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996B1 -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996B1
KR101415996B1 KR1020100060310A KR20100060310A KR101415996B1 KR 101415996 B1 KR101415996 B1 KR 101415996B1 KR 1020100060310 A KR1020100060310 A KR 1020100060310A KR 20100060310 A KR20100060310 A KR 20100060310A KR 101415996 B1 KR101415996 B1 KR 101415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volcanic stone
skin
bambo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134A (ko
Inventor
김지은
김연준
홍연주
유이정
정종엽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060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996B1/ko
Publication of KR20120000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산석 송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에서 과잉으로 분비되는 피지 분비를 억제하고, 활성 산소의 제거 및 콜라겐의 합성 촉진을 통해 모공을 축소시키며, 피부 염증 인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피지 조절, 모공 축소 및 피부 트러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coria}
본 발명은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산석 송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에서 과잉으로 분비되는 피지 분비를 억제하고, 활성 산소의 제거 및 콜라겐의 합성 촉진을 통해 모공을 축소시키며, 피부 염증 인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피지 조절, 모공 축소 및 피부 트러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피 및 얼굴을 포함한 피부에서 피지는 피부의 보습유지나 미생물의 침입을 막는 역할을 맡고 있지만, 사춘기 이후에는 여드름을 촉진시키게 된다. 특히, 30대 이후의 여성의 경우는 피지의 과잉분비로 인하여 피부의 번들거림과 화장의 들뜸, 그리고 모공확대와 같은 문제를 유발하기도 한다. 이러한 피지의 과잉분비에 대한 원인은 다양하지만, 그 가운데에 피지선의 활성에 있어 피지 분비를 촉진하는데 관여하는 호르몬 가운데 하나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양에 의해서 피지선의 세포가 활성화되어 피지 과분비가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5α-리덕테이즈(5α-Reductase)는 피지선, 모낭, 전립선, 부고환등의 남성 호르몬 반응성 조직에서 존재하며, 남성 호르몬들 중의 하나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을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 DHT)로 환원시키는데 관여하는 효소로서 그 전환에는 엔에이디피에이치(NADPH)를 필요로 한다. 골격근 증가와 정자형성 등에는 테스토스테론이 관여하고, 여드름, 피지증가 및 전립선비대증 등에는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이 해당 조직에서 관여한다고 알려졌다(Diane et al; J. Invest Dermatol. 775-778, 1995. Bruchovsky, N et al; J.B.C. 243, 2112-2121, 1968). 또한, 피부의 피지선에서는 테스토스테론이 5α-리덕테이즈에 의해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되어 세포질 내에 있는 수용체 단백질(Receptor)과 결합하여 핵내로 들어가 피지선 세포를 활성화하여 분화가 촉진됨으로써 피지선 내의 피지를 과분비한다(Diane et al; J. Invest Dermatol. 105; 209-214).
활성 산소종은, 특히 피부노화의 원인 물질로 작용하고 있다. 피부는 자외선에 노출되어 활성 산소종을 만드는 광화학적 반응들이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다. 이들 활성 산소종들은 피부 세포 및 조직 손상을 주도한다. 이들은 항산화 효소와 비효소적인 항산화제들로 구성된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함으로써 산화제/항산화제 균형을 산화상태 쪽으로 기울게 한다. 결과적으로 계속된 산화적 스트레스는 지질 과산화, 단백질 산화, 피부 구성 성분을 파괴시키는 단백질 분해 효소의 활성화, 탄력 섬유인 콜라겐 엘라스틴의 사슬 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 결합, 히아루론산 사슬의 절단, 멜라닌 생성 반응 촉진, DNA 산화와 같은 생체 구성 성분들의 손상을 야기한다. 이러한 생체 구성 성분의 손상으로 여러 가지 노화 현상들이 나타나는데 주름 생성, 탄력 감소와 같이 잘 알려진 노화현상 외에도 모공 넓어짐도 노화 현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주름 감소, 탄력 감소와 같은 노화 현상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모공과 관련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다. 하지만 모공 넓어짐의 가장 중요한 원인 역시 산화적 스트레스이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따른 피부의 구조적 변화를 살펴보면, 피부의 구성성분인 표피, 진피 및 피하조직의 두께가 얇아진다. 또한, 피부의 탄력과 인장을 담당하는 진피 조직의 세포외 기질(ECM; extracelluar matrix) 성분이 변화하게 된다. ECM은 크게 두 가지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ECM 전체의 약 2~4%를 차지하는 탄력섬유인 엘라스틱 섬유(elastic fiber)이며, 또 다른 하나는 ECM 전체의 약 70~80%를 차지하고 있는 콜라겐이다. 