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679A - 화산송이 분말 입자가 다공성 고분자에 함침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산송이 분말 입자가 다공성 고분자에 함침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679A
KR20170038679A KR1020160122454A KR20160122454A KR20170038679A KR 20170038679 A KR20170038679 A KR 20170038679A KR 1020160122454 A KR1020160122454 A KR 1020160122454A KR 20160122454 A KR20160122454 A KR 20160122454A KR 20170038679 A KR20170038679 A KR 20170038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volcanic
porous polymer
scoria
composit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8471B1 (ko
Inventor
이현석
백동현
신진섭
양미숙
최성욱
김용진
이존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PCT/KR2016/01078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57886A1/ko
Priority to EP16852032.8A priority patent/EP3357482B1/en
Priority to US15/764,935 priority patent/US10472485B2/en
Priority to CN201680068773.0A priority patent/CN108366918B/zh
Priority to JP2018515804A priority patent/JP6777733B2/ja
Priority to TW105131435A priority patent/TWI725994B/zh
Publication of KR20170038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40Impreg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61K8/0225Granula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Explicitly spheroidal or spheric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9Porous; Hol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83Matrix 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83Matrix particles
    • A61K8/0287Matrix particles the particulate containing a solid-in-solid disper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61K8/315Halogenated 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2Pulverisation by spra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05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in the presence of a continuous liquid phase
    • C08J3/21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in the presence of a continuous liquid phase the polymer being premixed with a liquid phase
    • C08J3/21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in the presence of a continuous liquid phase the polymer being premixed with a liquid phase and soli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6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5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articulate/core
    • A61K2800/654The particulate/core comprising macromolecula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J23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9/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ring member
    • C08J2339/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산송이 분말과 다공성 고분자의 복합분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분자를 용해시킨 용액에 화산송이 분말을 분산시킨 분산액을 단일공정(One-step)으로 분무하여 제조되는 화산송이 분말 입자가 다공성 고분자의 표면 및 내부에 고르게 함침(Impregnation)된 복합분체(Scoria sphere),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산송이 분말 입자를 다공성 고분자에 고르게 함침시킨 화산송이 함침 분체를 화장료 조성물로서 제형화시키면, 마이크로 사이즈로 미세화된 화산송이의 피지 흡유 성능을 다공성 고분자가 보완하여 피지 흡착력이 크게 향상된다.

Description

화산송이 분말 입자가 다공성 고분자에 함침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mplex Powder of Porous Polymer Containing Scoria Powder Particl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산송이 분말과 다공성 고분자의 복합분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분자를 용해시킨 용액에 화산송이 분말을 분산시킨 분산액을 단일공정(One-step)으로 분무하여 제조되는 화산송이 분말 입자가 다공성 고분자의 표면 및 내부에 고르게 함침(含浸, Impregnation)된 복합분체(Scoria sphere),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산송이(학명: Scoria)는 화산활동에 의해 점토가 고열에 불타 만들어진 화산 쇄설물로서 천연 세라믹의 일종으로 알려져 있다. 화산이 폭발할 때 처음으로 분출된 용암이 굳어 생성되는데, 이때 가스와 뒤섞인 용암이 먼저 분출되고 이 과정에서 수많은 미세한 구멍을 포함한 다공질 구조의 화산송이가 탄생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에서 발견되며, 제주도 방언으로 송이 또는 송이석이라고 한다. 화산송이의 물성은 pH 7.2 ~ 7.8 정도의 약알카리성로서 다공질이며, 일반적으로 함유하고 있는 미네랄 성분에 따라 적갈색, 황갈색, 흑색, 회색 등의 색을 띄고 있다.
