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744B1 -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744B1
KR100882744B1 KR1020080109485A KR20080109485A KR100882744B1 KR 100882744 B1 KR100882744 B1 KR 100882744B1 KR 1020080109485 A KR1020080109485 A KR 1020080109485A KR 20080109485 A KR20080109485 A KR 20080109485A KR 100882744 B1 KR100882744 B1 KR 100882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bark
cosmetic composition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8065A (ko
Inventor
우윤택
안기웅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더페이스샵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페이스샵코리아 filed Critical (주)더페이스샵코리아
Priority to KR1020080109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744B1/ko
Publication of KR2008010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8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7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Abstract

본 발명은 목단피(Paeonia suffruticosa Andrew)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단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함에 있어, 고농도의 인중합체가 함유되도록 추출함으로써,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단피 추출물은 물, 알콜계 및 글리콜계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용매로부터 추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단피 추출물에 인중합체가 고농도로 함유되어, 상기 인중합체가 가지는 항산화 효과, 세포성장촉진, 콜라겐 합성 증가, 및 콜라게나아제의 억제 효과 등이 효율적으로 활용되어 우수한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다.
목단피, 인중합체, 노화, 주름, 탄력, 화장료

Description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O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EXTRACT OF PAEONIA SUFFRUTICOSA ANDREW}
본 발명은 목단피(Paeonia suffruticosa Andrew)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단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함에 있어, 고농도의 인중합체가 함유되도록 추출함으로써,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단피 추출물은 물, 알콜계 및 글리콜계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용매로부터 추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단피 추출물에 인중합체가 고농도로 함유되어, 상기 인중합체가 가지는 항산화 효과, 세포성장촉진, 콜라겐 합성 증가, 및 콜라게나아제의 억제 효과 등이 효율적으로 활용되어 우수한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단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함에 있어, 고농도의 인중합체가 함유되도록 추출함으로써, 인중합체가 가지는 항산화 효과, 세포성장촉진, 콜라겐 합성 증가 및 콜라게나아제의 억제 효과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우수한 피부 노화 방지 효과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화란 세월이 지나감에 따라 신체의 구조와 기능이 점진적으로 저하되고 질병과 사망에 대한 감수성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쇠약해지는 과정으로 신체에 생리적 변화가 발생하여 신체 전반적으로 현저한 퇴화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중 우리가 가장 쉽게 느낄 수 것이 피부노화로서, 이는 당뇨병, 심장병, 동맥경화, 치매 암등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으로 인식이 되고 있으며, 개인차가 있지만 피부노화는 대개 20대 초반을 전후해서 시작되어 나이가 많아지면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피부노화는 유전적, 환경적외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로 이는 자연노화로써 유전정보에 따라 시간이 지나면서 일어나는 노화현상이며, 다른 하나는 외인성 노화(extrinsic aging)로 광노화(photoaging)이라고도 하며, 외부환경 요인 그 중에서도 햇빛에 존재하는 자외선에 의해 일어나는 노화 현상을 말한다. 내인성 노화는 햇빛에 노출되지 않는 피부에서 주로 관찰이 되고, 잔주름과 피부탄력감소를 그 특징으로 하며, 광노화의 경우는 햇빛에 노출이 많이 되는 부위에서 나타나며, 깊은 주름, 피부결의 거침, 색소침착, 피부톤 및 피부탄력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부의 진피조직 속에는 콜라겐(collagen)과 엘라스틴(elastin)이 그물망 구조를 형성하여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그물망 구조가 깨지게 되면 피부의 탄력이 줄어들고 피부의 탄력이 감소하며, 진피-표피 경계부가 편평해 지면서 피부의 주름이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광노화된 피부의 조직학적 특성을 보게 되면, 내인성 노화에 비해 진피층에 존재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 단백질의 양이 상당수 감소되고 손상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로 인해 깊은 주름의 형성과 탄력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자외선에 오랫동안 노출이 되면 굵은 주름이 형성되게 되는데 그 원인 중에 하나는 기질단백질 분해효소인 matrix metalloproteinase(MMP)의 증가이다. 자외선이 사람 피부에 조사되면 여러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서 이 분해효소를 증가시키게 되는데, 이들은 진피층에 존재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분해하게 되어 피부주름 발생을 촉진하게 된다.
