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379B1 - 송이 분체를 이용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송이 분체를 이용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66379B1 KR101466379B1 KR1020130089568A KR20130089568A KR101466379B1 KR 101466379 B1 KR101466379 B1 KR 101466379B1 KR 1020130089568 A KR1020130089568 A KR 1020130089568A KR 20130089568 A KR20130089568 A KR 20130089568A KR 101466379 B1 KR101466379 B1 KR 1014663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smetic composition
- powder
- color
- present
- pigme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4—Suspen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이 분체를 이용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안료로서 송이 분체를 포함함으로써 송이 분체를 통한 색상 표현 이외에 송이 분체가 가지는 여러 기능성, 예컨대 자외선 차단 활성, 보습 활성, 원적외선 방사성, 중금속 흡착 활성 등을 아울러 가지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송이 분체를 이용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파운데이션, 볼터치, 아이섀도우, 립스틱과 같은 색조 화장품은 얼굴의 기미, 주름, 점 등을 은폐함으로써 미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자외선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화장품을 말한다.
색조 화장품에서 색상을 표현하는 안료가 가장 중요한 요소인데, 안료는 통상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로 구분된다. 무기 안료로서는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활석, 백운모, 세리사이트(sericite:絹雲母) 등의 운모류,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카올린, 황산바륨, 탄산바륨, 보론 나이트라이드, 규조토 등의 체질 안료,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지르코늄, 황색산화철, 흑색산화철, 군청, 감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등을 들 수 있으며, 유기 안료로는 프탈로시아닌 청색 및 녹색 안료, 디아릴리드 황색 및 오렌지색 안료, 톨루이딘 적색 안료, 리토 적색 안료, 나프톨 적색 안료, 레이크(알루미나, 바륨, 또는 수산화칼슘 등의 불용성 기재에 유기 염료를 침착 및 흡수시킴으로써 형성된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불용성인 공중합체 유기 안료 예컨대 나일론 분말,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등도 색조 화장품의 안료로 사용되고 있다.
색조 화장품에 사용되는 안료는 부착력, 은폐력, 퍼짐력, 흡유성 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특히 흡유성이 낮을 경우 땀이나 피지의 분비로 인하여 화장의 흐트러짐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공질의 실리카로 이산화티탄, 운모티탄, 활석, 세리사이트 등의 무기 안료를 일정 비율 피복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실리카는 수분 흡수력도 높아 피부 건조감이나 피부 당김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본 발명은 그 자체로 흡유력이 양호하기 때문에 실리카로 피복시킬 필요가 없고, 또한 피부 보습력을 지녀 실리카가 가지는 수분 흡수력에 의한 피부 건조감 등의 문제가 없으며, 원적외선 방사성, 중금속 흡착 효과 등 기능성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송이를 안료로서 이용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 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송이 분체를 안료로서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송이 분체를 안료로서 포함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적갈색을 띤 송이를 건식 분쇄기로 분쇄하여 입도가 5㎛ 이하의 송이 분체를 제조하고 이 송이 분체를 주성분으로 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후에, 그 색조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표현력을 분첩으로 백색 종이에 도포하여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을 때 공지의 안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색조 화장료 조성물과 비슷한 수준의 색상 표현력을 지님을 확인하였고, 또한 관능평가에 있어서도 공지의 안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색조 화장료 조성물과 비슷한 수준의 색상 표현력을 가진다는 평가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안료로서 송이 분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송이(Scoria, 스코리아)"는 기공의 부피와 고체의 부피가 비슷한 다공질의 현무암질 암괴를 말하는데, 화산회(火山灰, Volcanic Ash, 2mm이하), 화산자갈(火山礫, lapilli, 2~64mm), 화산암괴(火山岩塊, Volconic Block, 64mm이상), 화산탄(火山彈, Volcanic Bomb)이 여기에 포함된다. 송이는 화산에 의하여 형성된 지형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는 화산섬인 제주도에서 쉽게 발견된다. 제주 송이는 그 주요 구성성분에 따라 색깔이 다양한데, 산화규소 함량이 높은 송이는 암회색을 띠고, 산화알류미늄 함량이 높은 송이는 황갈색 또는 흑색을 띠며, 산화티타늄과 산화철 함량이 높은 송이는 적갈색을 띤다. 