한편, 피지선, 모낭, 전립선, 부고환등의 남성 호르몬 반응성 조직에서 존재하는 5α-리덕테이즈(5α-Reductase)는 남성 호르몬들 중의 하나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을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 DHT)로 환원시키는데 관여하는 효소이다. 골격근 증가와 정자형성 등에는 테스토스테론이 관여하고, 여드름, 피지증가 및 전립선비대증 등에는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이 해당 조직에서 관여한다고 알려진 바 있다(Diane et al; J. Invest Dermatol. 775-778, 1995. Bruchovsky, N et al; J.B.C. 243, 2112-2121, 1968). 또한, 피부의 피지선에서는 테스토스테론이 5α-리덕테이즈에 의해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되어 세포질 내에 있는 수용체 단백질(Receptor)과 결합하여 핵내로 들어가 피지선 세포를 활성화하여 분화가 촉진됨으로써 피지선 내의 피지를 과분비한다(Diane et al; J. Invest Dermatol. 105; 209-214).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화산송이가 이러한 5α-리덕테이즈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피지조절, 모공축소 및 피부트러블에 관련된 효과에 대하여 한국등록공보특허 제1415996호에서 밝힌 바 있다.
이외에도, 화산송이는 천연 미네랄을 다량 함유하여 자체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으므로, 항균력이 탁월하고 탈취성이 뛰어난 물리적 성질이 알려져 있으며, 화산송이가 천연 미네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피부 보습, 모공 축소, 세척, 향균 등 다양한 미용 재료로 그 활용성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화산송이는 화산쇄설물의 일종으로 입자가 큰 다공성 재료이나, 통상 화장료의 재료로 사용시 작은 입자로 분쇄되어 첨가된다. 그러나 화장품 소재화를 위해 마이크로 사이즈로 분쇄하게 되면 다공성 구조가 파괴되어 피지흡유 성능이 상실되게 된다. 또한 결정성 구조로 인해 사용감이 거칠다는 단점을 피할 수 없기에, 화산송이 가루가 피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피지 흡유 성능이 뛰어난 다공성의 복합분체 구조체가 필요하다.
한국등록공보특허 제1415996호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화산송이 분말 표면을 고분자 물질들로 코팅하는 방법이 가능하나, 피지에 의해 입자가 뭉쳐 분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해결할 수가 없다. 이 밖에도 화산송이 분말와 다공성 원료를 개별적으로 제형에 사용이 가능하나, 거친 결정성 구조의 화산송이 분말가 피부에 직접 노출되어 사용감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공성 고분자를 만드는 기술로 유화중합법이 있으나, 다공성 고분자를 제조함과 동시에 무기분체를 함침시키기에는 기술적인 한계로 인해 선행 성공사례가 없으며, 제조가 가능하더라도 계면활성제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아 표면 물성의 제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고분자를 용해시킨 용액에 화산송이 분말을 분산시킨 후, 분무 건조(Spray Drying) 또는 전기 분무(Electro-Spraying)의 단일공정(One-step)으로 분산액을 분무함으로써 화산송이 분말 입자를 다공성 고분자에 고르게 함침(Impregnation)시킨 화산송이 함침 분체(Scoria sphere),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화산송이 분말의 입자는 5 ~ 20 ㎛이며, 전체 복합분체 중량 대비 10 ~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50 ~ 90 중량%로 함침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고분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비닐피롤리돈[PVP: poly-(vinyl pyrrolidone)], 폴리카프로락톤[PCL: poly-(caprolactone)], 폴리-L-락틱산[PLLA: poly-(L-lactic acid)],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poly-(ethylene oxide)],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 poly-(propylene oxide)],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PDMS: poly-(dimethyl siloxane)], 폴리락틱글리콜산[PLGA: poly-(lactic-co-glycolic acid)], 폴리스타이렌[PS: poly styrene] 및 이들의 공중합체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산송이 분말 입자를 다공성 고분자에 고르게 함침시킨 화산송이 함침 분체(Scoria sphere)를 화장료 조성물로서 제형화시키면, 마이크로 사이즈로 미세화된 화산송이의 피지 흡유 성능을 다공성 고분자가 보완하여 피지 흡착력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산송이 함침 분체(Scoria sphere)를 제조하기 위하여 분무 건조(Spray Drying) 또는 전기 분무(Electro-Spraying) 공정을 도입하면 피부에 자극적인 유화제의 사용을 배제하면서 단일 공정으로 구형의 다공성 고분자 표면 및 내부에 고르게 함침시킬 수 있다.
