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542B1 - 제주현무암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제주현무암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542B1
KR101627542B1 KR1020150100564A KR20150100564A KR101627542B1 KR 101627542 B1 KR101627542 B1 KR 101627542B1 KR 1020150100564 A KR1020150100564 A KR 1020150100564A KR 20150100564 A KR20150100564 A KR 20150100564A KR 101627542 B1 KR101627542 B1 KR 101627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powder
cosmetic composition
basalt powder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혜 자 이
윤 범 김
정 미 김
지 원 이
진 오 박
Original Assignee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유씨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유씨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0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무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주현무암 분말을 함유하여 피부에 적용 시에, 높은 원적외선 방사로 인해 피부에 여러 유익한 효과를 주고, 과잉분비되는 피지를 조절하고, 피부보습, 및 모공축소에 효과적이며, 중금속 및 각종 유해물질, 각질, 피지 등 흡착효과를 나타내어 피부세정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이러한 효능은 현무암 분말과 함께 밭벼분말을 혼합하여 보다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주현무암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BASALT POWDER FROM JEJU ISLAND}
본 발명은, 제주현무암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표피, 진피, 피하 지방으로 구성되어 있는 피부는 인체를 이루고 있는 가장 큰 기관으로 보호 기능과 장벽기능, 온도 조절 기능, 배설 기능, 호흡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중요한 기관이다. 나이가 들면서 피부는 그 기능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특히 오존층의 파괴로 인한 자외선량의 증가, 대기 오염, 공해, 합성세제의 과도한 사용 등의 외적인 요인과 염증, 세포 파괴, 피로, 심리적 스트레스 등의 내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피부 노폐물의 증가하고, 여드름, 아토피성 피부염, 검버섯, 기미 등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자외선이나 외부 환경적 요인에 의해 생성된 활성 산소나 프리라디칼이 세포막을 공격하여 세포를 파괴하고 그 결과 피부에 염증이 일어나며, 염증화된 조직은 생리학적 진행 메카니즘에 의해 단백질이나 유전자 물질 등을 파괴하여 주름 등이 형성되면서 피부는 노화되는데, 노화에 따른 피부의 생리적 변화로는 피부의 구성 성분인 표피, 진피 및 피하 조직의 두께가 얇아지는 현상, 피부 장벽의 기능을 맡고 있는 지질장벽(lipid barrier)의 지질 조성 및 함량이 변화하면서 그 기능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피부의 수분 함량이 떨어지고 피부가 건조해지는 현상, 및 기미, 주근깨, 색소 침착 또는 다양한 피부 병변이 함께 유발되는 현상 등이 있다.
피부 노화에 따른 주름 형성, 피부 탄력 감소, 색소 침착, 기미, 여드름, 아토피성 피부염 등은 화장품 분야에 있어 피부 보호 및 미용 차원에서 중요한 과제로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는 영역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기존의 화장품 원료는 대부분이 인위적인 화학 물질로서, 부작용이 우려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피지와 같은 노폐물 제거나 여드름, 뾰루지 등의 피부 트러블을 치료하기 위해, 항생제를 쓰거나, 스테로이드 성분을 소량 쓰기도 하는데, 이의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여러 가지 피부 부작용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효과면에서는 기존의 화장료 조성물에 뒤지지 않으면서 사람의 피부에 대해서는 안전성이 보증된 천연 물질을 이용한 화장품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게다가, 현대인들의 피부타입은 훨씬 다양화되고 있고, 부위별로 다른 타입을 보이는게 일반적이며, 알러지, 아토피, 여드름 등 예민하거나 염증성 피부를 갖고 있는 경우도 많아서, 자극이 없고 독성이 거의 없으면서도 노폐물 제거능, 염증피부 개선효과, 노화방지, 미백, 탄력, 보습효과 등 다양한 효능을 골고루 갖추면서도 수요자가 원하는 효능을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낼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제주현무암을 화장품 원료로 사용하여, 피지와 같은 노폐물 제거나 여드름, 뾰루지 등의 피부 트러블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음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제주현무암 분말을 화장료 원료로 이용함으로써 피부의 각종 염증원을 제거 하고 피부 독소를 흡착하여 여드름이나 피부 트러블을 완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백, 노화방지, 피부탄력, 보습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골고루 갖추도록 하면서도 피부타입별로 효과가 나타나며, 피부 트러블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화장품 제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현무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피지분비조절, 모공축소, 피부보습, 피부세정, 및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혈액순환향상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용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현무암 