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579B1 -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579B1
KR102525579B1 KR1020210044571A KR20210044571A KR102525579B1 KR 102525579 B1 KR102525579 B1 KR 102525579B1 KR 1020210044571 A KR1020210044571 A KR 1020210044571A KR 20210044571 A KR20210044571 A KR 20210044571A KR 102525579 B1 KR102525579 B1 KR 102525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mallow
rice
al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8649A (ko
Inventor
정의수
정의성
이종섭
박민희
이은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044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579B1/ko
Priority to CN202210355636.2A priority patent/CN115192501B/zh
Publication of KR20220138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알로에를 혼합하여 추출한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혼합추출물은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알로에를 각각 0.1 ~ 40.0%의 함량범위로 혼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지속적인 보습 효과를 제공하고, 피부 진정, 항산화, 미백 및 항염효과를 발휘함은 물론 피부자극 및 부작용이 없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Description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Composition for protecting skin comprising extract of Oryza Sativa(Rice), Phragmites Communis, Zea Mays(Corn) Silk, Malva Sylvestris(Mallow) and Aloe Barbadensis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보습, 피부진정, 항산화, 미백 및 항염활성 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 조직으로 구성되어 물리적, 화학적 자극과 같은 외부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과도한 자외선이나 오염물질 등에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면 홍반, 부종, 가려움 등의 피부자극 및 염증반응이 유발된다. 이러한 피부 트러블은 미관상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염증반응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들이 부수적으로 색소 침착을 일으키고, 피부 탄력에 관여하는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elastin), 히알루로산(Hyaluronic acid), 뮤코다당류(Mucopolysaccharide) 등의 붕괴를 촉진시키는 등 피부손상을 발생시킨다.
표피층은 외부로부터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의 순으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각질층은 피부 속을 보호해주는 피부 최 외부에 존재하여 벽돌과 같이 피부를 보호해준다.
특히, 각질세포 사이의 세포간 지질들은 모르타르와 같은 역할로 작용하여 피부 장벽을 구성한다고 보고되고 있다(J. Invest. Dermatol. 80(Suppl.), 44-49. 1983).
이러한 역할을 통해 정상적인 피부에서 표피의 각질층에 약 10 ~ 20%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와 고유한 단백질이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각질층의 표면은 피지선에서 나온 피지와 땀샘에서 나온 땀으로 만들어진 얇은 천연 보호막으로 감싸져 있어서 수분의 증발을 예방할 수 있다.
반면, 표피층의 수분 유지기능이 상실될 경우 각질층에 수분이 10% 미만으로 낮아지게 되며 피부의 탄력과 유연성이 사라지고 건조하고 거칠어지게 된다. 이는 피부 건성화를 유발하여 염증과 트러블의 원인이 되고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의 활성이 감소하게 된다. 정상적인 피부 보습을 유지할 수가 없게 될 뿐 아니라 피부탄력과 건강을 모두 잃게 된다.
또한, 수분보유력이 낮아지면서 피부탄력의 감소는 피부의 모공벽을 지지하던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탄력이 감소하면서 모공을 조여주는 힘이 약해져 모공도 늘어나게 된다. 늘어난 모공과 건조함에 피부 장벽도 무너지면서 세균의 침입하여 염증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피부 각질층의 수분함량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피부가 노화됨에 따라 진행되는 탄력 저하 현상은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와 나이의 증가 및 폐경 등의 내인성 요인, 유전적인 요인, 환경적인 요인에 의한 현상으로 섬유아세포의 분열 감소, 콜라겐 합성의 감소, MMP생성의 증가 등으로 인해 피부의 탄력이 감소하게 된다. 특히, 40대 전후로는 호르몬의 균형이 깨져 세포재생능력, 콜라겐 합성능력, 피부보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피부지질의 생성능력도 크게 저하된다. 소비자들의 젊어 보이고자 하는 욕구와 화장품에 대한 기대가 증가하면서 이와 같은 피부 탄력 저하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화장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피부 내 수분 소실을 막기 위하여 바셀린, 라놀린, 코코아 버터, 미네랄 오일, 호호바오일, 시어버터, 실리콘 등과 같은 소수성 물질인 폐색제(occlusive agent)를 사용하고 있으며, 화장품 제조를 위하여 종래의 기술로는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디메틸 술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크로톤 오일(Croton Oil) 및 수산화나트륨 등 20에서 50여 종의 일반원료들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원료들이 제품에 첨가되면 피부자극은 물론 가려움증, 알러지, 피부염증 등 면역반응을 동반하여 각질층은 물론 경표피 수분 손실(Transepidemal Water Loss)이 증가하게 되어 피부염증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종래의 보습제는 피부에 자극과 염증을 동반 트러블을 유발시키는 부작용이 동반됨에 따라 피부 보습 효과, 보호 효과 등을 얻는데 한계가 있다.