또 다른 요인으로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증가이다. 활성산소란 우리 몸의 체내 대사과정의 부산물로서 유해 산소 또는 활성산소라고 부르는 프리 라디칼(free radical)을 말한다. 프리 라디칼이란 짝지어지지 않은 전자를 가진 물질을 말하며 이것은 반응성이 아주 강하고 그 수명이 아주 짧은데, 활성 산소의 대표적인 물질은 초과산화물(superoxide, O2-)이라고 부르는 라디칼 형태의 불안정한 것으로 산소보다 산화력이 더 큰 화학종이다. 산화력이 큰 과산화수소(H2O2)와 수산화기(OH-), 알킬 과산화물, 할로겐 산화물 등이 모두 활성산소종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들 활성산소종은 체내 구성 성분인 DNA, 단백질, 당, 지질 등을 공격하여 이들의 구조와 기능을 파괴함으로써 몸의 각종 질병을 유발하고 노화를 유발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 몸은 활성산소가 발생하면 자동적으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 항산화 효소인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SOD)를 합성하여 활성산소로부터 생체를 방어하게 된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활성산소에 대한 방어력도 떨어질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외부 오염 물질, 자외선 등에 의해서 활성산소가 증가하고 항산화 효소들은 감소하게 된다. 이렇게 증가된 활성산소는 진피층의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파괴하고, 기질분해 효소의 생성을 증가시켜 피부노화와 주름을 촉진하게 된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92513호에는 인중합체가 우수한 항산화 작용을 갖는다고 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64059호에는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위한 성분으로서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목단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함에 있어서, 인중합체를 다량 함유할 수 있는 추출법을 강구하지 못하여 목단피 추출물의 함유에 따른 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목단피 추출물에 함유된 인중합체가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을 증진시켜 피부 노화 방지에 효과적임을 알게 되었다. 이때, 목단피 추출물을 제조함에 있어, 추출용매로서 서로 다른 3종의 혼합 추출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인중합체가 다량 함유됨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인중합체는 항산화효과는 물론 세포성장 촉진, 콜라겐 합성 촉진 및 콜라게나아제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노화 방지에 탁월한 작용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목단피 추출물이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 중에, 상기 목단피 추출물은 물, 알콜계 및 글리콜계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용매로부터 추출되고, 상기 알콜계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글리콜계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물, 알콜계 및 글리콜계는 2: 1: 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목단피로부터 인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목단피 추출물은 10.0~17.4 ng/ml 농도의 인중합체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단피 추출물은 목단피의 중량 10 내지 30배의 양으로 상기 혼합 추출용매를 가한 후, 50~100℃의 온도에서 5~20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목단피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지되, 상기 목단피 추출물에 인중합체가 고농도로 다량 함유되어 있어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중합체가 가지는 항산화효과, 세포성장 촉진, 콜라겐 합성 촉진 및 콜라게나아제 억제 효과 등이 효율적으로 활용되어 피부 주름 개선, 보습력 향상 및 탄력이 증진에 의해 탁월한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다. 또한, 목단피 추출물은 피부 안전성이 우수하여 피부 자극이 없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목단피(Paeonia suffruticosa Andrew)는 작약과의 목단 또는 모란의 피로서, 목단은 내한성의 낙엽활엽관목으로 중국 서부가 원산이며 신라시대 선덕여왕의 기록으로 미루어 중국에서 도입된 귀화식물로 추측되고 있다. 잎은 크게 3부분으로 나누어지는 2회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난형 또는 피침형이고 흔히 3-5개로 갈라지며 표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잔털이 있으며 대개 흰빛을 띤다. 열매는 혁질이며 짧은 털이 빽빽하게 나고 7-9월에 익으며 내봉선(內縫線)에서 터져 종자가 나오며 종자는 둥글고 검다. 꽃은 양성화로서 5월에 피며 10개 정도의 꽃잎이 있고 지름 15cm이상이고 새로 나온 가지끝에 크고 소담한 꽃이 한 송이씩 핀다. 꽃색은 자주색이 보통이나, 개량종에는 짙은 빨강, 분홍, 노랑, 흰빛, 보라 등 다양하며 홑겹 외에 겹꽃도 있다. 화탁이 주머니처럼 되어 자방을 둘러싼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꽃잎은 8개 이상이고 크기와 형태가 같지 않으며 도란형으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결각이 있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2-6개로서 털이 있다. 줄기는 높이가 2m에 달하며 가지가 굵고, 줄기의 직경이 15㎝인 것도 있으며 털이 없다. 뿌리는 굵고 희나 잔뿌리가 적으며, 뿌리의 껍질을 목단피라 하여, 한방에서는 소염·진통제로서 충수염·월경통·부스럼 항균작용, 혈압강하작용, 통경작용, 항염증작용, 위액분비억제작용, 진정작용 등의 치료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위와 같은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일반적으로, 목단피에는 인중합체(polyphosphate), 파에오놀 (paeonol), 파에오노사이드 (paeonoside), 파에오놀라이드 (paeonolide), 파에오니프로린 (paeoniflorin), 파이토스텍롤 (phytosterol) 등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가진 유효성분들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목단피 추출물은 목단의 줄기나 뿌리 등의 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서, 이때 상기 목단피 추출물은 본 발명에 따라서 인중합체를 다량 함유할 수 있는 추출법을 통하여 추출되어 함유된다. 구체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추출법에 의해 수득된다.
