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094A - 코스모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코스모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094A
KR20180096094A KR1020170022330A KR20170022330A KR20180096094A KR 20180096094 A KR20180096094 A KR 20180096094A KR 1020170022330 A KR1020170022330 A KR 1020170022330A KR 20170022330 A KR20170022330 A KR 20170022330A KR 20180096094 A KR20180096094 A KR 20180096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os
skin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선
우수정
정광선
김명옥
Original Assignee
스킨큐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킨큐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킨큐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2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6094A/ko
Priority to PCT/KR2018/002013 priority patent/WO2018151563A1/ko
Publication of KR20180096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0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스모스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상태(Skin condition) 개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코스모스 추출물은 콜라겐 합성의 촉진, 섬유아세포 보호 작용 등의 분자적 기전을 통하여 우수한 주름 개선 효능을 나타내며, 세포독성이 없고 피부 안전성이 우수하여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코스모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comprising Cosmos bipinnatus extract}
본 발명은 코스모스(Cosmos bipinnatus)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콜라겐 합성 증진, 콜라겐 분해효소 억제, TIMP-1 증가 및 피부세포 증식 효능이 있는 코스모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화는 세포와 신체 내 전 조직에 걸쳐 일어나는 기능적, 구조적, 생화학적 변화로 체내 항상성 유지가 떨어지게 되면서 일어나는 일련의 과정이다. 사람의 피부노화는 통상적으로 25세를 전후로 진행되기 시작하여 40세를 전후에 본격화 되는데, 피부 노화의 원인은 내인성 노화와 외인성 노화, 크게 2 가지로 구분이 가능하다. 내인성 노화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내적으로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되고, 세포의 생리적 기능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요소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진행되는 노화이며, 외인성 노화는 자외선, 공해, 온도, 각종 오염물질 등 외부 자극에 의하여 진행되는 노화이다.
한편, 피부의 진피층의 90%를 차지하는 콜라겐(Collagen)과 3-4%를 차지하는 엘라스틴(elastin; 탄력섬유)은 피부에 탄력을 주고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피부가 노화되면서 이들의 합성에 관여하는 섬유아세포의 수와 활동이 감소하고 이들의 합성량 또한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피부세포 내 수분 손실량이 증가하고 각질층의 구조가 변화되면서 콜라게나제(Collagenase; 콜라겐 분해 효소)의 활성이 증가하고 콜라겐의 가교형태도 증가하면서 피부 탄력, 보습 등도 감소하게 되고 주름이 생기게 된다. 70세 이후 나타나는 진피위축은 대표적인 노화현상으로 콜라겐 다발의 분리, 점다당질 합성감소, 콜라겐과 엘라스틴(Elastin)수와 직경 감소, 콜라겐과 탄력섬유 분쇄 및 혈관의 팽창 등을 구체적인 현상으로 들 수 있다.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 및 각종 오염환경은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사슬 절단, 비정상적인 교차결합 및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의 사슬을 절단하여 직접적인 피부세포의 손상과 색소 침착을 증가시킨다. 이는 피부 주요성분들의 기능 손실을 직접적으로 초래하여 피부를 노화시킨다.
피부가 노화됨에 따라 피지 분비량이 감소되어 피부가 건조해지고, 세포 재생이 늦어지며, 노화 각질이 많이 쌓여서 피부가 거칠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콜라겐의 합성량 감소와 엘라스틴의 변성되어 주름이 생긴다.
일반적으로 주름의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콜라겐의 생성량과 콜라겐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콜라게나제의 활성이다. 때문에 콜라겐의 합성을 유도하고 콜라게나제의 합성 또는 활성을 저해할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하고, 안전성까지 확보한 물질을 이용하여 피부노화를 완화할 수 있는 소재 개발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고, 인체에 보다 안전하고 효능이 좋은 소재 발굴을 위하여 천연 한방 소재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안전성 및 안정성이 높아 피부 부작용이 없는 신규의 물질을 개발하고자 천연 소재를 대상으로 연구하던 중, 코스모스 추출물(Cosmos bipinnatus)이 콜라겐 합성 증진, 콜라겐 분해효소 억제, TIMP-1 증가 및 피부세포 증식 효능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에 관한 연구를 계속 진행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코스모스 추출물(Cosmos bipinnatu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코스모스 추출물(Cosmos bipinnatu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 본 발명은 코스모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스모스(Cosmos bipinnatus)는 국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높이는 1~2m까지 자라며 꽃 피는 시기는 6-10월이고 꽃은 적색, 백색, 자색 등 다양한 색을 띤다. 코스모스는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없는 것이 특징으로 가지와 줄기 끝에 두상화가 1개씩 달린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주름 개선”은 호르몬 분비 감소 또는 생리적 기능 저하 등으로 인한 내인성 피부노화나 자외선 또는 공해 등으로 인한 외인성 피부노화에 의해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피부에 형성되는 주름을 완화, 제거 또는 예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코스모스 추출물은 코스모스의 전초, 잎, 뿌리, 줄기, 꽃 등으로부터 추출되거나 이로부터 분리된 피부주름 개선의 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말한다.
