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405B1 - 올리브유 및 젤라틴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올리브유 및 젤라틴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405B1
KR101824405B1 KR1020160157299A KR20160157299A KR101824405B1 KR 101824405 B1 KR101824405 B1 KR 101824405B1 KR 1020160157299 A KR1020160157299 A KR 1020160157299A KR 20160157299 A KR20160157299 A KR 20160157299A KR 101824405 B1 KR101824405 B1 KR 101824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mixture
gelatin
cosmetic composition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윤
Original Assignee
김세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윤 filed Critical 김세윤
Priority to KR1020160157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올리브유 및 젤라틴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올리브유, 간수 및 정제수를 50~70 : 25~35 : 5~15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주기적으로 교반하며 숙성시켜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가열하면서 젤라틴을 투입하여 교반 및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혼합물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투입하고 교반 및 혼합하는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베이스 오일에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징크옥사이드를 첨가하고 교반 및 혼합하여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조성물에 상기 제2 조성물을 첨가하고 교반 및 혼합한 후, 이를 주기적으로 교반하며 숙성시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브유 및 젤라틴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하여 제조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올리브유 및 젤라틴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PREPARATION METHOD OF SUNSCREENING COSMETIC COMPOSITION USING OLIVE OIL AND GELATIN, AND SUNSCREENING COSMETIC COMPOSITION THEREBY}
본 발명은 올리브유 및 젤라틴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각종 오염물질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손상을 받게 된다. 이렇게 손상된 피부세포는 세포증식이 제대로 되지 않아 피부는 탄력을 잃고 주름이 생기게 된다.
정상적인 건강한 피부는 외부 손상요인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방어능력을 가지나, 지속적인 외부자극에 노출되는 경우 방어능력이 저하되어 피부보호능력이 떨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피부의 탄력감소, 주름발생, 피부노화 현상 등이 발생하게 된다. 피부노화 현상은 피부의 보습력 감소와 재생 기능의 저하도 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해 오존층이 파괴됨에 따라 자외선에 대한 노출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자외선에 의한 선번(sun burn), 흑화, 또는 홍반 등의 피부 손상이 날로 가속화되고 있어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삶이 윤택해지면서 생활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자 하는 욕구뿐만 아니라, 아웃도어 활동 특히 등산, 캠핑인구가 가속화되고 있는 등 레저활동 인구가 늘어나면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요구가 나날이 늘어가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주름발생 방지와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외선이나 각종 오염물질에 적게 노출되고, 스트레스를 덜 받으며, 피부에 수분과 영양분을 투여하는 것이 좋다.
주름발생을 방지하고 피부에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는 화장품 조성물로서 젤라틴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 젤라틴은 천연단백질인 콜라겐을 뜨거운 물로 처리하여 얻어지는 유도 단백질로서 흡수성(吸水性)과 팽윤성을 가지고 피부에 흡수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피부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보습 효과, 탄력 효과, 여드름개선 효과가 있고, 건성피부에 유용하여 노화방지를 위한 화장품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정제수에 젤라틴을 녹인 젤라틴 용액은 쉽게 응고하는 성질이 있어서 화장품 조성물 제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자외선 차단기능의 부여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원료, 즉 화학적 차단제와 물리적 차단제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화학적 차단제는 유기자외선 차단제라고도 하며, 자외선 영역의 파장범위를 흡수함으로써 자외선이 피부에 반응하는 것을 방어하며 과량의 화학적 자외선차단제는 피부에 자극이나 각종 트러블을 야기할 수 있어 대부분 국가에서 배합 한도량을 규정하고 있다. 물리적 차단제는 무기자외선차단제라고도 하며 자외선 영역의 파장범위의 빛을 산란시켜 자외선이 피부에 반응하는 것을 방어한다. 이때, 특히 유기자외선차단제는 피부 자극의 우려가 있고, 제형 내에서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우며 많이 배합할 경우 알러지 등의 문제점도 안고 있다. 