 침투하면 면역글로불린과 결합하여 비만세포를 활성화시켜 히스타민 등 화학물질을 분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토피 피부염을 악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는 건조한 피부, 주변의 온도와 습도 정도, 심한 운동과 땀, 때밀이, 양모 및 섬유 등에 의한 피부자극, 음식물, 약물, 집먼지, 동물털, 자극성 화학물질, 감염이나 정신적 스트레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돗물 중의 염소 잔류물이 피부 성숙에 장애를 일으켜 아토피 피부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는 주장도 있다. 유아들이 흔히 '태열'이라 하여 잘 걸리기 때문에, 어린아이들만 걸리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성인에게서도 자주 발견된다. 일반적으로 신생아 시기에는 얼굴을 중심으로 진물이 있는 형태의 모습에서 점차 나이가 들면서 몸에서 나타나고 점점 거칠고 건조한 형태로 변해가면서 주로 접히는 곳에 병변이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성인이 되면 어떤 특징적인 양상보다는 전반적으로 몸이 가려워지는 등 약간은 막연한 모양을 보이게 된다. 아토피 체질은 근본적으로 고칠 수 없으므로 아토피 피부염은 완치를 목표로 하기보다는 유발 인자를 피하고 적절한 치료를 통해 조절해 나가는 질병이라고 할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만성적으로 건조하므로 각종 자극에 의해 쉽게 습진이 유발되고, 소양감이 심하며, 반복적으로 재발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소양감과 습진은 피부건조증에 의해 반복적으로 악화되며 적절한 관리를 하지 않으면 결국 태선화, 색소변화, 홍피증 등의 아급성, 만성병변으로 진행된다. 면역학적 이상과 동반하여 표재성 모낭염, 피틸로스포럼 모낭염, 전풍, 표재성 피부사상균증, 사마귀, 재발성 단순포진 등이 흔하다. 세균성 감염은 대개 코아귤라제(coagulase) 양성 포도상구균에 의하며, 주로 팔, 다리에 표재성의 소양감을 가진 모낭염 병변으로 나타나고, 심부조직의 농양염증을 잘 동반하지는 않으나, 심한 정도의 재발성 환상 습진병변에 동반되는 경우는 전신증상을 동반하는 재발성 농양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 건조 및 가려움증을 치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몇 가지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들 조성물 모두는 의약 조성물이며 그 대부분은 스테로이드 제제나 항생제를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있으므로, 장기간 피부에 적용 시 모세혈관 확장증 및 각질층의 두께 증가 내지 확장을 유발하는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발생시킬 염려가 있다. 또한, 최근 아토피 피부염 완화에 많이 쓰이는 감마-리놀렌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한국특허공개 제2000-0046633호)은 쉽게 산화되므로 안정성이 열등함과 아울러, 피부 자극성이 비교적 강하여 민감한 피부에는 사용하기 곤란한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단일 처방으로서 아스피린을 적용한 기술 (한국특허출원 제2002-7008214호)이 개발되어 있고, 알칸올아민, 티로신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선택된 조성물을 염증 개선에 적용한 사례가 있다 (한국특허출원 제2001-0060816호). 또한, 국제출원 제PCT/JP1999/02883호에서는 ω-3계 불포화 지방산의 함유량이 ω-6계 불포화 지방산의 함유량의 4배 이상인 천연유지와, 포스포릴콜린 유사기 함유 중합체와 항산화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아토피 피부염에 적용한 사례가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아토피 치료제는 보통 피부질환에 효과가 있는 화학 약품을 연고 베이스에 첨가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천연성분을 사용하지 않아 약품에 민감한 반응을 일으키는 피부에는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아토피 치료제를 사용하여 아토피 질환이 치료되었다 하더라도 다시 재발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완치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항염증 또는 피부질환 치료효과 등이 알려진 생약(生藥)들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피부질환 치료제로 사용하려는 시도들이 알려져 있는 바, 예를 들어, 한국특허공개 제2003-0055154호는 대황, 황련, 황금, 황백, 백선피 및 선지황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였고, 한국특허공개 제2005-0022586호는 차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조성물을 개시하였으며, 한국특허공개 제2004-0029850호는 계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조성물들 역시 매우 제한적인 효과만을 나타낼 따름이다. 