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053A -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053A
KR20180082053A KR1020170003163A KR20170003163A KR20180082053A KR 20180082053 A KR20180082053 A KR 20180082053A KR 1020170003163 A KR1020170003163 A KR 1020170003163A KR 20170003163 A KR20170003163 A KR 20170003163A KR 20180082053 A KR20180082053 A KR 20180082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eed oil
cosmetic composition
oil
strawbe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7421B1 (ko
Inventor
이경록
한병석
이석연
김지웅
방은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70003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421B1/ko
Publication of KR20180082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4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질넛씨(Bertholletia Excelsa Seed) 오일, 아프리칸월넛 (Plukenetia Volubilis Seed) 오일, 망고(Mangifera Indica (Mango) Fruit) 추출물 및 딸기(Fragaria Chiloensis (Strawberry) Fruit)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또는 항노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BERTHOLLETIA EXCELSA SEED OIL, PLUKENETIA VOLUBILIS SEED OIL, MANGIFERA INDICA EXTRACT AND FRAGARIA CHILOENSIS EXTRACT}
본 발명은 브라질넛씨(Bertholletia Excelsa Seed) 오일, 아프리칸월넛 (Plukenetia Volubilis Seed) 오일, 망고(Mangifera Indica (Mango) Fruit) 추출물 및 딸기(Fragaria Chiloensis (Strawberry) Fruit)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의 외부를 덮고 있는 하나의 막으로 여러 가지 외부의 자극, 장해, 건조 등의 환경요소로부터 신체를 보호해 주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여 내부 장기와 그 밖의 체내 기관을 보호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내적으로는 신진 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게 된다. 또한,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하여 태양 광선에 자외선 함량이 증가하게 되고, 환경 오염이 더욱 심화됨에 따라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증가함으로써 생기는 과도한 물리적, 화학적 자극 및 스트레스 등은 피부의 정상기능 저하, 멜라닌 침착에 의한 기미, 주근깨 등의 생성 및 피부 노화현상을 촉진하여 피부를 손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한 피부노화 및 손상을 방지하여 보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각종 동물, 식물, 미생물 등으로부터 얻어진 생리 활성 물질들을 화장품에 부가하여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고유 기능을 유지시키고 피부 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피부 건강을 유지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화장품, 피부 외용제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물질은 피부 적용시 자극, 홍반, 발적 등의 안전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 기능 개선 효과를 기대기 어려웠다. 따라서, 기존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 보다 생체에 안전하고 효과가 높은 새로운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5881호 한국등록특허 제10-0524291호
본 발명의 목적은 브라질넛씨(Bertholletia Excelsa Seed) 오일, 아프리칸월넛 (Plukenetia Volubilis Seed) 오일, 망고(Mangifera Indica (Mango) Fruit) 추출물 및 딸기(Fragaria Chiloensis (Strawberry) Fruit)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브라질넛씨(Bertholletia Excelsa Seed) 오일, 아프리칸월넛 (Plukenetia Volubilis Seed) 오일, 망고(Mangifera Indica (Mango) Fruit) 추출물 및 딸기(Fragaria Chiloensis (Strawberry) Fruit)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브라질넛씨(Bertholletia Excelsa Seed)”는 브라질넛 나무의 씨앗으로, 브라질넛의 열매 속에는 씨들이 오렌지의 속 모양처럼 구분지어 배열되어 있다. 브라질넛은 오일 함량이 높아 유용하게 사용되며, 브라질 토착 부족들은 넛에서 추출한 오일을 상처난 부위에 바르거나 음식으로도 사용하였다. 또한, 브라질넛은 천연 셀레늄이 풍부하여 면역력을 높여주고 갑상선 기능 저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아프리칸월넛 (Plukenetia Volubilis Seed)”은 아프리카에서 디베토우(Dibetou)라고 부르는 Lovoa속의 나무를 수입국인 영국에서 다른 국가의 월넛(Walnut)과 구분하기 위해 부르는 이름이다. 상기 아프리칸 월넛의 씨를 압착하여 얻은 오일은 잉카 인치 오일, 잉카 오일, 사카 잉키 오일, 사차인치 오일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상기 오일의 영양 성분은 소화되기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인체에서 빠르게 많이 흡수될 수 있으며, 다른 중요한 영양소의 흡수를 저해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망고(Mangifera Indica (Mango) Fruit)”는 옻나무과에 속하는 과일로서 원산지는 동남아시아이며 주로 미얀마, 인도 북부, 멕시코 등 아열대 지방에 분포한다. 망고는 비타민 A가 많고, 카로틴은 푸른 채소와 거의 비슷하게 들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약용부분으로서 망고의 줄기껍질, 잎, 과육 부분은 항산화제, 항염증제, 항-알레르기 진통제, 면역조절의 효과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본 발명에서, “딸기(Fragaria Chiloensis (Strawberry) Fruit)”는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유럽 중부가 원산지이다. 온도에 대한 적응성이 강하여 적도 부근의 해안에서 북극 가까운 지역까지 자라고 있다. 잎은 뿌리에서 나오며 잎자루가 길다. 작은 잎은 길이 3∼6㎝, 너비 2∼5㎝로서 도란상 사각형이며 가장자리가 톱니처럼 생겼다. 열매의 주요성분으로는 탄수화물, 칼슘, 인, 카로틴 등이다. 비타민 중에서 비타민 C의 함량이 높아 호르몬을 조절하는 부신피질의 기능을 왕성하게 하고, 펙틴이 풍부하여 혈액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 뿐 아니라 상기 각 추출물들의 혼합액, 망고 및 딸기 금은화 혼합물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진 추출액, 상기 추출액들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상기 각각의 해당 식물의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도 추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추출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C1 내지 C4의 무수 또는 저급 알코올, 상기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 용매, 아세톤,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으로, 단독으로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 용매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물(또는 증류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망고 및/또는 딸기를1회 이상 추출하여 용매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용매 추출물을 감압 증류한 후 동결건조 또는 분무 건조하여 얻은 건조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물(또는 증류수)를 사용하여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들을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과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실시예 1).
