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096B1 -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096B1
KR101869096B1 KR1020110092644A KR20110092644A KR101869096B1 KR 101869096 B1 KR101869096 B1 KR 101869096B1 KR 1020110092644 A KR1020110092644 A KR 1020110092644A KR 20110092644 A KR20110092644 A KR 20110092644A KR 101869096 B1 KR101869096 B1 KR 101869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lotus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9290A (ko
Inventor
조인식
지경엽
김한영
이혜숙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10092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096B1/ko
Publication of KR20130029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41Pteridophyta [f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2Nymphaeaceae (Water-lily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하고 피부 보습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피부 탄력 및 주름을 개선하고, 항염증 효과를 갖는 고비, 연꽃, 느릅나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하고 피부 보습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피부 탄력 및 주름을 개선하고, 항염증 효과를 가지며, 피부에 자극이 적고 천연 유래의 식물을 포함하여 인체에 안전하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tion for skin moisturizing and anti-wrinkle}
본 발명은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비, 연꽃 및 느릅나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의 원인으로는 내적 노화와 외적 노화가 있다. 내적 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 등이 원인이며, 외적 노화는 자외선, 환경 오염 등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증가함으로써 발생한다.
피부 노화가 일어나면, 피부의 두께 및 탄력 감소, 주름의 증가뿐 아니라 피부 혈색도 안 좋게 되고, 피부트러블이 자주 발생하며, 기미와 주근깨 및 검버섯 또한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생체 내에서 콜라겐, 엘라스틴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합성과 분해는 적절하게 조절되나 노화가 진행되면서 그 합성이 감소하며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MMP),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효소인 엘라스틴분해효소(elastase)의 발현이 촉진되어 피부의 탄력이 저하되고 주름이 형성된다.
또한, 노화의 진행이나 자외선에 등에 의해 피부 세포에서는 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을 생성하는 효소인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yclooxygenase-2, COX-2)의 증가로 인해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PGE2)의 생합성이 증가하며,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에 의해 NO(nitric oxide) 생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염증 반응들로 인해서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MMP)의 생합성이 증가하여 콜라겐 분해가 나타나게 된다.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물질로는 아데노신, 레티노인산(retinoic acid) 등이 있으나, 아데노신은 임상에서의 효능이 미미하고, 레티노인산은 가임여성에게 사용할 수 있고, 홍반 등 자극의 우려가 높다.
피부는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기능을 하며, 이러한 보호기능은 최외각 층인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때만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각질층은 각질형성세포로부터 형성되며,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와 세포간 지질(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을 생성하면서 각질층을 형성하여, 각질층이 견고함과 유연성을 가지게 하여 피부장벽(skin barrier)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각질층은 과도한 세안이나, 목욕 등의 생활 습관적 요소나, 건조한 대기, 오염물질 등의 환경적인 요인, 그리고 아토피성 피부나 노인성 피부 같은 내인성 질환 등으로 인해 쉽게 그 기능이 손실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비, 연꽃 및 느릅나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하고 피부 보습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피부 탄력 및 주름을 개선하고,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 탄력 및 주름을 개선하고, 항염증 및 피부보습에 효과적인 고비, 연꽃 및 느릅나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고비, 연꽃 및 느릅나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고비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고, 연꽃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며, 느릅나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또한, 상기 고비, 연꽃 또는 느릅나무는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하고 피부에 보습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샴푸,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의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고비, 연꽃 및 느릅나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되고,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유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 알코올, 부틸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하고 피부 보습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피부 탄력 및 주름을 개선하고 항염증 및 피부보습에 효과적이며, 피부에 자극이 적고 천연 유래의 식물을 포함하여 인체에 안전하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다.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고비, 연꽃 또는 느릅나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고비(Osmunda japonica Thunb.)는 고비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생약명은 구척이다. 외형상 고사리와 비슷하지만 고사리와는 달리 고비과에 여러해살이 양치식물이다. 높이가 1m 정도나 되는 큰식물로 어린 잎은 흰솜털로 덮여 있으나 자라면서 적갈색으로 변한다. 이른봄에 생식잎이 먼저 나오고 다음에 영양잎이 나오며 어린순을 꺽어 나물이나 국을 끓여 먹는다. 3월에 포자가 형성되고 5월에 포자가 열린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거나 국의 재료로 쓴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약재로 쓰는데, 감기로 인한 발열과 피부 발진에 효과가 있고, 기생충을 제거하며, 지혈 효과가 있다. 민간에서는 봄과 여름에 캐어서 말려 줄기와 잎은 인후통에 사용하고 뿌리는 이뇨제로 사용한다.