이를 보완하고자 화장품에 피지와 유사한 구조의 성분이나 천연 보습 인자(NMF), 수산기(-OH)가 3개인 3가 알코올의 폴리올 등을 사용하여 보습제로의 역할을 하도록 첨가하였다.
하지만, 폴리올 고유의 점성과 물성으로 인하여 끈적임이 심하거나 눈진한 느낌이 드는 단점이 있으며, 이 외에도 지리적 또는 환경적인 상황에 따라 온도와 습도의 영향으로 사용감에 끈적임이나 불쾌감을 느끼게 하기도 하며, 때에 따라 역으로 수분을 빼앗기는 문제가 발생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동·식물부터 미생물에 이르기까지 천연 유래 생리활성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화장료에 도입하여 피부 자체의 고유방어 기능을 유지 향상시킴으로써 피부 내 수분소실을 억제하고 탄력과 보습력을 증강시키는 화장료의 연구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식물성 추출물들로부터 피부보습, 피부진정,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지닌 생리활성소재와 수분유지를 위한 안정적인 화장료 개발이 필수적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6120호(2016.04.04.공개), "쌀, 치아씨드, 녹두, 귀리, 퀴노아, 율무, 실크단백질로 구성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93209호(2020.12.18.공고), "갈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5289호(2016.04.27.공개), "옥수수수염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6536호(2011.02.18.공개), "멜로우 추출물 또는 멜로우추출물과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4467호(2006.08.25일공고),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등대풀, 목단피, 알로에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보습, 피부진정, 항산화, 미백 및 항염 효과를 갖도록 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를 혼합하여 추출한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 진정,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쌀 : 갈대 : 옥촉서예 : 당아욱 : 알로에의 혼합 중량비는 0.1 ~ 40.0 : 0.1 ~ 40.0 : 0.1 ~ 40.0 : 0.1 ~ 40.0 : 0.1 ~ 4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에틸 아세테이트, 글리세린 및 에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혼합된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 로션,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젤, 팩, 유화형 자외선 차단용 크림, 유화형 파운데이션, 유화형 메이크업 베이스, 오일케익형 파운데이션, 투웨이케익, 또는 파우더 팩트의 제형으로 제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보습, 진정, 항산화, 미백 및 항염 활성을 갖는 피부보호용 화장료조성물은 피부보습, 진정, 항산화, 미백 및 항염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7의 세포독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비교예 1, 2 및 제조예 1 내지 7의 피부보습 개선 효과에 대한 그래프
도 3은 비교예 1, 2 및 제조예 1 내지 7의 경피 수분 손실량 평가에 대한 그래프
도 4은 비교예 1, 2 및 제조예 1 내지 7의 피부 진정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실시예 1 내지 7의 자유라디칼 소거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6 및 도 7은 실시예 1 내지 7의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실시예 1 내지 7의 항염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 보습, 진정, 항산화, 미백 및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쌀(Oryza Sativa(Rice)"은 벼과(Gramineae)에 속하는 1년생 초본물로 아시아전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정락훈 외,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4, 26: 112-118). 쌀에는 식이섬유, phytic acid, ferulic acid, polyphenolics, vitamins, γ-oryzanol 등 기능성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 천연 항산화 물질로써 세포막 내 산화를 방지하고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켜 만성질환의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서선정 외,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37(2) : 129-135).
상기 "갈대(Phragmites Communis)"는 외떡잎식물로 화본목 화본과로 분류되며, 주로 바다 근처나 강가 습지에서 자란다. 갈대의 뿌리줄기에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및 아스파라긴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갈대의 효능으로는 항산화 활성과 피부 미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빙동주 등, 한국식품영양학회, 2015, 28(4) : 666-675).
상기 "옥촉서예(Zea Mays(Corn) Silk)"는 옥수수의 부산물인 옥수수수염을 칭하며, 옥발, 옥미발이라고도 불린다. 옥촉서예에는 상당량의 비타민 K가 포함되어 있고, 플라보노이드로는 maysin, apimaysinm, methoxymaysin등이 있으며 특히 maysin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성분들을 바탕으로 corn earworm의 생육억제활성, 종양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효과 및 라디칼소거활성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김헌영 등, 한국작물학회, 2016, 61(3) : 184-190).
상기 "말로우(Malva Sylvestris(Mallow))"는 자주색 꽃과 얕은 잎이 달린 잎이 있는 일년생 식물로, 바다, 습지, 강가 등 습한 곳에서 자란다. 말로우에는 malvone A, naphthoquinone, monoterpenes, tetrahydroxylated acyclic diterpense, antocyanin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혈장의 콜레스테롤 감소, 중성지방 감소, 상처치료, 염증치료 및 항균 효과를 가진다(Seyed Mehdi Razavi et al., Iran J Basic Med sci, 2011, 14(6) : 574-579).
