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003B1 - 모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003B1
KR101990003B1 KR1020170097199A KR20170097199A KR101990003B1 KR 101990003 B1 KR101990003 B1 KR 101990003B1 KR 1020170097199 A KR1020170097199 A KR 1020170097199A KR 20170097199 A KR20170097199 A KR 20170097199A KR 101990003 B1 KR101990003 B1 KR 101990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ony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mixtur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3121A (ko
Inventor
윤기훈
지용하
박지은
권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레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레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레온
Priority to KR1020170097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003B1/ko
Publication of KR20190013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란의 특정 부위만을 개별적으로 추출하여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모란의 각 부위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한 성분들을 하나의 공정으로 동시에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특히, 목단피, 모란꽃, 모란잎 및 모란줄기를 건조시키는 A단계; 건조된 목단피, 모란꽃, 모란잎 및 모란줄기를 분쇄하는 B단계; 분쇄된 목단피, 모란꽃, 모란잎 및 모란줄기를 혼합하여 모란 혼합물을 형성하는 C단계; 모란 혼합물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액상 혼합물을 형성하는 D단계; 및 액상 혼합물을 가열하여 모란 혼합 추출물을 열수 추출하는 E단계;를 포함하는 모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모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Manufacturing method of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aeonia suffruticosa mixed extracts for anti-oxidation and whitening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모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미백, 항산화 효능을 부여할 수 있는 천연 성분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멜라닌, 카로틴, 헤모글로빈의 양에 따라 결정되며, 그 중 멜라닌이 가장 결정적인 요소이다. 멜라닌은 표피 내 기저층에 존재하는 색소세포인 멜라닌 세포(melanocyte)에서 합성되고, 주변의 각질세포로 전이되어 피부색을 결정짓는다. 멜라닌이 비정상적으로 과잉 생산되면 기미나 주근깨를 생성하며, 이와 반대로 적게 생산되면 백반 등과 같은 피부 병변이 유발된다. 색소 침착은 외부로부터 자외선, 염증 등의 각종 자극에 의해 발생되며, 이 색소침착의 정도는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세포가 반응한 양이다. 자외선에 의한 색소침착 메커니즘의 중심이 되는 것은 티로시나제(tyrosinase)이다. 외부의 여러 자극들은 티로시나제 발현 촉진 인자로서 주목받고 있는 멜라닌세포 활성화 인자 및 염증계의 화학적 중개자로 있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의 단계적 연쇄반응 관련물질의 항진을 촉진시켜 색소침착을 유도한다.
또한, 사람의 피부는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부위로서, 과도한 자외선이나 오염 물질 등에 노출되면 활성산소나 프리라디칼이 생성되며, 생성된 활성산소나 프리라디칼에 의해 홍반, 부종, 뾰루지, 따끔거림, 가려움 등의 피부 자극 및 염증 반응이 유발된다. 이러한 원인들에 의해 생성된 피부 트러블은 미관상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염증 반응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들이 부수적으로 피부의 색소 침착을 일으키고, 피부 탄력 섬유의 붕괴를 촉진시켜 피부 주름의 증가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등 피부 노화에까지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활성산소 및 프리라디칼을 억제하는 것은 피부노화 화장료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오늘날에는 천연물(자연물)로부터 추출된 천연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양한 제품들을 이용하여 부작용을 줄이면서도 피부질환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즉, 사람의 피부에 대한 안정성이 보증되면서도 활성산소 억제 효과 및 항산화 효과가 강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미백 효과를 줄 수 있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한편, 목단피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98925호(2008.11.12. 공개)가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목단피로부터 유효성분을 고농도의 인중합체가 함유되도록 추출함으로써,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모란에 있는 뿌리껍질 부분만을 이용함으로써, 모란의 타 부위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한 성분들을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98925호(2008.11.12.