연꽃(Nelumbo nucifera Gaertn .)은 수련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우리나라 중부 이남 지역에서 재배되는 다년생 수초이다. 습지나 마을 근처의 연못과 같은 곳에서 자라며, 키는 약 1m 정도 자라고, 잎은 뿌리줄기에서 나오는데 지름이 약 40㎝로 방패 모양으로 물 위로 올라와 있다. 열매는 검은색이고 타원형이며 길이는 2㎝ 정도이다. 잎은 수렴제나 지혈제로 사용하거나 민간에 방광치료에 쓰인다고 한다. 땅속줄기는 연근이라고 하며, 비타민과 미네랄 함량이 높다. 뿌리 연근은 일반 요리에 많이 이용한다. 뿌리 줄기와 열매는 약용으로 쓰기도 하고, 한방에서는 인후염, 비염, 부인병 대하 등에 쓴다.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 japonica NAKAI)는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춘유 또는 가유 라고도 한다. 높이는 20m, 지름은 60cm이며, 나무 껍질은 회갈색이고, 작은 가지에 적갈색의 짧은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타원형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잎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거칠고 뒷면 맥 위에는 짧고 거센 털이 나 있다. 봄에 어린 잎은 식용하고, 한방에서 껍질을 유피 또는 유근피 라는 약재로 쓰는데, 치습, 이뇨제, 소종독에 사용한다.
상기 고비, 연꽃 및 느릅나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데, 상기 추출물이 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되거나 화장료 등으로 제조시 향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고비, 연꽃 및 느릅나무 추출물은 고비, 연꽃 및 느릅나무를 각각 분쇄하여 추출용매 메탄올, 에탄올 등의 친수성 유기 용매, 또는 친수성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 용액을 추출용매로 첨가하여 일정 시간 침적시키면서 적절한 시간 간격으로 교반한 후 얻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회수하는 통상의 천연물 추출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추출용매로는 탄소수 1 내지 4인 무수 또는 함유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 알코올, 부틸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및 부틸렌글라이콜, 물을 포함한 용매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순수용매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된 혼합 용매가 이용될 수 있고, 식물 재료에 가해지는 추출용매의 양은 식물 재료 전체 부피 대비 1 내지 50 배 정도로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용매로는 무수 메탄올, 함수 메탄올, 무수 에탄올 및 함수에탄올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순수용매 또는 상기 메탄올의 1종과 상기 에탄올의 1종의 혼합용매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추출용매의 첨가량은 고비, 연꽃 및 느릅나무의 건조 중량 1g 당 5~20 ㎖로 함이 바람직하다. 실온에서 1~7일간 침적 추출하거나 50 ~ 95℃의 가온 조건에서 1~5 시간 정도 추출하는 방법 등 종래의 일반적인 용매추출방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샴푸,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의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고비 추출물 제조
고비를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80 % 에탄올을 고비 양의 2 배 정도의 부피만큼 가하여 3일간 냉침시킨 뒤에 용액을 모두 모아 여과지로 여과한 후, 증발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한 뒤에 동결 건조기에서 건조하여 48시간 이상 건조시켜 분말 상태로 만들었다.
제조예 2. 연꽃 추출물 제조
연꽃을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80 % 에탄올을 연꽃 양의 2 배 정도의 부피만큼 가하여 3일간 냉침시킨 뒤에 용액을 모두 모아 여과지로 여과한 후, 증발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한 뒤에 동결 건조기에서 건조하여 48시간 이상 건조시켜 분말 상태로 만들었다.
제조예 3. 느릅나무 추출물 제조
느릅나무를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80 % 에탄올을 느릅나무 양의 2 배 정도의 부피만큼 가하여 3일간 냉침시킨 뒤에 용액을 모두 모아 여과지로 여과한 후, 증발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한 뒤에 동결 건조기에서 건조하여 48시간 이상 건조시켜 분말 상태로 만들었다.