분말은 400 mesh 이상 1250 mesh 미만 범위 내의 입도크기를 가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현무암 분말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 10 중량% 범위 이내로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현무암은 제주현무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밭벼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밭벼분말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 10 중량% 범위 이내로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형 제형, 유중수형 제형, 또는 연고의 화장품 제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주현무암 분말을 함유하여 피부에 적용 시에, 높은 원적외선 방사로 인해 피부에 여러 유익한 효과를 주고, 과잉분비되는 피지를 조절하고, 피부보습, 및 모공축소에 효과적이며, 중금속 및 각종 유해물질, 각질, 피지 등 흡착효과를 나타내어 피부세정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이러한 효능은 현무암 분말과 함께 밭벼분말을 혼합하여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에 사용된 제주현무암 분말의 화학적 성분을 분석한 시험성적서 사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현무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현무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지분비조절, 모공 축소, 피부보습, 피부세정, 및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혈액순환향상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현무암 분말은 400 mesh 이상 1250 mesh 미만 범위 내의 입도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400 mesh 이상 500 mesh 미만 범위 내의 입도크기를 가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400 mesh 이상 범위 내의 입도크기를 가진다 함은, 400 mesh 이상의 체로 걸렀을 때 통과하는 크기 입도크기를 말하고, 1250 mesh 미만 범위 내의 입도크기를 가진다 함은, 1250 mesh 보다 숫자가 작은 체(mesh의 숫자가 작을 수록 체눈은 커진다)로 걸렀을 때 통과하는 범위의 입도크기를 말한다. 따라서, 400 mesh 이상 1250 mesh 미만 범위 내의 입도크기를 가진다 함은, 400 mesh 체에는 통과하지만, 1250 mesh 체에는 걸리는 입도크기를 말하는 것이다. 입도크기에 따라, 효능·효과뿐 아니라, 피극자극과 같은 요인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너무 작은 입도크기는 입자의 자기응집(self-aggregation)현상을 유발하고, 취급 및 보관이 어려우며, 제품 제조시에 비산 문제 등의 어려움을 가중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이해는, 후술할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행하여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현무암 분말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 10 중량% 범위 이내로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 미만에서는 현무암 분말의 유효한 효과를 달성할 수 없을 수 있고, 10 중량% 초과에서는, 효과의 증가는 없으면서도 제제화에 어려움, 제품 사용감 저하, 피부자극 증가 등의 부작용만이 증가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현무암은,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주도가 원산지인 현무암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제주현무암은, 피부흡착 등의 유용성분인 실리카(SiO2) 함량이 높으면서도, 피부자극을 유발할 것으로 추정되는 철(Fe)성분 함량이 낮아매우 바람직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점에서, 산화철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통상적으로 붉은색을 띠는 화산석송이와 구별된다. 화산석송이와 현무암 분말의 차이에 대해서는, 김성은, “송이 및 현무암 석분을 이용한 탄성포장재의 중금속제거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등의 공지된 문헌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로써, 상기 문헌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 상의 내용의 전부 인용·합체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다 증진된 효과를 위해, 현무암 분말 이외에, 기능성 유용성분인 밭벼분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밭벼분말은, 현무암 분말과 함께, 피부자극은 줄이면서도, 피부미백효과, 세정효과 등의 효능을 보다 증진시키는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상기 밭벼분말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 10 중량% 범위 이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 미만에서는 밭벼분말의 유효한 효과를 달성할 수 없을 수 있고, 10 중량% 초과에서는, 효과의 증가는 없으면서도 제제화에 어려움, 제품 사용감 저하, 피부자극 증가, 부패나 상분리 등의 보관안정성 저하 등의 부작용만이 증가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과 관련 어느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고, 이에 대한 비제한적 예시로,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형 제형, 유중수형 제형, 또는 연고 등의 화장품 제형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권리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해둔다.