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모란의 각 부위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한 성분들이 동시에 추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이 탁월한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가질 수 있는 모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목단피, 모란꽃, 모란잎 및 모란줄기를 건조시키는 A단계; 건조된 목단피, 모란꽃, 모란잎 및 모란줄기를 분쇄하는 B단계; 분쇄된 목단피, 모란꽃, 모란잎 및 모란줄기를 혼합하여 모란 혼합물을 형성하는 C단계; 모란 혼합물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액상 혼합물을 형성하는 D단계; 및 액상 혼합물을 가열하여 모란 혼합 추출물을 열수 추출하는 E단계;를 포함하는 모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란 혼합 추출물을 여과하는 F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단계에서, 모란 혼합물은, 목단피 0.5 내지 0.8중량부, 모란꽃 0.1 내지 0.4중량부, 모란잎 0.1 내지 0.4중량부 및 모란줄기 0.1 내지 0.4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D단계에서, 액상 혼합물은, 모란 혼합물 1 내지 5중량부에 대하여 증류수 95 내지 99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그리고, E단계에서, 모란 혼합 추출물은, 50 내지 80℃의 온도 범위에서 열수 추출될 수 있다. 여기서, 모란 혼합 추출물은, 3 내지 5시간 동안 열수 추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카테고리로써,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모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첫째, 모란의 특정 부위만을 개별적으로 추출하여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모란의 각 부위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한 성분들을 하나의 공정으로 동시에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모란의 특정 부위별로 별도로 추출물을 수득한 후 이들을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천연물 유래의 유효성분을 통해 피부노화 및 색소 침착 등의 피부 병변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천연성분을 통해 피부 미백, 항산화, 피부 주름 개선, 보습 등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천연성분을 통해 항균, 항노화, 피부노화 방지, 세포 재생, 활성산소 감소, 피부 안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다양한 화장료 제품에 응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평상시 자연스럽게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피부 병변 치료를 위해 약물 등을 발라줘야 한다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최적의 조건하에서 모란으로부터 충분한 양의 모란 혼합 추출물을 얻게 함으로써, 동일한 원물로부터 2차, 3차 추출 공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란 혼합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란 혼합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저해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란 혼합 추출물의 프리 라디칼 소거력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란 혼합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식물성 또는 동물성 물질을 농축하여 얻는 것으로서, 그 중 특정 활성성분을 적당한 용매로 분리한 후, 용매를 증발시키고 남은 덩어리나 가루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상기 용어 "추출물"은 각종 한약재 등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것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상기 추출물은 액상, 고상 또는 이들의 혼합형태일 수 있다.
모란(Paeonia suffruticosa Andrews)은 작약과의 잎지는 떨기나무이다. 모란은 높이가 1 ~ 2m이며, 한국에서는 함경북도를 제외한 각처에서 재배된다. 모란의 나무껍질은 흑회색이며, 가지는 굵고 털이 엷으며 성기게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2회3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달걀꼴 또는 달걀꼴 바소꼴로 길이 5 ~ 10cm이다. 뒷면은 잔털이 있고 흰색을 띤다. 5월에 새가지 끝에 흰색 또는 빨간 자줏빛이 도는 꽃이 1개 핀다. 꽃의 지름은 10 ~ 17cm이며 5 ~ 8장의 꽃잎이 달린다. 꽃잎은 거꿀달걀꼴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3 ~ 5개이며, 씨방은 밑부분이 꽃턱으로 둘러싸여 있다. 열매는 달걀꼴의 대과(袋果)로서 노란 갈색의 짧은 털이 빽빽이 나며, 10월에 익어 안쪽이 세로로 갈라진다. 모란의 뿌리껍질에는 페오놀(paeonol)과 그 배당체인 페오노시드(paeonoside), 페오놀리드(paeonolide), 페오니플로린(paeoniflor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페오놀은 페놀화합물로서, 알츠하이머 증상 개선효과, 항 돌연변이 활성, 심근경색 완화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모란의 줄기에는 페오놀은 없고 페오놀리드, 페오니플로린이 함유되어 이다. 모란꽃에는 펠라르고닌, 페오닌, 펠라르고닌 클로리드, 페오닌 클로리드가 함유되어 있다. 여기서, 페오니플로린은 피부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목단피는 모란의 뿌리껍질로 만든 약재를 말하며, 단피, 고왕, 고상, 백양김, 목작약, 모란, 모란뿌리껍질로도 불린다. 목단피는 관상의 껍질조각으로 바깥면은 어두운 갈색 또는 자색을 띤 갈색이며, 가로로 길고 작은 타원형의 겉뿌리 자국과 세로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안쪽면은 엷은 회갈색이나 어두운 자색을 띠고 편평하며 꺾은 면은 거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목단피의 안쪽면 및 꺾은 면에는 때로 흰색의 결정이 붙어 있는 경우도 있다. 목단피는 진통, 진정, 해열, 항경련, 항염증, 항혈전, 항알레르기, 위액분비억제, 자궁점막충혈, 항균작용 등의 약리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목단피의 중요한 약리작용 물질은 페오놀과 그 배당체이다. 특히, 페오놀은 모란의 뿌리에만 있고 줄기와 꽃에는 없는 성분이다.