상기 "알로에(Aloe Barbadensis)"는 열대지방에 서식하는 백합과(Liliaceae)의 알로에 속(Aloineae)에 속한다. 알로에에는 지방산, 유기산, 플라보노이드 등의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으며, 안트라퀴논, 안트론류, 크로몬류, 피론류, 아미노산, 비타민과 미네랄 등의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어 항균, 항산화, 항알레르기, 콜라겐 분해 및 재생 촉진, 자외선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조은혜 등, 한국생물공학, 2014, 29(6) : 437-442).
본 발명은 피부보습, 피부진정, 항산화, 미백 및 항염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천연보습인자와 아미노산, 뮤신과 같은 천연다당체 성분 등을 함유하고 있는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쌀추출물, 갈대추출물, 옥촉서예추출물, 당아욱추출물 및 알로에추출물은 피부보습, 피부진정, 항산화, 미백 및 항염에 있어 어느 정도는 활성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원물 중 최소 2개 이상의 혼합물, 바람직하게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를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이, 각각의 원물을 단독으로 추출한 조성물에 비해 우수한 시너지 효과를 가짐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를 각각 동량으로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물의 비율은 아래와 같은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알로에가 0.1 ~ 40.0 : 0.1 ~ 40.0 : 0.1 ~ 40.0 : 0.1 ~ 40.0 : 0.1 ~ 40.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혼합물은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를 분쇄하여 얻은 원물분쇄물을 혼합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추출물은,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를 혼합한 혼합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에틸 아세테이트, 글리세린 및 에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혼합된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추출물은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를 혼합한 혼합물을 60 ~ 90℃조건에서 2 ~ 6시간 씩 3회 환류추출하여 실온에서 냉침하고, 여과지로 여과하여 30 ~ 70℃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제조된 것이 적절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진정, 항산화, 미백 및 항염 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최종 형태 중에 적어도 0.001 내지 30.0 중량%로 함유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0 중량%로 함유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중량%로 함유한다.
상기 혼합추출물의 함량 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보습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30 중량% 이상으로 함유시에는 그 효과가 크게 증가하지 않으며, 제형상의 안전성과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되어 경제성도 대체적으로 낮아진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과학적인 기초자료에 근거한 조합으로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알로에를 각각 혼합하여 추출한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경우 피부보습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장기적인 효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알로에를 각각 추출하여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색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팩,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글리세롤, 글리세린, 지방족 에스테르, 페녹시에탄올,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에틸렌 글리콜, 밀납,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세스퀴오레이드, 파라핀,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스테아린산,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카르복시폴리머, 시토스테롤,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스테아레스-4, 디세틸포스페이트, 마카다미아 오일,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산탄검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소디움히아루로네이트, 페녹시에탄올,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스테아린산, 세틸알코올,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왁스, 파리핀, 스쿠알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트리에탄올아민, 아가 또는 트라칸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효능은 개인의 피부상태와 컨디션, 외부 환경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수준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쌀추출물의 제조
쌀을 흐르는 정제수에 세척하여 건조한 다음 모두 분쇄한 뒤 100 메시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미세한 분쇄물만 확보하였다. 쌀 분쇄물을 50 g/L가 되도록 50% 에탄올에 첨가하여 4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실온으로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하여 50℃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쌀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갈대추출물의 제조
갈대를 흐르는 정제수에 세척하여 건조한 다음 모두 분쇄한 뒤 100 메시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미세한 분쇄물만 확보하였다. 갈대 분쇄물을 50g/L가 되도록 50% 에탄올에 첨가하여 4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실온으로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하여 50℃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갈대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옥촉서예추출물의 제조
옥촉서예를 흐르는 정제수에 세척하여 건조한 다음 모두 분쇄한 뒤 100 메시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미세한 분쇄물만 확보하였다. 옥촉서예 분쇄물을 50g/L가 되도록 50% 에탄올에 첨가하여 4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실온으로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하여 50℃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옥촉서예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당아욱추출물의 제조
당아욱을 흐르는 정제수에 세척하여 건조한 다음 모두 분쇄한 뒤 100 메시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미세한 분쇄물만 확보하였다. 당아욱 분쇄물을 50g/L가 되도록 50% 에탄올에 첨가하여 4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실온으로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하여 50℃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당아욱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알로에추출물의 제조
알로에를 흐르는 정제수에 세척하여 건조한 다음 모두 분쇄한 뒤 100 메시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미세한 분쇄물만 확보하였다. 알로에 분쇄물을 50 g/L가 되도록 50% 에탄올에 수용액 1kg을 첨가하고, 60 ~ 90℃조건에서 4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실온으로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하여 50℃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알로에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혼합추출물 A
실시예 1 내지 5와 같은 방식으로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알로에 각각을 분쇄하여 얻은 원물분쇄물을 중량비 1 : 1 : 1 : 1 : 1로 혼합한 혼합물 50g에, 50%의 에틸알코올 수용액 1kg을 첨가하고, 60 ~ 90℃조건에서 4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실온으로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하여 50℃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혼합추출물 B
실시예 1 내지 5와 같은 방식으로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알로에 각각을 분쇄하여 얻은 원물분쇄물을 중량비 3.2 : 2.5 : 2.5 : 5.0 : 3.0로 혼합한 혼합물 50g에, 50%의 에틸알코올 수용액 1kg을 첨가하고, 60 ~ 90℃조건에서 4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실온으로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3 여과지로 여과하여 50℃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혼합추출물을 제조 하였다.