따라서, 부작용이 작고 안전성이 높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뛰어난 보습 및 항염증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제제가 절실히 요망되어 왔다.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작고 안전성이 높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뛰어난 보습 및 항염증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생약 조성물을 개발해내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특정 생약들의 혼합추출물이 상기 목적에 부합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이 작고 안전성이 높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뛰어난 보습 및 항염증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생약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생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면은 유효성분으로서, 백선피, 정향, 조각자, 계지 및 차전초의 저급알콜, 즉 C1-6알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완화를 위한, 예를 들어 크림 또는 로션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백선피, 정향, 조각자, 계지 및 차전초의 함수에탄올, 특히 95 w/w% 함수에탄올, 추출물을 0.01∼10%(w/v)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백선피, 정향, 조각자, 계지 및 차전초의 중량비는 1:1:1:1: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면은 백선피, 정향, 조각자, 계지 및 차전초를 혼합하고, 5∼ 10배 중량의 C1-6알콜을 가하여 가온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1유효성분인 백선피는 운향과에 속하며 양냄새(선)가 난다고 하여 백선, 백양선이라 한다. 뿌리껍질을 백선피라고 하는데, 생약에서 가을에 뿌리를 캐서 물로 씻고 껍질을 벗겨 말려 약재로 사용한다. 높이 90 ㎝ 안팎, 뿌리는 흰색으로 비대하고, 줄기는 튼튼하고 크며 곧게 서고, 윗부분에 털이 퍼져 나간다. 잎은 호생하고 깃꼴겹잎이며 중간축에 좁은 날개가 붙고, 작은 잎은 2-4쌍이고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가 있으며 표면에 투명한 작은 선점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엷은 홍색이며 지름 2.5 ㎝이고 총상화서로 줄기 끝에 붙는다. 꽃자루와 포에 강한 냄새를 내는 선점이 있다. 꽃받침은 5장으로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꽃잎은 홍자색의 줄이 있고 5장이고 긴타원형이며 길이 4 ㎝이고 밑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10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 끝이 위를 향하여 구부러진다. 열매는 9-10월에 성숙되며 삭과는 납작하고 익으면 5갈래로 갈라지고 털이 있다. 주요성분으로는 뿌리에 알칼로이드가 0.13% 있으며, 뿌리껍질에서는 0.02-0.03%의 딕타민(dictamine)이 분리되었다. 또한, 오바쿠논(obakunone), 오바쿨라톤(obakulatone), 프락시넬론(fraxinellone), 딕탐놀리드(dictamnolid), 사포닌(saponin), 콜린(choline), 캄페스테롤(campesterol), 시 토스테롤(sitosterol), 정유 등이 있다. 수증기 증류한 정유에도 결정성 프락시넬론이 들어 있다. 잎과 줄기, 열매에는 프로랄렌, 크산토록신이 있다. 정유는 전초에 0.13%, 잎에 0.31%, 꽃에 0.24%, 잎이 붙은 웃가지에 0.22%, 줄기에 0.01%, 뿌리에 0.17% 들어있다. 정유의 주성분은 아네톨과 메틸카비콜이다. 피부진균 억제작용과 해열작용이 있으며, 피부미란, 습진, 풍진, 가려움증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2유효성분인 정향은 줄기는 높이 4-7 m이다. 잎은 마주나고 향기가 있으며 바소꼴이다. 꽃은 흰색으로 가지 끝에 모여 달리고 꽃잎은 4개이다. 수술은 많으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핵과이고 검은 홍색이다. 꽃이 피기 전의 꽃봉오리를 수집하여 말린 것을 정향 또는 정자(丁字)라고 한다. 꽃봉오리의 형태가 못처럼 생기고 향기가 있으므로 정향이라고 하며 매우 향기로우므로 그대로 또는 분말로 사용하고, 물이나 증기로 빼낸 정향유를 활용한다. 주요성분으로는 유게놀, 아세틸유게놀, 카비콜, 유게놀살리실레이트, 휴물렌이 있으며, 정유에는 방향성분이 많아 방부성, 구충성이 있으며, 국소 마취작용과 식욕증진에 효과가 있다. 