<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모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하, '화장료 조성물'이라 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목단피, 모란꽃, 모란잎 및 모란줄기를 건조하여 준비한다(A단계).
다음으로, 건조된 목단피, 모란꽃, 모란잎 및 모란줄기를 분쇄한다(B단계). 여기서, 목단피, 모란꽃, 모란입 및 모란줄기는 모란의 유효성분의 추출 수율을 높일 수 있도록 분쇄기를 사용하여 적당한 크기로 분쇄할 수 있으며, 50 내지 200메쉬의 크기 정도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분쇄된 목단피, 모란꽃, 모란잎 및 모란줄기를 혼합하여 모란 혼합물을 형성한다(C단계). 여기서, 모란 혼합물은, 목단피 0.5 내지 0.8중량부, 모란꽃 0.1 내지 0.4중량부, 모란잎 0.1 내지 0.4중량부 및 모란줄기 0.1 내지 0.4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한다. 이는 목단피에 함유되어 있는 페오놀과 모란꽃, 모란잎, 모란줄기에 함유되어 있는 페오닌, 페오니플로린 등이 화장료 조성물에 모두 포함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목단피, 모란꽃, 모란잎 및 모란줄기의 혼합비율은 대략 3:1:1: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모란 혼합물에 목단피의 혼합 비율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목단피 추출물에 의한 시너지 효과가 미흡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더라도 항산화 증진 효과가 높지 않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모란 혼합물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액상 혼합물을 형성한다(D단계). 여기서, 액상 혼합물은 모란 혼합물 1 내지 5중량부에 대하여 증류수 95 내지 99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한다. 바람직하게는, 모란 혼합물 1.2중량부에 대하여 증류수 98.8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모란 혼합물의 비율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한번의 열수 추출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모란 혼합 추출물의 양이 너무 적어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아래의 특정 온도 및 시간 조건 하에서 모란 혼합물로부터 유효성분들이 충분히 추출될 수 없기 때문에 동일한 모란 혼합물에 대해 열수 추출하는 반복 횟수를 늘려야 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액상 혼합물을 가열하여 모란 혼합 추출물을 열수 추출한다(E단계). 여기서, 모란 혼합 추출물은, 50 내지 80℃의 온도 범위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다. 이는 모란 혼합 추출물의 추출온도가 50℃ 미만이면 모란 혼합 추출물의 추출 수율이 너무 낮아지는 문제가 있으며, 추출온도가 80℃를 초과하면 모란 혼합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파괴되어 페오니플로린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추출시간이 3시간 미만이면 모란 혼합 추출물을 충분히 수득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추출시간이 5시간을 초과하면 모란 혼합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파괴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E단계에서의 추출은 수회 반복할 수 있으며, 특히 3 ~ 4회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반복 추출을 통해 충분한 양의 모란 혼합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모란 혼합 추출물을 여과한다. 여기서, 모란 혼합 추출물은 2㎛ 여과지로 여과한다(F단계).
