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989B1 -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989B1
KR101451989B1 KR1020080100336A KR20080100336A KR101451989B1 KR 101451989 B1 KR101451989 B1 KR 101451989B1 KR 1020080100336 A KR1020080100336 A KR 1020080100336A KR 20080100336 A KR20080100336 A KR 20080100336A KR 101451989 B1 KR101451989 B1 KR 101451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ffect
present
dihydromyriceti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1243A (ko
Inventor
정의택
진무현
박선규
이천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80100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989B1/ko
Publication of KR20100041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9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5Ericaceae or Vacciniaceae (Heath or Blueberry family), e.g. blueberry, cranberry or bi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7Sapindaceae (Soapberry family), e.g. lychee or soap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뛰어난 보습 효과 및 손상된 피부 조직의 콜라겐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탁월한 피부재생 효과 및 피부 탄력성 개선 효과를 갖는다.
디하이드로미리세틴, 피부 재생

Description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tion for skin cell regeneration}
본 발명은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 몸에 있어서, 피부는 외부 환경과 직접 접해 있으면서 다양한 유해 인자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피부는 연령의 증가 또는 자외선, 외부 오염 물질 및 스트레스에 의해 점점 손상되고 이러한 요인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이 약화됨으로써, 세포 보호 및 증식 능력이 떨어진다. 이 경우 우리 몸은 손상된 피부에 대하여 피부 재생 과정을 시작한다. 피부 재생은 손상에 대한 조직의 반응이며 조직회복의 과정으로, 주화성(chemotaxis), 세포의 분화 및 복제(differentiation and replication), 기질 단백질(matrix protein)의 합성, 혈관의 신생 및 창상의 재구성 등을 포함하는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이다(Steed, D.L. et al., Clin. Plast. Surg., 25:397(1998)).
피부가 손상되면 염증반응에 이어 세포증식 과정이 진행되는데, 이는 피부가 손상된 후 2일부터 3주까지 지속된다. 이 시기에 섬유아세포는 콜라겐을 축적시켜 손상된 피부의 흠을 채우고,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유도하며, 상처부위에서는 새로운 세포와 간질성분의 재구성이 일어난다. 육아과정이라고도 불리는 이 증식과정은 상처발생 2일부터 3주까지 지속된다. 새로운 세포에 의한 어린 피부는 피부 세포의 활성이 활발하여 진피(dermis)의 섬유아세포(fibroblast)가 피부의 탄력 및 주름형성 억제에 중요한 콜라겐(collagen)의 합성과 신진대사가 왕성하다. 그리고 피부 보습에 필수적인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을 포함한 당단백질류인 GAGs(Glucosaminoglycans) 합성도 활발하여 피부에 탄력, 보습 및 유연성을 부여한다. 또한 표피(epidermis)에서는 기저세포(basal layer cell)의 증식이 활발하고, 피부세포간의 결합을 강화시키는 라미닌, 인테그린, 데스모좀과 같은 결합단백질(adhesion protein)의 생성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져 세포조직을 강화시켜 건강한 피부를 유지해 준다.
한편, 개머루로 알려진 엠펠롭시스 브레비페둔쿨라라(Ampelopsis brevipedunculala)는 포도과의 낙엽 활엽 덩굴나무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3~5개로 갈라지며 원심형이다. 꽃은 여름에 녹색으로 피고 열매는 장과로 머루와 비슷하나 먹지는 못한다. 골짜기나 개울가에서 자라는데 한국, 만주, 사할린,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본 발명자들은 안정성이 있고, 빠른 재생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연구한 결과, 엠펠롭시스 브레비페둔쿨라라(Ampelopsis brevipedunculala)의 잎과 줄기에서 분리한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이 피부 재생, 피부 탄력 개선 및 보습효과를 동시에 발휘하여 피부 보호작용을 완벽하게 수행함으로써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그 효과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말한다.