본 발명에서 열 추출 또는 냉침 추출한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을 이용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냉동여과법 등을 이용해 여과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동결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해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은 1~10 : 1~10 : 1~10 : 1~10 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5 : 5 : 5 : 5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러한 혼합비는 필요에 따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모든 원료는 천연물 유래의 물질이어서 독성이 없으며, EWG(Environmental Working Group) 등급상 1등급에 해당하는 것으로, 안전성이 우수한 것이 입증되었으므로, 특정 추출물이 과량 포함된다 하더라도 부작용이 없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산화”란, 산화를 억제하는 작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체는 산화촉진물질과 산화억제물질이 균형을 이루고 있으나,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하여 이러한 균형 상태를 잃고 산화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기울게 되면, 생체 내에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가 유발되어 세포손상 및 병리적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의 직접적 원인이 되는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고 반응성이 높아 DNA, 단백질, 지질 및 탄수화물과 같은 여러 생체물질과 쉽게 반응할 수 있으며, 생체 내 고분자들을 공격하여 세포와 조직에 비가역적인 손상을 일으키거나 돌연변이, 세포독성 및 암 등을 초래하게 되고, 노화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활성 산소종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킴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얻어 노화를 방지하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혼합물을 도포하는 경우, 각각의 요소를 별도로 도포하는 경우에 비해 뛰어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
본 발명에서, “항노화”란, 노화를 억제하거나 노화에 역행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노화가 진행될수록 피부를 구성하는 물질인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 및 당단백질의 함유량 및 배열이 변하거나 감소하는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고,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또한,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피부의 주름이 감소되고 탄력이 감소되는 등의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가지는 항산화 효과, 콜라겐 생성 증가 효과 및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혼합물을 도포하였을 때 뛰어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고(표 1), 상기 조성물이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콜라겐의 총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표 2).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로서 세포외 간질에 존재하고, 중요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 접착의 지탱, 세포분열과 분화의 유도가 잘 알려져 있다. 나아가, 피부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였을 때 실제로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표 4)
상기와 같은 결과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궁극적으로는 우수한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나타내어 항노화 용도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은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1중량% 내지 30.0중량% 포함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0.005중량%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우수한 항산화 또는 항노화 효과가 나타나는 이점이 있으며, 조성물의 제형이 안정화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또는 항노화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 유래의 물질이어서 독성이 없으며, 인체에 적용하여도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아 화장료 조성물로의 활용도가 높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모든 원료는 EWG(Environmental Working Group) 등급상 1등급에 해당하는 것으로, 안전성이 우수한 것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의 혼합물의 제조
망고 및 딸기 각각의 건조 중량 100g을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 1,000g으로 3일간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냉침된 추출물을 0.2㎛의 기공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망고 및 딸기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각각의 추출물과 EWG 1등급의 브라질넛씨 오일, EWG 1등급의 아프리칸월넛 오일을 5 : 5 : 5 : 5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비교예 1. 브라질넛씨 오일
EWG 1등급의 브라질넛씨 오일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아프리칸월넛 오일
EWG 1등급의 아프리칸월넛 오일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3. 망고 추출물의 제조