실시예
현무암 분말의 제조
제주도 원산지에 채취한 현무암((주) 아라개발로부터 구입)을, 건식분쇄기로 분쇄한 후, 입자를, 각각, 200, 325, 400, 500, 및 1250 mesh의 체로 걸러 입자를 선별하였다.
상기 현무암 분말을 이용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낸 처방과 같은 배합비율로 호모게나이저에 넣고 혼련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글리세린 4.0 4.0 4.0 4.0 4.0
폴리비닐 알코올 15.0 15.0 15.0 15.0 15.0
히아루론산 추출물 5.0 5.0 5.0 5.0 5.0
베타글루칸 7.0 7.0 7.0 7.0 7.0
알란토인 0.1 0.1 0.1 0.1 0.1
노닐 페닐 에테르 0.4 0.4 0.4 0.4 0.4
폴리솔베이트 60 1.2 1.2 1.2 1.2 1.2
방부제, 향, 색소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에탄올 6.0 6.0 6.0 6.0 6.0
현무암 분말
(200 mesh)
1.0 - - - -
현무암 분말
(325 mesh)
- 1.0 - - -
현무암 분말
(400 mesh)
- - 1.0 - -
현무암 분말
(500 mesh)
- - - 1.0 -
현무암 분말
(1250 mesh)
- - - - 1.0
밭벼 분말의 제조
원산지(제주시 어음리)의 제주밭벼를 구입하여, 건식분쇄기로 분쇄한 후, 200 mesh의 체로 걸러 입자를 선별하였다.
상기 현무암 분말, 밭벼 분말, 및 스코리아 분말을 이용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낸 처방과 같은 배합비율로 호모게나이저에 넣고 혼련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글리세린 4.0 4.0 4.0 4.0 4.0
폴리비닐 알코올 15.0 15.0 15.0 15.0 15.0
히아루론산 추출물 5.0 5.0 5.0 5.0 5.0
베타글루칸 7.0 7.0 7.0 7.0 7.0
알란토인 0.1 0.1 0.1 0.1 0.1
노닐 페닐 에테르 0.4 0.4 0.4 0.4 0.4
폴리솔베이트 60 1.2 1.2 1.2 1.2 1.2
방부제, 향, 색소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에탄올 6.0 6.0 6.0 6.0 6.0
현무암 분말
(400 mesh)
0.05 0.1 10 25 1.0
밭벼 분말 - - - - 1.0
비교예
스코리아 (Scoria) 분말의 제조
화산석송이 분말을 400 mesh 체에 체질하여, 그 미분을 선별하였다.
상기 스코리아 분말을 이용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낸 처방과 같은 배합비율로 호모게나이저에 넣고 믹싱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비교예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4.0
폴리비닐 알코올 15.0
히아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알란토인 0.1
노닐 페닐 에테르 0.4
폴리솔베이트 60 1.2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에탄올 6.0
스코리아 분말 1.0
실험예
피부자극 평가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시한 피부 1차 자극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피험자 선정은 선정조건을 만족하고 제외조건에 해당사항이 없는 성인 30명 이상 선정하여 수행하였으며, 피험자의 척추를 제외한 등의 평평한 부위로 착색이나 피부손상이 없는 부위에 첩포하였다. 피부 자극정도 평가는 Frosch & Kligman, CTFA(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guideline에 의해 평가하였으며 결과 계산은 하기 표 4의 등급 판정 기준에 따라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피부반응도를 판정하였다. 또한 시험 물질의 피부자극정보는 아래의 수학식 2을 이용하여 하기 표 5의 피부 자극 지수표를 참조하여 판정하였다.