또한 거친 결정형의 화산송이 분말을 구형의 다공성 고분자 내부에 함침시킴으로써 발림성, 퍼짐성 및 부드러움성이 개선되고, 뭉침 현상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화산송이 분말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산송이 함침 분체(Scoria sphere) 구형(Sphere)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산송이 함침 분체(Scoria sphere) 절단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산송이 함침 분체(Scoria sphere)에 포함된 각 원소를 에너지 분산형 X선(EDX: Energy Dispersive X-ray) 분석장치로 정량 및 정성 분석한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화산송이 함침 분체(Scoria sphere)의 흡유량(mL/g) 테스트 결과이다.
본 발명은 화산송이 분말과 다공성 고분자의 복합분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분자를 용해시킨 용액에 화산송이 분말을 분산시킨 후, 분무 건조(Spray Drying) 또는 전기 분무(Electro-Spraying)의 단일공정(One-step)으로 분산액을 분무함으로써 화산송이 분말 입자를 다공성 고분자의 표면 및 내부에 고르게 함침(Impregnation)시킨 복합분체(이하 화산송이 함침 분체, Scoria sphere),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함침'의 의미는 모체가 되는 분체 입자 내부 사이로 다른 분체 입자가 고르게 분산되어 침투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종래에 분체 입자 표면을 다른 분체 입자가 코팅하거나 분체 표면의 기공 사이로 담지된 형태와는 차이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화산송이 분말(Scoria powder)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화산송이(Scoria)는 우리나라 제주도에만 있는 화산재의 일종으로, 제주전역에 걸쳐있는 기생화산(오름) 생성 시 산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제주도 내 매장량은 약 200억m3로 거의 무한대의 자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화산송이는 천연 상태에서 원적외선 방사 92 ~ 93%, 탈취율 97%, 향균 곰팡이 99.9%의 대장균을 퇴치하는 성능을 가진 천연 소재이다.
본 발명의 화산송이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으며, 그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농약 등에 오염되지 않은 지역에서 채취한 화산송이를 용도에 따라 입자 크기를 다양하게 분쇄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150℃ 이상의 온도에서 건열 멸균시켜 수득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 가능한 화산송이 분말의 입자는 평균입경이 0.1 ~ 2 ㎛가 되도록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가 초과되면 화산송이 분말의 효과가 미비하고, 0.1 ㎛ 미만이면 구형의 화산송이 함침 분체(Scoria sphere) 표면이 거칠어져 피부 적용시 사용감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다공성 고분자(Porous polymer)
본 발명에서 상기 화산송이 분말 입자가 함침되는 다공성 고분자는 오일 흡유력과 피지 흡착력이 있는 구형(Sphere) 분말상이다.
상기 다공성 고분자는 일 구현예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 (methyl methacrylate)]를 적용하였으나, 이 외에도 폴리비닐피롤리돈[PVP: poly-(vinyl pyrrolidone)], 폴리카프로락톤[PCL: poly-(caprolactone)], 폴리-L-락틱산[PLLA: poly-(L-lactic acid)],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poly-(ethylene oxide)],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 poly-(propylene oxide)],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PDMS: poly-(dimethyl siloxane)], 폴리락틱글리콜산[PLGA: poly-(lactic-co-glycolic acid)], 폴리스타이렌[PS: poly styrene] 및 이들의 공중합체 군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다공성 고분자는 입자의 형상이 구형이기 때문에 다양한 화장료 제형의 제조시에 배합이 용이하고, 피부 위에서 구형상 미립자가 롤링(Rolling)됨으로써 피부 도포시 발림성 등의 사용감이 우수하며, 구형 표면의 특성인 광 산란을 이용한 피부 번들거림 방지 효과와 화장 지속성 향상 효과로 인해, 통상 피지 컨트롤을 위한 기초화장품과 피부톤 보정을 위한 메이크업 제품에 많이 사용된다.