콜라겐은 산화적 스트레스의 영향으로 분해되어 결과적으로 피부 내의 콜라겐이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모공 주변의 세포외 기질이 줄어들게 되고, 결과적으로 모공이 넓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모공이 넓어지는 것을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은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것이고, 넓어진 모공을 줄여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모공 주변의 콜라겐의 생성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모공 넓어짐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는 않지만 산화적 스트레스를 막아 줄 수 있는 항산화 물질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실제로 많은 항산화제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비타민 C와 비타민 E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항산화제이다. 비타민 C는 수용성 항산화제이고, 비타민 E는 지용성 항산화제이다. 하지만 이들 항산화제들은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지만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공기 중에 노출되면 쉽게 산화 변질되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다. 또 한가지 생각할 수 있는 항산화제는 폴리페놀이다. 하지만 폴리페놀 역시 불안정성을 나타내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도시 지역과 산업단지에서는 자동차 배출가스, 중국 동부 공업지대를 지나며 미세 중금속 가루를 포함해 날아온 황사 또는 외부 오염물이 사람들의 피부를 오염시키며 피부 노화 및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는 주로 오염 물질에 함유된 중금속과 미세먼지로 인한 것이다.
상기 중금속은 수은, 카드뮴, 납 및 구리와 같은 비중이 4 이상인 모든 금속류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생체 내로 흡수되면 생체 내 물질과 결합하여 잘 분해되지 않는 유기복합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몸 밖으로 빨리 배출되지 않고 간장, 신장 등의 장기나 뼈에 축적되는 성질이 강한 물질이다. 소량의 중금속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후지마비, 이상운동, 운동실조, 피부의 색소침착 및 각질화, 발톱 또는 발굽 및 모발의 위축결손, 생식기능장해, 기형출산, 성장 저하 및 면역기능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피부에서는 이러한 유해 중금속 미세 분진들이 대기 중에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질소산화물(NO), 황산화물(SO) 등과 같은 유해물질을 추가로 생성해 피부의 염증성 물질인 시토카인 등을 증가시키고 아토피나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다.
현재의 체내 중금속 제거 방법은 EDTA(ethylene diamine tetraacetate) 및 BAL(British Anti-Lewisite)과 같은 착화합물 형성물질을 주사하여 체내에 축적되어 있는 중금속과 결합하게 하여 중금속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방법 또는 비타민 B1, 비타민 C 및 비타민 E을 복용하여 중금속의 체내 흡수를 막고 배출도 용이하게 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하지만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피부 표면에 축적되어 있는 중금속을 제거하는 방법은 없다. 미세먼지는 클렌징으로 어느 정도는 제거가 가능하지만, 미세할수록 흡착력이 강하기 때문에 모공에 깊숙이 스며든 미세먼지를 일반 클렌징으로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한 실정으로 피부 트러블을 유발시킬 수 있는 염증 인자의 조절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피지 조절, 모공 축소 및 피부 트러블 억제 효과가 높은 천연물을 찾고자 연구를 매진하던 중, 화산석 송이가 피지 조절, 모공 축소 및 피부 트러블 억제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안전한 천연물을 함유하여 피지 조절, 모공 축소 및 피부 트러블 억제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산석 송이(Scori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조절, 모공 축소 및 피부 트러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여 피부에 적용 시 과잉으로 분비되는 피지를 억제하고, 활성 산소 제거와 콜라겐 합성 촉진을 통하여 모공을 축소시키며, 염증 인자의 발현을 감소 효능시켜 피부 트러블을 억제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화산석 송이와 함께 삼나무 추출물, 유채꽃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또는 녹차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면 보다 향상된 피지 조절, 모공 축소 및 피부 트러블 억제 효능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산석 송이의 자외선에 의한 각질형성세포의 활성 산소종의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화산석 송이(Scori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조절, 모공 축소 및 피부 트러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화산석 송이(Scoria)는 우리나라 제주도에만 있는 화산재의 일종으로, 제주 전역에 걸쳐있는 기생화산(오름) 생성 시 산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제주도내 매장량은 약 200억 m3로 거의 무한대의 자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화산석 송이는 천연 상태에서 원적외선 방사 92~93%, 탈취율 97%, 향균 곰팡이 99.9%의 대장균을 퇴치하는 성능을 가진 천연 소재로, 근간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옥, 황토, 맥반석, 게르마늄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 최고의 기능을 갖춘 천연 소재이다.