목단피는 서늘한 곳에서 건조된 후 물리적으로 분쇄된 다음, 이 분쇄물에 추출용매가 가해져 추출된다. 이때, 추출용매는 고농도의 인중합체가 함유되도록 서로 다른 3종 이상의 추출용매, 구체적으로 적어도 물, 알콜계 및 글리콜계를 포함 하는 혼합 추출용매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단피 추출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위와 같이 서로 다른 3종 이상의 추출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고농도의 인중합체가 함유된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혼합 추출용매는 물, 알콜계 및 글리콜계가 1 : 0.25 ~ 1.0 : 0.25 ~ 1.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혼합 추출용매를 구성하는 상기 물은 바람직하게는 증류수이고, 상기 알콜계는 탄소수 1~4의 함수 또는 무수 알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콜계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좋다. 아울러, 상기 글리콜계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클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목단피 분쇄물에 혼합 추출용매를 가함에 있어, 목단피의 건조 중량 10 내지 30배의 양으로 상기 혼합 추출용매를 가하는 것이 좋다. 즉, 혼합 추출용매와 분쇄물의 비율은 1 : 10 내지 1 : 30의 중량비로 하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20의 중량비로 하는 가장 우수하다. 그리고 위와 같이 목단피 분쇄물에 혼합 추출용매를 가한 후에는 50℃ ~ 100℃의 온도에서 5 ~ 20시간 동안 추출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목단피 추출물은 위와 같은 혼합 추출용매에 의한 추출물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추출한 후 정제 과정, 예를 들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 등의 분리막을 막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의 정제 과 정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얻은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목단피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또는 분무 건조 등)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된 다음, 조성물에 그대로 함유되거나, 또는 에탄올 등의 용매에 희석되어 함유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혼합 추출용매를 통한 추출법에 따르면, 추출물 1 ml 당 10.0 ng 이상의 인중합체를 함유하는 목단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은 추출법을 통해 10.0 ~ 20.0 ng/ml 농도의 인중합체가 함유된 목단피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목단피 추출물이 10.0 ng/ml 이상의 인중합체를 함유하는 경우 우수한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위와 같은 추출법을 통하여 얻어진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이면 본 발명에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목단피 추출물 이외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목단피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01중량% ~ 30.0중량%로 함유된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 10.0중량%로 함유된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목단피 추출물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그 함유에 따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30.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이 작아져 조성물의 제형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고, 함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미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방지용 및 개선용으로 유용하다. 구체적으로, 목단피 추출물이 함유되어지되, 상기 목단피 추출물에 인중합체가 고농도로 다량 함유되어 있어, 상기 인중합체가 가지는 항산화효과, 세포성장 촉진, 콜라겐 합성 촉진 및 콜라게나아제 억제 효과 등이 상승된다. 이에 따라, 피부 주름 개선, 보습력 향상 및 탄력이 증진되어 탁월한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목단피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함유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클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및 산화아연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 글라이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및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및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라이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시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 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및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유연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 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 목단피 추출물의 제조 >
먼저, 시중에서 구입한 목단피(목단의 근피)를 서늘한 그늘에서 건조시켰다. 그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건조한 목단피를 곱게 분쇄한 후, 분쇄물 200g을 환류추출기에 넣고, 여기에 분쇄한 목단피 중량의 20배의 증류수를 가한 다음, 75 ℃에서 10시간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추출물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을 모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 중량 28.6g의 건조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건조 추출물을 70% 에탄올로 용해한 후 다음과 같이 사용하였다.
