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295B1 -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295B1
KR102274295B1 KR1020140093330A KR20140093330A KR102274295B1 KR 102274295 B1 KR102274295 B1 KR 102274295B1 KR 1020140093330 A KR1020140093330 A KR 1020140093330A KR 20140093330 A KR20140093330 A KR 20140093330A KR 102274295 B1 KR102274295 B1 KR 102274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kin
composition
stearat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964A (ko
Inventor
김윤관
강내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40093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295B1/ko
Publication of KR20160011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외용제 조성물{COMPOSITION FOR APPLYING TO SKIN EXTERNALLY}
본 명세서는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TECA)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센텔라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이하 CA)는 아시아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해온 상처 치유용 약초로서, 호랑이가 사냥이나 싸움에서 상처를 입었을 때 그 위에 뒹굴며 상처를 치유하였다고 하여 병풀 혹은 호랑이풀(tiger herb)이라고도 불린다. 주로 피부 외상, 만성 궤양, 뇌질환 등의 치료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상기 약초의 3가지 주요 성분은 아시아티코사이드 (asiaticoside), 아시아틴산(asiatic acid) 및 마데카신산(madecassic acid)이다. 상기 3가지 주요 성분을 특정 함량으로 추출한 분말 형태의 물질을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Titrated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이하 TECA)이라고 하며, 상처 치유를 위한 피부 외용제의 경우 센텔라아시아티카 대신 주로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을 사용한 제형을 제조하게 된다.
센텔라아시아티카(CA)의 주요 성분 아시아티코사이드, 아시아틴산 및 마데카신산은 피부 내 콜라겐 생성 촉진을 통해 세포외기질 생성에 도움을 줌으로써 조직의 재생력을 높인다고 알려져 있고, 그 중에서 아시아티코사이드는 낮은 농도에서도 콜라겐 생성 유도와 세포 증식 촉진을 도우며 콜라겐 감소에 영향을 주는 MMP(matrix metallo proteinase)의 억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은 상처 난 피부가 아무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비정상적인 섬유아세포를 정상적인 섬유아세포로 전환시킴으로써 콜라겐 축적 중에 발생하는 색소 침착을 방지하는 기능의 의약품에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의약외품에까지도 그 제품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이 함유된 제형은 손상된 피부에 손쉽게 도포하여 상처 부위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주로 고 점도의 연고 형태로 제조되는데, 이때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것이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 원료 자체의 낮은 용해도이다. 소량의 정제수만 첨가해도 즉시 석출되고, 에탄올을 비롯하여 극성이 강한 다가 알코올 용제를 제외하고는 웬만한 물질에는 용해도가 낮은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은, 다가 알코올 용제에 완전히 용해시켜 제형에 첨가된 경우에도 시간이 지남 따라 원료의 형태로 석출되어 성장하면서 그 크기와 양이 증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은 처방 설계시 제약 조건이 많고, 시중에 출시된 제품들 중에는 단 몇 주만 사용해도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수 밀리미터 크기로 석출물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석출물이 쉽게 형성되는 특성으로 인해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TECA) 함유 제형은 대부분 불투명 튜브 용기에 담겨 소량씩 짜서 쓰도록 제조되고, 개방형 크림 용기에 담겨 판매되는 제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석출물 형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클레임이 적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쓰이는 방법은 제형 제조 시 다가 알코올 용제를 과량 첨가하고 정제수 함량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지만,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의 석출로 인한 제형의 경시 안정성 저하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처방의 단순화가 불가피하여 제형의 성상이나 점도를 조절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제형의 외관과 경시 안정성을 악화시켜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 함유 조성물의 다양한 제형과 용기로의 적용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의 피부 흡수도를 떨어뜨려 효능까지 저해하는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2010-0041243 (2010.04.22)
The Efficacy of β-cyclodextrin/polyethyleneimine/silk Fibroin Hydrogel in Healing Burnt Wound, 공업화학, 제22 권 제6호, 2011
본 명세서는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이 제형 내에 효과적으로 용해하도록 함으로써 경시 안정성이 개선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TECA)의 피부 흡수도가 향상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유상 에몰리언트(emollient)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겔, 로션, 앰플, 유액, 젤, 연고, 패취, 분무제 및 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경피투여형 제형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을 수중유분산 제형 내에 안정적으로 용해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라, 유상 에몰리언트로서 천연 오일을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다른 에스테르 계열의 합성 오일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의 용해 안정성이 현저히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시중에 출시된 기존의 제품들과는 달리, 처방을 다변화하면서도 제형의 경시 안정성과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의 피부 흡수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도 1은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외관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피부 흡수도 측정용 돼지의 피부 사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은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Centella asiatica (L.) Urban.의 에탄올 추출물을 정제하여 추출한다.