본 발명의 화산석 송이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으며, 그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농약 등에 오염되지 않은 지역에서 채취한 송이를 용도에 따라 입자 크기를 다양하게 분쇄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150℃ 이상의 온도에서 건열 멸균시켜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 추출물, 유채꽃(Brassica camperstris(rapeseed) flower) 추출물, 대나무(Bambusa vulgaris) 추출물 및 녹차(Camellia sinensis leaf)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는 연평균기온 12~14℃, 강우량 3,000mm 이상 되는 계곡에서 잘자라며 높이 40m, 지름 1~2m에 달한다. 수피는 붉은빛을 띤 갈색이고 세로로 갈라지며 가지와 잎이 빽빽이 나서 원뿔 모양의 수형이 된다. 잎은 굽어진 바늘 모양이고 나선 모양으로 배열하며 말라도 떨어지지 않는다. 자웅동주로 꽃은 3월에 핀다. 수꽃은 작은 가지 끝에 모여 달리며 암꽃이삭은 공 모양으로 짧은 가지 끝에 1개씩 달리고 자줏빛을 띤 녹색의 포가 있다. 열매는 구과로서 목질이고 거의 둥글며 길이 2~3cm이다. 열매조각은 두꺼우며 끝에 뾰족한 돌기가 있다. 종자는 열매조각 밑부분에 2~6개씩 들어 있고 긴 타원형이며 둘레에 좁은 날개가 있다. 삼나무는 수피의 색깔과 갈라지는 상태, 수형, 가지의 각도, 잎의 색깔·형태와 길이, 굽는 정도, 생육지 등에 따라 여러 가지 변이가 있다. 원예품종과 조림용 품종이 있으며 수령이 길기 때문에 각종 전설이 깃들여 있는 종류도 많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채꽃(Brassica camperstris(rapeseed) flower)는 겨자과 두해살이풀로서 꽃은 3~4월에 총상꽃이 차례로 피며 가지 끝에 달린다. 높이가 80~130cm이고, 표면은 매끄러우며 녹색이다. 원줄기에서는 15개 안팎의 1차 곁가지가 나오고, 이 가지에서 다시 2~4개의 2차 곁가지가 나온다. 잎은 바소꼴이고 끝이 둔하다. 아래쪽 줄기에 달린 잎은 긴 잎자루가 있으며 잎가장자리는 깊게 갈라진다. 위쪽 줄기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줄기를 둘러싸고 그 끝은 가늘다. 서양종의 잎은 두껍고 혁질(가죽 같은 질감)이며, 보통종은 연한 녹색이고 잎살이 비혁질이다. 줄기에는 보통 30~50개의 잎이 붙는다. 종자에는 38~45%의 기름이 들어 있는데, 15~20%의 가용성 질소질과 20% 가량의 단백질이 들어 있는 식용유로서 콩기름 다음으로 많이 소비하고 있으며, 깻묵은 사료나 비료로 쓴다. 꽃은 밀원식물(蜜源植物)이고, 종자에서 분리한 지방유를 연고기제, 유성주사약의 용제나 기계의 윤활유로 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대나무(Bambusa vulgaris)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벼과, Poaceae) 대나무아과(Bambusoid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의 총칭으로 키가 큰 왕대속만을 대나무라고 일컫는 경우도 있다. 한자로는 죽(竹)이라고 한다. 대나무가 북방으로 옮겨질 때 명칭도 중국 남방음이 따라 들어왔다. '죽(竹)'의 남방 고음이 '덱(tek)'인데 끝소리 'ㄱ' 음이 약하게 되어 한국에서는 '대'로 변천하였고 일본에서는 두 음절로 나누어져 '다케'로 되었다. 전세계적으로 분포하나 주로 열대 지방에서 자라며 특히 아시아의 계절풍 지대에 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중부이남과 제주도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키가 큰 왕대속의 경우에는 높이 30m, 지름 30cm까지 자라기도 한다. 줄기가 꼿꼿하고 둥글며 속이 비어 있다. 생장 방법은 땅 속 줄기는 옆으로 뻗어 마디에서 뿌리와 순을 틔움으로써 자연 번식한다. 잎은 좁고 길다. 습기가 많은 땅을 좋아하고 생장이 빠르다. 또한 좀처럼 꽃이 피지 않지만, 필 경우에는 전 대나무밭에서 일제히 핀다. 대나무의 꽃은 대나무의 번식과는 무관한 돌연변이의 일종으로 개화병(開花病) 혹은 자연고(自然故)라고도 한다. 개화 시기는 3년, 4년, 30년, 60년, 120년 등으로 다양하며, 대나무 밭 전체에서 일제히 꽃이 핀 후 모두 고사한다. 대나무는 건축재·가구재·낚싯대·식물 지지대를 비롯하여 바구니 등 죽세공품에 이르기까지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며 관상용으로 심기도 한다. 