실험예 1. Ⅰ형 프로콜라겐 생성 촉진 실험
인간 정상 섬유아세포를 5×104개의 농도로 24-웰 플레이트(24-well plate)에서 24시간 배양한 다음, 고비, 연꽃, 느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로 교체하여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TGF-β(Human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Roche Co.)를 사용하였다. 배양 3일째 세포를 수확하여 생성된 I형 프로콜라겐(type I procollagen)의 양을 ELISA 방법으로 정량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대조군의 프로콜라겐의 양을 0, 양성 대조군은 100으로 설정하고 각 측정값과의 비교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Ⅰ형 프로콜라겐 생합성(%)
대조군 (무처리군) 0
TGF-β (양성대조군) 100
고비 추출물 (0.01 %) 23
연꽃 추출물 (0.01 %) 20
느릅나무 추출물 (0.01 %) 22
고비, 연꽃, 누릅나무 추출물 (0.01 %) 25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인간 정상 섬유아세포에서 고비, 연꽃, 느릅나무 추출물은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I형 프로콜라겐 생성을 촉진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비, 연꽃, 느릅나무 추출물은 콜라겐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인체 피부의 노화에 의해 발생하는 콜라겐의 감소 현상을 완화시켜 항노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프로그타글란딘 E2 ( PGE2 ) 억제 효과 실험
염증 인자인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PGE2)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사람 각질형성세포주 HaCaT 세포를 5×104개의 농도로 24-웰 플레이트(6-well plate)에서 24시간 배양하여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 5㎍/ml로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을 유도한 후, 고비, 연꽃, 느릅나무 추출물을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배양 상층액을 100 ㎕ 취해 R&D 시스템의 키트를 사용하여 생성된 프로스타글란딘을 정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억제율(%) = (A-B)/A × 100
A : 음성대조군 대비 LPS 처리시 PGE2 생성량
B : 음성대조군 대비 시료 처리시 PGE2 생성량
PGE2 생성 억제율 (%)
고비 추출물 (0.01 %) 44
연꽃 추출물 (0.01 %) 47
느릅나무 추출물 (0.01 %) 46
고비, 연꽃, 누릅나무 추출물 (0.01 %) 52
고비, 연꽃, 느릅나무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프로스타글란딘 생성량이 52% 억제되었고, 이를 통해 고비, 연꽃, 느릅나무 추출물의 프로그타글란딘 생성 억제를 통한 항염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3. 피부에 대한 안전성 시험
피부에 대한 자극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피부첩포시험(Human patch test)을 시행하였다. 피부첩포시험은 20세 이상의 정상인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시료를 1%, 10% 수용액으로 만든 다음 핀 챔버(Finn chamber)를 이용하여 48시간 동안 상박 안쪽 부위에 부착한 뒤 제거한 후에 첫 판독을 하고, 72시간이 경과한 후에 2차 판독을 시행하여 피부 반응 결과를 판정하였다. 평가기준과 자극지수의 계산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반응 가중치 평가기준
- 0.0 무반응
± 0.5 의심되는 양성 반응
+ 1.0 약양성반응
++ 2.0 강양성반응
+++ 3.0 극양성반응
(수학식 2)
피부자극지수 = Σ(가중치 X 반응인 수)/(최고 가중치 X 총 피험자 수) × 100
피부자극지수 자극정도
고비 추출물 (1%) 0.4 무자극
연꽃 추출물 (1%) 0.4 무자극
느릅나무 추출물 (1%) 0.4 무자극
고비, 연꽃, 느릅나무 추출물 (1%) 0.4 무자극
고비, 연꽃, 느릅나무 추출물 (10%) 0.8 무자극
실험 결과, 고비, 연꽃, 느릅나무 추출물은 10% 이하에서는 피부에 대하여 무자극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장료의 원료로 사용 시 피부에 자극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4. 보습력 측정 시험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의 크림 조성물을 중량% 단위로 제조하였다.
성분명 함량 (중량%)
비교예 1 실시예
1 2 3 4
고비 추출물 - 1.0 - - 0.33
연꽃 추출물 - - 1.0 - 0.33
느릅나무 추출물 - - - 1.0 0.33
글리세린 5.0 5.0 5.0 5.0 5.0
스테아린산 8.0 8.0 8.0 8.0 8.0
스쿠알란 5.0 5.0 5.0 5.0 5.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5 2.5 2.5 2.5 2.5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1.5 1.5 1.5 1.5 1.5
프로필렌 글리콜 4.0 4.0 4.0 4.0 4.0
스테아릴글리시레티네이트 0.2 0.2 0.2 0.2 0.2
바셀린 2.0 2.0 2.0 2.0 2.0
산화방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보습력 측정 시험은 온도 22℃, 상대습도 45%의 항온 항습실에서 실시하였다. 20명의 피시험자 전박 안쪽에 가로×세로 1.5 ㎝ × 1.5 ㎝ 정사각형을 시료 수만큼 표시한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크림을 일정량을 도포하기 전, 도포 1시간 후 및 도포 2시간 후의 피부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정상 피부를 대조예로 사용하였다. 측정 기기는 피부의 수분 함량에 따른 피부의 전기 용량을 측정하여 수분량을 측정하는 수분 함량측정기 (Corneometer CM825, Courage + Khazaka, Germany)를 사용하였다. 보습력 향상률을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3)
보습력 향상률(%) = (B-A)/A × 100
A : 도포 전 수분 측정값
B : 시료 도포 후 수분 측정값
1시간 후 보습력 향상률 (%) 2시간 후 보습력 향상률 (%)
대조예 (무처리군) 8 9
비교예 1 25 23
실시예 1 36 30
실시예 2 35 30
실시예 3 38 32
실시예 4 43 35
실험 결과, 고비, 연꽃,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1 내지 4를 피부에 적용했을 때, 보습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인체 피부에 대한 주름개선 시험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크림의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임상시험을 실시하였다.
