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422B1 - 강황 추출물과 동백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강황 추출물과 동백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422B1
KR102085422B1 KR1020180049062A KR20180049062A KR102085422B1 KR 102085422 B1 KR102085422 B1 KR 102085422B1 KR 1020180049062 A KR1020180049062 A KR 1020180049062A KR 20180049062 A KR20180049062 A KR 20180049062A KR 102085422 B1 KR102085422 B1 KR 102085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oil
seed oil
composition
impr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4947A (ko
Inventor
이지연
허효정
문지영
김정미
박병권
박진오
이지원
이혜자
Original Assignee
유씨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씨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씨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9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422B1/ko
Publication of KR20190124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4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강황 추출물 및 동백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 재생과 주름 개선, 미백, 항염, 아토피 개선 효과 등을 더욱 증가시키고 용이하게 제형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황 추출물과 동백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AND SKIN EXTRNAL COMPOSITION COMPRISING TURMERIC EXTRACT AND CAMELLIA OIL}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황 추출물 및 동백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 재생과 주름 개선, 미백, 항염, 아토피 개선 효과를 더욱 증가시키고 다양한 제형으로 제형화 하기에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의 가장 큰 기관으로서 외부환경과 직접 접해 있으면서 신체 안으로 침입하려는 외부의 다양한 유해인자, 예를 들면, 온도, 습도 및 자외선 등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몸의 체온을 조절해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피부는 각종 오염물질, 강한 자외선, 스트레스 및 영양결핍 등으로 인해 피부 세포들이 손상을 입게 되고, 세포 증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피부에 주름, 탄력 손실 및 각질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요인으로부터 피부를 지키기 위하여 레티놀, 레티노이드,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및 토코페롤, 기타 피부 보호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보호제가 개발되고는 있으나, 화학 원료를 주재료로 사용함으로써, 민감한 피부에 대해 피부 자극, 발진, 점적 현상 등의 각종 부작용을 일으키며, 피부 손상에 대해 개선 및 예방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었다.
최근에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이 시장에 나오면서 기존에 화학물질로 이루어진 제품들 보다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제품에 소비자들이 관심을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다양한 천연물질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이 제조되고 있다.
화장료 조성물로 다양한 천연물질이 이용되고 있으며, 강황 역시 그 중 한 가지이다. 강황을 활용한 예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61360호에는 커큐민을 포함하는 강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주름 형성 억제, 및 소양증 완화용 화장품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12676호에는 강황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1519234호에는 울금 및 동백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같이 다양한 효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강황 추출물의 경우 서로 응집하는 성질이 강하여 다른 원료와 배합시 균질하게 퍼지지 않아 제형화에 어려움이 있어 화장료 조성물로의 활용성이 높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6136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126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923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강황 추출물 및 동백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 재생과 주름 개선, 미백, 항염, 아토피 개선에 효과적이고 강황 추출물의 강한 응집 성질을 개선하여 제형화에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강황뿌리 추출물 및 동백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을 더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식물성 오일은 녹차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포도씨 오일, 메도우폼씨 오일, 콩오일, 비타민나무 오일 및 유자씨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강황뿌리 추출물을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재생용, 주름개선용, 미백, 피부톤 개선용, 피부색 밝기 개선용, 항염, 여드름 개선용 또는 아토피 개선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 토너, 크림, 밤, 에센스, 젤 및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강황뿌리 추출물 및 동백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황 추출물 및 동백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 재생과 주름 개선, 미백, 항염, 아토피 개선 등의 효과를 더욱 증가시키고 강황 추출물의 강한 응집 성질을 개선하여 제형화에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정도'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피부'라는 용어는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의 얼굴, 목, 가슴, 등, 팔, 겨드랑이, 손, 다리 및 두피 상의 피부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황 추출물 및 동백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조성물은 천연 유래의 추출물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 재생과 주름 개선, 미백, 항염, 아토피 개선 등의 효과 및 생체 안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강황(Turmeric, Curcuma longa)은 생강목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인도를 중심으로 한 열대, 아열대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며 줄기와 뿌리를 식용, 약용 등으로 사용된다. 주성분은 커큐미노이드(curcuminoid)의 색소 성분이며, 최근 커큐미노이드 중 약 73%를 구성하는 생리활성물질인 커큐민(curcumin)의 약리효과가 알려지면서 항산화, 항균, 혈액순환 개선 및 지혈과 해독, 아토피 피부염, 안드로겐성 탈모증 또는 여드름에 효능 등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밖에도 터메론(turmerone), 징거린(zingerene), 펠란드린(phellandrene), 1,8-시네올(cineole), 보르네올(borneol), 디하이드로터메론(dehydroturmerone) 등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아라비노즈, 과당, 글루코스, 녹말, 유기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한편, 뿌리에는 디케톤 화합물인 커큐민과 그 유도체인 p-하이드록시신나모일페루로일메탄(p-hydroxycinnamoylferuloylmethane), p,p'-디하이드록시디신나모일메탄(p,p'-dihydroxydicinnamoylmethane)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강황 추출물' 또는 '강황뿌리 추출물'은 강황뿌리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상기 '추출물'은 어떤 물질을 용매에 녹여 분리한 물질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강황뿌리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의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식물의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도 추출될 수 있다.