발작증을 비롯하여 치과에서 진통제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3유효성분인 조각자는 가시로 되어 있으며 몇 개로 갈라져 있고 바깥면은 적자색, 적갈색이며 가시끝 부분은 적갈색으로 광택이 있으며 가는 주름이 있다. 질은 단단하고 쉽게 꺾어지지 않으며, 냄새가 없고 맛은 덤덤하다. 주요성분으로는 트리테르펜(triterphene), 글레디닌(gledinin), 글레디게닌(gledigenin), 글레디치아(gleditsia), 사포닌, 노나코산(nonacosane),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이 있으며, 종기, 옹저, 암, 결석 등의 질환을 모두 신속하 게 제거하는 효과가 있어 유선암, 비암, 인후암, 복통 등에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4유효성분인 계지는 높이 7 m, 지름 1.3 m 정도로 곧게 자라고 굵은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잔가지가 있다. 잎의 길이는 4-8 ㎝이며 너비는 3-7 ㎝ 정도로 끝이 다소 둔하다. 앞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색(粉白色)이고 5-7개의 손바닥 모양의 맥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암수딴그루에서 피며 5월경에 잎보다 먼저 각 잎겨드랑이에 1개씩 피는데 화피가 없고 소포(小苞)가 있다. 수꽃에는 많은 수술이 있고 수술대는 가늘다. 암꽃에는 3-5개의 암술이 있으며 암술머리는 실같이 가늘고 연홍색이다. 열매는 3-5개씩 달리고 씨는 편평하며 한쪽에 날개가 있다. 주요성분으로는 19-아세틸신카시올 A, 안하이드로신젤알라닌, 카시오사이드, 유게놀, 신남알데히드, 신남 에틸아세테이트가 있으며, 해열작용, 진통작용, 건위작용, 항균작용, 항바이러스작용, 항균작용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5유효성분인 차전초는 줄기가 없고 잎이 모두 나와서 비스듬히 퍼진다. 잎자루는 잎몸과 길이가 비슷하고 밑부분이 넓어져서 서로 얼싸안는다. 잎은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맥이 나란히 달리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꽃은 6-8월에 피고 희며 수상화서에 밀생한다. 포는 꽃받침보다 짧고 대가 없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깔때기형이며 끝이 4개로 갈라지고 4개의 수술은 길게 밖으로 나오며 암술은 1개이다. 삭과는 꽃받침 길이의 2배정도 되고 익으면 옆으로 갈라져서 뚜껑처럼 열리며 6-8개의 검은 종자가 들어 있다. 주요성분으로는 다량(약 9%)의 점액질을 함유하고 그밖에 플란테놀산, 호박산, 아데 닌, 콜린 및 전초에는 유큐빈, 카탈폴 및 메틸카탈폴이 분리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생약들을 각각 용매로 추출한 후, 그 추출물들을 혼합하거나, 생약들을 혼합한 후 한꺼번에 추출하며, 필요한 경우 이를 농축 건조하여 분말화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생약들을 규정된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1: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용매로 추출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어 백선피, 정향, 조각자, 계지 및 차전초가 1:1:1: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저급알콜, 즉 C1-6알콜로 추출함으로써 수득되는 바, 예를 들어, 함수에탄올, 바람직하게는 50 w/w%, 70 w/w% 또는 95 w/w%, 가장 바람직하게는 95 w/w% 함수에탄올을 5 내지 10 중량배로 가하고 1∼10 시간, 바람직하게는 2∼5 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3 시간 동안 50∼100 ℃, 바람직하게는 60∼80 ℃,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로 가온 추출하여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용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유효성분인 상기 추출물의 함량은 0.01∼10%(w/v)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화장용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화장료 제조분야에서 통상적인 것으로, 유화제, 각종 오일 성분 (지방, 오일, 에스테르, 실리콘 오일 등), 농후제, 방부제, 향유, 킬레이트화제, 및 물과 같은 기타 물질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예를 들어, 크림이나 로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부위에 따라 1일 2회, 0.5∼2 g/회 정도로 도포할 수 있으며, 이는 대상의 체중, 연령, 성별, 병증의 경중정도에 따라 적의 증감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은 뛰어난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바, 이러한 효과는 하기 실험예 1 내지 3으로부터 확인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을 비롯한 피부건조증 및 피부염증질환의 예방 및 완화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추출물의 제조