또한, 유기자외선차단제는 대부분 극성이 높기 때문에 제형의 안정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으며 제형에 안정성을 확보한다 하더라도 마무리 사용감에서 그리지(greasy)한 사용감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유기자외선차단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UV B영역과 UV A영역을 모두 차단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기 어려움이 있다. 통상적으로 화장품 업계에서는 유기자외선차단제와 무기자외선차단제를 적절한 비율로 혼용 배합하여 자외선 차단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관련하여 최근 안전에 대한 사회적 이슈와 함께 유기자외선차단제의 피부 침투성 등의 화학적인 문제점이 많이 노출됨에 따라 소비자의 인식도 피부에의 안전성 문제 특히 트러블 또는 뽀루지 발생 등의 자극을 우려해 자외선 차단 제품의 성분을 꼼꼼히 확인하는 트렌드가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나, 통상적으로 실제로 높은 자외선지수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필수적으로 배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올리브식물 및 열매에서 추출되는 올리브유를 이용하여 화학첨가물을 혼합하지 않고 천연숙성시켜 제조된 제1 혼합물에, 젤라틴과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피부의 유수분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피부 보호막을 형성하면서도, 유기자외선차단제를 화장료 조성성분에서 전혀 배합하지 않고, 무기자외선차단제만으로 우수한 자외선 차단효과와, 백탁현상 및 발림성 저하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올리브유와 젤라틴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는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올리브유, 간수 및 정제수를 50~70 : 25~35 : 5~15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주기적으로 교반하며 숙성시켜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가열하면서 젤라틴을 투입하여 교반 및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혼합물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투입하고 교반 및 혼합하는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베이스 오일에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징크옥사이드를 첨가하고 교반 및 혼합하여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조성물에 상기 제2 조성물을 첨가하고 교반 및 혼합한 후, 이를 주기적으로 교반하며 숙성시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브유 및 젤라틴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오일,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징크옥사이드, 제1 조성물이 40~60 : 20~30 : 20~30 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조성물은 상기 제1 혼합물, 젤라틴 및 단백질 분해효소가 55~75 : 20~40 : 1~10 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브로멜라인(bromelain), 파파인(papain), 피신(ficin) 및 액티니딘(actinidin)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차단지수(SPF)가 30 이상이며, 자외선 A 차단지수(PFA)가 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브유 및 젤라틴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자외선차단제를 함유하지 않아 피부 자극이 없고, 무기자외선차단제를 함유하면서도 투명하게 발리어 백탁현상이 없으며, 사용감 및 발림성이 우수하면서도,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시 올리브유를 주성분으로 하고 숙성시켜 제조된 제1 혼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포함시키게 되는데, 상기 제1 혼합물은 제조 공정에서 계면활성성분이 생성되어 젤라틴과 혼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적절한 유수분 및 항산화 성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단백질 분해효소 효소의 혼합으로 젤라틴이 응고되지 않아 화장품의 점도와 제형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젤라틴의 보습효과 및 탄력화를 극대화할 수 있으면서, 제1 혼합물에 의한 적절한 유분과 항산화 효과를 부여하며, 유수분이 균형을 이루는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혼합물의 제조공정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조성물의 도포 전, 후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차단시험 성적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올리브유와 젤라틴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올리브유, 간수 및 정제수를 50~70 : 25~35 : 5~15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주기적으로 교반하며 숙성시켜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가열하면서 젤라틴을 투입하여 교반 및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혼합물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투입하고 교반 및 혼합하는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베이스 오일에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징크옥사이드를 첨가하고 교반 및 혼합하여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조성물에 상기 제2 조성물을 첨가하고 교반 및 혼합한 후, 이를 주기적으로 교반하며 숙성시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제1 단계로서 올리브유, 간수 및 정제수를 50~70 : 25~35 : 5~15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주기적으로 교반하며 숙성시켜 베이스 조성물로서 제1 혼합물을 제조한다.