[제조예 2 ~ 17]
< 목단피 추출물의 제조 >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추출방법을 통하여 목단피 추출물을 제조하되, 하기 [표 1]에 보인 바와 같이 각 제조예에 따라 추출용매를 달리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예 추출용매 건조 중량 (g)
1 28.6
2 메탄올 27.1
3 에탄올 29.4
4 프로판올 25.6
5 부탄올 27.6
6 아세톤 22.1
7 에틸아세테이트 23.4
8 클로로포름 8.7
9 글리세린 26.4
10 부틸렌글리콜 28.6
11 프로필렌글리콜 26.7
12 디클로로메탄 9.1
13 헥산 16.4
14 벤젠 14.7
15 물:메탄올:프로필렌글리콜 (2:1:1) 28.3
16 물:에탄올:프로필렌글리콜 (2:1:1) 27.5
17 물:에탄올:부틸렌글리콜 (2:1:1) 28.1
[실험예 1]
< 목단피 추출물의 인중합체 정량 측정 >
상기 제조예 1 ~ 17에서 제조한 목단피 추출물에 대하여 인중합체 함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제조예에서 얻은 각각의 추출물 100㎕(0.1mg/ml)를 테스트 튜브에 넣고, 0.6ml의 0.5N HCl을 넣어준 다음, 15분 동안 37℃ 항온 수저에 둔 후, 바로 냉각시켰다. 그리고 1.4ml의 molybdenum-ascorbate reagent (0.42% ammonium molybdate in 1N H2SO4 : 10% ascorbic acid in dH20, 6:1, v/v)의 혼합액을 넣어준 후, 45℃에서 20분간 인큐베이션(incubation)하였다. 다음으로, spectrophotometer (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8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이를 근거로 인중합체 함량(ng/ml)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인중합체 정량 측정 결과 >
제조예 인중합체 함량 (ng/ml)
1 7.5
2 7.1
3 7.6
4 7.9
5 7.4
6 4.4
7 4.4
8 1.7
9 6.1
10 7.2
11 7.4
12 1.3
13 1.2
14 2.0
15 11.6
16 17.4
17 11.4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중합체 정량 측정 결과로부터 제조예 15 ~ 17에서와 같이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경우, 인중합체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제조예 16에서와 같이 물, 에탄올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적정 비율(2:1:1)로 혼합한 추출용매를 사용하였을 때, 인중합체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 세포 성장 촉진 효과 측정 >
상기 제조예 1 ~ 17에서 제조한 목단피 추출물에 대하여 세포 성장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섬유아세포 (Human fibroblast)를 96 웰 플레이트 (96-well plate)의 각 웰에 5x103 세포를 분주하여 10%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우태아 혈청이 없는 배지로 바꾼 다음, 제조예 1 ~ 17에서 제조한 목단피 추출물을 농도별로 0.005%, 0.05%, 0.5%를 세포에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48시간이 지난 후, 배양액 MTT(methylthiazolydiphenyl-tetrazolium bromide, sigma) (5mg/ml) 100㎕씩 세포에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배지를 제거하고 각 웰당 DMSO (dimethyl sulfoxide) 100㎕씩을 가한 후, ELISA Reader (Molecular Devices, USA)로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목단피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는 것으로 사용하였고, 세포 증식능(%)은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해 얻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 세포 성장 촉진 효과 측정 결과 >
제조예 세포 증식능 (%)
처리농도 (0.005%) 처리농도 (0.05%) 처리농도 (0.5%)
대조군 100.0 100.0 100.0
1 107.4 157.8 244.0
2 109.4 159.7 240.6
3 107.1 157.6 240.4
4 109.8 157.2 241.5
5 108.9 158.4 240.4
6 101.7 120.7 147.5
7 108.5 117.5 130.4
8 100.8 115.4 129.8
9 105.6 140.8 198.7
10 108.5 140.6 200.8
11 109.1 150.6 210.5
12 104.3 123.1 140.5
13 102.1 126.7 131.1