백선피, 정향, 조각자, 계지 및 차전초를 각각 헥산을 이용하여 3 시간동안 70 ℃로 가온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또한, 백선피, 정향, 조각자, 계지 및 차전초를 1: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각각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함수에탄올(50 w/w%), 함수에탄올(70 w/w%), 함수에탄올(95 w/w%), 폴리에틸렌(PE)을 이용하여 3 시간동안 70 ℃로 가온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사용된 원료와 용매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사용된 원료 및 용매
원료명 추출용매
실시예 1 백선피 헥산
실시예 2 정향 헥산
실시예 3 조각자 헥산
실시예 4 계지 헥산
실시예 5 차전초 헥산
실시예 6 혼합원료 헥산
실시예 7 혼합원료 에틸아세테이트
실시예 8 혼합원료 메틸렌클로라이드
실시예 9 혼합원료 함수에탄올(50 w/w%)
실시예 10 혼합원료 함수에탄올(70 w/w%)
실시예 11 혼합원료 함수에탄올(95 w/w%)
실시예 12 혼합원료 PE
실험예 1: 인체실험을 통한 피부보습력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추출물에 대해 피부보습력을 측정 비교하였다. 피부보습력은 정상 성인 20-30대 10명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험대상자의 전박부 부위를 시험부위로 하여 도포 시작 전 항온항습 조건 (24 ℃, 습도 40%)에서 코네오미터(corneometer; CM820 Courage+Khazaka, Cologne, 독일)를 이용하여 피부전도도를 측정하여 기본값으로 삼고, 9개 부위를 임의로 선정하여 미도포부위, 실시예 1∼12의 추출물을 2 ㎎/㎠로 도포한 후 2, 4 및 8 시간 경과 후 피부전도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시료의 피부보습 효과를 평가하고, 초기값 대비 변화한 수분량을 식 1과 같이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식 1]
수분증가율 M(Moisturization) = ( ( Mt =i - Mt =0 ) / Mt =0 ) × 100
Mt=i : t=i 시간에서 측정한 수분량
Mt=0 : 물질 미도포 부위(t=0)에서 시험시작 직전 측정한 수분량
피부수분 증가율
시료 2 시간 4 시간 8 시간
실시예 1 60 38 30
실시예 2 62 37 29
실시예 3 65 40 27
실시예 4 59 39 28
실시예 5 57 42 29
실시예 6 58 40 26
실시예 7 50 35 17
실시예 8 49 25 15
실시예 9 73 60 45
실시예 10 75 61 48
실시예 11 89 79 60
실시예 12 49 29 16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원료를 함수에탄올 (95 w/w%)을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실시예 11)이 가장 우수한 피부수분증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대식세포를 이용한 항염증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추출물에 대해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활성 억제효과를 측정하여 항염증 효과를 비교하였다. 대식세포(RAW 264.7)를 8×105 세포/㎖ 농도로 24 웰 배양접시에 분주하였다. 배지는 소혈청 10%를 함유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Sigma, USA)을 사용하였다. 분주 24 시간 후 새로운 DMEM 배지로 교체하고, LPS (Lipopolysaccharide, Sigma, USA) 1 ㎍/㎖와 시험시료를 농도별로 10 ㎕ 첨가한 후 24 시간동안 37 ℃,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상등액 100 ㎕와 아질산염용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 for nitrite) (Fluka, USA) 100 ㎕를 혼합하여 반응시킨 후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TECAN, 오스트리아)를 사용하여 57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생존률을 확인하기 위하여, 배양된 세포의 상등액을 제거하고 다시 5% PBS(phosphate buffer saline) 200 ㎕씩을 가하여 세척한 후 0.25 ㎎/㎖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Sigma, USA) 용액을 1 ㎖씩 가하고 4 시간 후에 MTT를 제거하고 DMSO (dimethylsulfoxide)를 웰당 1 ㎖씩 가하여 용해시킨 후, 57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iNOS 활성률(%수율)과 세포생존률(%)을 표 3에 나타내었다.