도 1은 상기 제1 혼합물의 제조공정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 제1 혼합물의 원료가 되는 올리브유, 간수 및 정제수를 상온에서 혼합하고, 이와 같이 혼합하게 되면 유분과 수분이 혼합되지 않아 층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후 상기 층분리된 상태의 혼합물을 1일 1~2회의 빈도로 적어도 30분 이상 교반하면서, 50~60일간 숙성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숙성과정 초기에는 여전히 층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25~30일 경과시부터 상기 혼합물이 젤 형태로 변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제1 혼합물은 베이스 조성물로서 계면활성을 가지면서 양친매성 물질로 변환된다.
특히, 상기 간수는 천일염 부산물로서, 천일염을 제조할 때 부산물로서 얻을 수 있고, 또 조염(粗鹽)을 저장할 때, 그 조해작용(潮解作用)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그 성분은 염화마그네슘 15∼19%, 황산마그네슘 6∼9%, 염화칼륨 2∼4%, 염화나트륨 2∼6%, 브롬화마그네슘 0.2∼0.4% 등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간수는 나트륨(Sodium) 함량은 적은 반면 염소이온과, 마그네슘, 칼슘, 칼륨, 브롬과 같은 양이온의 함량이 높은 특징이 있어 노폐물의 배출, 세포의 신진대사 촉진, 피부장벽 강화의 효과를 부여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효과 외에, 상기와 같이 정제수와 올리브유를 혼합함에 있어서 간수를 더 혼합함으로서 간수 내 포함된 이온 등에 의하여 제1 혼합물이 베이스 조성물로서 계면활성을 가지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초기 유분과 수분이 층분리된 상태의 혼합물을 숙성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간수 내 포함된 이온의 활성에 의하여 계면활성을 가지도록 도와주게 되어, 숙성과정을 거친 제1 혼합물이 보다 계면활성을 가지면서 양친매성 물질로 변환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별도의 유화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상기 숙성에 의하여 제1 혼합물이 제조될 수 있게 되는 바, 이 때,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1일 1~2회의 빈도로 30분씩 교반하면서 60일간 숙성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올리브유는 뛰어난 보습력을 공급하고, 비타민 A와 비타민 E의 함유로 항산화 효과가 탁월하여 피부를 진정시키고, 윤택하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올리브유와 간수, 정제수는 50~70 : 25~35 : 5~1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중요한데, 상기 올리브유의 비율이 너무 높거나 간수 또는 정제수의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혼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범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혼합물이 제조된 후 상기 제1 혼합물에 허브 추출물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허브추출물은 항균작용을 위한 것으로, 피부에 자극을 완화시키고,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허브추출물이 8중량% 이하가 되면 향균효과가 떨어지고, 20중량%가 넘으면 화장료 조성물의 향기가 너무 자극적으로 변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제1 혼합물의 전체 중량대비 8~2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허브추출물은, 라벤다, 로즈마리, 케모마일,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애플민트, 유카립투스, 라임블라섬, 세이지, 레몬그라스, 레몬버베나, 로즈힙, 시나몬, 자크로, 스위트펜넬, 진저, 샤프란, 에키나세아, 쟈스민, 캐러웨이, 히비스커스, 마리골드를 포함하는 허브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효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은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베이스 조성물인 제1 혼합물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가열하면서 젤라틴을 투입하여 교반 및 혼합함으로써 제2 혼합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혼합물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가열하면서 젤라틴을 투입하여 젤라틴이 제1 혼합물에 잘 혼합될 수 있도록 교반하여 혼합하게 된다. 