14 101.4 110.8 123.7
15 118.4 171.4 297.6
16 120.9 199.4 324.1
17 119.5 170.0 297.0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목단피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해 우수한 세포 증식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목단피 추출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세포 증식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인중합체 함량이 가장 높은 제조예 16에서 가장 높은 세포 증식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 목단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측정 >
목단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펜톤 반응에 의한 지질과산화 반응계를 이용한 티오부틸레이트 아세트산(TBA) 시험 방법을 통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에틸리놀레이트 10㎕, 0.2% 도데실황산염, 염화제이철 10μmol, 과산화수소 2μmol를 함유하는 25mM 트리스 완충용액/0.75mM 칼륨 완충용액 5mℓ에 상기 제조예 1 ~ 17의 목단피 추출물 0.05g을 용해시킨 도데실메틸 황산염 0.1mℓ을 가한 다음, 55℃에서 16시간 배양 후, 4% 부틸히드록실톨루엔 50㎕를 가한 후 시험을 정지시켰다. 그런 다음, 상기 용액 0.3mℓ을 시험관에 넣고 0.05M 염산 3.0mℓ, 부탄올 4.0mℓ를 가하고, 이를 원심분리한 후 53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목단피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이를 기준으로 하여 항산화 효과(%)를 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 항산화 효과 측정 결과 >
제조예 항산화 효과 (%)
1 39.4
2 37.2
3 39.9
4 41.8
5 38.5
6 26.7
7 26.4
8 8.2
9 30.1
10 37.5
11 38.6
12 4.1
13 3.6
14 8.5
15 73.0
16 89.4
17 72.2
상기 [표 4]의 결과로부터, 목단피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인중합체가 다량 함유된 제조예 16에 따른 목단피 추출물이 항산화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 목단피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효과 측정 >
콜라겐 합성 효과는 크리스탈 바이올렛 (crystal violet)방법을 이용하였다. 이 방법은 단백질 합성 능력을 알아보는 실험으로 크리스탈 바이올렛 염색액은 단백질과 결합하는 시약으로, 이러한 특징을 활용하여 콜라겐 생성능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섬유아세포 (Human fibroblast)를 96 웰 플레이트 (96-well plate)의 각 웰에 5x103 세포를 분주하여 10%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우태아 혈청이 없는 배지로 바꾼 다음, 제조예 1 ~ 17에서 제조한 목단피 추출물 0.01%를 세포에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48시간이 지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1회 세척한 다음, 37℃에서 30분간 건조하였다. 그 후 크리스탈 바이올렛 시약을 가하여 실온에서 5분간 염색을 하고 염색액을 증류수로 잘 세척한 후, 결합된 염색약을 0.2M 인산과 에탄올을 첨가하여 녹인 다음, 5분후 ELISA Reader (Molecular Devices, USA)로 5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목단피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는 것으로 사용하였고, 콜라겐 생성능(%)을 상기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해 얻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 콜라겐 합성 효과 측정 결과 >
제조예 콜라겐 생성능 (%)
대조군 100.0
1 139.4
2 137.1
3 140.5
4 148.3
5 138.6
6 124.3
7 124.6
8 108.4
9 131.3
10 137.9
11 138.8
12 106.5
13 106.1
14 109.6
15 181.6
16 204.9
17 180.8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제조예에 따른 목단피 추출물은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가 나타남을 보여주었고, 특히 인중합체가 다량 함유된 제조예 16의 목단피 추출물이 콜라겐 합성 능력이 가장 우수함을 보여주었다.
