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7292B1 - 전호 추출물 또는 파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전호 추출물 또는 파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292B1
KR100507292B1 KR10-2002-0079594A KR20020079594A KR100507292B1 KR 100507292 B1 KR100507292 B1 KR 100507292B1 KR 20020079594 A KR20020079594 A KR 20020079594A KR 100507292 B1 KR100507292 B1 KR 100507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arsley
skin
skin wrinkl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9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1902A (ko
Inventor
성대석
김수남
이소희
이병곤
장이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2002-0079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292B1/ko
Publication of KR20040051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2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주름 개선효과가 우수한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호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부작용없이 우수한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호 추출물 또는 파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외용제 조성물{A compositions containing Anthriscus sylvestris Hoffmann extract or Petroselinum sativum Miller extract for external application having effects of improving skin wrinkle}
본 발명은 피부주름 개선효과가 우수한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호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부작용없이 우수한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변화를 겪는다. 즉,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며,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하여 태양 광선에 자외선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고 환경 오염이 더욱 심화됨에 따라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증가함으로써, 피부의 주름이 증가될 뿐 아니라 기미, 주근깨, 검버섯이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이와 같이 피부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들 가운데에서 요즘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연구 분야는 피부 주름의 변화에 대한 연구이다.
일반적으로 피부 주름은 피부의 수분 함유량, 콜라겐의 함유량, 외부 환경에 대한 면역 작용 능력 등 여러 가지 요소들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기 중 피부 주름의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콜라겐이다.
콜라겐(膠原質)은 대부분 피부의 진피층에 존재하며, 피부 전체 건조중량의 약 70~80%를 차지하고 있어 세포외 기질의 대부분을 차지하면서 피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자연 노화에 따른 세포 활성의 감소와 같은 내적 요인에 의해 콜라겐의 생합성이 감소되고, 여러 가지 유해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및 태양 광선에 의한 활성 산소종의 증가와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분해가 가속화되어 피부기질이 파괴되면서 주름이 생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활성성분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주름 형성에 막대한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들을 효과적으로 통제하여 피부에 있어서의 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는 활성성분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연구하고 검토한 결과, 전호추출물 또는 파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용제를 사용할 경우, 진피에서 콜라겐 생합성을 촉진하여 주름 개선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성분으로서 전호추출물 또는 파슬리 추출물을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전호추출물 또는 파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전호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중량%를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전호는 Anthriscus sylvestris Hoffmann(산형과 Umbelliferae)에 속하는 뿌리를 지칭하는 것으로, 산지로는 제주에 야생하고 있으며 지리적으로는 시베리아, 캄챠카, 사할린,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상기 전호의 주성분으로는 안스리신(anthricin, desoxypodophyllatoxin), 리그난 (lignan), 안스리시놀(anthriscinol) 등이 있고, 그 외에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베타-시토스테롤(beta-sitosterol), 캄페스테롤(campesterol), 스티그마스테릴-디-글리코시드(stigmasteryl-di-glycoside), 지방산(fatty acid), 글리세라이드 (glyceride), 디털펜(diterpene) 등을 부수적인 성분으로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이다. 상기 성분 중, 리그난 계통의 화합물은 항종양 활성이 우수하여 그 추출방법에 대한 특허가 출원 된 바 있다(한국공개특허 1999-039985). 또한, 전호는 예로부터 해소, 두통, 발열 외에 산풍사(散風邪), 청폐열(淸肺熱), 소숙식(消宿食), 개위하기(開胃下氣)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주름 개선의 용도로 밝혀진 바는 전혀 없다.