Figure 112015068607298-pat00001
기호 등급 판정기준
+ 1 약간의 홍반, 반점 또는 미만성 (diffuse)
++ 2 중증도의 균일한 홍반
+++ 3 부종을 동반한 심한 홍반
++++ 4 부종과 소수포를 동반한 심한 동반
Figure 112015068607298-pat00002
피부자극지수 구분 비고
0.00 ~ 0.25 비자극성 6.25%
0.26 ~ 1.00 약한 자극성 25.0%
1.01 ~ 2.50 중등도 자극성 62.5%
2.51 ~ 4.00 강한 자극성 100.0%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피부자극지수 피부반응도
실시예 1 0.28 +(약한자극성)
실시예 2 0.25 +(약한자극성)
실시예 3 0.12 (비자극성)
실시예 4 0.10 (비자극성)
실시예 5 0.16 (비자극성)
실시예 6 0.10 (비자극성)
실시예 7 0.13 (비자극성)
실시예 8 0.16 (비자극성)
실시예 9 0.25 +(약한자극성)
실시예 10 0.05 (비자극성)
비교예 0.24 +(약한자극성)
피부자극 정도를 평가한 결과, 현무암 분말의 입도, 또는 그 함유량에 따라 자극성 여부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을 하였고, 입도크기는 400 mesh 이상 1250 mesh 미만 범위가 바람직하고, 그 함유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 10 중량% 범위가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피지분비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지흡착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30명을 무작위로 선별하여, 지정된 부위에 실시예들 및 비교예를 사용하게 하여 사용 전·후의 피지량을 피부유분측정기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았다.
Sebumeter Value
실시예 1 103.2 91.3
실시예 2 102.8 87.4
실시예 3 102.9 84.5
실시예 4 103.4 83.6
실시예 5 103.2 89.2
실시예 6 103.3 93.1
실시예 7 103.5 90.1
실시예 8 103.2 81.7
실시예 9 103.3 85.2
실시예 10 103.0 82.1
비교예 103.4 93.4
모공축소 평가 시험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모공축소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상기 피험자는 세안 후 입실하여 20분동안 항온 항습 조건에서 안정을 취한 뒤, 시험에 참여하였으며, 사용전과 사용 직후 시점에서 모공의 면적과 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Sebumeter Value
모공의 면적 모공의 수
사용전 사용후 사용전 사용후
실시예 1 40.5 39.1 334.7 323.5
실시예 2 40.5 38.2 334.5 318.4
실시예 3 40.6 37.8 334.5 315.5
실시예 4 40.7 37.2 334.9 312.3
실시예 5 40.2 38.4 334.7 328.7
실시예 6 40.5 40.1 334.2 333.5
실시예 7 40.5 37.5 334.7 318.8
실시예 8 40.4 36.4 334.2 302.7
실시예 9 40.5 39.0 334.7 312.8
실시예 10 40.4 36.5 334.5 310.9
비교예 40.5 39.1 334.9 318.8
모공축소 정도분석을 비교하면 상기 표 8과 같다. 모공의 면적 및 개수 분석결과, 제품 사용전과 비교시 사용직 후 면적은 8.6% 감소율을 보였으며, 모공의 개수는 6.7% 감소하여 모공의 축소와 감소에 본 발명에 따른 현무암 분말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이 효과적이라는 판단이 가능하다.
피부보습 시험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보습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실시예의 조성물과 비교예의 조성물을 사용하게 한 후, 시간당 경피수분손실량 (TEWL)의 변화값을 측정하고, 표피 수분량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로 피부의 수분량을 수치화하여 보습효과를 측정하였다. 시험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TEWL Corneometer value
실시예 1 2.8 98
실시예 2 2.6 105
실시예 3 2.3 110
실시예 4 2.0 112
실시예 5 2.6 102
실시예 6 4.2 85
실시예 7 3.7 105
실시예 8 1.2 118
실시예 9 1.4 103
실시예 10 1.0 122
비교예 3.2 95
피부세정력 평가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세정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표준 오염물을 가지고 인체의 손 상등부에 직접 도포한 후,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세정 전, 후의 오염물질의 잔존량은 색차계(Color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0에 나타내었다.