망고 건조중량 100g을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 1,000g으로 3일간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냉침된 추출물을 0.2㎛의 기공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망고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딸기 추출물의 제조
딸기 건조중량 100g을 플라스크에 넣고 추출용매(증류수) 1,000g으로 3일간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냉침된 추출물을 0.2㎛의 기공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딸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항산화 효과 확인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항산화능을 확인하였다. 항산화능 평가는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1,1-diphenyl1-2-picry1hydrazy1)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4.0 x 10-4M DPPH 용액 2.4mL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를 각각 0.6mL 첨가 후 볼텍스 믹서로 10 초간 진탕하고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한 다음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대조군에 대한 흡광도의 감소 비율로서 항산화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이때, 흡광도 감소 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대조군으로는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브산을 사용하였으며, 시료와 동일한 함량을 첨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DPPH(%) 항산화능 비교(%)
아스코르브산 28 100
실시예 1 87 316
비교예 1 54 192
비교예 2 61 218
비교예 3 67 239
비교예 4 58 202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 모두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해 뛰어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콜라겐 생성 증가 효과 확인
실시예 1 및 비교예 1내지 4를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수준에서 콜라겐 합성 촉진에 의한 콜라겐 총량 증가 효과를 실험하였다. 증가된 콜라겐 총량의 측정은 PICP EIA kit(Procollagen Type I C-Peptide Enzyme ImmunoAssay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실험 전 인간 유래 섬유아세포를 대상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내지 4의 농도(중량%)를 달리하여 세포독성 평가(섬유아세포를 배양하여 MTT 시험을 하는 방법([참고문헌: Mossma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 SurvVI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 cytotoxicity assays.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1983, 65, 55-63])를 수행 하였으며, 세포독성이 없는 1% 이하의 농도 중 중간값인0.5% 택하여 콜라겐 총량의 증가 정도를 평가하였다.
각각의 시료를 인간 섬유아세포의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1 일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취하여 PICP EIA 키트로 각 농도에서의 콜라겐의 총량 증가 정도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효과의 비교를 위하여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섬유아세포의 배양 배지(음성 대조군)와 비타민 C를 최종 농도 52.8 ㎍/ml가 되도록 첨가한 시료(양성 대조군)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콜라겐 총량의 증가 정도를 측정하였다. 콜라겐의 총량은 UV 흡광도(Absorbance)로서 측정하였으며, 콜라겐 총량의 증가율은 대조군에 대한 상대적인 콜라겐 총량의 비율로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또한, 상기 실험은 3번 반복하였다.
시료 콜라겐 총량(Absorbance) 증가율(%)
음성 대조군 452 -
비타민C(52.8㎍/ml)
(양성 대조군)
533 117.92
실시예 1 566 125.22
비교예 1 521 115.26
비교예 2 518 114.60
비교예 3 535 118.36
비교예 4 503 111.28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하여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콜라겐의 총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비교예 1 내지 4 각각의 경우 종래 알려진 주름 개선 물질인 비타민 C와 유사하거나 이보다 미약한 콜라겐 합성 효과를 나타낸 반면,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1의 경우 콜라겐 합성 효과가 현저히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주름 개선 효과 확인
19~62세의 50명의 여성 피검자들을 5 개의 조로 나누어 하기 표 5에 기재된 바에 따른 조성물을 4주 동안 매일 아침, 저녁 세안 후 안면에 고르게 도포하여 충분히 흡수시켰다. 주름개선 평가를 위하여 ANTERA 3D(Miravex, Ireland)를 적용하였으며, 기기측정은 시험물질 사용 전과 4주 사용 후의 시점에서 이루어졌다.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모든 피시험자의 왼쪽 눈꼬리부위를 측정하였고, 측정의 재현성을 위하여 시험 물질 사용 전에 측정한 이미지와 오버랩시켜 동일부위를 측정하였다. 촬영된 이미지는 ANTERA 3D 전용 소프트웨어인 ANTERA pro software를 이용하여 매칭시킨 후 일치된 측정부위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값은 측정변수인 Indentation index를 이용하여 피부의 주름을 나타내는 Wrinkles small값을 분석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세테아릴알코올 2 2 2 2 2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1 1 1 1 1
호호바씨오일 5 5 5 5 5
실리카 0.5 0.5 0.5 0.5 0.5
글리세린 10 10 10 10 10
실시예 1 5 - - - -
비교예 1 - 5 - -
비교예 2 - - 5 - -
비교예 3 - - - 5 -
비교예 4 - - - - 5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상기 표 3과 같은 에센스 형태의 조성물을 사용한지 4주 후의 Wrinkles small값의 변화량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Wrinkles small 값의 변화량은 증가할수록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구분 Wrinkles small값
실시예 1 1.36
비교예 1 1.26
비교예 2 1.23
비교예 3 1.21
비교예 4 1.19
양성 대조군 1.22
음성 대조군 0.47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하여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비교예 1 내지 4 각각의 경우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사한 수준의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 반면,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1의 경우 주름 개선 효과가 현저히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1. 본 발명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에센스 제조
하기의 표 5와 같이 에센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원료명 함량(중량%)