한편, 파슬리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2년생 초본으로서 Petroselinum sativum Miller(산형과 Umbelliferae)의 잎을 약용으로 사용하며, 원산지는 유럽 중 남부 및 아프리카의 북부연안으로 알려져 있다. 보통 파슬리는 잎이 몹시 곱슬거리는 것으로 향이 강해서 장식용 채소로 쓰이고, 잎파슬리는 잎이 활짝 넓게 퍼져 있는 것으로 은은한 향을 풍긴다. 파슬리는 비타민 A, B1, B2, C를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비타민 C의 함량이 높다. 일반적으로 파슬리는 예로부터 약용으로 이뇨, 혈액정화, 건위, 해독 등에 쓰이며 피부에서의 효능은 여드름에 효과가 있는 천연 향료를 함유하는 피부용 조성물로써 파슬리 씨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특허(한국공개특허 1997-032818)가 출원된 바 있으나, 피부 주름 개선의 용도로 밝혀진 바는 전혀 없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호추출물은 산형과 동족에 속하는 전호의 추출물로서 전호의 뿌리, 과육, 종자, 씨, 전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파슬리 추출물은 산형과 동종에 속하는 파슬리의 추출물로서 전초, 잎, 뿌리, 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호 추출물과 파슬리 추출물은 전호 또는 파슬리 500g에 중량(Kg)비 4배량의 70% 에탄올을 가한 후, 8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였다. 이를 하루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여 불순물을 침전 시킨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2회 여과한 여액을 감압 증발기를 사용하여 완전히 증발시켜 농축하여 얻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호 추출물 또는 파슬리 추출물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혼합으로 사용될 경우 전호 추출물 및 파슬리 추출물을 0.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도록 조절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의 전호 추출물 또는 파슬리 추출물은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할 경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5중량%로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주름 개선용 외용제 조성물은 전호 추출물 및 파슬리 추출물 외에 다른 성분들을 본 발명이 목적하는 주름개선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외용제의 제형 또는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은 주름을 개선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써,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일 수 있으며,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전호 추출물 제조
전호 500g에 중량(Kg)비 4배량의 70% 에탄올을 가한 후, 8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였다. 이를 하루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여 불순물을 침전 시킨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2회 여과한 여액을 감압 증발기를 사용하여 완전히 증발시켜 농축하였다.
[실시예 2] 파슬리 추출물 제조
파슬리 500g에 중량(Kg)비 4배량의 70% 에탄올을 가한 후, 8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였다. 이를 하루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여 불순물을 침전 시킨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2회 여과한 여액을 감압 증발기를 사용하여 완전히 증발시켜 농축하였다.
[시험예 1] 피부세포에 미치는 독성 측정
인간으로부터 직접 채취하거나 또는 상업적으로 구입한 인간의 피부 섬유아세포에 하기 표 1의 조성물을 처리하여 섬유아세포의 증식 효과를 측정하였다. 즉, 2.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배지가 함유된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사람의 섬유아세포를 5,000세포/well가 되도록 넣고,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다음, 하기 표 1의 조성물의 농도대로 처리하고 3일 후 살아있는 세포의 수를 측정하여 피부세포에 미치는 독성을 관찰하였다. 이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결과는 대조군을 100으로 하여 비교치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성분 농도(ppm) 세포수(%)
실시예 1 100 101
10 99
1 101
대조군 100
실시예 2 100 100
10 99
1 99
대조군 100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호추출물 및 파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부세포에 독성을 주지 않는 안전한 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피부세포의 콜라겐 생합성 효능 측정
인체 섬유아세포를 24공 평판배양기에 배양한 후, 실시예 1~2를 배지로 희석하여 첨가하였다. 배양 3일째 10%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배지를 각 well당 0.5㎖씩 첨가한 후 L[2, 3, 4, 5-3H]-프롤린 10μCi를 첨가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각 well에 들어있는 배지와 세포들을 긁어 모아 5% 트리클로로아세틱애씨드(TCA; Trichloroacetic acid) 용액에 넣어 수세한 후, 2개의 시험관에 분주하고 1개의 시험관에는 타입 I 콜라게나제(type I collagenase) 1unit/㎕를 넣고 37℃ 온도에서 90분간 배양하였으며, 다른 시험관은 4℃에서 보관하였다. 그 후, 모든 시험관에 50% 트리클로로아세틱애씨드를 0.05㎖씩 첨가하고 4℃에서 20분간 방치한 다음, 각각 12,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각각의 상등액과 침전물을 액체 신틸레이션 계수기(LSC; Liquid Scintillation Counter)로 씨피엠(CPM; counts per minute) 값을 얻어, 하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대조군과 실험군에 대해 콜라겐 생합성 값(RCB; Relative Collagen Biosynthesis)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표 2의 수치는 대조군을 100으로 하여 비교치로 기재한 것이다.