[실험예 5]
< 콜라게나아제 억제 효과 측정 >
목단피 추출물의 콜라게나아제의 활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0.1mg 콜라게나아제 (sigma, C5138)를 0.1M 트리스 완충용액 (tris buffer, pH 7.1) 1mℓ에 녹인 다음, 콜라겐 (sigma, C9879) 0.5mg을 0.1M 트리스 완충용액 (tris buffer, pH 7.1) 1mℓ에 용해한 후, 제조예 1 ~ 17에서 제조한 목단피 추출물 0.5%를 시험관에 0.1mℓ을 첨가하고, 그 후 콜라게나아제 0.05mℓ, 그리고 콜라겐 0.4mℓ를 가한 다음, 37℃ 항온수조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반응을 종결시키기 위해, 25mM 시트르산 (citric acid)용액을 1mℓ을 가하였다. 그리고 반응이 종료된 시험관에 에틸아세테이트 5mℓ을 주입하여 3000rpm에 5분간 원심분리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3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을 것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 콜라게나아제 억제 효과 측정 결과 >
제조예 콜라게나아제활성 억제율 (%)
대조군 0.0
1 65.7
2 61.4
3 66.8
4 67.4
5 65.1
6 21.2
7 21.3
8 11.8
9 53.7
10 61.8
11 65.1
12 9.8
13 9.4
14 16.8
15 83.1
16 96.7
17 82.0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목단피 추출물은 콜라게나아제 활성 억제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인중합체가 가장 많이 함유된 제조예 16에서 콜라게나아제 억제 능력이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및 2]
하기 [표 7]에 보인 성분과 함량으로 영양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제조예 13의 목단피 추출물을 5.0중량%(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6의 목단피 추출물을 5.0중량%(실시예 2)로 함유시켰다.
[비교예 1]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시키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비교예의 구체적인 성분과 함량은 하기 [표 7]과 같다.
성분 실시예 1 (중량%) 실시예 2 (중량%) 비교예 1 (중량%)
목단피 추출물(제조예 13) 5.0 - -
목단피 추출물(제조예 16) - 5.0 -
글리세린 5.0 5.0 5.0
락틴산 - - 5.0
유동파라핀 10.0 10.0 10.0
폴리솔베이트60 2.0 2.0 2.0
솔비탄세스퀴롤올레이트 1.0 1.0 1.0
스쿠알란 5.0 5.0 5.0
밀납 10. 10.0 10.
트리에탄올아민 0.5 0.5 0.5
프로필렌 글리콜 1.0 1.0 1.0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5 1.5 1.5
미량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100 100 100
[실험예 6]
< 피부 첩포(피부 안전성) 시험 >
과거력상 피부자극에 과민반응을 보인 적이 없으며, 현재 피부병 내지 피부 알러지 증상이 없는 20~3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목단피 추출물의 피부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의 인체 피부 첩포 시험을 하였다.
우선 시험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켰다. 준비된 시험물질을 15㎍씩 핀챔버 (Finn chamber, 100x10, EPITEST, 핀란드) 내에 적하시킨 후 시험대상자의 전박 (forearm) 안쪽 부위에 밀폐 첩포하였다. 24시간 동안 첩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 펜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였다. 표시 후 각각 1시간 및 24시간 후에 확대경 (8MC-150, DAZOR, 미합중국)을 이용하여 시험 부위를 관찰하여 피부 반응(홍반 및 부종 유무)을 판별하였다.
피부반응은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itis Research Group)의 규정에 따라 판정하였다. 피부반응의 평가 기준 및 점수는 아래의 [표]와 같이 산정하였으며, 이를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평균피부반응도(mean response rate)를 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 피부반응의 평가 기준 및 점수 >
기 호 점수 평가 기준
- 0 무반응
± 0.5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 1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 2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 3 심한 홍반 및 대수포, 가피형성
Figure 112008076781797-pat00001
시험물질 1 시간 후 24 시간 후 반응도 (%) (n=20)
± + ++ ± + ++
실시예 1 - - - - - - 0.00
실시예 2 - - - - - - 0.00
비교예 1 13 3 - 5 3 - 12.50
상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 첩포 실험에서 락틴산을 함유한 비교예 1의 경우에는 강한 피부자극이 나타났지만,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한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자극이 나타나지 않아 피부 안전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7]
< 피부 주름 개선 효과 측정 >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화장료 조성물을 인체에 적용한 다음, 피부 주름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30~40대의 건강한 여성 60명을 대상으로 20명씩 3조로 나누어 실시예 1,2와 비교예 1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매일 2회씩 2달간 도포하게 하였다. 그 후 실리콘을 이용해서 레플리카를 뜬 다음, 주름의 상태를 visiometer (SV600,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로 측정하여 이미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9] 및 [표 10]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9]는 사용 전의 주름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이고, [표 10]은 2달 후의 주름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이다. 이때, 아래의 [표 9] 및 [표 10]에서의 결과는 20명에 대한 평균값이다.