상기 방법으로 추출한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은 3가지 주요 성분인 아시아티코사이드, 아시아틴산 및 마데카신산을 포함하는 분말 형태의 물질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은 상기 주요 성분을 아시아티코사이드 및 총게닌으로 분류하여 포함한다. 상기 총게닌은 아시아틴산 및 마데카신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시아티코사이드 및 총게닌은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 총 중량 대비 각각 36 중량% 내지 44 중량% 및 54 중량% 내지 66 중량% 이다.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TECA)은 전신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결체조직에 작용하여, 특히 조직의 손실에 있어 새로운 결체조직이 생성되는 과정에 작용하여 양질의 육아조직(새살)이 생성되도록 하는 효능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가 우수하고, 5 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제형의 경화가 감소하고 사용감이 우수하며 석출 안정성 향상 등의 장점이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비이온성의 극성기를 갖고 수중에서 해리하여 이온성을 갖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분자 사슬의 일부분 이상에 폴리에틸렌글라이콜(PEG)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분자 사슬의 일부분 이상에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을 포함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서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의 석출을 감소시키고 용해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경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경시 안정성이 향상되면 상기 조성물을 담는 용기 내에서 침전 또는 분리되는 석출물이 감소하게 되어 소비자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고, 다양한 제형으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판매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의 층분리로 인해 담는 용기를 기존과 같이 불투명 용기에 담는 제약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을 포함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옥틸도데세스(octyldodeceth), 데실테트라데세스(decyltetradeceth), 트라이데세스(trideceth),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polyethylene glycol hydrogenated castor oil), 폴리에틸렌글라이콜-40 스테아레이트(polyethylene glycol stearate, PEG-40 스테아레이트) 및 폴리에틸렌글라이콜-100 스테아레이트(polyethylene glycol stearate, PEG-100 스테아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레시틴(lecithin)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중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5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유화의 효과가 우수하여 제형의 석출 안정성이 향상되고, 20 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계면활성제 사용에 의한 전상(phase inversion) 등의 문제가 적어 조성물의 피부 사용감이 좋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유상 에몰리언트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유상 에몰리언트는 희고 걸쭉한 액체 상태로 제형에 유연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하는 첨가제로서 피부에 보습과 탄력을 주는 효과를 갖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유상 에몰리언트는 천연 오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유상 에몰리언트는 식물 유래 천연 오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천연 오일은 스쿠알란(squalane), 마카데미아씨 오일(macadamia ternifolia seed oil), 올리브 오일(olive oil), 경화유(hydrogenated oil), 도인유(persic oil), 동백유(camellia oil), 면실유(cottonseed oil), 로즈힙유(rose hips oil), 사플라워유(safflower oil), 아몬드유(almond oil), 아보카도유(avocado oil), 월견초유(evening primrose oil), 코코넛유(coconut oil), 포도씨유(grape seed oil), 피마자유(castor oil) 및 호호바유(jojoba oi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천연 오일이 스쿠알란(squalane), 마카데미아씨 오일(macadamia ternifolia seed oil) 및 올리브 오일(olive oi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우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유상 에몰리언트로서 천연 오일을 이용하면 다른 에스테르 계열의 합성 오일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의 용해 안정성이 현저히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경시 안정성과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의 피부 흡수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유상 에몰리언트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유상 에몰리언트의 함량이 1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제형의 점도 조절이 용이하고 안정성 증진 효과가 우수하고, 20 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유상과 수상의 상분리 현상이 적어 제형의 분리 안정성 향상과 적당히 포함된 유분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사용감이 향상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정제수, 중화제, 향,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고분자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알코올 및 킬레이트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첨가제는 당업계에 통용되는 다양한 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다가알코올을 포함한다.