농도(ppm) 콜라겐 생합성(%)
실시예 1 실시예 2
10 125 122
1 114 112
0.1 102 103
대조군 100 100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호 추출물 및 파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콜라겐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의 조성 중, 전호 추출물(실시예 1)이 콜라겐 생합성에 대한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4 및 비교예 1]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실시예 3~4 및 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전호추출물 0.1 - -
파슬리 추출물 - 0.1 -
식물성 경화유 1.5 1.5 1.5
스테아린산 0.6 0.6 0.6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0 1.0 1.0
세테아릴 알코올 2.0 2.0 2.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 베헤닐 알콜, 소듐 스테아로일 락틸에이트 1.0 1.0 1.0
아라키딜 베헤닐 알콜,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1.0 1.0 1.0
세틸아릴 알콜,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 2.0 2.0
PEG-100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올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5 1.5 1.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1.0 11.0 11.0
사이클로메디콘 6.0 6.0 6.0
방부제, 향 적량 적량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0.1 0.1 0.1
<제조방법>
PEG-100 스테아레이트, 카프릭/카프릴릭 트리글리세리드,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사이클로 메디콘 및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과 에탄올에 용해시킨 전호 또는 파슬리 추출물을 70~75℃까지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한 후, 미리 가열된 정제수와 혼합하여 일반 호모로 pre-emulsion(3분, 3,000~ 6,000rpm)을 시킨 다음 고압유화기(Microfluidizer)를 사용해서 1,000Bar/3 cycles 시켜 제조한다.
[시험예 3] 동물에서의 콜라겐 생합성 효능 측정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피부 콜라겐 합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무모 생쥐의 등부위에 상기 실시예 3~4 및 비교예 1을 일주일 동안 도포한 후, 생검하여 피부 콜라겐 합성 정도를 콜라겐 면역조직염색을 실시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는 비처리군을 100으로 하여 비교치로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하기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3~4를 도포한 군은 비교예1을 도포한 군보다 각각 23% 및 19%정도 콜라겐 생합성이 증가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동물에서의 주름생성의 개선효과 측정
실질적인 주름생성의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무모 생쥐 60마리를 항온 항습실에서 키운 후, 각 군당 20마리씩 3군으로 나누었다. 다음, 상기 실시예 3~4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각각 8주 동안 매일 100㎕씩 등 부위에 도포한 후 실리콘을 이용하여 등 부위의 레플리카(replica)를 뜨고, 화상분석기(visiometer; SV600,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주름의 깊이 및 면적을 측정, 주름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도 2에 나타내었다.
하기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경우 세로로 깊게 나타나는 주름이 실시예 3~4에서 아주 우수하게 개선되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사람에서의 주름개선효과
상기 실시예 3~4 및 비교예 1에 대하여 주름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30대 여성 60명을 각각 비교예 1 및 실시예 3~4를 20명씩 3조로 나누어 매일 1회 8주간 도포하게 한 후, 실리콘을 이용하여 레플리카를 떠서 주름의 상태를 visiometer (SV600,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 로 측정하여 화상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으며, 각각의 수치는 도포 8주 후 각각의 parameter 값에서 도포 전 parameter 값을 뺀 것의 평균을 나타낸 것이다. 하기 표 4에서 R1은 주름 등고선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차이값, R2는 주름 등고선을 임의로 5칸씩 나눈 후 그 중 R1값 들의 평균, R3는 5개씩 나눈 R1값 중 최고치, R4는 주름 등고선의 baseline에서 각각의 꼭대기와 계곡의 값을 뺀 평균값, R5는 주름 등고선의 baseline에서 각각의 주름 윤곽을 뺀 값의 차이값를 나타낸 것이다.