이 때 제1 혼합물은 60~80℃가 되도록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제1 혼합물과 젤라틴은 55~75 : 20~40의 비율로 혼합할 때 젤라틴에 의한 피부 보호막 형성과, 제1 혼합물에 의한 피부 보습 효과가 조화를 이루면서 혼합될 수 있으며, 젤라틴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을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젤라틴을 혼합시, 상기 제1 혼합물에 식물 추출물을 더 투입하여 혼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 추출물은 항염증 및 항진균성을 나타내는 쇠비름풀 추출물과, 항염 및 항균효과를 더하는 비단풀 추출물, 측백엽 추출물 및 편백엽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 또는 피부의 유수분 밸런스를 조절하고 클린징 및 미백에도 효과가 있는 현미 추출물일 수 있다. 이러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할 경우 피부 자극을 줄이면서 피부 질환, 피부 트러블 등을 완화, 개선 및 예방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혼합물 전체 중량의 1~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은 화장품 기초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제2 혼합물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투입하고 교반 및 혼합하여 화장품 기초 조성물인 제1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 때, 상기 제1 조성물은 상기 제1 혼합물, 젤라틴 및 단백질 분해효소가 55~75 : 20~40 : 1~10 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혼합물의 25 중량% 내지 72중량%의 고농도로 젤라틴이 포함되는데,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의 투입으로 젤라틴이 응고되지 않고 화장품 조성물의 점도와 제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단백질을 분해(endopeptidase 작용)하여 펩톤(peptone)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백질 분해효소는 브로멜라인(Bromelain: 파인애플 추출물), 파파인(Papain: 파파야 추출물), 피신(Ficin: 무화과 추출물) 및 액티니딘(Actinidin: 키위, 파인애플, 망고, 바나나 및 파파야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과일에서 얻어진 엔자임으로서 항산화 비타민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피부에 활력을 되찾아주고 노화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피부의 탈수, 잔주름 및 비늘 모양의 피부를 예방하며 죽은 피부세포를 박리시키고 세포 재생을 촉진함으로써 노화방지와 미백 또는 여드름 개선 성분의 흡수를 향상시켜주는 효과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화장품 기초 조성물인 제1 조성물에 젤라틴을 포함시키되 젤라틴의 보습 효과와 탄력 효과, 피부 보호막 형성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화장품에 첨가하는 양보다 매우 고농도로 젤라틴을 사용하였음에도 화장품 조성물의 점도 및 제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농도의 젤라틴이 포함됨에 따라 제1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젤라틴이 응고되면서 피부에의 밀착력을 현저하게 높임에 따라 피부 보호막 형성효과가 특히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조성물의 도포 전, 후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1 조성물의 도포 직후(좌)에는 얇은 막을 생성하여 빠르게 건조되고, 도포 후 15분 정도 경과되면 피부에 형성된 필름처럼 얇은 막이 밀착되게 형성되고, 이는 세정시까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베이스 오일에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징크옥사이드를 첨가하고 교반 및 혼합하여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인 제2 조성물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징크옥사이드는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로서,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및 스테아릭 애씨드로 코팅된 미립자 티타늄옥사이드와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으로 코팅된 징크옥사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자외선의 산란 및 흡수 작용이 뛰어나 자외선 차단효과가 우수하며, 방부 효과도 우수하다.