상기 강황뿌리를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강황뿌리를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물, 저급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강황뿌리를 1회 이상 추출하여 용매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용매 추출물을 감압 증류한 후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하여 얻은 건조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추출을 위한 각 성분별 추출원은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절단, 건조 및 분쇄하여 준비될 수 있다.
상기 동백(Camellia japonica)은 중국의 산둥지방, 대만, 한국의 남쪽지방, 일본 등에서 자란다. 동백 오일은 차나무과(Theaceae)의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 및 그 동속식물의 종자를 건조, 분쇄한 후, 착유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여 얻어지는 지방유로서 구성 지방산이 올리브 오일과 유사하여 올레산(Oleic acid)이 82 내지 86%까지 함유되어 있어서 올리브유와 비슷한 용도로 크림, 유액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두발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동백 오일은 보습 효과가 매우 뛰어나 아토피 치료에 효과적이며 탁월한 콘디셔닝 효과가 있어서 예로부터 머리카락과 피부를 가꾸는데 사용되었으며, 잘 변질되지 않고 피부에 잘 스며들어 마사지의 베이스 오일로서도 매우 뛰어나며 또한 피지의 산화를 억제하는 효과와 노화 피부·건성 피부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동백유', '동백 오일' 또는 '동백씨 오일'은 동백씨(종자)에서 채취되는 지방유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상기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을 더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식물성 오일은 녹차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포도씨 오일, 메도우폼씨 오일, 콩오일, 비타민나무 오일 및 유자씨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에 상기 식물성 오일을 더 추가하면 조성물의 피부 흡수율을 향상시켜 효능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녹차나무(Camellia sinensis)는 차나무라고도 하며, 사철 푸른 떨기나무이다. 뿌리는 아래로 곧게 뻗고 깊이가 2~4m이며, 곁뿌리는 길이가 15∼20cm이고, 가는 뿌리가 많다. 잎은 품종이나 위치에 따라 변이가 크지만 어긋나고 길이 6∼20cm, 폭 3∼4cm의 긴 타원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끝과 밑부분이 뾰족하다. 잎의 질은 단단하고 약간 두꺼우며 표면에 광택이 있다. 꽃은 10~11월에 흰색 또는 연분홍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 또는 가지 끝에 1∼3개가 달린다. 열매는 삭과이고 둥글며 모가 졌고, 다음해 봄부터 자라기 시작하여 가을에 익기 때문에 꽃과 열매를 같은 시기에 볼 수 있다. 열매가 익으면 터져서 갈색의 단단한 종자가 나온다. 녹차는 잎을 따서 증기로 찌거나 뜨거운 바람으로 산화효소를 비활성화시킨 다음 말린다. 이러한 녹차의 씨에는 카페인, 기름, 테아사포닌(C57H90O26)이 있다. 테아사포닌은 테아사포게놀(C18H34O7), 글루쿠론산(C18H34O7), 갈락토오스, 아라비노오스, 크실로오스, 안겔리크산으로 물분해된다. 씨에는 또한 녹말, 단백질이 있다. 줄기, 뿌리, 씨에는 스테로이드사포닌이 있는데 특히 씨에 많다.
상기 녹차씨 오일은 토코페롤과 아미노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세포막의 산화를 막아 노화를 예방하고 피부의 보습 효과를 가져다주며, 여드름을 가라앉히고 피부를 진정시키는 효과가 뛰어나며 멜라닌 색소의 침착을 억제하여 기미나 주근깨의 색소 침착을 막아 피부를 희게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녹차유', '녹차 오일' 또는 '녹차씨 오일'은 녹차씨에서 얻은 오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상기 해바라기(Helianthus annus)는 아메리카가 원산이며 1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2m 안팎이고 전체적으로 굳은 털이 있고 잎은 대형이고 여름과 가을에 노란색의 큰 꽃이 이삭이 가지 끝에 핀다. 씨에는 기름이 약 40%, 단백질이 20%, 탄수화물이 25% 정도 들어있고 기타 유기산(레몬산, 포도주산, 클로로겐산), 키나산, 카페산, 베타-카로티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다. 기름의 조성은 나는 곳에 따라 다르나 리놀산과 올레인산이 각각 34∼57% 정도이고 스테아린산과 팔미틴산이 각각 4∼5%, 미리스틴산과 아라킨산, 리놀레인산은 0.5% 이하이다. 용도는 식용, 관상용, 공업용, 약용에 쓰이고 민간에서는 씨를 식용하거나 기름을 짜내어 보익, 류마티스, 구풍, 해열 등에 민간요법으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해바라기 씨에는 칼슘, 철분, 아연, 마그네슘과 같은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피로 해소, 골다공증 및 골연화증 예방, 빈혈 완화에도 도움을 준다. 리놀레산(linoleic acid), 올레산(oleic acid)과 같은 불포화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준다.