iNOS 활성률(%수율)과 세포생존률(%)
활성률(%수율) 세포생존률(%)
50 ㎍/㎖ 100 ㎍/㎖ 50 ㎍/㎖ 100 ㎍/㎖
LPS 100 100
실시예 1 93.28 68.78 101.25 105.23
실시예 2 92.68 67.44 102.89 104.36
실시예 3 97.11 59.35 99.87 101.01
실시예 4 98.72 62.58 98.78 99.56
실시예 5 92.66 59.11 102.54 101.77
실시예 6 91.18 58.28 100.85 100.12
실시예 7 92.54 86.32 98.54 99.55
실시예 8 90.78 87.98 103.54 105.68
실시예 9 87.15 65.24 99.12 101.58
실시예 10 85.89 52.44 98.87 100.24
실시예 11 68.05 37.40 100.87 104.78
실시예 12 90.72 88.69 95.24 98.11
인도메타신 25.75 108.27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원료의 함수에탄올(95 w/w%) 추출물(실시예 11)의 iNOS 활성 억제효과가 62.6%로 항염증 효과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iNOS 활성 억제효과(%) = 100(%) - iNOS 활성률(%)
제형예 1: 크림의 제조
실험예 1과 2에서 보습 및 항염증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혼합원료의 함수에탄올(95 w/w%) 추출물(실시예 11)을 이용하여 표 4에 나타낸 처방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크림 제조 처방
번호 성분 함량(중랑%)
1 실시예 11의 추출물 5.0
2 스테아린산 2.0
3 스테아릴알코올 3.0
4 1,3-부틸렌글리콜 5.0
5 모노스테아린산글리콜 4.0
6 수산화칼륨 0.1
7 세라마이드 1.0
8 레시틴 1.0
9 콜레스테롤 1.0
10 정제수 잔량
합계 100
표 4에 나타낸 유성성분과 수성성분을 일정한 온도로 각각 가열한 후, 크림제조용 혼합기에서 균질화용 믹서(homogenizer)를 이용하여 유화시킨 후, 다음 탈기, 여과, 냉각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2: 로션의 제조
실험예 1과 2에서 보습 및 항염증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혼합원료의 함수에탄올(95 w/w%) 추출물(실시예 11)을 이용하여 표 5에 나타낸 처방으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로션 제조 처방
번호 성분 함량(중량%)
1 실시예 11의 추출물 5.0
2 밀납 1.0
3 폴리소르베이트 60 1.5
4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5 유동파라핀 10.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7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8 스테아린산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1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12 트리에탄올아민 0.2
13 방부제 미량
14 색소 미량
15 향료 미량
16 정제수 잔량
합계 100
표 5에 나타낸 유성성분과 수성성분을 일정한 온도로 각각 가열한 후, 로션제조용 혼합기에서 균질화용 믹서를 이용하여 유화시킨 후, 다음 탈기, 여과, 냉각하여 로션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3: 임상시험을 통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효과 평가
상기 제형예 1에서 제조된 크림의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개선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아토피 피부를 가진 1-10세 유아 및 소아 30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수행하였다. 아토피 피부염 증상정도에 따라 3단계로 분류한 후, 아토피 증상 정도의 비율이 심함:보통:약함=1:2:2의 비율이 되도록 한 후, 증상정도에 따른 효과를 관찰 비교하였다. 이때, 제형예 1에 따른 크림을 부위에 따라 1일 2회, 0.5∼2 g/회 정도 부드럽게 펴발라 주었다. 평가는 1개월 사용 후 사용자의 부모가 아래의 5점 만족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였다(가장 만족 5점, 만족 4점, 보통 3점, 불만족 2점, 매우 불만족 1점).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아토피 피부염 개선효과 평가
피부증상정도 피부저자극 각질피부 개선효과 가려움 개선효과 염증 완화효과
약 함 4.0 3.9 4.5 4.2
보 통 3.9 3.8 4.3 4.1
심 함 3.5 3.6 4.1 3.9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로 제조된 제형은 아토피 피부염의 대표적인 증상인 각질피부, 가려움증, 염증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확인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뛰어난 피부 보습 및 항염증 효과를 가져, 피부 등에 적용 시 부작용 없이 아토피 피부염 등을 포함한 피부건조증 및 피부염증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거나 완화할 수 있다.