화산송이 함침 분체(Scoria sphere)
본 발명의 화산송이 함침 분체(Scoria sphere), 즉 화산송이 분말 입자가 다공성 고분자의 표면 및 내부에 고르게 함침(Impregnation)된 복합분체는 평균 입경이 5 ~ 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입자 크기는 흡유량 및 사용감과 관련이 있으며, 입자 크기가 5 ㎛ 미만이면 서로 응집되어 화장료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20 ㎛를 초과하면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여 피부에 도포시 입자가 사용감에 의해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상기 화산송이 함침 분체에서 화산송이 분말의 함량은 전체 화산송이 함침 분체 중량 대비 10 ~ 90 중량% 함침될 수 있으나, 50 ~ 90 중량%로 함침되는 것이, 화산송이 분말로 인한 효과와 피부 적용시의 사용감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산송이 함침 분체는 제조 공정 조건에 따라 기공 특성의 제어가 가능하다. 제어 가능한 기공 특성으로는 평균 기공 사이즈, 공극률 및 총 기공의 면적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평균 기공 사이즈는 15 ~ 80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 600nm인 것일 수 있으며, 공극률은 40 ~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75%일 수 있다. 또한 총 기공의 면적은 1 ~ 100m2/g,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80m2/g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화산송이 함침 분체는 그 기공 사이즈 및 공극률로 인하여 흡유량 증대 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 흡유량은 후술하는 수은의 침투 부피(Intrusion Volume)로 설명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산송이 함침 분체의 수은 침투 부피는 0.5 ~ 5cm3/g 범위로 측정되며, 이 수치는 높은 신뢰 수준으로 흡유량으로 간주될 수 있다.
종래의 다공성 고분자는 단일크기의 메조포러스(Meso-Porous)한 구조로 인해 비표면적은 상대적으로 크나 평균 기공 사이즈와 공극률이 낮은 반면에, 본 발명의 화산송이 함침 분체의 경우는 멀티포러스(Multi-Porous, Micro+Meso+Macro) 구조로 인해 포어채널(Pore Channel)이 형성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오일을 흡유하는데 훨씬 유리하다.
본 발명은 화산송이 분말을 고분자 용액에 분산시킨 고분자 분산액을 분무 건조(Spray Drying) 또는 전기 분무(Electro-Spraying)하여 단일 공정(One-step)으로 다공성의 화산송이 함침 분체를 제조함으로써, 화산송이 분말을 다공성 고분자 표면 및 내부에 고르게 함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흡유능을 최대화하고 초발수성 구현을 위해 유화제는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무 건조 및 전기 분무의 자세한 공정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의 방법을 따른다. 이렇게 제조된 복합분체는 용매를 충분히 제거하여 구형의 입자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동결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고분자 용액의 용매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디클로로메탄(DCM)과 헥산올(Hexanol)의 혼합용매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디클로로메탄(DCM)과 헥산올(Hexanol)의 혼합비(중량비)는 9 : 1 ~ 7 : 3 내에서 선택할 수 있다. 헥산올은 다공성 고분자의 포어(Pore)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헥산올의 비율이 전체 용매의 10 중량% 미만이면 포어 사이즈가 너무 작고, 30 중량% 이상이면 포어 사이즈가 너무 커서 적합하지 못하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화상송이 함침 분체는 화장료 조성물에 바람직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80 중량%의 화산송이 함침분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흡유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나타내며, 8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 안정도에 영향을 미쳐 안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산송이 함침 분체가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산송이 함침 분체가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 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팩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폼(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스킨, 로션, 크림, 세럼, 에멀젼, 에센스, 파우더,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중 어느 하나의 형태, 보다 바람직하게는 마스크팩, 시트팩, 수면팩, 워시오프팩, 필오프팩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으나,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음은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산송이 함침 분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다음 <표 1>의 조성물을 준비한다.
화산송이 분말 바이오랜드 제조, 제주 화산석송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LG PMMA 제조
디클로로메탄
(DCM, Dichloromethane anhydrous)
Sigma-Aldrich 제조, 순도 > 99.8%
헥산올
(Hexanol, 1-hexanol)
Sigma-Aldrich 제조, 순도 > 99%
< 실시예 1> 분무 건조(Spray-Drying)
1) PMMA 40g을 용매(DCM : Hexanol = 9 : 1, wt%) 1L에 용해시킨다.