상기 다가알코올은 극성이 강한 특징이 있으므로 용해도가 낮은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을 우수하게 용해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글리세린(glycerin),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및 소르비톨(sorbitol) 중 하나 이상의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사용시 피부 자극 완화와 사용감 조절을 위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다가 알코올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의 함량이 10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의 석출 안정성이 향상되고, 40 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제형의 분리 안정성과 사용감 저해 및 피부 자극 등의 문제가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총 중량 대비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 0.01 내지 5 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0.5 내지 20 중량%; 유상 에몰리언트 1 내지 20 중량%; 및 첨가제 55 내지 90 중량%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수중 유분산 제형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므로 오일 및 정제수가 혼합된 용액 내에서 수중 유분산인 성질을 갖는다.
상기 수중 유분산이란 기름이 미세한 방울 형태로 수중으로 분산된 상태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피부 손상의 치료 또는 보호 용도로 사용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피부 손상은 찰과상, 절상, 열상, 자상, 화상 등의 피부 조직의 손상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겔, 로션, 앰플, 유액, 젤, 연고, 패취, 분무제 및 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서, 상기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TECA) 이외의 첨가제 등의 다른 성분들은 피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대표적인 실시예들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계면활성제 교체 실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한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을 포함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첨가에 따른 조성물의 경시 안정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조성물 총 중량 대비 PEG-40 스테아레이트 1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2 중량%, 경화레시틴 1.6 중량%, 스쿠알란(Squalane) 3 중량%,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Neopentyl Glycol Dicapryate) 4 중량%, 디메치콘(Dimethicone) 0.5 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4.5 중량%, EDTA 3NA 0.02 중량%, 고분자 점증제 0.3 중량%,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TECA) 1 중량%, 글리세린 8 중량%, 디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1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10 중량%, 기타 첨가제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수중유분산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PEG-40 스테아레이트 대신 PEG-100 스테아레이트를 1 중량%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PEG-40 스테아레이트 대신 옥틸도데세스를 1 중량%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PEG-40 스테아레이트 대신 데실테트라데세스를 1 중량%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PEG-40 스테아레이트 대신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Hydrogenated Cater Oil) 1 중량%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PEG-100 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세스, 데실테트라데세스 및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을 각각 1 중량%씩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PEG-40 스테아레이트를 제외하고, 동일한 조건으로 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
아래 표 1에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들을 나타내었다.
[표 1] (단위: 중량%)
Figure 112014069399870-pat00001
Figure 112014069399870-pat00002
[실험예 1]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을 포함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첨가에 따른 경시 안정성 변화
상기 비교예 1은 제형의 제조에는 문제가 없지만 제조 후 24시간 내에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이 석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의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제형을 0℃, 50℃, CYCLE, 상온에서 5주와 10주간 보관한 후 경시 안정성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CYCLE 조건은 챔버 내부 온도를 16시간 동안 -10℃ ~ 45℃까지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1 CYCLE로 하여 측정기간 동안 계속 반복하였다.