어린 순은 나물로 요리하여 먹는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녹차(Camellia sinensis leaf)는 동백나무과의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insis)의 싹이나 잎을 이용하여 차엽속에 존재하는 산화 효소를 화열(火熱)이나 증기로 처리함으로써 효소를 실활시켜 제조한 것이다. 녹차는 기원전부터 기호차로서 음용되어왔을 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 녹차에 함유된 여러 성분들의 약리적인 메커니즘이 점차 밝혀짐에 따라 그 가치가 재인식되고 있다. 폴리페놀, 카페인, 아미노산, 비타민 C 등의 유효 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숙취 및 니코틴 해독작용, 피로회복, 강심작용, 피부미용 등에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녹차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에 의한 항산화작용, 항암작용, 혈중콜레스테롤 저하작용, 항노화작용, 중금속 해독 작용, 충치 예방 및 구취제거 작용 등의 효과들이 입증되면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본 발명의 삼나무 추출물, 유채꽃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물과 1,3-부틸렌글리콜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추출 온도는 40℃가 바람직하며, 6~24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온도 및 추출 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화산석 송이, 삼나무 추출물, 유채꽃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80.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0.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그 함량이 0.0001중량% 미만이면 상기 성분에 의한 피지 조절, 모공 축소 및 피부 트러블 억제 효능이 미미하고, 80.0중량%를 초과하면 함량 증가에 비해 그 효능의 증가가 크지 않아서 오히려 비효율적이다.
현재까지 화산석 송이, 삼나무, 유채꽃, 대나무, 녹차 추출물은 서로 다른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할 때의 피지 조절, 모공 축소, 피부 트러블 억제 효능에 대해서는 공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피지 조절, 모공 축소 및 피부 트러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여 피부에 적용 시 과잉으로 분비되는 피지를 억제하고, 활성 산소 제거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모공을 축소시키며, 염증 인자의 발현 감소로 피부 트러블을 억제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화산석 송이와 함께 삼나무 추출물, 유채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께 사용한 경우에는 이들의 상승작용으로 인해 피지 조절, 모공 축소, 트러블 억제 효능이 더욱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지억제용, 모공 축소용 또는 피부 트러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팩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이하, 시험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시험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5α-리덕테이즈 활성 억제 효과
성숙한 스프로그 다울리(Sprogue-Dawley) 웅성랫트(생후 7-8주)를 디에틸에테르로 치사시킨 후, 복부 전립선을 떼내어 결합조직을 제거하고, 완충액(0.32M sucrose, 0.1mM dithiothreitol, 20mM sodium acetate)을 첨가하여 잘게 자른 다음, 분쇄기로 현탁화하였다. 현탁액은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해 5α-리덕테이즈를 부분 정제하여, 이 효소의 활성도 억제 실험을 수행하였다.
위에서 얻은 상층액의 일부를 취하여 0.2M 일염기산과 0.2M 이염기산이 들어있는 완충액에 넣은 후, 동위원소인 3H가 붙어있는 기질(테스토스테론)과 함께 반응시켜 생성물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반응용액은 1mM 디티오트레이톨, 40mM 나트륨 포스페이트(pH 6.5), 50μM NADPH, [1,2,6,7-3H]테스토스테론/테스토스테론(2.2X109몰), 효소현탁액(0.8mg)을 넣어 총 부피가 565 ㎕가 되도록 하였다.