상기 해바라기씨 오일은 모든 타입의 피부에 적당하고 적당량의 필수 지방산과 풍부한 비타민E를 포함하며 진정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보습 효과가 좋고 피부 보호작용이 있어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지 않는 오일로 여드름 피부에 좋으며 피부에 보호막을 형성하므로 겨울철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해바리기유', '해바라기 오일', '해바라기씨유' 또는 '해바라기씨 오일'은 해바리기의 씨에서 얻은 오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상기 포도씨 오일은 가볍고 피부에 잘 흡수되는 성질이 있고, 고농도의 리롤레인산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와 보습에 영양을 더해주며 유분이 적어 여드름이 많은 지성피부에 좋으며, 다른 오일과 혼합하였을 때 항산화작용을 하며 가벼운 오일로 끈적임이 없어 지성피부에 좋으며 방부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포도유', '포도 오일', '포도씨유' 또는 '포도씨 오일'은 포도의 씨에서 얻은 오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상기 메도우폼씨 오일은 메도우폼(Limnanthes Alba)의 씨에서 추출한 오일로, 피부노화 예방 및 지연작용, 피부진정 작용, 보습작용을 하기 위하여 첨가한다. 즉, 메도우폼씨 오일은 천연토코페롤을 함유하고 있어 자체적으로 피부 노화 예방 및 지연 작용을 하는 항산화 작용을 하며, 또한 피부 유연효과가 우수하고, 건성 피부에 매끄러운 감촉을 주며, 수분손실을 방지해주는 막을 형성하여 보습을 유지시켜 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메도우폼유', '메도우폼 오일', '메도우폼씨유' 또는 '메도우폼씨 오일'은 메도우폼의 씨에서 얻은 오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상기 비타민나무(Sea Buckthorn)는 중국, 몽골 등이 원산지인 보리수나무과(Elaeagnaceae)의 관목성 목본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산자나무, 갈매보리수나무로 불린다. 상기 비타민나무는 유럽과 중앙아시아에서 폭넓게 자생하고 있으며, 척박한 토양에서 생육이 가능하고 질소고정 능력이 뛰어나서 토양 유실방지와 토양의 개간 목적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비타민나무의 잎, 열매에는 비타민과 아미노산의 함량이 매우 높고, 면역, 항산화 등의 생리활성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비타민나무의 잎, 열매의 생리활성 때문에, 북유럽, 러시아, 북미, 중국 등에서는 열매음료, 종자유를 이용한 건강보조제, 차와 같은 기능성 식품을 다양하게 시판하고 있다. 상기 종자유에는 필수 지방산인 리놀산(linoleic acid)과 α-리놀산(α-linoleic acid)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비타민나무의 잎, 열매에는 비타민E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신진대사에 도움을 주며, 아스코르빈산과 페놀이 균형있고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어 노화방지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비타민나무 오일을 제조하기 위한 추출원으로는 비타민나무 종자, 열매 또는 그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비타민나무 종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비타민나무 오일'은 비타민나무 종자, 열매 또는 그 혼합물에서 얻은 오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상기 콩오일(Soybean Oil)은 콩(Glycine max)의 씨에서 얻은 지방유로, 콩오일은 불포화 지방산의 일종인 리놀산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리놀산 성분은 건조한 피부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피부를 촉촉하게 하고 피부 탄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자씨 오일은 유자(Citrus Junos)의 씨에서 추출한 오일로, 상기 유자(Citrus Junos)는 중국으로부터 기원이되어 한국으로 전파된 것이며, 내, 외부가 잘 분리되며 성숙되면서 과피가 두꺼워지고 선명한 황색을 띠게 된다. 유자씨는 유자의 종자로, 유자씨에는 천연향과 정유가 풍부하고 과육에는 아미노산, 유리당, 유기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상기 강황뿌리 추출물을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 강황뿌리 추출물이 첨가되었을 때 사용감 및 효능을 가장 잘 나타날 수 있으며, 강황뿌리 추출물이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면 효능이 충분히 발현되지 못하며, 50 중량%를 초과하면 화장품의 색이 짙어지게 되고, 응집력이 높아져 다양한 제형에 활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재생용, 피부톤,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탄력 개선용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재생용'은 피부 외부 및 내부 원인에 의해 발생된 피부(세포) 손상에 대한 피부 조직의 회복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외부 원인에 의한 손상은 자외선, 외부 오염 물질, 창상, 외상 등이 원인일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원인에 의한 손상은 스트레스 등이 원인일 수 있다.
상기 '피부톤 개선'은 피부 미백, 피부톤, 피부색 밝기 개선 및 잡티 개선 효과를 의미한다.
상기 '피부 미백'은 피부색에 영향을 미치는 멜라닌, 산화-환원 헤모글로빈, 카로틴, 멜라노이드 등 다양한 생체 분자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잡티, 주근깨, 기미 등의 피부 색소 침착 현상을 완화시키고, 피부 누런기, 붉은기를 완화시켜 피부 밝기 및 균일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의미한다.
상기 '피부 트러블 개선'은 염증, 여드름 및 아토피 개선 효과를 의미한다.
상기 '염증'은 생체나 조직에 물리적 작용이나 화학적 물질, 세균 감염 등의 어떠한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침습이 가해질 때 그 손상부위를 수복 재생하려는 기전으로, 일단 자극이 가해지면 국소적으로 히스타민, 세로토닌, 브라디키닌, 프로스타글란딘, HETE(hydroxyeicosatetraenoic acid), 류코트리엔과 같은 혈관 활성 물질이 유리되어 혈관 투과성이 증대되면서 염증이 유발될 수 있다.