제조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5의 쌀추출물, 갈대추출물, 옥촉서예추출물, 당아욱추출물, 알로에추출물 및 실시예 6 내지 7의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알로에 혼합하여 추출한 혼합추출물 A, B를, 하기 표 1과 같이 제조예 1 내지 7로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예 1 내지 7과의 비교를 위하여, 실시예 1 내지 7 중 어느 것도 포함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인, 비교예 1 내지 2를 제조하였다.
성분명 함량(중량%)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4 제조예5 제조예6 제조예7 비교예1 비교예2
A 쌀추출물
(실시예1)
5
갈대추출물
(실시예2)
5
옥촉서예추출물(실시예3) 5
당아욱추출물(실시예4) 5
알로에추출물(실시예5) 5
혼합추출물 A(실시예6) 5
혼합추출물 B(실시예7) 5
글리세린 3.0 3.0 3.0 3.0 3.0 3.0 3.0 3.0
1, 3-BG부틸렌글라이콜 2.0 2.0 2.0 2.0 2.0 2.0 2.0 2.0
헥산다이올 0.08 0.08 0.08 0.08 0.08 0.08 0.08 0.08 0.08
EDTA-2NA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B 메틸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
3.0 3.0 3.0 3.0 3.0 3.0 3.0 3.0 3.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8 0.8 0.8 0.8 0.8 0.8 0.8 0.8 0.8
폴리솔베이트60 1.5 1.5 1.5 1.5 1.5 1.5 1.5 1.5 1.5
세틸알코올 1.5 1.5 1.5 1.5 1.5 1.5 1.5 1.5 1.5
비즈왁스 0.5 0.5 0.5 0.5 0.5 0.5 0.5 0.5 0.5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5.0 5.0 5.0 5.0 5.0 5.0 5.0 5.0 5.0
시어버터 0.7 0.7 0.7 0.7 0.7 0.7 0.7 0.7 0.7
다이메티콘 2.0 2.0 2.0 2.0 2.0 2.0 2.0 2.0 2.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3 0.3 0.3 0.3 0.3 0.3 0.3 0.3 0.3
향,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실험예 1. 세포생존율 시험 : MTT assay
1) 실험방법
상기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시료에 대하여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세포 증식 및 독성 확인을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배양하고 있는 세포 3T3(fibroblast cell line)을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5,000 세포/웰로 분주(分株)하여 30분간 항온조에서 배양하고, 시료를 농도별 각각 0.0008, 0.0016, 0.0048, 0.008, 0.0112, 0.0114(%, W/V))로 투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티아졸린 블루(Thiazoline blue)를 투여하고 4시간 동안 추가 배양을 하였다. 배양액을 모두 버리고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반응 정지액을 가하고 5분간 교반한 후,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주입량만큼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 FBS) 배지를 투여하여 세포 성장의 최적 조건으로 동시배양을 하였으며, 대조군의 세포증식을 100%로 하고 시료 투입 실험군의 세포 증식율을 계산하였다.
세포증식 효과는 하기 계산식 1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1040194814-pat00001
시료명 세포 생존률(%)
0 0.1 0.5 1.0 3.0 5.0
실시예1 100 100.6 100.9 101.1 100.6 100.5
실시예2 100 100.1 100.5 101.2 100.7 100.3
실시예3 100 100.8 101.6 102.2 102.6 101.3
실시예4 100 101.7 102.6 104.5 104.9 105.2
실시예5 100 100.6 101.5 102.7 103.8 104.5
실시예6 100 101.6 103.9 106.7 110.8 111.9
실시예7 100 102.1 104.3 108.7 112.6 114.3
상기 표 2에 나타낸 봐와 같이, 상기 실기예 1 내지 7가 같이 제조된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알로에추출물 및 혼합물 A, B의 모든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피부보습개선효과
1) 실험방법
상기 표 1의 제조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화장료를 피시험자(25세-50세)의 남성 및 여성) 25명을 대상으로 1일 2회씩 4주간 안면 양쪽의 얼굴 및 전반부에 제조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품 제형을 각각 도포하여 도포하기 전, 2주 경과 후, 그리고 4주경과 후의 피부보습 개선상태를 피부수분측정기 Corneometer CM 820 (Courage +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단위는 기기에서 부여하는 임의의 단위(Arbitrary Unit, AU)로 표현되며, 측정값이 높을수록 피부표면에 수분량이 높음을 의미한다.