세정력(%)
실시예 1 52
실시예 2 59
실시예 3 70
실시예 4 72
실시예 5 62
실시예 6 45
실시예 7 65
실시예 8 78
실시예 9 72
실시예 10 75
비교예 65
피부세정력 정도를 평가한 결과, 현무암 분말의 입도, 또는 그 함유량에 따라 자극성 여부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을 하였고, 입도크기는 400 mesh 이상 1250 mesh 미만 범위가 바람직하고, 그 함유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 10 중량% 범위가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원적외선 방사율 시험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에 의뢰하여, 원적외선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1과 같았다.
시험항목 결과
원적외선방출량 방사율 (5~20㎛) 0.901
방사에너지 (W/㎡) 3.63 x 102
원적외선의 역할은 혈액순환촉진, 세포기능 활성화, 물분자의 활성화 및 숙성 효과가 있다. 특히 원적외선을 내는 물질을 화장료의 원료로 사용할 경우 각질 내에서 부족하기 쉬운 수분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노폐물의 배설을 촉진하고 냄새를 중화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바, 이들의 효과를 기재할 수 있을 것이다.
항균시험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에 의뢰하여, 대장균에 대한 항균시험을 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2와 같았다.
Figure 112015068607298-pat00003
이러한 항균시험 결과에 비추어보면, 대장균 이외의 다른 균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이고, 또한 피부에 염증을 유발하는 여드름균이나, 포도상구균이나, 액와 등에 분포하는 박테리아 등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여드름 개선 효과나, 데오드란트 효과도 있을 것으로 보이는 바, 이러한 제제로의 제조도 가능할 것이다.
탈취시험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에 의뢰하여, 암모니아에 대한 탈취시험을 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3와 같았다.
Figure 112015068607298-pat00004
이러한 탈취시험 결과에 비추어보면, 액와 등에 분포하는 박테리아의 분해 산물이나, 노인성 체취 등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이는 바, 데오드란트 효과를 이용한 제제로의 제조도 가능할 것이다.
현무암 분말의 화학적 성분 분석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에 일반성분분석 및 입도분석을 의뢰하였다. 결과는 도 1에 나타낸 시험성적표와 같았다.

Claims (8)

  1. SiO2의 함량이 50중량% 이상, Fe2O3의 함량이 11중량% 이하, 및 Al2O3, Fe2O3 및 MgO의 총 함량이 33중량% 이하로 포함된 제주현무암 분말에 있어서, 상기 제주현무암 분말은 400 mesh 이상 1250 mesh 미만 범위 내의 입도크기를 가지는 제주현무암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피지분비조절, 모공축소, 피부보습, 피부세정, 및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혈액순환향상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용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주현무암 분말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 10 중량% 범위 이내로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밭벼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밭벼분말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 10 중량% 범위 이내로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1, 2, 4 및 6 내지 7의 어느 한 청구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형 제형, 유중수형 제형 및 연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화장품.