시료는 10% 에탄올에 0.1%가 되도록 녹인 후, 위의 반응용액을 5.65㎕ 첨가하여 최종 농도가 0.001%가 되도록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같은 부피의 용매, 양성 대조군으로는 리보플라빈을 이용하였다.
반응은 효소현탁액을 부가함과 함께 시작하여 37℃에서 30분간 진행시킨 후, 1㎖의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추출하였으며, 100㎕의 에틸아세테이트상을 실리카 플라스틱시트 카이젤겔 60에프 254 (Silica plastic sheet kieselgel F254)상에서 전개 용매계는 아세테이트-사이클로헥산(1:1)으로 하여 전개하였다.
플라스틱 시료를 공기 중에서 건조한 후, 동위원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바스 시스템을 사용하였는데, 건조된 플라스틱 시트와 엑스레이 필름을 함께 바스 카셋트에 넣어 1주일 후에 필름에 남아있는 테스토스테론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동위 원소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 사용된 화산석 송이(상품명: 화산석 송이, 제조사: ㈜바이오랜드)는 파우더 상으로 가공된 원료를 사용하였고, 삼나무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유채꽃 추출물(제조사: ㈜바이오랜드)은 각 시료의 건조 중량 100g을 각 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 3ℓ로 1일간 냉침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찌꺼기를 제거함으로써 수득하였다.
시료 T(dpm) DHT(dpm) 전환율(%) 저해율(%)
화산석 송이 8750 2873 22.4 53.3
화산석 송이 + 삼나무 추출물(1:1) 9150 2890 21.1 56.04
화산석 송이 + 유채꽃 추출물(1:1) 9320 2930 19.7 58.9
화산석 송이 + 대나무 추출물(1:1) 9280 2910 19.2 60.0
화산석 송이 + 녹차 추출물(1:1) 9420 2940 20.2 57.9
화산석 송이+삼나무추출물+유채꽃 추출물+대나무추출물+녹차추출물(1:1:1:1:1) 9830 2970 18.7 61.0
대조군 7430 5935 48.0 -
양성대조군 7500 2530 29.7 38.1
(1) T: 테스토스테론 영역에서 나타난 3H 방사능(Radio activity)
(2) DHT: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영역에서 나타난 3H 방사능(Radio activity)
(3) 전환율: DHT영역에의 방사능/총 방사능
(4) 저해율: 100*(대조군의 전환율-시료의 전환율) / 대조군의 전환율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산석 송이는 테스토스테론을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시켜 세포질 내에 있는 수용체 단백질과 결합해 핵 내로 들어가 피지선 세포를 활성화하고 분화를 촉진시킴으로써 피지선 내의 피지를 과분비시키는 5α-리덕테이즈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테스토스테론의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을 차단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산석 송이와 삼나무 추출물, 유채꽃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께 사용하면 화산석 송이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높은 5α-리덕테이즈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산석 송이 및 화산석 송이와 삼나무 추출물, 유채꽃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또는 녹차 추출물의 혼합물은 우수한 5α-리덕테이즈의 활성 억제 효과가 있어 피지의 과분비를 억제하는 데 효과적이다.
[실시예 1~6 및 비교예 1]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로션 제형의 실시예 1~6 및 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원료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1.세테아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1.0
2.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1.0 1.0
3.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SE 1.5 1.5 1.5 1.5 1.5 1.5 1.5
4.피토스쿠알란 3 3 3 3 3 3 3
5.하이드로지네이티드폴리데센 2 2 2 2 2 2 2
6.디메치콘 0.5 0.5 0.5 0.5 0.5 0.5 0.5
7.폴리소르베이트 60 1 1 1 1 1 1 1
8.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4 0.4 0.4 0.4 0.4 0.4 0.4
9.메칠파라벤 0.1 0.1 0.1 0.1 0.1 0.1 0.1
10.프로필파라벤 0.05 0.05 0.05 0.05 0.05 0.05 0.05
11.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12.부틸렌글리콜 5 5 5 5 5 5 5
13.폴리아크릴레이트-13* 폴리이소부텐* 폴리소르베이트 20 0.5 0.5 0.5 0.5 0.5 0.5 0.5
14.화산석 송이 1 1 1 1 1 1 -
15 삼나무 추출물 1 - 1 - - - -
16.유채꽃 추출물 1 - - 1 - - -
17.대나무 추출물 1 - - - 1 - -
18.녹차 추출물 1 - - - - 1 -
<실시예 1~6 및 비교예 1의 제조방법>
1) 상기 11~18 성분을 70℃까지 가열하면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수상 파트를 제조하였다.