[표 2]
Figure 112014069399870-pat00003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과 같이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나 경화레시틴과 같은 계면활성제만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형의 유화는 가능하지만,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의 석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다. 반면에,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을 포함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실시예 1 내지 6에서는 제형의 분리 및 석출에 대한 경시 안정성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PEG-100 스테아레이트를 첨가한 실시예 2와 옥틸도데세스를 첨가한 실시예 3 및 PEG-40 스테아레이트, PEG-100 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세스, 데실테트라데세스 및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을 모두 첨가한 실시예 6의 경우에 0℃에서 보관된 제형의 경시 안정성이 실시예 1, 4, 5의 경우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표 2의 비교예와 실시예들 중에서, 제조 후 24시간이 지난 비교예 1의 제형과 0℃에서 10주간 보관된 실시예 1 내지 5의 제형의 외관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PEG-40 스테아레이트를 제외하여 제조한 비교예 1이 24시간 후 석출된 제형의 사진, 제조 후 0℃에서 10주간 보관된 실시예 1이 석출된 제형의 사진, 제조 후 0℃에서 10주간 보관된 실시예 2의 안정된 제형의 사진, 제조 후 0℃에서 10주간 보관된 실시예 3의 안정된 제형의 사진, 제조 후 0℃에서 10주간 보관된 실시예 4의 석출된 제형의 사진 및 제조 후 0℃에서 10주간 보관된 실시예 5의 석출된 제형의 사진을 나타낸다.
도 1로부터,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을 포함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실시예 1 내지 6은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을 포함하지 않은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비교예 1보다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의 석출이 적고 제형 내에서 안정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6 중에서도 실시예 2, 3 및 6의 제형의 분리 및 석출에 대한 경시 안정성이 실시예 1, 4 및 5 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보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PEG-100 스테아레이트 및 옥틸도데세스가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의 경시 안정성에 더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2. 천연 오일 교체 실험
전술한 천연 오일의 종류별 첨가에 따른 제형의 경시 안정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실시예와 비교예를 구성하였다.
[실시예 7]
조성물 총 중량 대비 PEG-40 스테아레이트 2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 중량%,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2 중량%, 스쿠알란 7 중량%, 디메치콘 0.5 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산 4.5 중량%, EDTA 3NA 0.02 중량%, 고분자 점증제 0.3 중량%,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 1 중량%, 글리세린 8 중량%,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0 중량%, 기타 첨가제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수중유분산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7에서 스쿠알란 대신 마카데미아씨 오일 7 중량%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7에서 스쿠알란 대신 올리브 오일 7 중량%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7에서 스쿠알란 7 중량%를 스쿠알란 4 중량%로 교체하고, 추가로 마카데미아씨 오일 및 올리브 오일을 각각 4 중량%씩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7에서 스쿠알란 7 중량%를 대표적인 에스테르 계열의 합성 오일 중 하나인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 7 중량%로 교체하여 비교예 2를 제조하였다. 아래 표 3에 비교예 2 및 실시예 7 내지 10의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들을 나타내었다.
[표 3] (단위: 중량%)
Figure 112014069399870-pat00004
[실험예 2] 천연 오일 첨가에 따른 경시 안정성 변화
상기 비교예 2 및 실험예 7 내지 10에서 제조된 다섯 개의 제형을 0℃, 50℃, CYCLE, 상온 조건에서 5주간 보관한 후 경시 안정성을 비교하여 아래의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CYCLE 조건은 실험예 1의 조건과 동일하다.
[표 4]
Figure 112014069399870-pat00005
상기 표 4에서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를 첨가한 비교예 2의 경우, 5주차 제형은 0℃ 및 상온 보관 조건에서 석출되는 반면, 스쿠알란, 마카데미아씨 오일 및 올리브 오일 중에 하나 또는 모두를 첨가한 실시예 7 내지 10은 같은 조건에서도 석출되지 않고 안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로부터, 에스테르 계열의 합성 오일 보다 스쿠알란, 마카데미아씨 오일 및 올리브 오일의 천연 오일이 경시 안정성에 우수한 효과를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3.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의 피부 흡수 실험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형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센텔라아시아티카의 3가지 주요 성분인 아시아티코사이드, 아시아틴산 및 마데카신산의 피부 흡수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조성물 총 중량 대비 PEG-40 스테아레이트 2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 중량%,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2 중량%, 스쿠알란 7 중량%, 디메치콘 0.5 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산 4.5 중량%, EDTA 3NA 0.02 중량%, 고분자 점증제 0.3 중량%,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TECA) 1 중량%, 글리세린 8 중량%,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0 중량%, 기타 첨가제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수중유분산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와 같은 성분과 함량으로 제조된 제형을 5주간 0℃에서 보관하였다.