또한, 상기 코스모스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분리, 분획)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건조물 또는 이용하여 제형화된 모든 형태를 말한다.
상기 코스모스 추출물의 추출 방법으로는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방법 또는 초임계 추출방법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추출방법을 이용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로, 상기 초음파 추출은 분쇄된 코스모스 분말을 추출용매에 침지하여 12 시간 내지 36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시간 내지 30 시간 동안 실시한다. 상기 초음파 추출 시간이 12 시간 미만인 경우 피부주름 개선을 위한 코스모스의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36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공정시간이 길어져 에너지 효율 및 추출 효율이 떨어지며 상기 유효성분 외의 성분이 추출되어 수율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코스모스 추출물은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한 액은 액체 형태로 사용되거나 또는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매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중 어느 하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또는 물과 상기 저급 알코을의 혼합용매를 사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과 메탄올의 혼합용매를 사용한다. 그러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로, 상기 물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혼합용매는 물과 상기 저급 알코올 이 1:0.1 내지 1:1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1:0.2 내지 1:9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로, 코스모스 추출물은 코스모스를 분쇄한 후 침지추출한 다음, 추출물을 회수한 후 여과하여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여과는 추출액으로부터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는 과정으로, 면, 나일론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걸러 내거나 한외여과, 냉동여과법, 원심분리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과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로, 코스모스 추출물은 상기 여과액을 건조하여 수득될 수 있다. 여과액을 건조하는 방법으로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감압건조, 포말건조, 고주파건조 또는 적외선건조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 코스모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코스모스 추출물을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내지 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함량이 0.00001 중량% 미만인 경우 피부주름 개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주름개선 효과의 차이가 미미하고 또는 제형상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코스모스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항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세포독성도 낮으면서도, 섬유아세포 보호 작용 및 콜라겐 합성의 촉진 등의 분자적 기전을 통하여 우수한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 코스모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코스모스 추출물을 전체 약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01 내지 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함량이 0.00001 중량% 미만인 경우 피부주름 개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주름개선 효과의 차이가 미미하고 또는 제형상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시르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탄수화물류 화합물(예: 락토스, 아밀로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셀룰로스 등),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염 용액, 알코올, 아라비아 고무, 식물성 기름(예: 옥수수 기름, 목화 종자유, 두유, 올리브유, 코코넛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주사제 또는 외용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주름 개선 효과가 있으며, 투여방법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약학적 유효량으로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된다.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등의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 내지 300㎎/kg 범위 내이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세포독성도 낮으면서도, 섬유아세포 보호 작용 및 콜라겐 합성의 촉진 등의 분자적 기전을 통하여 우수한 피부주름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코스모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 내 투여, 피하 투여 또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 등에 의하여 개체의 피부주름 개선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코스모스 추출물은 식물로부터 유래한 천연 추출물로서 인체에 대한 피부자극 실험 결과 독성 및 부작용이 없는 인체에 무해한 안전한 물질로, 피부주름 개선을 위한 유효성분으로 화장료 및 의약제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코스모스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포함된 것으로, 콜라겐 합성의 촉진, MMP-1 억제, TIMP-1 증가 및 섬유아세포 증식 촉진 등의 세부적 기전을 통하여 우수한 피부주름 개선 효능을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천연소재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인체에 대한 피부자극 실험 결과 독성 및 부작용이 없는 인체에 무해한 안전한 물질로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안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코스모스 추출물의 콜라겐(타입 I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로 코스모스 추출물의 MMP-1 콜라겐분해효소 억제 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코스모스 추출물의 TIMP-1(MMPs 저해제) 생성량 증가 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코스모스 추출물의 인체 유래 섬유아세포의 세포 증식 유도 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코스모스 추출물 제조
코스모스의 잎, 줄기 및 꽃을 채취하여 이물질 및 불순물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깨끗이 세척한 후, 20 내지 35℃에서 충분히 음건한 다음, 분쇄하여 입자의 크기가 1mm 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그 다음 상기 분쇄된 코스모스 분말 1kg을 70% 에탄올 10L에 침지하여 24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하였다. 그 후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지(Advantes, No.2)에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코스모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코스모스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효과 측정
피부주름 개선 효과는 통상 콜라겐 생합성 증진 효과를 통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콜라겐의 전구물질인 프로콜라겐으로부터 분리된 프로펩타이드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증가된 콜라겐 합성량을 파악할 수 있다.