Figure 112008071255899-pat00001
본 발명의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의 유도체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치환기의 부가 또는 치환 반응을 하여 얻어지는 유도체가 될 수 있다. 또한,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의 유도체 중 피부 재생 효과를 나타내는 어떠한 유도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은 당업계의 기술수준을 고려하여 명확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또는 이의 유도체는 식물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이나,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합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은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을 포함하는 식물로서, 예를 들면 문관과 기름모과나무(Xanthoceras sorbifolia), 고산지대 코카인 식물(Catha edulis), 진달래속식물(Gattung Rhododendron), 엠펠롭시스 브레비페둔쿨라라(Ampelopsis brevipedunculala), 개머루속식물(Ampelopsis meliaefolia), 계수 나무(Cercidiphyllum japonicum), 엠펠롭시스 그로센덴타타(Ampelopsis grossendentata) 등이 있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로서 개머루(갈매나무목 포도과의 쌍떡잎식물)로 알려진 엠펠롭시스 브레비페둔쿨라라(Ampelopsis brevipedunculala)의 잎과 줄기에서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을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이의 분리 및 정제 방법은 당업계에서 알려진 방법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방법은 개머루(Ampelopsis brevipedunculala)의 잎과 줄기를 분쇄한 후 물 또는 유기용매에 혼합하고 가열 및 여과, 농축하여 용제를 추출한 후, 다시 더운물에 용해시켜 여과한 후 여과액을 색층분리함으로써 제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또는 이의 유도체의 함량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총 건조중량 당 0.001 내지 20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이다. 상기 함량 미만일 경우에는 기대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상기 함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효과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은 종래부터 식품첨가물로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인체에 사용하더라도 부작용이 없이 안전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재생 용도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세포 수준에서 세포 재생효과, 콜라겐 분해효소 억제 능력과 합성 증진 실험 효과와 상처치유 효과가 우수하여 탁월한 피부 재생 효과 및 완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 "피부재생"은 피부 외부 및 내부 원인에 의한 손상에 대해 피부 조직의 회복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외부 원인에 의한 손상은 자외선, 외부 오염 물질, 창상, 외상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원인에 의한 손상은 스트레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또는 이의 유도체 이외에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확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때에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르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탄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 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세포 수준에서 세포 재생효과, 콜라겐 분해효소 억제 능력, 콜라겐 합성 능력 및 상처치유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의 재생 촉진제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엠펠롭시스 브레비페둔쿨라라( Ampelopsis brevipedunculala )에서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추출물의 제조
엠펠롭시스 브레비페둔쿨라라(Ampelopsis brevipedunculala)를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몇 번 달여서 여과, 농축하여 용제를 추출한 후 다시 더운물에 용해시켜 여과한 후 여과액을 색층분리하여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엠펠롭시스 브레비페둔쿨라라(Ampelopsis brevipedunculala) 추출물의 디하이드 로미리세틴이 원료로 판매되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과 같은 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Chromadex(미국)사에서 순도 98%의 디하이드로미리세틴(ASB-00004480-010)을 구입하여 각각 HPLC등 여러가지 분석을 통해 비교한 결과 두 물질이 같은 것임을 확인하였다.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의 분석을 위해 사용한 방법 중 UV detecor를 사용한 HPLC를 사용하였고 추출물은 미국 Phenomenex 사의 reverse-phase μBondapack C18 column (250mmХ4.6mm i.d. 5μm)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HPLC 추출 용매로 사용한 70% 메탄올에는 90:10에서부터 65:35까지 H2O-CH3CN의 다양한 비율의 혼합물을 사용하였다. 이후의 모든 실험은 구입한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세포활성 시험
피부재생용 화장품에 사용되는 원료로서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의 세포활성 촉진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활성을 측정하였다. 인간유래의 섬유아세포를 배양하여 1Х105 세포/웰(cells/well)의 농도로 96웰 평판 배양기에 접종한 후,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을 10, 1, 0.1, 0.01, 0.001, 0.0001, 0.00001%의 농도로 희석하여 약 24시간 적용한 다음, MTT 시험을 수행하여 세포활성 촉진효과를 확인하였다. 시료를 희석한 vehicle (FBS serum 1% 함유 DMEM)과 비교하여 세포 활성능을 평가하였다. 음성대 조군의 배지는 FBS serum 1% 함유 DMEM을 사용하였다.