2) 화산송이 분말 40g을 PMMA 용액에 넣은 후 균질기(Homogenizer)를 사용하여 분산시킨다.
3) 화산송이 분말이 분산된 PMMA 용액을 하기 <표 2>의 조건에서 분무 건조한다.
내부 습도 30% 이상
내부 온도 실온 유지
내부 압력 20atm
Feed rate 20%
Aspirator 70%
4) 화산송이 분말이 분산된 PMMA 용액은 분무 건조 중에 지속적으로 교반기를 통하여 교반시킨다.
5) 분무 건조된 화산송이 분말/PMMA 복합분체 입자를 충분히 세척한 후, 동결건조하여 잔존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후 수득한다.
< 실시예 2> 전기 분무( Electro Spraying)
1) PMMA 0.4g을 용매(DCM : Hexanol = 9 : 1, wt%) 10mL에 용해시킨다.
2) 화산송이 분말 0.4g을 PMMA 용액에 넣은 후 초음파분쇄기(Sonicator)를 사용하여 분산시킨다.
3) 화산송이 분말이 분산된 PMMA 용액을 하기 <표 3>의 조건에서 전기 분무한다.
내부 습도 30% 이상
내부 온도 실온 유지
Distance 15cm
Feed rate 0.01mL/min
Voltage 10kV
4) 전기 분무된 화산송이 분말/PMMA 복합분체 입자를 충분히 세척한 후, 동결건조하여 잔존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후 수득한다.
이하 후술하는 화산송이 함침 분체는 상기 실시예 1의 분무 건조법에 따라 제조된 것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하였다.
< 실험예 1> 주사전자현미경( SEM ) 이미지
도 1은 화산송이 분말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이고, 도 2는 이러한 화산송이 분말이 다공성 고분자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입자 표면 및 내부에 고르게 함침된 화산송이 함침 분체의 구형(Sphere) 및 절단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이 전혀 없는 무정형의 거친 구조를 가진 입자인 화산송이 분말을 분무 건조 또는 전기 분무 방식을 도입하여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입자 표면 및 내부에 고르게 함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 실험예 2> 에너지 분산형 X선( EDX : Energy Dispersive X-ray) 분석
도 4는 본 발명의 화산송이 함침 분체에 포함된 각 원소를 에너지 분산형 X선(EDX: Energy Dispersive X-ray) 분석장치로 정량 및 정성분석한 이미지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용된 화산송이의 주성분인 규소(Si), 철(Fe), 알루미늄(Al) 원소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화산송이 분말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전체에 고르게 함침되어 분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3> 흡유량 테스트
저울과 페트리디쉬를 이용하여 화산송이 함침 분체 1g을 측량한 후, 스포이트를 이용하여 인체의 피지와 유사한 물성을 갖는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 오일을 떨어 뜨려 화산송이 함침 분체가 촉촉히 젖을 때까지 소요된 흡유량을 측정하였다. 이때 스패츌러(Spatula)를 이용하여 오일이 잘 젖을 수 있도록 믹싱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산송이 함침 분체의 흡유량은 1.6mL/g로서 화산송이 원료 분말의 흡유량인 0.3mL/g에 비해 5배 이상 흡유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화산송이 함침 분체가 화산송이 분말을 50 중량%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큰 기공 사이즈와 높은 공극률을 유지함으로써 발생하는 효과이다.

Claims (14)

  1. 화산송이 분말 입자가 다공성 고분자에 함침된 복합분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산송이 분말의 평균 입경은 0.1 ~ 2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분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산송이 분말은 전체 복합분체 중량 대비 50 ~ 90 중량%로 함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분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카프로락톤, 폴리-L-락틱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 폴리락틱글리콜산, 폴리스타이렌 및 이들의 공중합체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분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분체의 평균 입경은 5 ~ 20 ㎛인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분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분체의 공극률은 40 ~ 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분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분체의 평균 기공 사이즈는 15 ~ 8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분체.
  8. 고분자 용액에 화산송이 분말을 분산시킨 분산액을 분무 건조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송이 분말 입자가 다공성 고분자에 함침된 복합분체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용액의 용매는 디클로로메탄과 헥산올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분체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클로로메탄과 헥산올의 중량비는 9 : 1 ~ 7 :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분체의 제조방법.