콜라겐 생합성능 실험의 경우 인체유래 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 아주대 피부과)를 DMEM 배지가 들어 있는 24-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2 x 105 세포/웰), 5% 농도의 37℃, CO2 배양기에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각 웰에서 배지를 제거하고 양성 대조군인 TGF-β1 10 ng/ml과 코스모스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24시간 동안 다시 배양한 후, 세포배지를 수집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콜라겐 합성량은 콜라겐 측정 키트(Procollagen Type I C-peptide EIA kit MK101, 다카라, 일본)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procollagen) 타입 I C-펩타이드 (Type I C-peptide: PICP)의 양을 측정하였다. 45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하였으며, TGF-β1과 코스모스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인체유래 정상 섬유아세포를 대조군(control)으로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자세한 시험방법은 (주)다카라의 키트 설명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결과 인체유래 섬유아세포에서 코스모스 추출물은 콜라겐 생합성 정도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코스모스 추출물의 MMP -1 저해 활성 측정
코스모스 추출물의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인아제-1(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콜라겐 분해 효소에 대한 억제 효능 및 그에 따른 주름 개선 효과를 시험하였다. MMP-1은 섬유아세포(Fibroblasts), 각질세포(Keratinocytes), 대식세포(macrophages) 등에서 생산되며, 조직 리모델링, 상처 치유, 염증반응 등의 과정에서 분비가 촉진되는 콜라겐 분해 효소이다. 인체유래 섬유아세포를 24-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CO2 배양기에 24시간 배양 후, 각 웰에서 배지를 제거하고 양성 대조군인 TGF-β1 10 ng/ml과 코스모스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24 시간 반응시킨 후 세포배지를 수집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MMP-1 분비량은 MMP-1 측정 키트(Human Pro-MMP-1 Quantikine ELISA kit, R&D systems,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TGF-β1과 코스모스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인체유래 정상 섬유아세포를 대조군(control)으로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자세한 시험방법은 R&D systems 키트 설명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체 유래 섬유아세포에서 코스모스 추출물은 MMP-1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코스모스 추출물의 TIMP -1 저해 활성 측정
MMP-1 콜라겐 분해 효소의 활성은 티슈 인히비터 메탈로프로테인아제-1(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s-1: TIMP-1)과 같은 저해제에 의해 조절된다. TIMP-1은 섬유아세포를 포함한 많은 인체 세포에서 발현되며 세포의 항상성 유지를 위해 분비되는데, 생체 내 콜라겐 합성과 분해 과정에 MMPs의 작용을 저해하여 정상적인 콜라겐 합성과정이 진행되도록 관여한다.