그리고 제주 송이는 통상 그 융점이 1,120~1210℃이고, 흡수율은 17.7~32.5%, 그리고 마모율은 47.25~67.22% 라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송이는 특별히 제주 송이에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지만, 원적외선 방사성, 중금속 흡착 효과 등 기능성이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제주 송이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서, "송이 분체"는 송이를 분쇄하여 얻어진 것으로서 그 분체의 입도는 색조 화장료의 안료로서 바람직한 크기를 갖는다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여기서 색조 화장료의 안료로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입도는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안료로서의 바람직한 입도는 5㎛ 이하이다. 여기서 입도는 입자의 길이 방향의 직경을 말한다. 송이 분체는 건식 분쇄법, 습식 분쇄법 등의 임의의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건식 분쇄법에 의한 경우이다. 그것은 건식 분쇄법이 안료로서 바람직한 입도인 5㎛ 이하의 입자를 얻는 데 습식 분쇄법보다 효과적이며, 또한 생성되는 분체를 물을 일반적으로 1% 이하로 포함하기 때문에 분체의 입자들이 응집하지 않고 수성 매질에 분산되었을 때 입자들의 재응집 현상도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안료인 송이 분체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1 내지 99.0 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는 계면활성제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나 수분산성 또는 유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는 제한이 없으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안료로서 포함되는 송이 분체는 필요한 경우 수성 기제 또는 유성 기제에서의 분산성 또는 용해성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표면처리는 송이 분체의 수성 기제 또는 유성 기제에서의 불친화성을 해소하여 입자들의 재응집 성향을 저지하기 위한 것으로 송이 분체의 입자들을 친수성 코팅제 또는 소수성 코팅제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친수성 코팅제로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글루캄 P-20 디스테아레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콘스타치, 덱스트린, 카라야껌, 미국 특허 제4,349,389호가 개시하는 코팅제, 미국 특허 제5,013,543호가 개시하는 코팅제, 미국 특허 제3,546,008호가 개시하는 코팅제, 미국 특허 제3,734,874호가 개시하는 코팅제, 미국 특허 제3,779,993호가 개시하는 코팅제, 미국 특허 제4,233,196호가 개시하는 코팅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소수성 코팅제로서는 메티콘(methicone), 실란(silane), 디메티콘(dimethicone), 티탄산염(titanate), 마그네슘 미리스테이트, 레시틴(lecithin), 퍼플루오로알코올 포스페이트(perfluoroalcohol phosphate), 스펜트 그레인 왁스, 알간 오일(Argania Spinosa Oil), 쉬어 버터(Shea Butter(Butyrospermum Parkii), 달맞이꽃 종자유(Evening Primrose(Oenothera Biennis) Oil)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아이샤도우, 투웨이케익, 파운데이션, 볼연지, 썬스크린크림, 콤팩트, 파우더블러시, 페이스파우더, 메이크업베이스 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현탁액, 분산액 또는 에멀젼의 성상을 가질 수 있다. 에멀젼은 수중유 에멀젼, 유중수 에멀젼일 수 있다. 이러한 에멀젼은 1종 이상의 오일 성분, 수성 성분 그리고 에멀젼의 특성에 따라서 선택된 특정 유화제 성분을 포함한다. 화장품용 에멀젼의 제법 및 성분은 당업계에 잘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오일 성분은 실질적으로 물에 불용성이면서, 제약상 또는 화장품용으로 허용가능한 임의의 물질일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예를 들어 각국의 약전뿐만 아니라 화장품 재료에 관한 미국 화장품협회에서 발간하는 사전 등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적합한 오일 성분은 코코넛 오일과 같은 천연 오일, 광유,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과 같은 탄화수소, 옥틸도데칸올과 같은 지방 알코올, C12-15 알킬 벤조에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와 같은 트리에스테르, 라놀린과 같은 스테롤 유도체, 밀랍과 같은 동물성 왁스, 카나우바와 같은 식물성 왁스, 지랍과 같은 광물성 왁스, 파라핀 왁스와 같은 석유 왁스,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적합한 오일 성분들은 시클로메티콘과 같은 휘발성 실리콘, 디메티콘과 같은 고분자 실리콘, 세틸 디메티콘, 라우릴 트리메티콘, 디메티콘올 등을 들 수 있다.
수성 성분은 주로 물로 이루어진, 제약상 또는 화장품용으로 허용 가능한 재료를 말한다.
수중유 에멀젼의 제조를 위한 수중유 유화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적합한 수중유 유화제로서는 예컨대 소르비톨 유도체(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20 등), 에톡실화 지방산(라우레스-23 등의 에톡실화 알코올, PEG-1000 스테아레이트 등), 아미도아민 유도체(스테아르아미도에틸 디에틸아민 등), 황산에스테르(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 등), 인산 에스테르(DEA 세틸 포스페이트 등), 지방산 아민염(TEA 스테아레이트 등) 등을 들 수 있다.