상기 베이스오일로는 올리브오일, 아르간오일, 아보카도오일, 호호바오일, 동백오일, 포도씨오일 및 달맞이꽃오일 중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아르간 오일은 노화/주름방지, 아토피 피부, 피부 탄력, 피부 염증 등에 효과가 있고, 상기 아보카도오일은 피부보습과 피부재생의 효과가 있으며, 호호바오일은 피부의 퍼짐성과 윤활성을 촉진시켜 모공과 모낭을 통해 빠르게 흡수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미네랄과 비타민의 복합체를 함유하고 있어 피부를 부드럽게 만들어주고, 보습 및 청결에 효과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오일에 허브에센셜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에센셜 오일은, 라벤더에센셜오일, 쟈스민에센셜오일, 로즈마리에센셜오일, 카모마일에센셜오일, 위치헤이즐에센셜오일 및 일랑일랑에센셜오일 중 1종 이상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오일 중량대비 1~5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에센셜오일 중 라벤더에센셜오일은 피부 세정이나 상처처치에 효과적이며, 쟈스민에센셜오일은 모든 피부에 유효하여 건조해서 손상된 피부나 민감성 피부의 진정, 회복에 효과적이고, 로즈마리에센셜오일은 얼굴이나 몸에 버짐이나 가려움증 등 피부 트러블이 있는 경우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카모마일에센셜오일은 항알러지, 피부진정, 항염, 항암 등의 효과가 있고, 위치헤이즐에센셜오일 및 일랑일랑에센셜오일은 거칠고 건조한 피부에 영양과 수분을 공급해 생기 있는 피부로 만들고 피지샘을 조절해 지성, 건성 피부에 좋으며 피부 진정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허브에센셜오일을 포함시킴으로써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면서 허브에센셜오일이 갖는 진정, 항염, 보습 등의 효과를 더하게 된다. 이 때, 허브에센셜오일을 1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허브에센셜오일의 효과를 나타낼 수 없고, 5중량%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낮아지게 되고 다른 성분과의 조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1 내지 5중량%의 범위 내로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제조하게 되는데, 상기 제1 조성물에 상기 제2 조성물을 첨가하고 교반 및 혼합한 후, 이를 주기적으로 교반하며 숙성시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온에서 상기 화장품 기초 조성물인 제1 조성물에 상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인 제2 조성물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혼합한 다음, 1~3일간 상온에 두어 숙성시킴으로써 크림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제조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오일,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징크옥사이드, 제1 조성물이 40~60 : 20~30 : 20~30 의 중량비로 포함되도록 한다. 상기 범위 미만으로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징크옥사이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자외선 차단효과가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백탁 현상 등의 문제가 있으며, 상기 베이스 오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미만 또는 초과시에는 적절한 점도와 제형을 나타내기 어려운 바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E, 알긴산 및 자몽씨 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첨가제는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보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5 중량%로 더 포함하도록 한다. 그 함량이 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그 효과가 미미하고, 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 현저한 보존효과를 나타내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먼저, 올리브유, 간수 및 정제수를 60: 30: 10의 중량비로 상온에서 혼합하고, 하루에 2번 30분씩 교반하면서 2개월간 숙성시키면서 숙성과정을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혼합물은, 그 원료가 되는 올리브유, 간수 및 정제수를 상온에서 혼합하고 교반한 이후에는 유분과 수분이 혼합되지 않아 층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숙성 초기에는 여전히 층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30일 경과시 젤 형태로 변하게 되고 숙성이 완료되면 점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제1 혼합물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상기 제1 혼합물을 70℃로 가열하면서 젤라틴을 더 투입하고 교반하여 혼합하였다. 상기 젤라틴이 잘 혼합된 혼합물에 파파인 효소를 더 투입하고 교반 및 혼합하여 화장품 기초 조성물인 제1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제1 혼합물과 젤라틴 및 파파인 효소는 65: 30: 5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상기 제조된 화장품 기초 조성물인 제1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고, 도포직후 및 15분 이후의 피부를 관찰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 조성물의 도포 직후(좌)에는 얇은 막을 생성하여 빠르게 건조되고, 도포 후 15분 정도 경과되면 피부에 형성된 필름처럼 얇은 막이 밀착되게 형성되고, 이는 세정시까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올리브유에 징크옥사이드를 첨가하고 교반 및 혼합하여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인 제2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상기 제1 조성물에 첨가·교반하여 혼합한 다음 상온에서 2일간 방치함으로써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올리브유, 징크옥사이드, 제1 조성물이 50 : 22 : 25 의 중량비로 포함되도록 제조하였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상기 제조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성능을 ㈜대한피부과학연구소에 의뢰하여 얻은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PFA 5.36±0.42, PA++ 에 해당하는 자외선 A차단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PF 30.1±2.0 에 해당하는 자외선 차단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젤라틴의 보습효과 및 탄력화를 극대화할 수 있으면서, 적절한 유수분과 항산화 효과를 부여하며, 유수분이 균형을 이루는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는 조성물에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배합하여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유기자외선차단제를 포함하지 않아 피부 자극이 없으면서도 우수한 자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내고, 피부 보호막 형성, 피부 밀착력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6)