20~40대 여성 25명을 대상으로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크림을 5명씩 5그룹으로 나누어 1일 2회씩 아침 세안 후와 저녁 세안 후, 4주 동안 사용하게 하였다.
사용 전과 사용 후의 피부 주름개선 정도는 전안촬영시스템(facial stage DM-3(Moritex, 일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4주 경과후의 주름 면적 변화량을 구해 효과를 비교하였고,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4)
주름 면적 변화량 = 사용 전 주름 면적 - 4주 사용 후 주름 면적
주름 면적 변화량 (mm2)
비교예 1 2
실시예 1 8
실시예 2 7
실시예 3 8
실시예 4 10
실험 결과, 고비, 연꽃, 느릅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1 내지 4를 4주 동안 사용했을 때, 비교예 1과 비교하여 피부 주름이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하, 상기한 실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고비, 연꽃, 느릅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여러 제형예를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이들 제형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형이 이들 제형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제형예 1. 유연 화장수 ( skin toner )
제형예 1의 성분 및 함량을 표 8에 나타내었다.
성분명 함량 (중량%)
고비 추출물 0.33
연꽃 추출물 0.33
느릅나무 추출물 0.33
글리세린 5.0
1,3 - 부틸렌글리콜 3.0
에탄올 5.0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0.5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수렴 화장수( astrigent )
제형예 2의 성분 및 함량을 표 9에 나타내었다.
성분명 함량 (중량%)
고비 추출물 0.33
연꽃 추출물 0.33
느릅나무 추출물 0.33
글리세린 3.0
구연산 0.1
에탄올 10.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1.0
소르비톨 2.0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로션( 에멀젼 )
제형예 3의 성분 및 함량을 표 10에 나타내었다.
성분명 함량 (중량%)
고비 추출물 0.33
연꽃 추출물 0.33
느릅나무 추출물 0.33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8.0
스쿠알란 10.0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2.0
트리에탄올아민 1.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스테아릴글리시레티네이트 0.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아르기닌 0.1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지금까지 예시적인 실시 태양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기술하여 왔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변화를 실시할 수 있으며 그의 요소들을 등가물로 대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많은 변형을 실시하여 특정 상황 및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내용에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계획된 최상의 양식으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 태양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태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고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비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비가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비가 피부에 보습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연꽃 또는 느릅나무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연꽃 및 느릅나무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샴푸,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비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가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유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 알코올, 부틸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092644A 2011-09-14 2011-09-14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9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644A KR101869096B1 (ko) 2011-09-14 2011-09-14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644A KR101869096B1 (ko) 2011-09-14 2011-09-14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290A KR20130029290A (ko) 2013-03-22
KR101869096B1 true KR101869096B1 (ko) 2018-06-20

Family

ID=48179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644A KR101869096B1 (ko) 2011-09-14 2011-09-14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0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922B1 (ko) 2018-09-17 2019-04-10 (주)에스디생명공학 무궁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708B1 (ko) * 2015-04-24 2017-03-24 주식회사 참 존 바위솔 및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손상 회복 촉진용 조성물
KR101720293B1 (ko) 2016-12-07 2017-03-28 에스폴리오(주)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3109B1 (ko) * 2017-03-22 2019-04-2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36628A (ko) 2017-09-28 2019-04-05 바이오로보테크(주) 유향과 몰약과 황금을 포함하는 피부재생 미용 조성물, 피부재생 미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미용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03948B1 (ko) 2021-03-09 2021-09-24 주식회사 스마트셀랩 중간엽 줄기세포 및 면역세포 공동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6317A (ko) * 2009-10-01 2011-04-07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항염증성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989B1 (ko) * 2008-10-13 2014-10-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6317A (ko) * 2009-10-01 2011-04-07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항염증성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922B1 (ko) 2018-09-17 2019-04-10 (주)에스디생명공학 무궁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290A (ko) 201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9811B2 (ja) 皮膚外用剤
KR100638137B1 (ko) 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9096B1 (ko)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130878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53186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101078888B1 (ko) 조직배양한 에키네시아 부정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97160B1 (ko)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84163B1 (ko) 차요테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73284B1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87447B1 (ko) 초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추출물, bl-s를 포함하는 피부유분조절, 피부장벽강화, 피부수분조절, 피부보호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KR101110301B1 (ko) 쉬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2053A (ko)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9793A (ko) 화장료 조성물
KR100964428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20100048592A (ko) 지베렐린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047511B2 (ja)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gm−csf)産生抑制剤i
KR101981692B1 (ko) 희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피부보습 또는 피부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14344B1 (ko)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46994A (ko) 제주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07292B1 (ko) 전호 추출물 또는 파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외용제 조성물
KR101457972B1 (ko)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4260B1 (ko) 돌외, 비누풀 및 금은화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5630B1 (ko)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42714B1 (ko) 중/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한 에키네시아 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