2) 실험결과
피부보습 개선에 관한 실험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피부보습 효과(AU)
도포 전 2주 후 4주 후
제조예 1 54.0 57.3 65.1
제조예 2 54.3 56.6 62.9
제조예 3 54.1 56.9 63.3
제조예 4 54.5 58.2 66.3
제조예 5 54.2 57.6 65.9
제조예 6 53.9 59.2 68.3
제조예 7 54.2 60.3 70.6
비교예 1 54.3 54.9 55.4
비교예 2 54.0 54.6 54.8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보습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쌀추출물, 갈대추출물, 옥촉서예추출물, 당아욱추출물, 알로에추출물 및 이를 혼합하여 추출한 제조예 1 내지 7에서 비교예 1 내지 2보다 보습력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제조예 7의 혼합추출물B에서 제조예 1 내지 6의 추출원료보다 보습 효과가 더 우수하게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경피수분손실량 평가
1) 실험방법
표 1의 제조예 1 내지 7,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피시험자(20 ~ 50대 남성 및 여성) 25명을 대상으로 상박 부위를 측정부위로 설정하여 가로, 세로 2 Х 2 cm2의 크기로 시험부위를 표시한 후 측정하였다. 시험부위에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후 잘 문지르고, TEWAMETER TM210(C+K eletronic GmhH. Germany)을 이용하여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였다. 도포하기 전 0시간의 수분 보유량을 기준으로 도포 후 30분, 도포 후 4일, 8일 후의 수분증가율(%)을 측정하여 단기보습효과를 평가하였다. 측정시 probe를 수직으로 접촉하여 60초 동안 수평을 유지하면서 3회 연속적으로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항온 항습실에서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수치가 높을수록 수분의 손실이 많음을 의미한다.
2) 실험결과
경피수분손실량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수분손실량(%)
도포 후 30분 도포 후 1일 도포 후 4일 도포 후 8일
제조예1 27.2 25.9 22.7 21.9
제조예2 28.8 27.4 23.9 23.1
제조예3 28.1 26.7 23.1 22.4
제조예4 26.7 25.1 21.8 19.8
제조예5 26.9 25.5 22.0 20.9
제조예6 25.5 24.2 21.0 18.6
제조예7 24.3 22.9 19.2 17.2
비교예1 34.9 33.4 31.8 31.1
비교예2 40.6 39.8 39.2 39.1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8일간 제조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경피수분손실량을 비교한 결과 제조예 7에서 시간이 경과되면서 손실량이 개선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제조예 7의 혼합추출물B에서 제조예 1 내지 6의 추출원료보다 보습효과가 더 우수하게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피부자극물질에 대한 진정효과
1) 실험방법
피부질환이나 알러지 증상이 없으며 과민반응 이력이 없는 20 ~ 50대 건강한 성인남녀 25명을 대상을 인체피부첩보실험을 통하여 피부 진정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제조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와 대조시료에 피부자극물질인 락틱산 5%를 첨가하여 각각에 대하여 피부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진정시험 진행에 앞서 시험대상자의 전완 안쪽부위에 70% 에탄올로 충분히 닦아낸 후 완전히 건조하여 9종의 화장료를 각 30 ㎍씩 첩포하였다. 첩포 시간을 기준으로 24시간이 경과한 후 패치를 제거하고 약 30분 후 확대경(MicroView)으로 첩포 부위를 관찰하여 홍반 및 부종 유무를 확인하였다. 평가는 하기 표 5의 기준으로 시행하였으며,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평균피부 반응도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기호 점수 피부반응 평가기준
- 0 무자극 무반응
± 0.5 미자극 희미한 또는 가까스로 감지할 수 있는 가벼운 홍반
+ 1 경자극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 2 중자극 뚜렷한 홍반
+++ 3 강자극 심한 홍반 및 대 수포
Figure 112021040194814-pat00002
2) 실험결과)
피부 진정 효과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점수 반응도
0 0.5 1.0 2.0 3.0
제조예1 - 4 - - - 3.3
제조예2 - 5 - - - 4.2
제조예3 - 3 - - - 2.5
제조예4 - 4 - - - 3.3
제조예5 - 3 - - - 2.5
제조예6 - 2 - - - 1.7
제조예7 - 2 - - - 1.7
비교예1 - 12 1 - - 11.7
비교예2 - 13 2 - - 14.2
대조시료 - 15 4 - - 19.2
상기 표 6의 결과 제조예 1 내지 7은 대조시료와 비교시 락틴산을 통해 유도된 자극에 대해 피부진정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반면, 비교예 1 내지 2의 경우에 의해 유도된 자극에 대한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반면, 비교예 1 내지 2의 경우 대조시료와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제조예 6 내지 7과 1 내지 5를 비교하면 쌀추출물, 갈대추출물, 옥촉서예추출물, 당아욱추출물, 알로에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혼합하였을 시 시너지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제조예 6과 7을 비교시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는 것보다 실시예 7과 같이 혼합할 경우 더 우수한 피부 진정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 확인
1) 실험방법
상기 실시예 1 내지 7의 추출건조분말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소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소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DPPH(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법 (참조 : Blois.M.S.Nature 181, 1190, 1958)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DPPH와 Quercetin은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0.2 mM DPPH 메탄올 용액 1 ml에 여러 농도(8, 16, 48, 80 ppm)의 실시예 1 내지 7과 양성대조구를 각각 2 ml씩 첨가하고 교반한 후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공시험으로 각 시료 대신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하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1040194814-pat00003
2) 실험결과
자유라디칼 소거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처리농도별(μg/ml)에 따른 자유라디칼소거 효과 (%)
8μg/ml 16μg/ml 48μg/ml 80μg/ml
대조군
(Ascorbic acid)
87.3
실시예 1 14.3 25.1 41.3 55.2
실시예 2 13.5 23.9 39.0 54.1
실시예 3 13.6 24.0 39.3 54.6
실시예 4 15.4 27.1 44.5 57.1
실시예 5 14.8 25.8 42.8 55.7