<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모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제조된 모란 혼합 추출물을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치, 및 분무제 등으로 형성되는 화장료 제형에 첨가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화장료 조성물에는 모란 혼합 추출물 이외에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담체와 같이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재료들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모란 혼합 추출물은 본 발명인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모란 혼합 추출물의 합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모란 혼합 추출물로 인한 유효한 효과가 나타날 수 없으며,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피부 개선 효과의 증대 정도가 미미하고, 제형상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 실시예 비교예 ]
< 실시예 1> 모란 혼합 추출물의 제조
먼저, 시중에서 구입한 목단피, 모란꽃, 모란잎, 모란줄기를 서늘한 그늘에서 건조하였다. 그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건조한 목단피, 모란꽃, 모란잎, 모란줄기를 곱게 분쇄한 후, 목단피, 모란꽃, 모란잎, 모란줄기를 3:1:1:1의 비율로 혼합한 모란 혼합물을 제조하고, 모란 혼합물과 증류수의 중량비가 1:82가 되도록 모란 혼합물에 증류수를 가한 다음, 70℃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함으로써 모란 혼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후, 모란 혼합 추출물을 0.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 비교예 1 내지 4> 모란 단일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각 모란 단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4>의 추출물에 사용된 모란의 각 부분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구 분 추출물에 사용된 모란의 부분
실시예 1 목단피, 모란꽃, 모란잎, 모란줄기
비교예 1 목단피
비교예 2 모란꽃
비교예 3 모란잎
비교예 4 모란줄기
[실험 결과]
1. 항산화 효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펜톤 반응에 의한 지질과산화 반응계를 이용한 티오부틸레이트아세트산(TBA) 시험 방법을 통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에틸리놀레이트 10㎖, 0.2% 도데실황산염, 염화제이철 10μmol, 과산화수소 2μmol를 함유하는 25mM 트리스 완충용액/0.27mM 칼륨 완충용액 5ml에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4>의 각 모란 추출물 0.05g을 용해시킨 도데실메틸 황산화염 0.1ml을 가한 다음, 55℃에서 16시간 배양 후, 4% 부틸히드록실톨루엔 50㎕를 가하고, 이를 원심분리한 후 53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모란 혼합 추출물이 아닌 모란 단일 추출물을 대조군으로 하여 항산화 효과(%)를 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구 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항산화 효과
(%)
87.5 47.5 38.2 15.4 13.8
상기 [표 2] 및 도 2의 그래프에 나타나 바와 같이, 모란 혼합 추출물은 모란 단일 추출물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미백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모란 혼합 추출물과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모란 단일 추출물을 대조군으로 하여 티로시나제 저해력 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L-티로신(L-Tyrosine, 0.3㎎/mL) 1.0mL에 칼륨 인산염 완충 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 solution, pH 6.8, 0.1M) 1.0mL와 동일 농도의 모란 혼합 추출물과 모란 단일 추출물 0.9 mL을 상온조건에서 넣고 37℃에서 10~20분간 유지하였다. 그 후 티로시나제(Tyrosinase, 1250 units/mL) 0.1 mL를 넣고 10분간 유지하였다. 10분 경과 후 꺼내서 얼음물로 구성된 냉동조건에서 반응을 종결시켰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4>의 각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는 아래의 <수학식 1>로 계산하였다.
<수학식 1>
티로시나제 저해율 = [1 - (각 농도 혼합 식물 추출물의 효소 활성도/대조군의 효소 활성도)] X 100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대해 측정된 티로시나제 저해율은 아래의 [표 3]과 같다.
구 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모란 혼합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모란꽃
추출물
모란잎
추출물
모란가지
추출물
티로시나제
저해율(%)
94 50 41 40 35
상기 [표 3] 및 도 3의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티로시나제 저해력은 모란 혼합 추출물이 같은 농도에서 비교예들인 모란 단일 추출물 각각에 대하여 월등히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제 멜라닌 생성의 초기 단계인 티로시나제 저해력 활성능에서도 본 발명의 모란 혼합 추출물이 모란 단일 추출물에 비해 큰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3. 프리 라디칼 소거력 효과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모란 혼합 추출물과 단일 모란 추출물을 대조군으로 하여 프리 라디칼 소거력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60μM의 디펜닐피크릴히드라질(DPPH)용액 2mL에 모란 혼합 추출물과 단일 모란 추출물들을 동일한 농도로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프리 라디칼 소거력을 구하였다. 프리 라디칼 소거력 측정 결과는 아래의 [표 4]와 같다.