0 day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R1 3.007 3.012 3.010
R2 2.990 2.995 2.993
R3 1.142 1.134 1.137
R4 0.251 0.249 0.247
R5 0.375 0.369 0.368
60 day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R1 2.895 2.820 3.007
R2 2.480 2.108 2.991
R3 1.002 0.092 1.131
R4 0.228 0.115 0.246
R5 0.334 0.292 0.363
위, [표 9] 및 [표 10]에서,
R1 : 주름 등고선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차이값
R2 : 주름 등고선을 임의로 5칸씩 나눈 후 그 중 R1값들의 평균값
R3 : 5개씩 나눈 R1값 중 최고치
R4 : 주름 등고선의 기선에서 각 각의 꼭대기와 계곡의 값을 뺀 평균값
R5 : 주름 등고선의 기선에서 각 각의 주름 윤관을 뺀 값의 평균값이다.
상기 [표 9] 및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1 및 2는 비교예 1에 비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월등히 개선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인중합체가 다량 함유된 실시예 2의 경우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크게 증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8]
< 피부 탄력 개선 효과 측정 >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탄력 회복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0~40대의 건강한 직장여성 30명을 대상으로 10명을 한 1개군으로 하여 3개군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각각 안면 우측 및 좌측에 매일 아침, 저녁으로 2회씩 한 달간 도포하게 한 후, 한 달 뒤의 피부 탄력을 측정하였다. 피부 탄력은 통상과 같이 cutometer(MPA 580, Courage+Khazaka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얼굴 부위의 탄력을 측정하여 도포 전과 도포 후를 비교하여 개선도(%)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으며, 결과는 각 군에 대한 개선도의 평균치이다.
비 고 피부탄력 개선도 (%)
실시예 1 38.4
실시예 2 77.1
비교예 1 5.7
상기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목단피 추출물이 함유된 실시예 1 및 2는 비교예에 비하여 피부 탄력이 매우 향상됨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인중합체가 다량 함유된 실시예 2의 경우 피부 탄력 개선 정도가 상당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서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예를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하기의 제형예들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 스킨로션 >
하기 [표 12]에 보인 성분과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스킨로션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 (중량%)
제조예 16 5.0
1,3-부틸렌글리콜 5.2
올레일알코올 1.5
에탄올 3.2
폴리솔베이트 20 3.2
벤조페논-9 2.0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글리세린 3.5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2]
< 로션 >
하기 [표 13]에 보인 성분과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로션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 (중량%)
제조예 16 5.0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1.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0.8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3
폴리솔베이트 60 1.0
미네랄오일 5.0
사이크로메치콘 3.0
디메치콘 0.5
알란토인 0.1
글리세린 5.0
알코올 2
프로필렌글리콜 3.0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3]
< 에센스 >
하기 [표 14]에 보인 성분과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 (중량%)
제조예 16 5.0
1,3-부틸렌글리콜 4.0
글리세린 3.0
알란토인 0.5
판테놀 0.1
EDTA-2Na 0.01
에탄올 5.0
트리에탄올아민 1.5
스쿠알란 2.0
밀납 2.5
폴리솔베이트60 3.5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4]
< 팩 >
하기 [표 15]에 보인 성분과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팩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 (중량%)
제조예 16 5.0
에틸알코올 3.0
EDTA-2Na 0.05
프로필렌 글리콜 5.0
글리셀린 4.5
카보폴 1.5
폴리옥사이드 0.2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5]
< 마사지 크림 >
하기 [표 16]에 보인 성분과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 (중량%)
제조예 16 5.0
글리세린 4.0
바세린 3.5
트리에탄올아민 0.5
유동파라핀 24.0
스쿠알란 3.0
밀납 2.1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폴리솔베이트 60 2.4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3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6]
< 샴푸 >
하기 [표 17]에 보인 성분과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샴푸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 (중량%)
제조예 16 5.0
알킬황산염 (30%) 25.0
알킬에텔황산염 (30%) 20.0
알킬아미도베타인 (30%) 5.0
프로필렌글리콜 3.0
라우라미드이에이 4.0
EDTA-2Na 0.1
폴리쿼터늄-10 0.05
NaCl 0.1
구연산 2.4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7]
< 바디 클렌저 >
하기 [표 18]에 보인 성분과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바디 클렌저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 (중량%)
제조예 16 5.0
알킬에텔당산염 (30%) 30.0
알킬에텔설포석신산염 (30%) 20.0
알킬아미도베타인 (30%) 5.0
프로필렌글리콜 5.0
베타인 5.0
라우라미드디이에이 4.0
셀룰로스검 0.05
가수분해단백질 0.1
구연산 미량
NaCl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Claims (2)

  1. 목단피 추출물이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 중에,
    상기 목단피 추출물은 물, 알콜계 및 글리콜계를 포함하는 혼합 추출용매로부터 추출되고,