세포활성의 결과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선출하였으며,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세포활성(%)=(디하이드로미리세틴 처리군의 반응 흡광도 - 대조군의 반응흡광도 / 대조군의 반응 흡광도)Х100
시료농도 세포활성(%)
디하이드로미리세틴10% -20
디하이드로미리세틴 1% 12
디하이드로미리세틴 0.1% 11
디하이드로미리세틴 0.01% 7
디하이드로미리세틴 0.001% 5
디하이드로미리세틴 0.0001% 2
디하이드로미리세틴 0.00001% 0
음성대조군(무처리) 0
반복 시험수 = 3
표 1과 같이 농도 0.00001부터 1% 디하이드로미리세틴 처리시 대조군에 비해 섬유 아세포에서 세포활성이 촉진되었는바,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은 우수한 세포활성 촉진효과를 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콜라겐 분해효소 활성 억제효과 측정 실험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의 콜라겐 분해효소 활성 억제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시판되는 기질인 Dabcyl-r-Abu-Pro-GLu-Gly-Leu-Glu(EDANS)-Ala-Lys-NH2의 Gly-Leu 결합을 콜라게네이즈가 분해함으로써 Dabcyl기의 N말단과 EDNAS의 C말단은 quencher로 하는 작용기작을 이용하였다. 96웰 평판배양기(48-well plate)에 농도별로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을 넣고 반응버퍼와 시판되는 기질을 넣어서 37℃에서 1시간을 반응시킨 후, EDTA 5ul을 넣어 반응을 종료시켰다. 이때 발색되는 정도를 플루로미터(flurometer)를 이용하여 흡광도 340nm/520nm에서 측정하여 결과를 기록하였다(Bob Beekman et al., FEBS, 390, 221-225, 1996). 결과를 표 2에 나타냈으며, 각 시료들의 상당수에서 콜라겐 분해효소 생합성 저해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콜라겐 분해효소 활성 저해율(%) = {1-(시료와 기질의 반응흡광도/대조군의 반응흡광도)}X100
시료 콜라겐 분해효소활성 저해율(%)
디하이드로미리세틴 1% 80
디하이드로미리세틴 0.5% 50
디하이드로미리세틴 0.1% 22
디하이드로미리세틴 0.05% 12
디하이드로미리세틴 0.001% 2
음성대조군(무처리) 0
양성대조군(retinoic acid) 60
실험예 3: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위 실험예 1의 결과에서 보듯이 세포활성 촉진효과가 우수한 본 발명의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을 가지고 다음과 같이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24웰 플레이트(24 well plate, Corning사)에서 사람의 섬유아세포 (human fibroblast cell)를 24시간 배양한 후, L-2,3-3H 프롤린(proline)을 24시간 반응시켰다. 이때 양성 대조군에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을 농도별로 첨가하였고, 음성 대조군에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았다. L-2,3-3H 프롤린을 반응시킨 후 세포 배지에서 섬유아세포가 합성 분비한 신생 콜라겐의 양을 콜라겐 분해효소와 방사성 동위원소 활성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 비교하였다. 대조군으로는 혈청(serum) 1%를 부가하여 사용하였으며, 비교군으로는 무혈청 배지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의 종류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대조군(serum 1%) 260
디하이드로미리세틴 1% 220
디하이드로미리세틴 0.5% 210
디하이드로미리세틴 0.2% 205
디하이드로미리세틴 0.1% 200
디하이드로미리세틴 0.05% 170
디하이드로미리세틴 0.01% 120
디하이드로미리세틴 0.005% 109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은 세포 수준에서 콜라겐의 합성 증진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0.2% 이상의 농도에서는 콜라겐의 합성 증진 효과가 미약하였으며, 0.01% 이하에서는 그 효과를 인지하기 어려웠다.