실시예 6 20.7 35.5 56.7 66.6
실시예 7 22.6 39.6 61.8 72.5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7 모두 자유라디칼 소거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6 내지 7에서는 실시예 1 내지 5에 비해 항산화 효과가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실시예 7에서 그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실험예 6. 티로시나아제 활성저해
1) 실험방법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저해실험은 해당물질의 멜라닌 활성저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으로 DOPA chrome을 비색법에 의해 측정하는 야기(Yagi) 등의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실험은 96-웰플레이트 내 0.1M 인산완충액(phosphate buffer pH6.5) 1 20㎕에 1.5mM L-티로신(L-Tyrosine) 용액 40㎕를 첨가하여 반응용액을 제조하였으며, 반응용액에 시료용액 10㎕을 넣은 후 5분간 반응시킨 후, 머쉬룸티로시나제(mushroom tyrosinase)(100 unit/㎖) 10㎕을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효소 반응을 진행하였다. 10분경과 후 반응액 중에 생성된 도파크롬을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490㎚에서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아제 활성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4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1040194814-pat00004
시료명 시료처리농도(㎍/㎖)에 따른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0㎍/㎖ 8㎍/㎖ 16㎍/㎖ 48㎍/㎖ 80㎍/㎖
실시예1 0.0 0.8 4.9 10.6 10.1
실시예2 0.0 0.6 3.2 9.5 16.7
실시예3 0.0 0.7 4.3 10.2 17.6
실시예4 0.0 1.9 5.8 11.8 19.9
실시예5 0.0 1.2 5.2 11.3 19.3
실시예6 0.0 2.2 8.0 15.1 23.5
실시예7 0.0 3.2 10.4 17.9 25.8
실시예 1 내지 7 모두,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가 농도 의존적으로 점차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시예 6 내지 7과 같이 원물을 혼합하였을 시 실시예 1 내지 5보다 그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7과 같은 비율로 원물을 혼합하였을 시 표 8과 같이 그 효과가 더욱 증가하는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어 티로시나아제 효소 활성저해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7. 멜라닌 합성저해
1) 실험방법
B16F10 마우스 멜라노마 세포를 6-웰플레이트에 3.5 Х 105세포/웰농도로 분주 하여 24시간 배양시킨 후, 각 웰에 α-MSH(melanocyte stimulatinghormone)와 농도 별로 제조한 실시예, 제조예, 비교예의 시료를 처리하였다. 48시간 배양한 후 인산 완충액(phosphate buffer saline, PBS)으로 2회 세척하여 배지를 제거하고 부착된 세포는 E-P 튜브로 옮긴 후 원심분리하여 배양세포 펠렛(pellet)을 얻었다. 침전된 B16F10 멜라노마세포의 형상을 촬영하고, DMSO가 첨가된 1N NaOH용액을 60℃에서 1시간 동안 멜라닌을 용해시킨 후 96-웰플레이트에 200 ㎕씩 분주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멜라닌합성 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5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1040194814-pat00005
시료명 시료처리농도(㎍/㎖)에 따른 멜라닌 합성 저해(%)
0㎍/㎖ 8㎍/㎖ 16㎍/㎖ 48㎍/㎖ 80㎍/㎖
α-MSH
(100 nM)
+ + + + +
실시예1 0.0 1.9 5.7 17.8 25.1
실시예2 0.0 1.4 3.6 14.8 21.5
실시예3 0.0 1.7 4.1 15.7 23.7
실시예4 0.0 2.6 7.4 20.5 26.6
실시예5 0.0 2.3 6.7 18.3 25.4
실시예6 0.0 4.8 11.3 24.1 31.9
실시예7 0.0 5.6 12.5 25.8 33.5
실시예 1 내지 7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합성 저해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6 내지 7의 경우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알로에를 혼합하여 추출하였을 시 1 내지 5와 같이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멜라닌 합성 억제효과가 더욱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8. NO 생성 억제에 의한 항염증 효과조사
1) 실험방법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를 6-웰플레이트에 3.5Х105 세포/웰 농도로 분주하여 24시간 배양시켰다. 그 이후, 각 웰에 표 10의 농도로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제조한 시료를 희석하여 함유한 세포배지로 교체하였다. 자극원으로 LPS(Lipopolysaccharide)를 1 ㎍씩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층액을 100 ㎕씩 취해 96-웰 플레이트에 옮기고, Griess 용액을 100 ㎕씩 가해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54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NO 억제효과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시료처리농도(㎍/㎖)에 따른 NO 생성 저해(%)
시료명 0㎍/㎖ 8㎍/㎖ 16㎍/㎖ 48㎍/㎖ 80㎍/㎖
LPS(1㎍/㎖) + + + + +
실시예1 0.0 0.7 2.9 9.7 21.4
실시예2 0.0 0.1 2.1 8.9 20.1
실시예3 0.0 0.3 2.6 9.5 20.9
실시예4 0.0 1.1 3.2 11.6 23.3
실시예5 0.0 0.8 3.4 10.8 22.7
실시예6 0.0 1.5 4.6 14.1 26.2
실시예7 0.0 1.8 5.2 16.4 28.8
실시예 1 내지 7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NO생성을 억제하는 효능을 지니고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6 내지 7의 경우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알로에를 혼합하여 추출하였을 시 1 내지 5와 같이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NO 생성 억제효과가 더욱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상기한 실험예들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쌀추출물, 갈대추출물, 옥촉서예추출물, 당아욱추출물, 알로에추출물 등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조성하여 하기와 같이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하기의 제형예에 한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쌀, 갈대, 옥촉서예 , 당아욱 및 알로에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수의 제조
상기 실시예 7의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스킨로션)의 처방예는 표 11과 같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실시예 7쌀추출물, 갈대추출물, 옥촉서예추출물, 당아욱추출물, 알로에추출물 5.0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글리콜 2.0