2) 상기 1~10 성분을 70℃까지 가열하면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유상 파트를 제조하였다.
3) 상기 1)의 수상 파트에 상기 2)의 유상 파트를 투입하고 7,200rpm에서 6분간 호모믹싱하였다.
4) 상기 3)의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시험예 2] 피지 분비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의 피지 분비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피지 분비가 많다고 느끼는 피험자 남녀 10명을 선정하여 지정된 부위에 실시예 1~6 및 비교예 1의 로션을 4주간 매일 바르게 하였다. 피지 감소의 효과에 대한 판정은 피지량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서 나타내었다.
피지분비 억제 효과
피험자 2주 경과 후의 평균 피지 감소율(%) 4주 경과 후의 평균 피지 감소율(%)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1 22 18 19.1 19.2 19.5 20.2 10 24 20 22 21.7 23 21.5 8
2 24 21 22.2 21.7 22.5 21.6 7 29 23 25.2 26.1 24.8 25.8 7
3 21 15 18.7 16.2 17.1 18.3 8 25 18 21.3 23 24.1 21.7 7
4 19 17 18.1 16.0 17.2 18.5 5 23 20 21.2 21.7 22 22.1 5
5 21 17 20.3 17.3 17.9 18.3 7 26 22 24 23.7 24.1 25.2 10
6 22 20 21 20.1 20.2 20.5 6 27 20 22.6 23 25 23 5
7 18 14 17.8 14.3 16.1 15.7 6 20 14 17.1 18.2 16.3 17.5 5
8 25 18 20.2 19.2 18.5 19.5 10 27 20 22.5 23.8 24.5 23.7 6
9 20 18 18.2 18.3 18.7 19.0 8 24 20 22.5 21.8 23.1 22.9 7
10 23 20 20.4 21.0 20.7 21.1 11 27 22 24.6 25.1 26.1 22.9 7
평균값 21.5 17.8 19.6 18.3 18.8 19.3 7.8 25.2 19.9 22.3 22.8 23.3 22.6 6.7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산석 송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보다 과잉으로 분비되는 피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산석 송이와 삼나무 추출물, 유채꽃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께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산석 송이를 단독으로 함유한 실시예 2보다 높은 피지 분비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화산석 송이와 삼나무 추출물, 유채꽃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피지 분비 억제 효과가 있다.
[시험예 3]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생성 억제 효과
사람의 표피 조직에서 분리한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를 24웰(well) 형 세포배양 플레이트의 각 웰에 5×104개를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16시간 후, 화산석 송이, 삼나무 추출물, 유채꽃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 1%씩 처리하였다. 2시간 뒤에 배양액을 제거한 후, 각 웰에 100㎕의 인산완충염액(PBS)을 넣었다. 이 각질형성세포에 자외선 B (UV B) 램프(Model: F15T8, UV B 15W, Sankyo Dennki社, Japan)를 이용하여 자외선 30 mJ/㎠를 조사한 후, PBS를 덜어내고 각 웰에 각질형성세포 배양액 200 ㎕를 첨가하였다. 여기에 화산석송이, 삼나무 추출물, 유채꽃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을 다시 처리하고 일정 시간대별로 자외선 자극에 의해 증가한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양을 정량하였다. ROS의 양은 ROS에 의해 산화되는 DCF-DA(dichlorofluorescin diacetate)의 형광을 측정하는 Tan의 방법을 참고하여 정량하였으며(Tan et al., 1998, J. Cell Biol. Vol. 141, pp1423-1432),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는 6시간이 경과한 후의 대조군 ROS에 대한 비율을 수치로 기재하였다.