코스모스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유도 및 MMP-1 저해 활성과 관련하여 TIMP-1의 영향을 TIMP-1 측정 키트(Human TIMP-1 Quantikine ELISA kit, R&D systems, )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인체유래 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 아주대 피부과)를 5% 농도, 37℃, CO2 배양기에 24시간 동안 배양 후, 배지를 교체하고 양성 대조군인 TGF-β1 10 ng/ml 및 농도별 코스모스 추출물을 처리한 다음, 24시간 추가 배양한 후 샘플로 제조하여 R&D systems 키트 설명서에 따라 ELISA 시험법을 수행하였으며, 45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TIMP-1의 생성량을 정량하였다. TGF-β1과 코스모스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인체유래 정상 섬유아세포를 대조군(control)으로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체 유래 섬유아세포에서 코스모스 추출물은 TIMP-1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콜라겐 합성량 변화와 동일한 경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코스모스 추출물의 인체 섬유아세포 증식 촉진 효과 측정
코스모스 추출물의 세포 증식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체 유래 섬유아세포 생육에 대한 코스모스 추출물의 효과를 MTT 어세이(MTT assay)로 확인하였다. 24웰-플레이트에 접종한 인체유래 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 아주대 피부과)를 5% 농도의 CO2 배양기에 37℃로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양성 대조군인 TGF-β1 10 ng/ml 및 농도별 코스모스 추출물을 처리하고 24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추가 배양이 끝나고 MTT solution 시약을 추가한 다음 37℃, CO2 배양기에 1-2 시간 반응시킨 후 각 웰에서 배지를 제거하고 DMSO (Dimethyl sulfoxide)를 넣은 뒤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 결정을 녹였다. 이후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r)를 이용하여 54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GF-β1과 코스모스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인체유래 정상 섬유아세포를 대조군(control)으로 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스모스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세포증식률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코스모스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 크림의 제조
코스모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영양 크림의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수상인 정제수, 트리에탄올 아민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70℃로 가열하고 용해시키고, 여기에 유상인 지방산, 유성성분, 유화제 및 방부제를 70℃로 가열하여 용해한 액을 첨가하여 유화시켰다. 유화가 완료된 후 상기 용액을 45℃로 냉각시키고 코스모스 추출물 및 향을 첨가하고 분산시킨 다음 30℃로 냉각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코스모스 추출물 0.01
호호바 오일 5.0
유동 파라핀 7.0
세틸아릴 알코올 2.0
폴리글리세릴-3 메칠 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 2.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스쿠알란 3.0
프로필렌글리콜 4.0
글리세린 5.0
트리에탄올 아민 0.3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3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2
방부제, 향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실시예 3: 코스모스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 크림의 제조
코스모스 추출물의 함량을 0.01 중량% 대신 0.05 중량%로 하여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코스모스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 크림의 제조
코스모스 추출물의 함량을 0.01 중량% 대신 1.00 중량%로 하여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코스모스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영양 크림의 제조
코스모스 추출물 포함하지 않은 영양 크림의 조성은 하기 표 2와 같다. 수상인 정제수, 트리에탄올 아민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70℃로 가열하고 용해시키고, 여기에 유상인 지방산, 유성성분, 유화제 및 방부제를 70℃로 가열하여 용해한 액을 첨가하여 유화시켰다. 유화가 완료된 후 상기 용액을 45℃로 냉각시키고 정제수 및 향을 첨가하고 분산시킨 다음 30℃로 냉각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코스모스 추출물 0.00
호호바 오일 5.0
유동 파라핀 7.0
세틸아릴 알코올 2.0
폴리글리세릴-3 메칠 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 2.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스쿠알란 3.0
프로필렌글리콜 4.0
글리세린 5.0
트리에탄올 아민 0.3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3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2
방부제, 향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시험예 5: 코스모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주름개선 효과 측정
코스모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주름 개선효과를 임상 시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주름개선 효과는 피부탄력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며, 본 시험예 5에서는 실시예 2 내지 4의 영양크림(코스모스 추출물을 0.01 중량%, 0.05 중량% 및 1.00 중량% 함유한 영양 크림) 및 비교예 1의 영양 크림을 사용하였다.
피부탄력도의 측정은 온도 24 내지 26℃, 습도 38 내지 40%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환경에서 건강한 여성 30명(25 내지 35세)을 대상으로 하기 실시예 2 내지 4의 영양 크림과 비교예 1의 영양 크림을 각각 피검자의 얼굴에 1일 2회씩 3개월 동안 사용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피부탄력도는 크림 사용 전후, 피부측정기(Cutometer SEM 474, Courage + Khazaka, Cologne, 독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판정기준은 피부탄력이 없는 경우를 0, 높은 경우를 5로 하여 상대적인 값을 비교하였다. 시험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실시예 2 (0.01% ) 실시예 3 (0.05%) 실시예 4 (1.00%) 비교예 1(0.00%)
피부탄력도 2.38 2.64 2.9 2.3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 내지 4가 비교예 1에 비해 피부탄력도가 훨씬 우수하였으며, 코스모스 추출물의 함유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피부탄력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농도 의존적으로 주름개선 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6: 코스모스 추출물의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 확인 실험
코스모스 추출물을 인체피부 적용 시 유해성이 있는지 피부 안전성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확인하는 시험법으로 피부 누적자극 시험을 실시하였다. 스쿠알렌을 베이스로 코스모스 추출물을 각각 0.1%, 0.5% 및 1% 첨가한 제형을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건강한 3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윗팔뚝 부위에 격일로 총 9회의 24시간 누적 첩포를 시행하여 코스모스 추출물이 피부에 자극을 주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였다. 핀 챔버(Finn chamber, Epitest Ltd, 핀란드)를 이용하여 첩포하였으며, 챔버에 상기 각 피부외용제를 15 ㎕씩 적하한 후 첩포를 실시하였다. 매회 피부에 나타난 반응의 정도를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점수화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반응도에서 ± 는 1점, +는 2점 및 ++는 4점의 점수를 부여하며, 평균 반응도가 3 미만일 때 안전한 조성물로 판정된다.