상기 '여드름'은 피부의 모낭 피지선에서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으로, 피지가 모낭에 쌓여 그 내부에서 여드름균이 생육하게 됨에 따라 초래된 염증 반응을 의미한다.
상기 여드름은 여드름으로 통칭되는 모든 피부 질환 또는 여드름과 유사한 기전을 통해 발병되는 모든 피부 질환을 포함하며, 예컨대 집합성 여드름, 브롬화물에 의한 여드름, 일반적 여드름, 응괴 여드름(congoblate acne), 화장품 사용에 의한 여드름, 디터지칸 여드름(acne dtergicans), 청춘기 여드름, 섬광모양의 여드름(acne fulminans), 절성 여드름(acne furunculoid), 할로겐에 의한 여드름, 경결성 여드 름, 켈로이드성 여드름, 물리적 자극에 의한 여드름(mechanical acne), 약물성 여드름, 괴사성 여드름, 속립성 여드름, 신생아 여드름(acne neonatorum), 지성 여드름(acne oil), 구진성 여드름, 적창(pomade acne), 월경전 여드름, 주사 여드름(acne rosacea), 모창성 여드름, 열대성 여드름(tropical acne), 중독성 여드름(acne venenata), 및 심상성 여드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토피(Atopic Dermatitis)'는 원인 불명의 강한 소양감, 건조함, 심한 각질 발생, 두부 인설(비듬), 홍반과 부어오름, 피부균열, 심한 진물과 습진, 태선화 등의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피부의 이상 증후군으로, 다수의 경우 10년 이상 지속되며 장기간 생활에 큰 불편을 야기하는 만성 질환이다.
상기 '피부 탄력 개선'은 엘라스틴으로 구성된 탄력섬유가 콜라겐과 함께 존재하며, 상기 엘라스틴과 콜라겐이 충분히 존재하는 상태에서 피부 탄력이 유지 또는 향상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또한, 피부 탄력 개선과 동시에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동반 될 수 있다. 상기 '주름 개선'은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이 완화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 토너, 크림, 밤, 에센스, 젤, 왁스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바디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밤, 에센스, 영양에센스, 젤, 왁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상기 유효성분인 조성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상기 유효성분인 조성물 이외에 멜라닌 색소 침착으로 손상된 부위를 개선시킬 수 있는 피부 미백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미백 성분으로는 코직산, 나이아신 아마이드,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마그네슘아스코빌포스페이트, 아세틸티로신, 플러린, 오리자놀, 메톡시피이지-7아스코빈산, 메틸운데세노일류시네이트, 디아세틸벤조일라티롤, 프로토카테츄익알데하이드, 알파-비사보롤, 디하이드록시메톡시찰콘, 아세틸피토스핑고신, 폴리다틴, 디오스메틴, 아젤라익산(Azelaic acid) 및 메이스리그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피부 미백 성분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피부 미백 성분이 0.001 중량% 미만이면 효과적인 성능 발휘 한계의 문제가 있고, 5 중량%를 초과하면 제형화 및 제형 안정화에 문제가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상기 유효성분인 조성물 이외에 주름 개선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름 개선 성분으로는 레티놀, 레틴산, 레티닐 팔미테이트, 레티닐아세테이트, 레티닐 올레이트 등과 같은 레티놀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름 개선 성분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주름 개선 성분이 0.001 중량% 미만이면 효과적인 성능 발휘 한계의 문제가 있고, 5 중량%를 초과하면 제형화 및 제형 안정화에 문제가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밤,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고, 스프레이의 경우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용액 또는 유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브틸글리콜 오일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현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 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추가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1. 제조예
통상의 천연물 추출 방법 및 오일 추출 방법에 따라 수득된 추출물 및 식물성 오일을 하기 표 1 및 2와 같은 조성비로 균질하게 혼합한 후, 시험에 사용하였다.