상기와 같이 세포증식 효과와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가 뛰어난 본 발명의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을 가지고 다음 실시예에서와 같은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3 및 비교예 1
하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2 내지 3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을 배합하고 비교예 1은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 시료로, 다음 방법에 따라 수중유형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수상과 유상을 각각 70 내지 75 ℃로 가열 용해한 후 유상을 수상에 첨가하고 호모믹서 6000 rpm 조건하에서 10분간 유화시킨 후 30℃까지 냉각하여 수중유형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배합성분 실시예2
(중량%)
실시예3
(중량%)
비교예1
(중량%)



수상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카르복시비닐폴리머(1중량% 용액) 15 15 15
진한 글리세린 6 6 6
프로필렌글리콜 4 4 4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2 0.2 0.2
디하이드로미리세틴 1.0 5.0 -




유상
세토스테아릴알콜 1 1 1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 1 1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1 1 1
POE(20)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5 1.5 1.5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0.1 0.1
이소세틸미리스테이트 5 5 5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5 5 5
스쿠알란 5 5 5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상기 표 4에서 사용된 수치의 단위는 중량%이다. 또한, 카르복시비닐폴리머로는 미국 비.에프.굿리치(B.F.Goodrich)사의 상품인 카보폴 941(Carbopol 941)을 1 중량% 수용액으로 사용하였다.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으로는 영국 아이시아이 (ICI)사의 상품명 아라셀 60(Arlacel 60)으로 시판되는 것을 사용하였고,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는 일본 니혼 코교 알코올(Nihon Kokyu Alcohol)사의 상품인 아이시이에이치(ICEH)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4: 콜라겐 생합성에 의한 상처치유 효과 시험
스프라그-도우리계(Sprague-Dawley) 랫트 수컷 (체중 200g 전후)을 펜토바비탈 나트륨으로 마취하여 등 부위의 털을 깎고, 요오드 팅크로 피부를 소독한 후, 원형(내경 1cm)의 피혁용 펀치를 사용하여 등 부위 피부에 좌우 대칭의 원형 절제창을 2개소 만들었다. 창상 발생일 당일부터 하이드로 코티손(hydrocortisone)을 1일 1회 50mg/kg용량으로 매일 피하 투여하여 창상의 치유를 지연시켰다.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의 함유율이 다른 실시예2와 3의 유화물과 위약인 비교예1을 창상 발생 당일부터 창상부 1개소에 대해 200mg을 1일 1회, 매일 도포하였다. 8일 후에 창상부의 면적을 측정한 뒤, 이를 무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고, 측정한 창상부의 면적을 하기 수학식 3에 대입하여 창상치유 촉진율을 확인하였다.
치유 촉진율(%) = 100-(시험군의 창상면적/대조군의 창상면적Х100)
시험물질 처치 생쥐수 창상면적(mm2) 창상치유 촉진율(%)
대조군 10 58.9±3.8 -
비교예1 10 57.0±2.3 1.7
실시예2 10 49.3±3.2 16.3
실시예3 10 38.4±2.8 34.8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을 함유하는 제형은 무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창상면적을 매우 감소시켰고(P<0.01),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1 제형에서는 창상 치유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볼 때, 제형에 포함되어 있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 이외의 성분은 창상 치유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은 창상 치유효과도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 피부세포 수준에서 세포 재생효과, 콜라겐 분해효소 억제 능력과 합성 증진실험 효과와 상처치유 효과로 미루어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디하이드로미리세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재생효과 및 유효한 완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밖에 피부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Claims (3)

  1. 디하이드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은 기름모과나무(Xanthoceras sorbifolia), 고산지대 코카인 식물(Catha edulis), 진달래속식물(Gattung Rhododendron), 엠펠롭시스 브레비페둔쿨라라(Ampelopsis brevipedunculala), 개머루속식물(Ampelopsis meliaefolia), 계수나무(Cercidiphyllum japonicum) 및 엠펠롭시스 그로센덴타타(Ampelopsis grossendentat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한 식물로부터 분리한 것인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건조중량 당 0.001 내지 20중량%인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100336A 2008-10-13 2008-10-13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1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336A KR101451989B1 (ko) 2008-10-13 2008-10-13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336A KR101451989B1 (ko) 2008-10-13 2008-10-13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243A KR20100041243A (ko) 2010-04-22
KR101451989B1 true KR101451989B1 (ko) 2014-10-21

Family

ID=4221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336A KR101451989B1 (ko) 2008-10-13 2008-10-13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9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38385A (zh) * 2016-11-04 2017-03-29 三峡大学 一种连香树的体外培养方法