유중수 에멀젼의 제조를 위한 유중수 유화제도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적합한 유중수 유화제는 소르비탄 유도체(소르비탄 라우레이트, 소르비탄 팔미테이트 등), 알콕실화 알코올(라우레스-4 등), 고분자 실리콘의 히드록실화 유도체(디메티콘 코폴리올) 히드록실화 고분자 실리콘의 알킬화 유도체(세틸 디메티콘 코폴리올 등), 글리세릴 에스테르(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 등), 밀랍 유도체(나트륨 이소스테아로일-2 락틸레이트), 레시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도 당업계의 공지된 방법에 따라 이루질 수 있는데, 예컨대 유성 기제 또는 수성 기제를 70 내지 80℃의 온도로 가열하여 유성 기제 또는 수성 기제의 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시킨 후 안료 성분인 송이 분체를 가하여 혼합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안료로서 송이 분체를 포함하는 이외에, 자외선 차단 활성을 가진 병꽃나무 잎 추출물, 참꽃나무 잎 추출물 및/또는 정금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안료로서 포함되는 송이 분체가 이미 자외선 차단 활성을 나타내지만,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병꽃나무 잎 추출물, 참꽃나무 잎 추출물 또는 정금나무 잎 추출물이 포함될 경우 자외선 차단 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병꽃나무 잎 추출물"은 추출 방법을 불문하고 추출 대상인 병꽃나무 잎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과 그 추출물에서 상기 열거된 용매로 분획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추출 방법을 불문하므로, 추출 대상인 병꽃나무 잎을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추출되는 한, 추출 방법은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등 임의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상기 "병꽃나무 잎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추출 대상인 병꽃나무 잎을 물로 추출하고 얻어진 것을 의미한다. 이 추출물은 추출액,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액, 또는 추출 용매가 제거된 분말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참꽃나무 잎 추출물"과 "정금나무 잎 추출물"은 추출 대상이 각각 참꽃나무 잎 또는 정금나무 잎인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병꽃나무 잎 추출물"과 동일하게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자외선 차단 활성을 가진 병꽃나무 잎 추출물, 참꽃나무 잎 추출물 또는 정금나무 잎 추출물은 이들이 자외선 차단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임의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충분한 자외선 차단 활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추출 용매가 제거된 분말상으로 적어도 2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송이 분체의 안료로서의 바람직한 특성 예컨대 색상 표현력, 부착성, 퍼짐성 등을 감쇄시키지 않아야 하므로 그 상한은 추출 용매가 제거된 분말상으로 10 중량%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기능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기능성이란 화장품으로서의 기능성인 미백 활성, 보습 활성, 피부 자극 감소 활성 등을 의미함과 함께 색조 화장품으로서의 기능성인 부착성, 퍼짐성, 발유성, 발수성, 은폐성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능성 물질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한국 공개특허 제2001-64389호가 개시하는 물질, 한국 공개특허 제2002-67041호가 개시하는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안료로서 송이 분체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안료로서 송이 분체를 포함함으로써 송이 분체를 통한 색상 표현 이외에 송이 분체가 가지는 여러 기능성, 예컨대 자외선 차단 활성, 보습 활성, 원적외선 방사성, 중금속 흡착 활성 등을 아울러 가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송이
분체의
제조 및 식물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 송이 분체의 제조
적갈색을 띤 송이를 채집하고 채집한 송이를 건식 분쇄기를 이용하여 입도가 0.05 내지 5㎛ 범위의 송이 분체를 제조한 후에, 송이 분체에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100℃의 온도 및 600bar의 압력으로 가하여 송이 분체 내의 이물질과 미생물을 제거하였다. 이렇게 하여 최종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안료로서 사용할 송이 분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식물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2-1> 식물 추출물의 제조예 1
병꽃나무 잎 세절물에 3배 중량의 물을 가하고 24시간 동안 80 내지 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고, 얻어진 열수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분말 상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2> 식물 추출물의 제조예 2
참꽃나무 잎 세절물에 3배 중량의 물을 가하고 24시간 동안 80 내지 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고, 얻어진 열수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분말 상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3> 식물 추출물의 제조예 3
정금나무 잎 세절물에 3배 중량의 물을 가하고 24시간 동안 80 내지 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고, 얻어진 열수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분말 상의 추출물을 얻었다.