도 1에서 화산석 송이 및 화산석 송이와 삼나무 추출물, 유채꽃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또는 녹차 추출물의 혼합물이 자외선에 의해 피부 세포 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ROS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항산화 효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콜라겐 생합성 촉진
화산석 송이 및 화산석 송이와 삼나무 추출물, 유채꽃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의 혼합물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토코페롤, EGCG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우선,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24 공(well)에 1 공 당 105개씩 파종(seeding)하여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를 24시간 동안 무혈청 DMEM 배지로 배양한 후 무혈청 배지에 녹여진 본 발명의 화산석 송이, 삼나무 추출물, 유채꽃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과 토코페롤, EGCG를 10-4 몰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이들의 상층액을 떠내어 프로콜라겐 형(I) ELISA 키트(procollagen type(I))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procollagen)의 증감여부를 보았다. 그 결과를 표 4로 나타내었으며, 콜라겐의 합성능은 비처리군을 100으로 하여 대비한 것이다.
구분 콜라겐 합성능 (%)
비처리군 100
토코페롤 113
EGCG 120
화산석 송이 125
화산석 송이+삼나무 추출물(1:1) 129
화산석 송이+유채꽃 추출물(1:1) 126.5
화산석 송이+대나무 추출물(1:1) 127
화산석 송이+녹차 추출물(1:1) 128
화산석 송이+삼나무추출물+유채꽃 추출물+대나무추출물+녹차추출물(1:1:1:1:1) 131
상기 표 4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산석 송이는 양성대조군인 토코페롤 및 EGCG보다 높은 콜라겐 합성능을 가짐을 알 수 있었고, 화산석 송이와 삼나무 추출물, 유채꽃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보다 향상된 콜라겐 합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산석 송이 및 화산석 송이와 삼나무 추출물, 유채꽃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또는 녹차 추출물의 혼합물은 모공 주변의 콜라겐 생성량을 증가시켜 넓어진 모공을 축소시킬 수 있다.
[시험예 5] 리노마우스에서의 모공 축소 효과 시험
리노마우스 46 마리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을 0.5㎖씩 도포하였다. 1주 동안 물질을 처리하고 마지막 처리 24시간 후 등쪽 부분을 생체검사(biopsy)하였다. 표피(Epidermis)를 분리하여 0.5%의 아세트산(acetic acid)에 담근 후 10% 포르말린(formalin)에 고정한 후 6mM로 수직으로(vertical) 자른다. 헤마톡 실린(Hematoxylin)과 에오신(eosin)으로 염색하였다. 기계식 접안 마이크로미터(Mechanical eyepiece micrometer)를 이용하여 모공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물질 모공 크기 (mm)
비처리군 67
실시예1 56
실시예2 61
실시예3 57
실시예4 59
실시예5 58
실시예6 58
비교예1 68
상기 표 5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산석 송이는 모공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화산석 송이와 삼나무 추출물, 유채꽃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보다 향상된 모공 크기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6] 피부 염증 인자의 발현 감소 효과
본 발명의 화산석 송이, 삼나무 추출물, 유채꽃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이 피부 염증 인자인 MMP-1 및 PGE-2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실시하였다(SE Dunsmore, et al., J Biol Chem, 271: 24576-24582, 1996).