세테아릴알코올 2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1
호호바씨오일 5
실리카 0.5
글리세린 10
본 발명 혼합물 5
정제수 To 100
제조예 2. 본 발명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크림 제조
하기의 표 6과 같이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조성물 함량(중량%)
본 발명 혼합물 5
스테아린산 15
에탄올 1
수산화칼륨 0.7
글리세린 5
프로필렌글리콜 3
방부제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브라질넛씨(Bertholletia Excelsa Seed) 오일, 아프리칸월넛 (Plukenetia Volubilis Seed) 오일, 망고(Mangifera Indica (Mango) Fruit) 추출물 및 딸기(Fragaria Chiloensis (Strawberry) Fruit)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무수 또는 저급 알코올, 상기 물과 저급 알코올의 혼합 용매, 아세톤,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은 1~10 : 1~10 : 1~10 : 1~10 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1중량% 내지 30.0중량%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03163A 2017-01-09 2017-01-09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7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163A KR101987421B1 (ko) 2017-01-09 2017-01-09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163A KR101987421B1 (ko) 2017-01-09 2017-01-09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053A true KR20180082053A (ko) 2018-07-18
KR101987421B1 KR101987421B1 (ko) 2019-06-12

Family

ID=63049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163A KR101987421B1 (ko) 2017-01-09 2017-01-09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4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58478A (ja) * 2019-03-28 2020-10-01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一重項酸素消去剤及び皮膚外用剤
KR102496500B1 (ko) 2022-06-24 2023-02-07 주식회사 쌤시크코스메틱 하이드록시데실유비퀴논, 식물성 스쿠알란 및 천연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95484A (zh) 2021-02-04 2023-12-26 科莱恩国际有限公司 巴西坚果提取物及其用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291B1 (ko) 2003-09-05 2005-10-26 소망화장품주식회사 흑미, 검정콩, 검정참깨, 익모초, 창포, 도엽 및 마치현의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6028A (ko) * 2007-11-29 2009-06-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120015881A (ko) 2010-08-13 2012-02-22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15A (ko) * 2014-07-01 2016-01-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2394B1 (ko) * 2016-04-18 2016-12-05 씨앤텍 주식회사 컬러푸드 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291B1 (ko) 2003-09-05 2005-10-26 소망화장품주식회사 흑미, 검정콩, 검정참깨, 익모초, 창포, 도엽 및 마치현의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6028A (ko) * 2007-11-29 2009-06-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120015881A (ko) 2010-08-13 2012-02-22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15A (ko) * 2014-07-01 2016-01-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2394B1 (ko) * 2016-04-18 2016-12-05 씨앤텍 주식회사 컬러푸드 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Agric Food Chem.,제62권,22호,5191-5197면(2014.05.23.) 1부. *
J Agric Food Chem.,제62권,22호,5191-5197면(2014.05.23.)*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58478A (ja) * 2019-03-28 2020-10-01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一重項酸素消去剤及び皮膚外用剤
KR102496500B1 (ko) 2022-06-24 2023-02-07 주식회사 쌤시크코스메틱 하이드록시데실유비퀴논, 식물성 스쿠알란 및 천연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421B1 (ko)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386B1 (ko)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20180069756A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0310A (ko)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987421B1 (ko)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1088845A (ja) インボルクリン発現抑制剤
KR101853743B1 (ko) 음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78888B1 (ko) 조직배양한 에키네시아 부정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74605B1 (ko) 새우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10301B1 (ko) 쉬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03654B1 (ko) 하고초 추출물과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82744B1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74502B1 (ko) 회리바람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2089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63029B1 (ko) 우뭇가사리, 미역, 밀싹 및 베르가못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갖는 있는 화장용 조성물
KR20140110375A (ko) 인동초 식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03916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8925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50076307A (ko) 토마토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7242B1 (ko) 갯방풍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50034371A (ko) 닭의장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561081B1 (ko) 항염증, 항산화, 항균 및 피부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9755A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