4 프로필렌글리콜 2.0
5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 유 1.0
6 에탄올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8 방부제 미량
9 색소 미량
10 향료 미량
11 정제수 미량
<제조방법> 11번에 2, 3, 4, 8번을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을 60 ℃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 뒤 10번을 투입하여 용해한 후 11번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6, 7, 9번을 투입하되, 1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제형예 2. 쌀, 갈대, 옥촉서예 , 당아욱 및 알로에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로션의 제조
상기 실시예 7의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로션의 처방예는 표 12와 같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실시예 7쌀추출물, 갈대추출물, 옥촉서예추출물, 당아욱추출물, 알로에추출물 5.0
2 밀납 1.0
3 폴리솔베이트 60 1.5
4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5 유동 파라핀 10.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7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 리세린 0.5
8 스테아린산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 트 1.0
10 프로 필렌글리콜 3.0
11 카르복시폴리머 0.1
12 트리에탄올아민 0.2
13 방부제 미량
14 색소 미량
15 향료 미량
16 정제수 미량
<제조방법>10, 11, 12, 13, 16을 혼합 교반하면서 80 ~ 85℃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2를 80 ~ 85℃사이로 가열 용해한 후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35℃에 1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제형예 3. 쌀, 갈대, 옥촉서예 , 당아욱 및 알로에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의 제조
상기 실시예 7의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표 13과 같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실시예 7쌀추출물, 갈대추출물, 옥촉서예추출물, 당아욱추출물, 알로에추출물 5.0
2 스테아린산 2.0
3 세틸알콜 2.0
4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 노스테아레이트 0.5
6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7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8 왁스 1.0
9 유동 파라핀 4.0
10 스쿠 알란 4.0
11 카프 릴릭/카프릭트리글리 세라이드 4.0
1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13 부틸렌글리콜 5.0
14 글리세린 3.0
15 트리 에탄올아민 0.5
16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12, 13, 14, 16을 혼합 교반하면서 80 ~ 85℃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0, 11을 80 ~ 85℃사이로 가열하여 용해한 후 15를 투입 교반하여 제조부에 투입하고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35℃까지 냉각하고 1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제형예 4. 쌀, 갈대, 옥촉서예 , 당아욱 및 알로에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에센스의 제조
상기 실시예 7의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처방예는 표 14와 같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실시예 7쌀추출물, 갈대추출물, 옥촉서예추출물, 당아욱추출물, 알로에추출물 5.0
2 시토 스테롤 1.7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
4 세라마이드 0.7
5 스테아레스-4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마카다미아 오일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산탄검 0.2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7, 8 및 14를 혼합하되, 1번을 투입하여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를 통과하고 이어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 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에 재차 통과시킨다. 그리고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 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Claims (4)

  1.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알로에를 0.1 ~ 40.0 : 0.1 ~ 40.0 : 0.1 ~ 40.0 : 0.1 ~ 40.0 : 0.1 ~ 40.0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에틸 아세테이트, 글리세린 및 에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혼합된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 보습, 진정, 항산화, 미백 및 항염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 로션,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젤, 팩, 유화형 자외선 차단용 크림, 유화형 파운데이션, 유화형 메이크업 베이스, 오일케익형 파운데이션, 투웨이케익, 또는 파우더 팩트의 제형으로 제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를 함유한 피부 보습, 진정, 항산화 및 미백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44571A 2021-04-06 2021-04-06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5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571A KR102525579B1 (ko) 2021-04-06 2021-04-06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CN202210355636.2A CN115192501B (zh) 2021-04-06 2022-04-06 包含稻、芦苇、玉米须、欧锦葵及芦荟提取物的皮肤保护用化妆品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571A KR102525579B1 (ko) 2021-04-06 2021-04-06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649A KR20220138649A (ko) 2022-10-13
KR102525579B1 true KR102525579B1 (ko) 2023-04-25

Family

ID=83574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571A KR102525579B1 (ko) 2021-04-06 2021-04-06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5579B1 (ko)