[비교예 3]
글리세린 8 중량%, 디프로필렌글라이콜 45.5 중량% 및 부틸렌글라이콜 45.5 중량%의 혼합물에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 1 중량%를 용해시켜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및 [비교예 5]
실시예 11에서 PEG-40 스테아레이트를 제외한 후, 스쿠알란 7 중량%를 에스테르 계열의 합성 오일인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 7 중량%로 교체하여 비교예 4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와 같은 성분과 함량으로 제조된 제형을 5주간 0℃에서 보관하여 비교예 5를 제조하였다. 아래 표 5에 실시예 11과 12 및 비교예 3 내지 5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들을 나타내었다.
[표 5] (단위: 중량%)
Figure 112014069399870-pat00006
[실험예 3] 경시 안정성 차이에 따른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의 피부 흡수량 차이
상기 비교예 3 내지 5 및 실시예 11 및 12의 피부 흡수량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돼지 피부(복부에서 적출, 두께 0.7mm)를 이용한 in vivo 실험을 진행하였다. 가로세로 각각 3cm로 잘린 정사각형의 돼지 피부 샘플들을 총 15개 준비하여 각각의 중심에 가로세로 각각 2cm로 정사각형의 영역을 표시한 후, 상기 비교예 3 내지 5 및 실시예 11, 12에서 제조한 다섯 가지 제형을 각각 3개의 돼지 피부 샘플들의 상기 영역 안에 0.5g씩 고르게 펴 발랐다. 제형 내의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이 피부 내부로 스며들도록 상기 돼지 피부 샘플들을 상온에서 5시간 동안 둔 후에 표피를 메탄올로 세척하고, 65℃로 유지되는 정제수에 30초간 담갔다 뺀 다음 면봉을 이용해 남아있는 표피층을 제거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표피층이 제거된 진피 조직을 bertin社의 precellys 24 기기를 이용하여 10분간 분쇄하고 원심 분리기로 12,000rpm에서 2분간 분리한 후, 바닥에 침전된 잔여 진피 조직을 제거한 상층부의 용액만을 따로 추출하여 HPLC로 아시아티코사이드, 아시아틴산 및 마데카신산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 6은 비교예 3에서 측정된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비교예 4, 5 및 실시예 11, 12의 검출량의 상대비의 % 백분율이다. 도 2는 본 실험예 3에서 사용한 돼지 피부 샘플의 사진이다.
[표 6] (단위: 중량%)
Figure 112014069399870-pat00007
PEG-40 스테아레이트를 첨가하지 않고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를 첨가하여 제조된 비교예 4, 5 중에서 제조 직후의 비교예 4는 비교적 높은 피부 흡수량을 나타내지만 0℃에서 5주간 보관한 비교예 5의 제형은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의 피부 흡수량이 현저히 감소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PEG-40 스테아레이트를 첨가하고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를 스쿠알란으로 대체하여 제조한 실시예 11과 12에서는 제조 직후와 0℃ 조건 하에서도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TECA)의 피부 흡수량이 높게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천연오일의 유상 에몰리언트를 포함하는 것이 에스테르 계열의 합성오일인 네오펜틸글라이콜디카프레이트를 포함하는 것보다 피부 흡수도에 우수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센텔라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TECA), 유상 에몰리언트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옥틸도데세스(octyldodeceth), 데실테트라데세스(decyltetradeceth), 트라이데세스(trideceth),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polyethylene glycol hydrogenated castor oil), 폴리에틸렌글라이콜-40 스테아레이트(polyethylene glycol stearate, PEG-40 스테아레이트) 및 폴리에틸렌글라이콜-100 스테아레이트(polyethylene glycol stearate, PEG-100 스테아레이트) 중 하나 이상이고,
    상기 유상 에몰리언트는 스쿠알란(squalane), 마카데미아씨 오일(macadamia ternifolia seed oil), 올리브 오일(olive oil), 경화유(hydrogenated oil), 도인유(persic oil), 동백유(camellia oil), 면실유(cottonseed oil), 로즈힙유(rose hips oil), 사플라워유(safflower oil), 아몬드유(almond oil), 아보카도유(avocado oil), 월견초유(evening primrose oil), 코코넛유(coconut oil), 포도씨유(grape seed oil), 피마자유(castor oil) 및 호호바유(jojoba oil) 중 하나 이상이며,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수중 유분산 제형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손상의 치료 또는 보호 용도로 사용되는 것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형은 겔, 로션, 앰플, 유액, 젤, 연고, 패취, 분무제 및 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경피투여형 제형인 것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093330A 2014-07-23 2014-07-23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74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330A KR102274295B1 (ko) 2014-07-23 2014-07-23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330A KR102274295B1 (ko) 2014-07-23 2014-07-23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964A KR20160011964A (ko) 2016-02-02