성분 대조예1 대조예2 대조예3 대조예4 대조예5 대조예6
강황뿌리 추출물 100 - 40 - 40 -
강황 잎 추출물 - - - - - 40
동백씨 오일 - 100 - - - 40
동백꽃 추출물 - - 40 - - -
동백잎 추출물 - - - 10 - -
녹차씨 오일 - - 20 - 40 20
해바라기씨 오일 - - - 90 20 -
콩오일 - - - - - -
비타민나무 오일 - - - - - -
포도씨 오일 - - - - - -
메도우폼씨 오일 - - - - - -
성분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4 제조예5 제조예6 제조예7 제조예8
강황뿌리 추출물 50 5 5 16 10 1 8 0.1
강황 잎 추출물 - - - - - - - -
동백씨 오일 50 95 40 64 30 80 87 65
동백꽃 추출물 - - - - - - - -
동백잎 추출물 - - - - - - - -
녹차씨 오일 - - - 10 30 - 1 20
해바라기씨 오일 - - 55 10 20 15 4 -
콩오일 - - - - - 4 - -
비타민나무 오일 - - - - - - - 0.5
포도씨 오일 - - - - 10 - - 5
메도우폼씨 오일 - - - - - - - 9.4
2. 제형예
하기 표 3 및 4의 조성비로 통상의 화장품 제조방법에 따라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성분 토너제형 로션제형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정제수 89 89 89 88.39 84.46 86.644 81.224 75.204
부틸렌글라이콜 5 5 5 5 5 3 3 3
글리세린 2 2 2 2 2 2 2 2
펜틸렌글라이콜 - - - - - - - -
카보머 0.05 0.05 0.05 0.05 0.05 0.1 0.1 0.1
1,2-헥산디올 1.2 1.2 1.2 1.2 1.2 1.2 1.2 1.2
C12-14파레스-12 1 1 1 1 1 0.5 0.5 0.5
대조예 1 0.5 - - - - - - -
대조예 2 - 0.5 - - - - - -
제조예 1 - - 0.5 - - 0.1 - -
제조예 3 - - - 1 - - 5 -
제조예 7 - - - - 3 - - 10
비즈왁스 - - - - - 0.5 0.5 0.5
시어버터 - - - - - 2 2 2
세테아릴알코올 - - - - - 1 1 1
C14-22알코올 - - - - - 1.193 1.193 1.193
C12-20알킬글루코사이드 - - - - - 0.003 0.003 0.003
글루코오스 - - - - - 0.01 0.01 0.01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5 0.5 0.5 0.5 0.5 0.5 0.5 0.5
토코페롤 0.5 0.5 0.5 0.5 0.5 0.5 0.5 0.5
알지닌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향료 0.2 0.2 0.2 0.2 0.2 0.2 0.2 0.2
나이아신아마이드 - - - 0.1 2 - 1 2
아데노신 - - - 0.01 0.04 - 0.02 0.04
알파비사보롤 - - - - - 0.5 - -
레티닐팔미테이트 - - - - - - - -
성분 크림제형 밤제형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정제수 78.009 64.999 46.469 0 0 0
부틸렌글라이콜 5 5 5 - - -
글리세린 2 2 2 - - -
펜틸렌글라이콜 1 1 1 - - -
카보머 0.3 0.3 0.3 - - -
1,2-헥산디올 1.2 1.2 1.2 - - -
C12-14파레스-12 0.5 0.5 0.5 - - -
대조예 1 - - - - - -
대조예 2 - - - - - -
제조예 1 1 - - 40 - -
제조예 3 - 15 - - 60 -
제조예 7 - - 30 - - 80
비즈왁스 1 1 1 28.8 18.3 9
시어버터 3 3 3 30 20 8.8
세테아릴알코올 1.5 1.5 1.5 - - -
C14-22알코올 2.385 2.385 2.385 - - -
C12-20알킬글루코사이드 0.6 0.6 0.6 - - -
글루코오스 0.006 0.006 0.006 - - -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5 0.5 0.5 - - -
토코페롤 0.5 0.5 0.5 0.5 0.5 0.5
알지닌 0.3 0.3 0.3 - - -
향료 0.2 0.2 0.2 0.2 0.2 0.2
나이아신아마이드 - - 2 - - -
아데노신 - 0.01 0.04 - - -
알파비사보롤 - - 0.5 0.5 - 0.5
레티닐팔미테이트 1 - 1 - 1 1
3. 시험예
1) 미백 효능 평가 (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저해 시험)
상기 표 1 및 2에서 제조한 대조예 및 제조예에 대한 미백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라는 효소의 기능이 억제되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타이로시네이즈는 생체내에서 타이로신(tyrosine)이라는 물질의 산화과정을 촉진하여 멜라닌이 생성되게 도와주는 효소이다. 멜라닌이란 흑색의 고분자로서 생체내에서 상기와 같은 산화에 의해 멜라닌이 형성되어 피부 상층부로 이동하게 되면 피부가 검게 변하고 기미, 주근깨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타이로시네이즈의 작용을 억제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미백효과를 검정하는 방법(Pomerantz S. H., J. Biochem., 24:161-168, 1966)을 응용해 판정하였다. 시험방법은 하기와 같다.
상기 표 1 및 2의 각각의 시료 0.9 mL, 0.1 M 인산완충액(pH 6.8) 1.0 mL 및 1.5 mM L-타이로신 용액 1.0 mL을 넣은 후, 37℃에서 10분간 유지시켰다. 머쉬룸타이로시네이즈(1,500 units/mL) 0.1 mL를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iMarkTM, Biorad, USA)를 이용하여를 사용하여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타이로시네이즈에 대한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저해 시험을 위한 대조군은 시료액 대신 완충용액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타이로시네이즈 대신 완충용액을 넣어 시료와 대조군에 대한 각각의 색 보정값을 얻은 경우로 설정하였다.
효과를 판단하기 위해 실험에 사용한 비교군은 여러 연구결과에서 미백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Kojic acid(synthetic, Sigma)을 비교하였고,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타이로시네이즈 저해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에서, IC50은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을 50% 저해하는데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이며, 값이 작을수록 저해율이 높음을 나타낸다.
Figure 112018042116748-pat00001
항목 타이로시네이즈 저해율
(IC50, ug/ml)
대조예1 45.2
대조예2 38.8
대조예3 40.8
대조예4 79.5
대조예5 37.6
제조예1 33.4
제조예2 30.5
제조예3 30.1
제조예4 33.2
제조예5 27.8
제조예6 23.3
Kojic acid 48.2
상기 표 5의 결과를 보면, 대조예 1 내지 5보다는 제조예 1 내지 6의 타이로시네이즈 저해율이 높았으며, 이는 강황 추출물 및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효능을 증진시킴을 예상할 수 있다.