시험물질 반응이 나타난 피검자 수 평균
반응도
1주 2주 3주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7차 8차 9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스쿠알렌
[대조군]
1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9
코스모스 추출물
(0.1%)
[시험군 1]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코스모스 추출물 (0.5%)
[시험군 2]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코스모스 추출물
(1%)
[시험군 3]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상기 표 4에 나타나 있듯이, 시험군 1, 2 및 3 모두 ± , + 및 ++에 해당하는 사람의 수가 각각 0명이고, 평균 반응도는 각각 0.00, 0.00, 0.00이었다. 그러므로 평균 반응도가 0.00의 반응도를 나타내므로, 코스모스 추출물은 뚜렷한 누적자극 양상을 나타내지 않는 인체 피부에 안전한 물질로 판정되었다.
이하는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함유한 제형을 예시하며 제제예는 다음과 같다.
제제예 1 : 화장료 제제
1-1. 유연화장수
성분 중량%
코스모스 추출물 0.01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2.0
프로필렌 글리콜 2.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82.79
총계 100.0
1-2. 영양화장수
성분 중량%
코스모스 추출물 0.01
밀납 4.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69.69
총계 100.0
1-3. 영양크림
성분 중량%
코스모스 추출물 0.01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56.79
총계 100.0
1-4. 마사지 크림
성분 중량%
코스모스 추출물 0.01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27.49
총계 100.0
1-5. 팩
성분 중량%
코스모스 추출물 0.01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스 0.2
알란토인 0.1
에탄올 5.0
노닐페닐에테르 0.3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81.39
총계 100.0
제제예 2: 약학적 제제
2-1. 산제의 제조
성분 중량(g)
코스모스 추출물 2
유당 15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2. 정제의 제조
성분 중량(mg)
코스모스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200
유당 2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2-3. 캡슐제의 제조
성분 중량(mg)
코스모스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200
유당 2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4)

  1. 코스모스 추출물(Cosmos bipinnatu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주름 개선은 피부에 형성되는 주름의 완화, 제거 또는 예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코스모스 추출물(Cosmos bipinnatu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주름 개선은 피부에 형성되는 주름의 완화, 제거 또는 예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70022330A 2017-02-20 2017-02-20 코스모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80096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330A KR20180096094A (ko) 2017-02-20 2017-02-20 코스모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PCT/KR2018/002013 WO2018151563A1 (ko) 2017-02-20 2018-02-19 코스모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광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330A KR20180096094A (ko) 2017-02-20 2017-02-20 코스모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094A true KR20180096094A (ko) 2018-08-29

Family

ID=63169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330A KR20180096094A (ko) 2017-02-20 2017-02-20 코스모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96094A (ko)
WO (1) WO20181515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441B1 (ko) 2022-03-04 2023-02-28 엘앤피코스메틱(주) 코스모스 유래 유산균 및 세이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유산균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8867A1 (en) * 2004-05-12 2006-01-26 Ichimaru Pharcos Co., Ltd Cosmetic composition and production thereof
KR101695781B1 (ko) * 2014-12-24 2017-01-17 주식회사 유니솔브 층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441B1 (ko) 2022-03-04 2023-02-28 엘앤피코스메틱(주) 코스모스 유래 유산균 및 세이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유산균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1563A1 (ko)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133B1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40115400A (ko)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두피케어조성물
KR101382112B1 (ko) 편백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69756A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3743B1 (ko) 음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36199B1 (ko) 호데닌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593544B1 (ko) 호장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12456A (ko) 아케비아 사포닌-디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509848B1 (ko) 탄시논ⅱ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18986B1 (ko)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JP2020502172A (ja) 漢方薬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化粧料組成物
KR101481208B1 (ko)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22089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5579B1 (ko)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6094A (ko) 코스모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090055079A (ko) 야생 참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23372A (ko) 여우구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111025A (ko) 녹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160061601A (ko) 모로헤이야, 은행잎 및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조성물
KR20070096279A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70781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14709A (ko) 좀깨잎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430512B1 (ko) 릴린 및/또는 vegf-c의 생산 및/또는 활성 촉진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