  11. 고분자 용액에 화산송이 분말을 분산시킨 분산액을 전기 분무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산송이 분말 입자가 다공성 고분자에 함침된 복합분체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용액의 용매는 디클로로메탄과 헥산올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분체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클로로메탄과 헥산올의 중량비는 9 : 1 ~ 7 :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분체의 제조방법.
  14.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복합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22454A 2015-09-30 2016-09-23 화산송이 분말 입자가 다공성 고분자에 함침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98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10786 WO2017057886A1 (ko) 2015-09-30 2016-09-26 화산송이 분말 입자가 다공성 고분자에 함침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16852032.8A EP3357482B1 (en) 2015-09-30 2016-09-26 Composite powder in which porous polymer is impregnated with scoria powder particles,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15/764,935 US10472485B2 (en) 2015-09-30 2016-09-26 Composite powder in which porous polymer is impregnated with scoria powder particles,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CN201680068773.0A CN108366918B (zh) 2015-09-30 2016-09-26 火山渣粉末颗粒浸渍于多孔聚合物的复合粉体,含有其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18515804A JP6777733B2 (ja) 2015-09-30 2016-09-26 スコリア粉末粒子が多孔性高分子に含浸された複合粉体、これを含む化粧料組成物及びこの製造方法
TW105131435A TWI725994B (zh) 2015-09-30 2016-09-30 含有火山渣粉末粒子的多孔聚合物的複合粉體、含有其的化妝品組合物以及其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37327 2015-09-30
KR1020150137327 2015-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679A true KR20170038679A (ko) 2017-04-07
KR102598471B1 KR102598471B1 (ko) 2023-11-06

Family

ID=5858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454A KR102598471B1 (ko) 2015-09-30 2016-09-23 화산송이 분말 입자가 다공성 고분자에 함침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72485B2 (ko)
EP (1) EP3357482B1 (ko)
JP (1) JP6777733B2 (ko)
KR (1) KR102598471B1 (ko)
CN (1) CN108366918B (ko)
TW (1) TWI72599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420A1 (ko) * 2018-01-03 2019-07-11 김배용 다공성 물질과 고분자를 이용한 복합체 및 그를 이용한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820A (ko) * 2018-08-09 2020-02-19 (주)아모레퍼시픽 미세먼지 제거용 다공성 복합분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1195369A (ja) * 2020-06-10 2021-12-27 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Amorepacific Corporation 浮遊粒子状物質吸着用多孔性複合粉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625303A (zh) * 2020-12-16 2021-04-09 南京旭智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抗菌母料的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1827A (ja) * 2003-07-24 2005-02-17 Fancl Corp ハイドロキシアパタイト粒子結合合成樹脂多孔性粒子及び外用剤、化粧料
KR20100065832A (ko) * 2008-12-09 2010-06-17 코스맥스 주식회사 스코리아 미세 입자를 함유하는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2708A (ko) * 2009-12-04 2011-06-10 주식회사 선진화학 화장품용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다공성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분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69916A (ko) * 2012-11-30 2014-06-10 (주)아모레퍼시픽 생체친화성 고분자로 코팅된 무기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15996B1 (ko) 2010-06-25 2014-07-08 (주)아모레퍼시픽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03197A (ko) * 2013-02-14 2014-08-2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심 분리에 의한 고분자 지지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고분자 지지체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5364A (en) * 1984-02-15 1986-06-17 Molten Corp. Dental prosthesi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FR2878434B1 (fr) * 2004-11-30 2008-03-07 Arkema Sa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e poudre fine et poreuse