구 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모란 혼합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모란꽃
추출물
모란잎
추출물
모란가지
추출물
프리 라디칼 소거력(%) 93 56 47 43 32
상기 [표 4] 및 도 4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리 라디칼 소거력은 동일한 농도에서 모란 혼합 추출물이 모란 단일 추출물에 비하여 월등히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멜라민 생성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모란 혼합 추출물과 모란 단일 추출물을 대조군으로 하여 멜라노마 B16의 멜라닌 생성 억제 작용으로 인한 미백 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의 멜라민 생성 저해율은 멜라노사이트 배양을 통하여 세포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B16 멜라노마 세포는 10, 소의 멜라노마 세포를 5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곳에서 2일간 배양하여 1.0 X 10 8 세포 / T25 플라스크가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다음 동일한 농도의 모란 혼합 추출물 및 각 모란 단일 추출물을 넣고 5 이산화탄소가 존재하는 곳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그 후 트립신을 첨가하여 세포들을 수거한 후 세포의 흑화 정도를 관찰하였다.
멜라닌이 생성되어 배출된 T25 플라스크의 상층액을 취해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멜라닌을 정량하고, 세포수는 수거된 세포:트립판 블루(tryphan blue) = 1:9의 비율로 혼합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살아있는 세포수를 세어 단위 세포당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정량하여 백분율로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멜라닌 생성 저해율에 대한 실험 결과는 아래의 [표 5]와 같다.
구 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모란 혼합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모란꽃
추출물
모란잎
추출물
모란가지
추출물
멜라닌 생성 저해율(%) 58 30 27 21 12
상기 [표 5] 및 도 5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일 농도에서의 모란 혼합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이 모란 단일 추출물에 비하여 월등히 우세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 인체에 대한 자극 실험( 폐쇄첩포실험 ) 결과
모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모란 혼합 추출물의 인체에 대한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인체 첩포시험(closed patch test)을 통하여 자극시험을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수), 모란 혼합 추출물 1%, 목단피 추출물 1%, 모란꽃 추출물 1%, 모란잎 추출물 1%, 모란가지 추출물 1% 시료를 만든 후에 각각 35㎎씩 Van der Bend chamber에 적용시킨 후, 시험부위에 얹어 고정시켰다. 48시간 동안 피부에 첩포하였으며, 첩포를 제거한 후에는 marking pen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여 각각 30분 경과 후, 24시간 경과 후, 120시간 경과 후에 시험부위를 관찰하였다.
피부반응은 국제 접촉피부염연구회 (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의 평가기준에 따라 자극정도를 분류하였다 [표 6]. 평균 피부반응도 계산공식에 따라 mean score를 산정한 후, 피부첩포 시험 결과 판정표에 따라 자극 유무를 판정하였다. 국제 접촉피부염연구회(ICDRG)의 평가기준은 아래의 [표 6]과 같다.
기호 피부반응 평가기준 해석 SCORE
- Negative reaction : 무자극 무자극 0
± Doubtful or
slight reaction : 미자극
희미한 또는 가까스로 감지할 수 있는 가벼운 홍반 0.5
+ Weak(non-vesicular) positive reaction : 경자극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구진 1
++ Strong(vesicular) positive reaction : 중자극 뚜렷한 홍반, 구진, 소수포 2
+++ Extreme positive reaction : 강자극 심한 홍반, 대수포, 가피형성 3
한편, 피부 첩포 시험 결과의 판정표는 아래의 [표 7]과 같다.
판정 mean score
무자극 0.00 ~ 0.75
미자극 0.76 ~ 1.50
경자극 1.51 ~ 2.50
중자극 2.51 ~ 4.00
강자극 4.01 ~
※ 평균 피부반응도 계산 공식
Figure 112017073877790-pat00001
Figure 112017073877790-pat00002
i = 첩포 제거 후 30분 경과 후 연구 대상자 수
j = 첩포 제거 후 24시간 경과 후 연구 대상자 수
k = 첩포 제거 후 120시간 경과 후 연구 대상자 수
(score i, j, k = 첩포 제거 후 30분 경과 후, 24시간 경과 후, 120시간 경과 후 각각의 평가결과를 ICDRG 평가기준에 따라 score로 표기한 점수. 홍반과 부종, 두 가지 반응에 대하여 모두 적용)
본 시험에서는 연구대상자 31명을 선정하여 피부 첩포 시험(patch test)을 수행하였다. 피부 첩포 시험 결과는 아래의 [표 8]과 같다.