2) 주름개선 평가(콜라겐 합성 효과 시험)
상기 표 1 및 2에서 제조한 대조예 및 제조예에 대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콜라겐 합성능을 측정하였다. 콜라겐은 엘라스틴과 함께 피부 내 진피 matrix층을 이루는 구성성분으로서 피부가 서서히 노화 되어가며 진피 내 matrix층을 이루고 있는 구성성분들이 분해되어 감으로 주름이 생성되어지는데, 진피 matrix층의 구성성분인 콜라겐의 합성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피부 주름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확인 할 수 있다. 시험 방법은 하기와 같이 진행한다.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를 24-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접종시키고(1 X 105 세포/웰) 37℃, 5 %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각 시료들을 농도별로 첨가한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콜라겐 합성량은 효소면역측정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24시간 배양한 배지(세포배양액)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분주하여 4℃에서 하룻밤 동안 코팅하였다. 세척 버퍼(PBS-T; 0.05 % Tween 20 in phosphate buffered saline)로 3회 세척하고 블로킹 용액(5 % skin milk, Fluka)을 첨가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블로킹하였다. 블로킹 용액을 버리고 세척 버퍼로 3회 세척하고, 일차항체(rabbit anti-collagen type I, Sigma)를 PBS-T에 희석하여 100 uL씩 가하여 37℃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세척 버퍼로 3회 세척한 다음, 이차 항체(anti-rabbit IgG 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 Sigma)를 PBS-T에 희석하여 100 uL씩 첨가하여 37℃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세척 버퍼로 3회 세척후, 기질용액(alkaline phosphatase substrate solution, Sigma)을 100 uL씩 넣고 항온 25℃에서 발색시킨 후, microplate reader(iMarkTM, Biorad, USA)를 사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콜라겐 합성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대조군은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 배양액의 반응 흡광도이며, 콜라겐 합성효과를 판단하기 위해 Retinol을 비교군으로 설정하여 각각 3회씩 실시, 평균값을 구하였다.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콜라겐 합성효과를 수치로 계산하여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42116748-pat00002
항목 콜라겐 합성
(% of control)
대조예1 150
대조예2 178
대조예3 168
대조예4 135
대조예5 185
제조예1 230
제조예2 240
제조예3 245
제조예4 280
제조예5 250
제조예6 230
Retinol 220
상기 표 6의 결과를 보면, 대조예 1 내지 5보다는 제조예 1 내지 6이 콜라겐 합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이는 강황 추출물 및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효능을 증진시킴을 예상할 수 있다.
3) 항산화 효과 측정
상기 표 1 및 2에서 제조한 대조예 및 제조예에 대한 피부 노화개선 효과 검정시험으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유라디칼 소거시험과 활성산소 소거시험을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효과를 판단하기 위해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Ascorbic acid를 비교군으로 사용하였다.
3-1) 자유라디칼 소거시험
자유라디칼 소거시험은 안정한 DPPH의 흡광도가 517 nm에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는 것을 이용, 자유라디칼인 DPPH가 시료에 의해 소거되어 보라색에서 옅은 노란색이 될수록 즉, 자유라디칼 소거율이 증가될수록 상기 517 nm파장에서 흡광도가 줄어들게 됨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은 검정시험방법에 의해 진행하였다.
먼저 0.1 mM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DPPH, Sigma)용액 1 mL에 상기의 제조예 시료를 메탄올에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1 mL를 혼합하고, 실온에서 15분간 방치한 후 microplate reader(iMarkTM, Biorad, USA)를 이용하여 517 nm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자유라디칼 소거시험에서 대조군은 DPPH 1 ml과 메탄올 1 ml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메탄올 1 ml과 시료 1 ml을 넣어 시료와 대조군에 대한 각각의 색 보정값을 얻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하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계산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7에서 FSC50은 자유라디칼을 50% 소거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이며, 값이 작을수록 항산화 활성이 높음을 나타낸다.
Figure 112018042116748-pat00003
3-2) 활성산소 소거시험
활성산소 소거시험은 잔틴/잔틴옥시데이즈(xanthine/xanthine oxidase, Sigma)의 효소반응에 의한 활성산소 발생을 이용하여 활성산소에 의한 니트로블루테트라졸리움(nitroblue tetrazolium, NBT)의 산화를 이용한 흡광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활성 산소의 소거능을 알 수 있다.
Na2CO3 2.4 mL, xanthine(Sigma) 0.1 mL,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EDTA) 0.1 mL, bovine serum albumin(BSA, Sigma) 0.1 mL, NBT 0.1 mL 및 시료 0.1 mL을 넣고 vortex mixer(MS1 Minishaker, IKA, Germany)를 이용하여 voltexing 후 25℃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xanthine oxidase 0.1mL을 넣고 37℃ 30분간 반응시킨 후, 6 mM CuCl2를 넣어 반응을 정지, microplate reader(iMarkTM, Biorad, USA)를 이용하여 550 nm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활성산소 소거활성 시험에서의 대조군은 시료용액 대신 3차 증류수를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xanthine oxidase 용액 대신 3차 증류수를 넣어 추출 시료와 대조군에 대한 각각의 색 보정값을 얻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수학식 4를 이용하여 활성산소 소거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7에서, SC50은 활성산소를 50% 소거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 농도이며, 값이 작을수록 항산화 활성이 강함을 의미한다.