세포는 이전에 분주된 배지에 황사(0.1ppm)를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로 교환하고 화산석 송이, 삼나무 추출물, 유채꽃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을 처리하여24시간 더 배양하고 배지를 회수하여 96공 평판배양기에 코팅하였다. 일차항체(단일클론항체)를 처리하고 37℃에서 90분간 반응시켰다. 이차항체인 항마우스 이뮤노글로불린지(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d anti-mouse IgG)를 다시 90분 정도 반응시킨 후, 완충 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알카린 포스파타제 기질 용액(디에탄올아민 완충용액 내의 1㎎/㎖ p-니트로페닐 포스페이트)을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흡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40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배양액의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MMP-1 및 PGE-2의 발현 억제 효과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40875201-pat00001
시험물질 MMP-1 발현억제율 (%) PGE-2 발현억제율 (%)
대조군 - -
화산석 송이 59 63
화산석 송이 + 삼나무 추출물(1:1) 64 65
화산석 송이 + 유채꽃 추출물(1:1) 63 67
화산석 송이 + 대나무 추출물(1:1) 63 66
화산석 송이 + 녹차 추출물(1:1) 65 67
화산석 송이+삼나무추출물+유채꽃 추출물+대나무추출물+녹차추출물(1:1:1:1:1) 68 70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화산석 송이는 피부의 염증 인자인 MMP-1 및 PGE-2의 발현을 억제하였고, 화산석 송이와 삼나무 추출물, 유채꽃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또는 녹차 추출물의 혼합물은 화산석 송이를 단독 사용할 때보다 피부 염증 인자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화산석 송이, 삼나무 추출물, 유채꽃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의 혼합물은 피부 염증 인자의 발현 억제 효과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산석 송이 및 화산석 송이와 삼나무 추출물, 유채꽃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또는 녹차 추출물의 혼합물은 피부 염증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 염증 및 트러블을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5)

  1. 화산석 송이(Scori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 추출물, 유채꽃(Brassica camperstris(rapeseed) flower) 추출물, 대나무(Bambusa vulgaris) 추출물 및 녹차(Camellia sinensis leaf)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2. 화산석 송이(Scori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 추출물, 유채꽃(Brassica camperstris(rapeseed) flower) 추출물, 대나무(Bambusa vulgaris) 추출물 및 녹차(Camellia sinensis leaf)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3. 화산석 송이(Scori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 추출물, 유채꽃(Brassica camperstris(rapeseed) flower) 추출물, 대나무(Bambusa vulgaris) 추출물 및 녹차(Camellia sinensis leaf)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트러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산석 송이, 삼나무 추출물, 유채꽃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및 녹차 추출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80.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60310A 2010-06-25 2010-06-25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15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310A KR101415996B1 (ko) 2010-06-25 2010-06-25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310A KR101415996B1 (ko) 2010-06-25 2010-06-25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134A KR20120000134A (ko) 2012-01-02
KR101415996B1 true KR101415996B1 (ko) 2014-07-08

Family

ID=45608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310A KR101415996B1 (ko) 2010-06-25 2010-06-25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9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679A (ko)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화산송이 분말 입자가 다공성 고분자에 함침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63122A (ko) 2015-11-30 2017-06-08 (주)아모레퍼시픽 아랄로시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21181494A (ja) * 2017-08-24 2021-11-25 隆 佐藤 皮脂産生抑制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755B1 (ko) * 2012-06-29 2014-04-08 (주)에이씨티 비활성 다당체가 제거된 삼나무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22647B1 (ko) * 2018-12-24 2022-07-19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어성초 및 화산송이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5832A (ko) * 2008-12-09 2010-06-17 코스맥스 주식회사 스코리아 미세 입자를 함유하는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5832A (ko) * 2008-12-09 2010-06-17 코스맥스 주식회사 스코리아 미세 입자를 함유하는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 Roh, M. Han, D. Kim, K. Chung. Sebum output as a factor contributing to the size of facial pores.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Vol. 155, pp. 890-894. (2006) *
홍승필, 한병관, 정병조, 배영우, 최응호. 여드름 환자의 얼굴에서 피지량, 여드름 병변수, 모공 형광밀도와의 상관관계. 대한피부과학회지. Vol. 45, No. 9, pp. 890-897. (2007)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679A (ko)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화산송이 분말 입자가 다공성 고분자에 함침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0472485B2 (en) 2015-09-30 2019-11-12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e powder in which porous polymer is impregnated with scoria powder particles,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KR20170063122A (ko) 2015-11-30 2017-06-08 (주)아모레퍼시픽 아랄로시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11052098B2 (en) 2015-11-30 2021-07-06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containing araloside for external application to skin
JP2021181494A (ja) * 2017-08-24 2021-11-25 隆 佐藤 皮脂産生抑制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134A (ko) 201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916B1 (ko) 피부 생기 부여 및 활력 증대를 위한 식물세포 컴플렉스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4157B1 (ko)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0003B1 (ko) 모란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9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02687B1 (ko)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606393B1 (ko)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76043A (ko)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15996B1 (ko)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43588B1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1742029B1 (ko)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발아현미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및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68532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4446B1 (ko) 상동나무 추출물과 미세침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0345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9546B1 (ko) 무궁화의 꽃, 뿌리, 캘러스 및 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93500A (ko) 노루오줌 추출물
KR100903654B1 (ko) 하고초 추출물과 아데노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74502B1 (ko) 회리바람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8320A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2715A (ko)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41138B1 (ko)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0173A (ko) 맹그로브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13743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