CN (1) CN1151925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73901B (zh) * 2023-06-12 2023-11-07 广州丽彦妆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保湿修护的冻干面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209B1 (ko) * 2019-12-27 2020-12-18 주식회사 한국생명과학연구소 갈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6680B2 (ja) * 2000-10-26 2006-11-15 共栄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
JP2004269430A (ja) * 2003-03-10 2004-09-30 Ichimaru Pharcos Co Ltd 毛髪処理用組成物及び損傷毛用毛髪化粧料
CN1925840A (zh) * 2004-03-18 2007-03-07 汉高两合股份公司 用于除臭剂中具有益生作用的物质
KR100614467B1 (ko) 2005-05-18 2006-08-25 (주)마임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등대풀, 목단피, 알로에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10016536A (ko) 2009-08-12 2011-02-18 (주)더페이스샵 멜로우 추출물 또는 멜로우추출물과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168796B1 (ko) * 2009-12-31 2012-07-25 신면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US20150024073A1 (en) * 2013-07-22 2015-01-22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ompositions containing extracts of malva neglecta
KR20160036120A (ko) 2014-09-24 2016-04-04 장문식 쌀, 치아씨드, 녹두, 귀리, 퀴노아, 율무, 실크단백질로 구성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47965B1 (ko) 2014-10-17 2021-05-0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옥수수수염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R108116A1 (es) * 2016-04-11 2018-07-18 Biolab Sanus Farmaceutica Ltda Composición dermocosmética, proceso de producción de la composición tópica, método para fortalecimiento de uñas frágiles y uso de la composición
FR3061416B1 (fr) * 2016-12-29 2021-06-18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de l'eau de coco comme solvant d'extraction
CN107349167B (zh) * 2017-08-07 2021-07-13 上海三泰美容用品有限公司 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90140871A (ko) * 2018-06-12 2019-12-20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가역적인 졸-겔 현상이 일어나는 박테리얼 셀룰로오스 겔의 용도
KR102124698B1 (ko) * 2018-08-20 2020-06-19 코스맥스 주식회사 국화, 알로에, 서양송악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6618B1 (ko) * 2018-09-20 2020-11-09 이호규 옥촉서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2217663B1 (ko) * 2019-07-02 2021-02-19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말로우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 참마뿌리추출물, 오크라열매 추출물, 아미노산 및 해수를 혼합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209B1 (ko) * 2019-12-27 2020-12-18 주식회사 한국생명과학연구소 갈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192501B (zh) 2024-04-09
KR20220138649A (ko) 2022-10-13
CN115192501A (zh)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5707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oumestrol or a bean extract containing coumestrol for skin care
KR101490762B1 (ko) 오크라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1133B1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17663B1 (ko) 말로우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 참마뿌리추출물, 오크라열매 추출물, 아미노산 및 해수를 혼합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43166B1 (ko) 티트리잎, 쑥, 메밀 및 카프릴로일살리실릭애씨드를 함유한 항산화, 항염, 피부진정, 재생, 탄력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78888B1 (ko) 조직배양한 에키네시아 부정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25579B1 (ko)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304677B1 (ko) 밤송이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2476A (ko) 더위지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50117958A (ko) 복방 생약 추출물이 함유된 나노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KR2017013755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323068B1 (ko) 아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374161B1 (ko) 파이토스핑고신과 상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화장료 조성물
KR102628844B1 (ko) 등나무 꽃, 두릅나무 꽃, 동백나무 잎 및 동백나무 꽃 혼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66894B1 (ko) &#39;dkmex&#39;를 함유한 항산화, 항염 및 미백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30592B1 (ko) 반대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조성물
KR20110064292A (ko) 루시놀 및 하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1505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6114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30095381A (ko) 다래열매추출물, 다래꽃추출물 및 다래줄기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85725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008631A (ko) 키토산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91784A (ko) 낙상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04897A (ko)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