Figure 112018042116748-pat00004
항목 자유라디칼 소거율
FSC50(ug/ml)
활성산소 소거율
SC50(ug/ml)
대조예1 11.6 25.8
대조예2 28.1 22.7
대조예3 10.3 20.5
대조예4 70.1 58.2
대조예5 11.5 20.9
제조예1 6.2 9.8
제조예2 6.2 9.1
제조예3 6.2 8.8
제조예4 5.3 7.2
제조예5 5.8 8.7
제조예6 6.2 9.4
Ascorbic acid 6.5 10.3
상기 표 7을 보면, 대조예 1 내지 5보다는 제조예 1 내지 6의 자유라디칼 소거율이나 활성산소 소거율이 현저히 높음을 알수 있었으며, 이는 강황 추출물 및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항산화 효능을 증진시킴을 예상할 수 있다.
4) 항염증 평가
4-1) 일산화 질소 (NO) 생성 억제 활성 측정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항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물질 중 하나인 일산화질소 (NO)의 생성 억제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RAW 264.7 세포를 48-웰 플레이트에 넣고 18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Lipopolysaccharide (LPS, 1 μg/mL)를 처리하여 NO 생성을 유도한 다음, 그리스 반응 (Greiss reaction)을 통하여 NO 생성 저해능을 분석하였다. 그리스 반응은 배양 세포로부터 생성되어 배지로 방출된 NO의 양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24 시간의 시료 처리 후 세포 배양 배지 100 μL를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후 그리스 반응용액 A (5 % 인산용액에 용해시킨 1 % 설파닐아미드 용액), B (0.1 % 나프틸렌디아민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완충액을 1:1로 섞어 96-웰 플레이트에 100 μL씩 분주하고 NO 생성에 따른 색의 변화를 멀티-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540 nm에서의 흡광도로 측정하였으며, 그 값은 3 회 반복 실험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해당 효과에 대한 판단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여러 연구결과에서 NO 생성을 억제한다고 알려진 2-amino-4-methypyridine을 비교군으로 사용하였고, 그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4-2) 전염증성 cytokines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 -α, interleukin-6; IL-6) 생성 억제 활성 측정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대한 항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염증성 cytokines (TNF, IL-6) 생성 억제 활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RAW 264.7 세포를 48-웰 플레이트에 넣고 18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추출물 각각과 Lipopolysaccharide (LPS, 1 μg/mL)를 함께 처리하여 일정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 배지를 원심분리(12,000 rpm, 3 min) 하여 얻어진 상층액의 전염증성 cytokine 생성 함량을 측정하였고, 이에 대한 효과를 판단하기 위하여 Dexamethason을 비교군으로 사용하였다. 모든 시료는 정량 전까지 냉동보관 (-20℃) 하였다. 전염증성 cytokines은 mouse enzyme-linked immnunosorbent assay (ELISA) kit (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정량 하였으며 standard에 대한 표준곡선의 r2값은 0.99 이상이었으며, 그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항목 NO 생성 억제 TNF-alpha IL-6
대조예1 50.3 30.8 51.2
대조예2 40.2 31.2 50.4
대조예3 54.2 40.1 53.6
대조예4 20.6 11.2 5.1
대조예5 45.4 32.7 51.3
제조예1 64.5 52.7 72.8
제조예2 65.9 54.5 75.8
제조예3 67.8 56.5 77.4
제조예4 64.6 53.4 72.9
제조예5 67.8 58.3 78.7
제조예6 66.2 54.4 73.6
2-amino-4-methypyridine (5 ppm) 65.2 - -
Dexamethason(100 ppm) - 51.2 71.5
상기 표 8을 보면, 대조예 1 내지 5보다는 제조예 1 내지 6의 항염 효능이 우수하였으며, 이는 강황 추출물 및 동백 오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효능을 증진시킴을 예상할 수 있다.
4. 사용감 평가
상기 실시예 1, 6, 11 및 비교예 1, 2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보습, 탄력 및 피부톤 개선 효과를 피검자의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건강한 30 ~ 45세의 여성 총 25명을 대상으로 각각 5명씩 4주간 사용한 후, 시제품을 사용하기 전, 사용 4주 후에 피검자가 느끼는 보습력 개선,피부 탄력 개선 및 피부톤 개선 정도에 대하여 객관적 평가를 다음의 5등급(4=아주좋음, 3=좋음, 2=보통, 1=나쁨, 0=아주나쁨)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9과 같다.