KR1020150100564A 2015-07-15 2015-07-15 제주현무암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27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564A KR101627542B1 (ko) 2015-07-15 2015-07-15 제주현무암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564A KR101627542B1 (ko) 2015-07-15 2015-07-15 제주현무암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542B1 true KR101627542B1 (ko) 2016-06-13

Family

ID=5619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564A KR101627542B1 (ko) 2015-07-15 2015-07-15 제주현무암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5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3435A (ko) 2017-07-28 2019-02-11 (주)엘에스화장품 미세먼지 및 황사의 유해 성분 제거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KR20200053253A (ko) 2018-11-08 2020-05-18 (주)엘에스화장품 피부에 흡착된 유해성분 제거를 위한 킬레이팅 화장품 조성물
KR102299828B1 (ko) * 2021-04-22 2021-09-09 케이더블유케어 주식회사 보습 및 각질제거 효과가 우수한 저자극 바디워시용 조성물
KR20220112525A (ko) * 2021-02-04 2022-08-11 최혁 식초 숙성 점액 여과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845A (ko) * 2002-02-18 2003-08-25 애경산업(주) 쌀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세안용 화장료조성물
US20040028630A1 (en) * 2002-08-06 2004-02-12 Basalt Works, Llc Body scrub cosmetic composition
EP1878433A1 (de) * 2006-07-14 2008-01-16 Paolo Colombini Magmatithaltige topische Zusammensetzung
KR20130114013A (ko) * 2013-07-29 2013-10-16 (주)제주사랑농수산 송이 분체를 이용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845A (ko) * 2002-02-18 2003-08-25 애경산업(주) 쌀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세안용 화장료조성물
US20040028630A1 (en) * 2002-08-06 2004-02-12 Basalt Works, Llc Body scrub cosmetic composition
EP1878433A1 (de) * 2006-07-14 2008-01-16 Paolo Colombini Magmatithaltige topische Zusammensetzung
KR20130114013A (ko) * 2013-07-29 2013-10-16 (주)제주사랑농수산 송이 분체를 이용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3435A (ko) 2017-07-28 2019-02-11 (주)엘에스화장품 미세먼지 및 황사의 유해 성분 제거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KR20200053253A (ko) 2018-11-08 2020-05-18 (주)엘에스화장품 피부에 흡착된 유해성분 제거를 위한 킬레이팅 화장품 조성물
KR20220112525A (ko) * 2021-02-04 2022-08-11 최혁 식초 숙성 점액 여과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82682B1 (ko) 2021-02-04 2022-12-29 최혁 식초 숙성 점액 여과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99828B1 (ko) * 2021-04-22 2021-09-09 케이더블유케어 주식회사 보습 및 각질제거 효과가 우수한 저자극 바디워시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542B1 (ko) 제주현무암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6253B1 (ko) 무기 분체에 자외선 무기 차단제와 자외선 유기 흡수제omc가 이중코팅된 자외선 차단기능성 복합분체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7290912B2 (ja) 絹ベース湿潤剤組成物、及びその方法
CN110559197A (zh) 一种防晒乳及其制备方法
Aglawe et al.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polyherbal facial scrub
KR101824405B1 (ko) 올리브유 및 젤라틴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08014060B (zh) 一种防晒增效组合物及其应用
KR101854840B1 (ko) 포조란이 함유된 마스크 팩
KR101857282B1 (ko) 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41978A (ko) 피부 진정 및 통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81058B1 (ko) 숙면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Londhe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Clay Face Pack.
CN107440918A (zh) 一种可结膜抗过敏防晒乳护肤品及制备方法
KR101007999B1 (ko) 기능성 비누 조성물
KR100760325B1 (ko) 규산염 광물을 이용한 미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미용용 팩
Vatsa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polyherbal Facial Scrub
KR20170120781A (ko) 에센스 오일 화장료 조성물
KR20200036411A (ko) 초미세먼지 및 자외선 차단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070074005A (ko) 나무섬유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Agarwal et al. A REPORT ON PREPARATION & EVALUATION OF POLYHERBAL FACIAL SCRUB
Singh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HERBAL FACE PACK FOR ACNE PRONE SKIN
KR102601148B1 (ko) 피부장벽 손상 회복 및 피부 세포 재생 효과가 우수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Nair et al.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HERBAL FACEWASH GEL CONTAINING Cynodon dactylon
KR20190023860A (ko) 특정 배합비를 갖는 천연 오일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
CN107174533A (zh) 一种无机纳米防晒护肤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