KR102274295B1 true KR102274295B1 (ko) 2021-07-07

Family

ID=55354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330A KR102274295B1 (ko) 2014-07-23 2014-07-23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2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483A2 (ko) * 2017-08-31 2019-03-07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병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한 트리테르펜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112590A1 (en) * 2018-11-27 2020-06-04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Solubilised centella asiatica extrac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9365A1 (en) * 1999-09-15 2001-03-22 Roche Consumer Health Ag Pharmaceutical and/or cosmetical compositions
KR100795225B1 (ko) 2006-06-02 2008-01-17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독일붓꽃, 병풀, 캐모마일, 달맞이꽃 및 어성초 추출물을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10511032A (ja) * 2006-11-29 2010-04-08 マルベルン コスメセウチクス リミテッド 脂質及び界面活性剤の高分子集合体を含む組成物
KR101227701B1 (ko) 2010-09-16 2013-01-29 (주)한스킨 복합 추출물(hc-6)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8665A (ko) * 2003-10-10 2006-10-18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 식물 추출물, 센텔라,에치나세아 또는 알피니아 식물 추출물 및 dna 복구효소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51989B1 (ko) 2008-10-13 2014-10-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9365A1 (en) * 1999-09-15 2001-03-22 Roche Consumer Health Ag Pharmaceutical and/or cosmetical compositions
KR100795225B1 (ko) 2006-06-02 2008-01-17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독일붓꽃, 병풀, 캐모마일, 달맞이꽃 및 어성초 추출물을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10511032A (ja) * 2006-11-29 2010-04-08 マルベルン コスメセウチクス リミテッド 脂質及び界面活性剤の高分子集合体を含む組成物
KR101227701B1 (ko) 2010-09-16 2013-01-29 (주)한스킨 복합 추출물(hc-6)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964A (ko) 201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93581B (zh) 一种天然防皱抗衰老护肤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KR101868263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62557B1 (ko) 천연한방 식물성 화장품
EP3153214B1 (fr) Composition à base d'huile végétale naturelle et d'eau de chaux
KR102002283B1 (ko) 병풀 추출물의 공융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12006838A (ja) 皮膚外用剤
CN108186679B (zh) 一种祛痘组合物
KR20160043758A (ko) 보습력이 우수한 저자극성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JP2021042241A (ja) 外用組成物
KR102274295B1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9901532B2 (en) Anti-aging formulation with stabilized ascorbic acid and other actives
KR101767414B1 (ko) 스킨 케어 화장품 제조 방법
ITMI20131479A1 (it) Composizioni cosmetiche contenenti una combinazione di principi attivi naturali
KR20210060150A (ko) 창상피복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상피복재
KR101916824B1 (ko) 아마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04587B1 (ko)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CA2717739A1 (en) Composition comprising pure aloe and its use as a cosmetic base
KR102229259B1 (ko) 플럼코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RU2644745C1 (ru) Восковое защи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кожи рук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170063370A (ko) 혼합 용이성이 확보된 이액 제형 화장료 조성물
KR101081303B1 (ko) 오일타입의 클렌져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32346A (ko) 피부 가려움증 억제 또는 완화 및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75615A (ko) 수제 화장품
AU2021103390A4 (en) A Skincare Oil
AU2020407254B2 (en) Personal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