평가항목 No. 비교예 1
(토너)
비교예2
(토너)
실시예1
(토너)
실시예6
(로션)
실시예11
(밤)
보습 1 1 2 3 3 3
2 2 2 3 4 4
3 1 2 4 3 4
4 1 2 4 4 4
5 3 3 4 4 4
평균 1.6 2.2 3.6 3.6 3.8
탄력 1 1 1 2 3 3
2 1 1 3 2 4
3 1 2 3 3 4
4 2 2 4 3 3
5 2 1 3 2 3
평균 1.4 1.4 3 2.6 3.4
피부톤 1 2 2 3 3 3
2 2 1 3 3 2
3 1 2 4 2 4
4 2 2 4 3 3
5 1 2 4 4 4
평균 1.6 1.8 3.6 3 3.2
상기 표 9의 결과를 보면, 강황 추출물이나 동백 오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는 강황 추출물과 동백 오일을 함께 사용한 실시예 1, 6, 11이 사용자가 느끼는 만족감이 훨씬 높았다. 또한, 토너, 로션, 밤 등 다양한 제형을 활용한 경우에도 모두 사용자의 만족감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강황 추출물과 동백 오일을 유효성분을 함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성분을 함유한 비교예 보다 주름 개선, 피부 탄력 개선, 미백, 피부톤 개선, 보습 및 항염 효능 등이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였으며, 토너, 크림, 밤 제형 등 다양한 제형에 활용하더라도 응집 현상 등이 발생하지 않아 화장품에 적용하기에 매우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강황뿌리 추출물 및 동백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식물성 오일을 더 함유하고,
    상기 식물성 오일이 녹차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포도씨 오일, 메도우폼씨 오일, 콩오일, 비타민나무 오일 및 유자씨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강황뿌리 추출물을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재생용, 주름 개선용, 미백, 피부톤 개선용, 피부색 밝기 개선용, 항염, 여드름 개선용 또는 아토피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로션, 토너, 크림, 밤, 에센스, 젤 및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강황뿌리 추출물 및 동백씨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재생용, 주름 개선용, 미백, 피부톤 개선용, 피부색 밝기 개선용, 항염, 여드름 개선용 또는 아토피 개선용이고,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식물성 오일을 더 함유하며,
    상기 식물성 오일이 녹차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포도씨 오일, 메도우폼씨 오일, 콩오일, 비타민나무 오일 및 유자씨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고,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상기 강황뿌리 추출물을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80049062A 2018-04-27 2018-04-27 강황 추출물과 동백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85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062A KR102085422B1 (ko) 2018-04-27 2018-04-27 강황 추출물과 동백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062A KR102085422B1 (ko) 2018-04-27 2018-04-27 강황 추출물과 동백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947A KR20190124947A (ko) 2019-11-06
KR102085422B1 true KR102085422B1 (ko) 2020-03-05

Family

ID=6854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062A KR102085422B1 (ko) 2018-04-27 2018-04-27 강황 추출물과 동백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4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679B1 (ko) 2020-10-14 2021-12-0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버드나무 꽃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 또는 상처치유용 조성물
KR102471364B1 (ko) 2021-10-29 2022-11-25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압착 추출된 동백씨 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50701A (ko) 2022-04-21 2023-10-31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타트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외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058B1 (ko) * 2020-09-29 2022-11-30 주식회사 맥클린코스메틱 식물성 오일을 함유한 클렌징 밤
KR102521175B1 (ko) * 2022-08-09 2023-04-13 주식회사 꼼퍼니 천연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47996B1 (ko) * 2022-11-11 2023-06-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강황 추출물 또는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반응성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234B1 (ko) 2013-11-12 2015-05-1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울금 및 동백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89689B1 (ko) 2014-07-25 2017-10-25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강황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8095B1 (ko) 2015-11-26 2018-05-15 우수정 커큐민을 포함하는 강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형성 억제, 및 소양증 완화용 화장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orean J Clin Lab Sci. 제49권,제2호,150-160쪽, 2017년 공개*
미디어제주, 제주산 천연화장품 개발,‘글로벌 뷰티향장산업 허브’꿈꾼다. [online], (2017.09.13. 공개)*
왑솝, 피부타입별 베이스오일! [online], (2011.06.30. 공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679B1 (ko) 2020-10-14 2021-12-0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버드나무 꽃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 또는 상처치유용 조성물
KR102471364B1 (ko) 2021-10-29 2022-11-25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압착 추출된 동백씨 오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50701A (ko) 2022-04-21 2023-10-31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타트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외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947A (ko)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5422B1 (ko) 강황 추출물과 동백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07557B1 (ko) 백합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1712305B (zh) 木棉树花提取物,以及含有其的化妆品、药物或皮肤病学组合物
KR101055963B1 (ko)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9096B1 (ko)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50749B1 (ko)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항노화 활성,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984163B1 (ko) 차요테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3644B1 (ko)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혼합 추출액을 함유한 얼굴 화장용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38053B1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27701B1 (ko) 복합 추출물(hc-6)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6263B1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0806693B2 (en) Method for increasing lipolysis using a composition comprising bioactive Nelumbo nucifera (lotus) extract
KR102400179B1 (ko) 인진쑥 추출물 및 올리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산화, 미백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64428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102107193B1 (ko) 금잔화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74233B1 (ko) 피부 보습 및 항자극 효과를 가지는 식물 혼합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8512B1 (ko) 단삼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63029B1 (ko) 우뭇가사리, 미역, 밀싹 및 베르가못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갖는 있는 화장용 조성물
KR101981692B1 (ko) 희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피부보습 또는 피부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319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090119340A (ko) 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2281403B1 (ko) 비자 세라마이드와 울금 및 동백유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