<
제조예
>
색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 색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예 1
라놀린 20.0 중량%, 디메치콘 2.0 중량% 및 방부제 0.5 중량%를 70 내지 80℃의 온도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송이 분체 77.5 중량%를 분산시켜 혼합하여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색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예 2
라놀린 20.0 중량%, 디메치콘 2.0 중량% 및 방부제 0.5 중량%를 70 내지 80℃의 온도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송이 분체 74.5 중량%와 상기 <실시예 2-1>에서 제조된 병꽃나무 잎 추출물 3.0 중량%를 분산시켜 혼합하여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색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예 3
라놀린 20.0 중량%, 디메치콘 2.0 중량% 및 방부제 0.5 중량%를 70 내지 80℃의 온도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송이 분체 74.5 중량%와 상기 <실시예 2-2>에서 제조된 참꽃나무 잎 추출물 3.0중량%를 분산시켜 혼합하여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색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예 3
라놀린 20.0 중량%, 디메치콘 2.0 중량% 및 방부제 0.5 중량%를 70 내지 80℃의 온도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송이 분체 74.5 중량%와 상기 <실시예 2-2>에서 제조된 정금나무 잎 추출물 3.0중량%를 분산시켜 혼합하여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색상 표현력 평가 실험 및 자외선 차단 활성 실험
<실험예 1> 색상 표현력 측정 실험
<실험예 1-1> 색상 표현력 측정 실험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10g를 성형 용기에 압축·성형하고 색조 화장료 도포시 사용하는 분첩을 이용하여 1회 페이-오프(pay-off)한 후, 이를 백색 종이에 도포하여 색상 표현력(발색력)을 색차계 COLOR QUEST-XE(HUNTER LAB,U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으며, [표 1]에서 L 값은 색상의 밝기를 나타내는 값이며, A 값은 붉은 정도를 B 값은 노란 정도를 나타낸다.
한편 비교예로서는 기존에 공지된 안료로 제조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였으며, 비교예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제조예 1>에서 송이 분체 77.5 중량% 대신에 세리사이트 18.0 중량%, 티타네이트 마이카 18.0 중량%, 황색 산화철 1.0 중량% 및 탈크 40.5 중량%를 사용하여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것이다.
구분 | L | A | B |
제조예 1 | 62 | 2.1 | 0.2 |
비교예 | 69 | 2.3 | 0.3 |
상기 [표 1]의 결과는 송이 분체를 안료로서 사용하여 제조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이 기존 공지된 안료를 사용하여 제조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특별히 색상 표현력에 있어서 뛰떨어지지 않음을 보여준다.
<실험예 1-2> 색상 표현력에 대한 관능평가
색상 표현력에 대한 관능평가를 20~30대 여성 20명을 상대로 얼굴에 직접 도포하게 한 후 설문조사 형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응답자의 수로 나타내었다.
비교예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실험예 1-1>에서 제조된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구분 | 매우 우수 | 우수 | 약간 우수 | 없음 |
제조예 1 | 2 | 12 | 4 | 2 |
비교예 | 4 | 10 | 5 | 1 |
상기 [표 2]의 관능평가 결과도 송이 분체를 안료로서 사용하여 제조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표현력이 기존 공지된 안료를 사용하여 제조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표현력과 비슷함을 보여준다.
<실험예 2> 자외선 차단 활성 실험
상기 제조예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의 SPF(Sun Protection Factor) 및 PFA(Protection Factor of UVA)를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한 기능성 화장품 방법 중 자외선 차단 기능 시험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여기서 SPF/PFA가 높을수록 UVB/UVA 차단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 SPF | PFA |
제조예 1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 | 26.6 | 5.7 |
제조예 2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 | 33.7 | 7.2 |
제조예 3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 | 35.2 | 7.5 |
제조예 4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 | 32.5 | 6.9 |
상기 [표 3]의 결과는 송이 분체만이 포함된 색조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도 일정 정도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지만, <실시예 2>에 얻어진 병꽃나무 잎 추출물, 참꽃나무 잎 추출물 또는 정금나무 잎 추출물이 포함된 경우가 더 우수한 자외선 차단 활성을 보여, 이들 각 추출물이 자외선 차단 활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Claims (3)
- 안료로서 송이 분체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로서,
그 송이 분체는 60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고,
그 송이 분체는 수성 기제 또는 유성 기제에서의 분산성 또는 용해성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친수성 코팅제 또는 소수성 코팅제로 표면처리되며,
그 조성물의 성상은 현탁액, 분산액 또는 에멀젼 성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이 분체는 그 입도가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9568A KR101466379B1 (ko) | 2013-07-29 | 2013-07-29 | 송이 분체를 이용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9568A KR101466379B1 (ko) | 2013-07-29 | 2013-07-29 | 송이 분체를 이용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8750A Division KR101365256B1 (ko) | 2011-11-15 | 2011-11-15 | 송이 분체를 이용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4013A KR20130114013A (ko) | 2013-10-16 |