    상기 알콜계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글리콜계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물, 알콜계 및 글리콜계는 2: 1: 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목단피로부터 인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목단피 추출물은 10.0~17.4 ng/ml 농도의 인중합체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단피 추출물은 목단피의 중량 10 내지 30배의 양으로 상기 혼합 추출용매를 가한 후, 50~100℃의 온도에서 5~20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80109485A 2008-11-05 2008-11-05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82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485A KR100882744B1 (ko) 2008-11-05 2008-11-05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485A KR100882744B1 (ko) 2008-11-05 2008-11-05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336A Division KR20080098925A (ko) 2007-05-08 2007-05-08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065A KR20080108065A (ko) 2008-12-11
KR100882744B1 true KR100882744B1 (ko) 2009-02-23

Family

ID=4036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485A KR100882744B1 (ko) 2008-11-05 2008-11-05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7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801A (ko)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식물 복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003B1 (ko) * 2017-07-31 2019-06-17 주식회사 솔레온 모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499290B (zh) * 2021-07-15 2022-06-17 广州环亚化妆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舒缓、修护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855599B (zh) * 2021-10-28 2023-06-23 济南泽润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美白抗炎的牡丹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在化妆品中的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187A (ko) * 1999-04-24 2000-11-15 김상회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KR20020050414A (ko) * 2000-12-21 2002-06-27 조명재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
KR20030064059A (ko) * 2002-01-25 2003-07-31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20030068040A (ko) * 2002-01-26 2003-08-19 (주)마이크로 사이언스 테크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187A (ko) * 1999-04-24 2000-11-15 김상회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KR20020050414A (ko) * 2000-12-21 2002-06-27 조명재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
KR20030064059A (ko) * 2002-01-25 2003-07-31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20030068040A (ko) * 2002-01-26 2003-08-19 (주)마이크로 사이언스 테크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801A (ko)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식물 복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065A (ko) 200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3743B1 (ko) 음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33832B1 (ko) 홍삼 또는 인삼 유래 진세노사이드 알이와 알에이치투 복합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078888B1 (ko) 조직배양한 에키네시아 부정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82744B1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74115B1 (ko) 백리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54695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5166A (ko) 바다수선화 추출물과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20896B1 (ko) 블루로터스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8925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43976B1 (ko) 흑효모 발효 발아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6417A (ko) 참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9578B1 (ko) 제주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632084B1 (ko)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44947B1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71009B1 (ko) 왕자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101996547B1 (ko) 산하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30090188A (ko) 락테이트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0538078B1 (ko) 산삼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0713557B1 (ko) 상지 추출물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7425B1 (ko) 갯버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88463A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78865B1 (ko) 상지 추출물 및 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55418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j2k-351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된 천심련 및 바위손의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