8주후 임상결과 R1 R2 R3 R4 R5
실시예 3 -0.22 -0.20 -0.13 -0.04 -0.03
실시예 4 -0.26 -0.25 -0.12 -0.02 -0.03
비교예 1 0.28 0.27 0.22 0.04 0.04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3~4의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아주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전호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또는 이들이 혼합물을 함유하는 외용제 조성물의 제형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며, 종래의 화장료 제형인 영양크림,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에센스, 유연화장수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의 표와 같이 전호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To 100
전호추출물 0.1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
하기의 표와 같이 파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To 100
파슬리 추출물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3] 영양크림
하기의 표와 같이 전호추출물 및 파슬리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To 100
전호추출물 및 파슬리 추출물의 혼합물 0.1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4] 마사지크림
하기의 표와 같이 전호추출물 및 파슬리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마사지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To 100
전호추출물 및 파슬리 추출물의 혼합물 0.1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제형예 5] 팩
하기의 표와 같이 전호추출물을 함유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To 100
전호추출물 0.1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라토인 0.1
에탄올 6.0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효성분으로써 전호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여 부작용없이 피부의 주름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피부 콜라겐 생합성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주름 개선 정도를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Claims (4)

  1.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전호 추출물 및 파슬리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생합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생합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호 추출물은 산형과 동종에 속하는 전호의 추출물로서 전호뿌리, 과육, 종자, 씨, 전초 또는 이들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생합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슬리 추출물은 산형과 동종에 속하는 파슬리의 추출물로서 전초, 잎, 뿌리, 씨 또는 이들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생합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2-0079594A 2002-12-13 2002-12-13 전호 추출물 또는 파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외용제 조성물 KR100507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594A KR100507292B1 (ko) 2002-12-13 2002-12-13 전호 추출물 또는 파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594A KR100507292B1 (ko) 2002-12-13 2002-12-13 전호 추출물 또는 파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902A KR20040051902A (ko) 2004-06-19
KR100507292B1 true KR100507292B1 (ko) 2005-08-09

Family

ID=37345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9594A KR100507292B1 (ko) 2002-12-13 2002-12-13 전호 추출물 또는 파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2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661B1 (ko) * 2018-11-26 2020-06-02 주식회사 예나 울릉국화, 미역취 및 전호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685B1 (ko) 2015-09-25 2023-11-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파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8187A (ja) * 1991-07-02 1998-06-16 Shintoku Rin 薬品・食品組成物
US6348200B1 (en) * 1995-10-16 2002-02-19 Kao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8187A (ja) * 1991-07-02 1998-06-16 Shintoku Rin 薬品・食品組成物
US6348200B1 (en) * 1995-10-16 2002-02-19 Kao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661B1 (ko) * 2018-11-26 2020-06-02 주식회사 예나 울릉국화, 미역취 및 전호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902A (ko) 200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9811B2 (ja) 皮膚外用剤
KR100638137B1 (ko) 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453087B (zh) 美白透肌水及其制备方法和美白化妆品添加剂
US20080160114A1 (en)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Rose Extract and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52363B1 (ko) 현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외용제조성물
KR101100678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309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 기능성 화장품
KR100881143B1 (ko) 녹차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
KR101869096B1 (ko)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53186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101078888B1 (ko) 조직배양한 에키네시아 부정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361433B1 (ko) 인삼추출물을함유하는피부노화방지용화장료조성물
KR20100006796A (ko)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KR101073284B1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82053A (ko)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94733B1 (ko)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 주근깨,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07292B1 (ko) 전호 추출물 또는 파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외용제 조성물
KR20100048592A (ko) 지베렐린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4533618A (zh) 一种美白修复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214344B1 (ko)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1302490A (ja) 化粧料
KR102289943B1 (ko)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82927B1 (ko)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불미나리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