KR101466379B1 true KR101466379B1 (ko) | 2014-12-01 |
Family
ID=49634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9568A KR101466379B1 (ko) | 2013-07-29 | 2013-07-29 | 송이 분체를 이용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6637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52260A1 (ko) * | 2016-09-19 | 2018-03-22 | (주)아모레퍼시픽 | 화산송이 분말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2912B1 (ko) * | 2013-12-13 | 2019-01-28 | 씨큐브 주식회사 | 화장품용 조성물 |
KR101627542B1 (ko) * | 2015-07-15 | 2016-06-13 |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 제주현무암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102598471B1 (ko) | 2015-09-30 | 2023-11-06 | (주)아모레퍼시픽 | 화산송이 분말 입자가 다공성 고분자에 함침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WO2017057886A1 (ko) * | 2015-09-30 | 2017-04-06 | (주)아모레퍼시픽 | 화산송이 분말 입자가 다공성 고분자에 함침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07080A (ko) * | 2004-07-13 | 2006-01-24 | 이선화 | 제주 스코리아를 주성분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
KR20100065832A (ko) * | 2008-12-09 | 2010-06-17 | 코스맥스 주식회사 | 스코리아 미세 입자를 함유하는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
2013
- 2013-07-29 KR KR1020130089568A patent/KR10146637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07080A (ko) * | 2004-07-13 | 2006-01-24 | 이선화 | 제주 스코리아를 주성분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
KR20100065832A (ko) * | 2008-12-09 | 2010-06-17 | 코스맥스 주식회사 | 스코리아 미세 입자를 함유하는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52260A1 (ko) * | 2016-09-19 | 2018-03-22 | (주)아모레퍼시픽 | 화산송이 분말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KR20180031173A (ko) * | 2016-09-19 | 2018-03-28 | (주)아모레퍼시픽 | 화산송이 분말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KR102715221B1 (ko) * | 2016-09-19 | 2024-10-10 | (주)아모레퍼시픽 | 화산송이 분말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4013A (ko) | 2013-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02866B1 (ko) | 유중수 에멀젼 형태의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 |
JP5781277B2 (ja) | 顔料混合物 | |
KR101466379B1 (ko) | 송이 분체를 이용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 | |
EP1843821B1 (de) | Zubereitung, insbesondere kosmetische zubereitung sowie die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rselben | |
EP1324747B1 (de) | Kosmetische zubereitung mit pflanzenextrakten | |
CN101084000B (zh) | 用于预防炎症的包含改性粘土的外用皮肤剂 | |
KR20160145824A (ko) | 고 웨트 포인트를 갖는 입자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조성물 | |
WO2004016236A1 (ja) | 化粧料 | |
EP1500385A1 (fr) | Procede de stabilisation de mousse pour mousse cosmetique | |
JP5535228B2 (ja) | 粉体メイクアップ組成物および方法 | |
DE102005057593A1 (de) | Zubereitung, insbesondere kosmetische Zubereitung, sowi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 |
KR101638950B1 (ko) | 백탁 현상이 없는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 |
KR101365256B1 (ko) | 송이 분체를 이용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 | |
EP2931239B1 (en) |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white natural pigments having high coverage | |
DE102004042299A1 (de) | Kosmetisches Aufhellungs- und Reinigungsmittel für die Haut | |
EP1690523A1 (de) | Kosmetische Zubereitungen zur dekorativen Anwendung enthaltend anorganische Gelbpigmente auf der Basis von Titan-, Zinn- und Zinkmischoxiden | |
DE102005033009A1 (de) | Zubereitung, insbesondere pharmazeutische, dermatologische oder kosmetische Zubereitung sowi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 |
DE69918626T2 (de) | Zusammensetzung zur äusserlichen Anwendung enthaltend Succinoglucan, Tonerde und ein Alkylacrylat/methacrylat Copolymer | |
US20130129803A1 (en) | Cosmetic material comprising a sappan wood extract on a clay substrate | |
KR101995998B1 (ko) | 쿠션 화장품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210036835A (ko) | 표면개질된 세륨옥사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12842947A (zh) | 鱼腥草提取物及其在皮肤外用剂中的应用 | |
JP3660537B2 (ja) | 粉末化粧料 | |
EP1308154B1 (de) | Kosmetikum mit erhöhter Feuchthaltewirkung | |
KR102637693B1 (ko) | 분말상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