EP1901700A2 (en) 2005-07-12 2008-03-26 L'Oréal Cosmetic method for the targeting of wrinkles
CN101199469B (zh) * 2006-12-12 2011-04-13 广东海洋大学 一种火山岩珍珠美容面膜的制备工艺
KR101098830B1 (ko) * 2008-12-01 2011-12-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피스 텍스처 매핑 장치 및 그 방법
FR2969490A1 (fr) 2010-12-28 2012-06-29 Baal France Sachet d'algues et ou d'argile avec support hydratant chauffable pour usage de soins medicaux ou cosmetiques
KR20140101593A (ko) 2013-02-12 2014-08-20 (주)미인 다공성파우더를 함유한 피지조절제를 함유한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WO2014127214A1 (en) 2013-02-15 2014-08-21 Kala Pharmaceuticals, Inc. Therapeut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KR101466379B1 (ko) 2013-07-29 2014-12-01 (주)제주사랑농수산 송이 분체를 이용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
CN103804712A (zh) * 2014-01-23 2014-05-21 北京化工大学常州先进材料研究院 多孔及孔径可控的壳聚糖微球的制备
CN104226191B (zh) * 2014-09-01 2017-04-19 南京理工大学 乙基纤维素多孔颗粒的常温制备方法
KR102164102B1 (ko) * 2015-03-05 2020-10-12 (주)아모레퍼시픽 화산석 송이를 포함하는 무스제형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1827A (ja) * 2003-07-24 2005-02-17 Fancl Corp ハイドロキシアパタイト粒子結合合成樹脂多孔性粒子及び外用剤、化粧料
KR20100065832A (ko) * 2008-12-09 2010-06-17 코스맥스 주식회사 스코리아 미세 입자를 함유하는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2708A (ko) * 2009-12-04 2011-06-10 주식회사 선진화학 화장품용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다공성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분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15996B1 (ko) 2010-06-25 2014-07-08 (주)아모레퍼시픽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69916A (ko) * 2012-11-30 2014-06-10 (주)아모레퍼시픽 생체친화성 고분자로 코팅된 무기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03197A (ko) * 2013-02-14 2014-08-2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심 분리에 의한 고분자 지지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고분자 지지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420A1 (ko) * 2018-01-03 2019-07-11 김배용 다공성 물질과 고분자를 이용한 복합체 및 그를 이용한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72485B2 (en) 2019-11-12
CN108366918B (zh) 2021-07-27
TW201729784A (zh) 2017-09-01
JP6777733B2 (ja) 2020-10-28
EP3357482A1 (en) 2018-08-08
KR102598471B1 (ko) 2023-11-06
EP3357482B1 (en) 2019-11-20
TWI725994B (zh) 2021-05-01
CN108366918A (zh) 2018-08-03
EP3357482A4 (en) 2018-10-10
JP2018529701A (ja) 2018-10-11
US20190040224A1 (en)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8471B1 (ko) 화산송이 분말 입자가 다공성 고분자에 함침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TWI688602B (zh) 含無機粉體的多孔性高分子的複合粉體、含有其的化妝品組成物及其製造方法
EP1812116B1 (de) Schweissabsorbierendes kosmetisches produk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BR112012033414B1 (pt) Artigo de estrutura de manta fibrosa dissolvível que compreende agentes ativos
CN110438665B (zh) 一种自支撑固态多组分面膜的制备方法
CN104525132B (zh) 一种气凝胶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236605A (zh) 多孔微球及其制备方法、应用
KR20120097086A (ko) 붕괴성 수분 함유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6545B1 (ko) 옥 분말 입자가 다공성 고분자에 함침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057886A1 (ko) 화산송이 분말 입자가 다공성 고분자에 함침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518609A (zh) 粒状无定形介孔碳酸镁材料
KR102114277B1 (ko) 고체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6342668B2 (ja) 複合粉体
KR20190001314A (ko) 기능성 물질이 담지된 서방형 나노 다공성 마이크로 입자의 제조 방법 및 그 마이크로입자
KR101308895B1 (ko) 효모 용해 추출물 및 항노화 보습 효과를 갖는 10가지의 유기농 성분을 캡슐화한 구상 분체를 함유하는 파우더 메이크업 조성물
CN114028243A (zh) 一种泥膜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624628A (zh) 一种孔隙结构的二氧化硅药物缓释用载体的制备方法
TW202317065A (zh) 表面改性的類視黃醇負載多孔二氧化矽
JPH10130117A (ja) 燒結空隙粉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JPH08133942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