구분

반응지수

반응도

평균피부
반응도
30min 24hr 120hr
실시예 1 0 0.0 0.0 0.0 0.0
비교예 1 0 0.0 0.0 0.0 0.0
비교예 2 0 0.0 0.0 0.0 0.0
비교예 3 0 0.0 0.0 0.0 0.0
비교예 4 0 0.0 0.0 0.0 0.0
상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는 모두 피부 무자극 제품군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목단피, 모란꽃, 모란잎 및 모란줄기를 건조시키는 A단계;
    상기 건조된 목단피, 모란꽃, 모란잎 및 모란줄기를 분쇄하는 B단계;
    상기 분쇄된 목단피 0.5 내지 0.8중량부, 모란꽃 0.1 내지 0.4중량부, 모란잎 0.1 내지 0.4중량부 및 모란줄기 0.1 내지 0.4중량부를 혼합하여 모란 혼합물을 형성하는 C단계;
    상기 모란 혼합물 1.2중량부에 증류수 98.8중량부를 첨가하여 액상 혼합물을 형성하는 D단계;
    상기 액상 혼합물을 50 내지 80℃의 온도 범위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하여 모란 혼합 추출물을 열수 추출하는 E단계; 및
    상기 모란 혼합 추출물을 여과하는 F단계;를 포함하는 모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의해 제조된 모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97199A 2017-07-31 2017-07-31 모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0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199A KR101990003B1 (ko) 2017-07-31 2017-07-31 모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199A KR101990003B1 (ko) 2017-07-31 2017-07-31 모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121A KR20190013121A (ko) 2019-02-11
KR101990003B1 true KR101990003B1 (ko) 2019-06-17

Family

ID=65369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199A KR101990003B1 (ko) 2017-07-31 2017-07-31 모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0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618B1 (ko) * 2019-12-30 2022-02-09 (주)유비아이코퍼레이션 목단화 및 일라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616999A (zh) * 2020-06-15 2020-09-04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牡丹舒缓抗敏精华液的制备方法及精华液
US11925701B2 (en) 2020-10-27 2024-03-12 Tci Co., Ltd. Method for skin conditioning by using Dan Feng peony extract
KR102351384B1 (ko) * 2021-10-21 2022-01-14 (주)에버코스 모란, 녹나무잎, 비타민 나뭇잎 및 병풀을 이용한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재생, 항염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903823B (zh) * 2022-02-24 2024-04-16 龙池牡丹实业有限公司 一种含牡丹纤维的无纺面膜布及其制作方法
CN115120543B (zh) * 2022-07-21 2023-11-10 菏泽市亿鑫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槐角、酵母菌发酵液的舒敏组合物及其制备和应用
CN116235947A (zh) * 2023-02-28 2023-06-09 天宝牡丹生物科技有限公司 含有牡丹叶及牡丹花粉的产品及应用
CN116159006B (zh) * 2023-03-03 2023-12-19 广州美兮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富含多种牡丹成分的组合物及其应用
CN117045564B (zh) * 2023-10-11 2024-01-26 北京世纪伟信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含牡丹提取物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8925A (ko) 2007-05-08 2008-11-12 (주)더페이스샵코리아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82744B1 (ko) * 2008-11-05 2009-02-23 (주)더페이스샵코리아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 Vol. 19, pp. 299-307 (199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121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003B1 (ko) 모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8916B1 (ko) 피부 생기 부여 및 활력 증대를 위한 식물세포 컴플렉스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8B1 (ko)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43588B1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1319997B1 (ko) 분홍바늘꽃 및 구슬꽃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74556B1 (ko) 둥근마, 신선초, 오크라 및 토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101078888B1 (ko) 조직배양한 에키네시아 부정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31988A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6437297B2 (ja) 特定の波長域を有する光を照射して栽培したセージの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や内用剤
KR101415996B1 (ko)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17084A (ko) 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라마이드 생합성 촉진 및 피부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0696B1 (ko) 사삼, 고본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724146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품 조성물
KR20130102712A (ko)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KR102632084B1 (ko)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6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93901B1 (ko)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550275B1 (ko) 거북으로부터 아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아교를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7151A (ko) 강황잎 및 황촉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18180B1 (ko) 조직배양한 라울리아 오스트라리스 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74248B1 (ko) 왕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46994A (ko) 제주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