Claims (7)

  1. 유효성분으로서, 백선피, 정향, 조각자, 계지 및 차전초의 C1-6알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항염증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완화를 위한 화장료로 사용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크림 또는 로션 형태의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선피, 정향, 조각자, 계지 및 차전초의 함수에탄올 추출물을 0.01∼10%(w/v)로 함유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함수에탄올이 95% 함수에탄올인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선피, 정향, 조각자, 계지 및 차전초의 중량비가 1:1:1:1:1인 조성물.
  7. 백선피, 정향, 조각자, 계지 및 차전초를 혼합하고, 5∼10배 중량의 C1-6알콜 을 가하여 가온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60066075A 2006-07-14 2006-07-14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27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075A KR101127393B1 (ko) 2006-07-14 2006-07-14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075A KR101127393B1 (ko) 2006-07-14 2006-07-14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837A true KR20080006837A (ko) 2008-01-17
KR101127393B1 KR101127393B1 (ko) 2012-03-23

Family

ID=39220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075A KR101127393B1 (ko) 2006-07-14 2006-07-14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3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50954A1 (ko) * 2009-06-22 2010-12-29 (주)바이오에프디엔씨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한방 조성물
KR101052092B1 (ko) * 2008-11-17 2011-07-27 주식회사 바이온셀 생약재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WO2015060677A1 (ko) * 2013-10-24 2015-04-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유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73940A (ko) 2019-12-11 2021-06-21 주식회사 제뉴원사이언스 4,8-dimethoxy-9H-furo[2,3-b]quinolin-7-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666A (ko) * 1999-08-20 2001-03-15 유상옥 정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30055154A (ko) * 2001-12-24 2003-07-02 주식회사 하니로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29850A (ko) * 2002-10-02 2004-04-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계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 및 예방용화장료조성물
KR20050022586A (ko) * 2003-08-27 2005-03-08 김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092B1 (ko) * 2008-11-17 2011-07-27 주식회사 바이온셀 생약재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WO2010150954A1 (ko) * 2009-06-22 2010-12-29 (주)바이오에프디엔씨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한방 조성물
KR101114506B1 (ko) * 2009-06-22 2012-03-14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한방 조성물
WO2015060677A1 (ko) * 2013-10-24 2015-04-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유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73940A (ko) 2019-12-11 2021-06-21 주식회사 제뉴원사이언스 4,8-dimethoxy-9H-furo[2,3-b]quinolin-7-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7393B1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48042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2024045614A (ja) モリンガ・オレイフェラ種子のタンパク質抽出物の美容的使用
Goreja Shea butter: the nourishing properties of Africa's best-kept natural beauty secret
KR100712249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101127393B1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02327B1 (ko) 자극완화 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257435B1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10018388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090084435A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61780B1 (ko) 탱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JP5717958B2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並びに該セラミド産生促進剤を用いた医薬品組成物、皮膚外用剤、化粧料組成物、及び化粧料
CN114344219A (zh) 一种用于皮肤红肿痒痛的芳香植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Jamshiya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Herbal Skin Cream for Wound Healing
JP5302526B2 (ja) ヨモギ精油外用剤
KR101184313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천연화장료 이로미스 No.4 콤플렉스
Ghortale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Lemongrass Lotion for Skin Nourishment
KR102297607B1 (ko) 며느리배꼽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506912B1 (ko) 모과, 레몬밤 또는 오렌지블러썸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52092B1 (ko) 생약재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Panda Extraction,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antiaging curcumin facial cream
KR102337422B1 (ko) 호호바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및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53262B1 (ko) 부종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그 도포방법 및 그 도포장치
JP2009292849A (ja) センダングサ属植物抽出物含有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