CN106753912A (zh) * 2016-11-22 2017-05-31 陕西中医药大学 一种文冠果油手工皂及其制备方法
KR102303948B1 (ko) 2021-03-09 2021-09-24 주식회사 스마트셀랩 중간엽 줄기세포 및 면역세포 공동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8211A (ko) * 2011-07-12 2013-01-22 김선미 동물의 방광으로부터 분리한 세포간 신호전달 촉진물질이 포함된 세포외기질의 구성분인 단백질를 약효제로 포함하는 세포재생 기능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869096B1 (ko) * 2011-09-14 2018-06-20 애경산업(주)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39753B1 (ko) * 2012-02-29 2019-01-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조성물
KR102274295B1 (ko) 2014-07-23 2021-07-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외용제 조성물
PL3284506T3 (pl) 2015-04-13 2021-10-25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Rozpuszczalna mikroigła zawierająca składnik do kontroli uwalniania neuroprzekaźników
CN106691902B (zh) 2015-08-14 2021-04-20 强生消费者公司 包含显齿蛇葡萄和合欢提取物的组合物和使用方法
KR101943302B1 (ko) * 2017-01-20 2019-01-29 이정복 엘라그산 또는 디하이드로미리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875188B1 (ko) * 2017-10-23 2018-07-06 쓰리나이츠인베스트먼트주식회사 등차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875191B1 (ko) * 2017-10-23 2018-07-06 쓰리나이츠인베스트먼트주식회사 등차를 이용한 구강용 조성물
CN108670953B (zh) * 2018-06-28 2021-07-06 广东工业大学 一种二氢杨梅素水溶性纳米悬浮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288760A (zh) * 2018-11-27 2019-02-01 广东中测食品化妆品安全评价中心有限公司 一种植物精粹面霜及其制备方法
KR102327092B1 (ko) * 2021-05-03 2021-11-17 주식회사 네이처앤네이처 아구아헤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52511A (ko) 2022-04-27 2023-11-03 주식회사 메디포스킨 피부 트러블 완화 효과가 우수한 피부 재생용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CN115252455A (zh) * 2022-07-02 2022-11-01 堇色生物科技(中山)有限责任公司 一种二氢杨梅素纳米乳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8506A (ja) * 1987-02-24 1988-08-30 Nonogawa Shoji:Kk 化粧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8506A (ja) * 1987-02-24 1988-08-30 Nonogawa Shoji:Kk 化粧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38385A (zh) * 2016-11-04 2017-03-29 三峡大学 一种连香树的体外培养方法
CN106753912A (zh) * 2016-11-22 2017-05-31 陕西中医药大学 一种文冠果油手工皂及其制备方法
KR102303948B1 (ko) 2021-03-09 2021-09-24 주식회사 스마트셀랩 중간엽 줄기세포 및 면역세포 공동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243A (ko)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989B1 (ko)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4157B1 (ko)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0532560A (ja) 鉄皮石斛(デンドロビウム・カンディダム)花の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101393007B1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0072516B (zh) 包含作为有效成分的中药材提取物的化妆料组合物
KR101838354B1 (ko) 동백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03654B1 (ko) 하고초 추출물과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94043A (ko) 다시마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24968B1 (ko) 소루쟁이 추출물과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30123490A (ko) 다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9571A (ko) 얌빈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476671B1 (ko)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685554B1 (ko) 닥나무 속 식물의 캘러스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 조성물
KR101781069B1 (ko) 닥나무 속 식물의 캘러스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 조성물
KR20170110910A (ko) 피난을 함유하는 침엽수잎추출물을 포함하는 발모제 조성물
KR101740373B1 (ko) 닥나무 속 식물의 캘러스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 조성물
EP3381441B1 (en) External use skin composition for antiaging containing germinated glycine gracili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US20110135773A1 (en) Composition for external skin application containing pine knot extract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the same
KR102470781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6086B1 (ko) 닥나무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보습, 및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KR20180096094A (ko) 코스모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979682B1 (ko) 붉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표피 수포성 표피박리증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781070B1 (ko) 닥나무 속 식물의 캘러스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 조성물
KR101781068B1 (ko) 닥나무 속 식물의 캘러스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 조성물
KR101764879B1 (ko) 발모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