  1. 올리브유, 간수 및 정제수를 50~70 : 25~35 : 5~15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주기적으로 교반하며 숙성시켜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가열하면서 젤라틴을 투입하여 교반 및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혼합물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투입하고 교반 및 혼합하는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베이스 오일에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징크옥사이드를 첨가하고 교반 및 혼합하여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조성물에 상기 제2 조성물을 첨가하고 교반 및 혼합한 후, 이를 주기적으로 교반하며 숙성시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브유 및 젤라틴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오일,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징크옥사이드, 제1 조성물이 40~60 : 20~30 : 20~30 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브유 및 젤라틴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성물은 상기 제1 혼합물, 젤라틴 및 단백질 분해효소가 55~75 : 20~40 : 1~10 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브유 및 젤라틴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브로멜라인(bromelain), 파파인(papain), 피신(ficin) 및 액티니딘(actinidin)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브유 및 젤라틴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차단지수(SPF)가 30 이상이며, 자외선 A 차단지수(PFA)가 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브유 및 젤라틴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브유 및 젤라틴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57299A 2016-11-24 2016-11-24 올리브유 및 젤라틴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4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299A KR101824405B1 (ko) 2016-11-24 2016-11-24 올리브유 및 젤라틴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299A KR101824405B1 (ko) 2016-11-24 2016-11-24 올리브유 및 젤라틴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405B1 true KR101824405B1 (ko) 2018-02-02

Family

ID=61223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299A KR101824405B1 (ko) 2016-11-24 2016-11-24 올리브유 및 젤라틴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4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032A (ko) 2018-03-16 2019-09-2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리치바이오 리그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066435B1 (ko) 2018-10-11 2020-02-11 주식회사 골드레벤 올리브를 이용한 콜라겐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올리브 콜라겐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4574A (ko) * 2019-07-05 2021-01-13 (주)나노스토리 정제수 및 젤라틴을 이용한 피부미용보조제 혼합원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피부미용보조제 혼합원료 조성물
KR102336623B1 (ko) 2021-08-26 2021-12-08 (주)나노스토리 인공피부막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4290A (ja) 2013-12-13 2014-06-26 Showa Denko Kk 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4290A (ja) 2013-12-13 2014-06-26 Showa Denko Kk 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032A (ko) 2018-03-16 2019-09-2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리치바이오 리그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066435B1 (ko) 2018-10-11 2020-02-11 주식회사 골드레벤 올리브를 이용한 콜라겐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올리브 콜라겐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4574A (ko) * 2019-07-05 2021-01-13 (주)나노스토리 정제수 및 젤라틴을 이용한 피부미용보조제 혼합원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피부미용보조제 혼합원료 조성물
KR102243050B1 (ko) * 2019-07-05 2021-04-21 (주)나노스토리 정제수 및 젤라틴을 이용한 피부미용보조제 혼합원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피부미용보조제 혼합원료 조성물
KR102336623B1 (ko) 2021-08-26 2021-12-08 (주)나노스토리 인공피부막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405B1 (ko) 올리브유 및 젤라틴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47785B1 (ko) 천연 연화 꽃잎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8158567B1 (en) Body cleansing composition
KR101797638B1 (ko) 올리브유 및 젤라틴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화장품 조성물
CN112472653A (zh) 一种祛痘芦荟胶及其制备方法
CN102415974B (zh) 一种含玫瑰水的化妆水及其制备方法
CN109310724A (zh) 一种用于皮肤和/或头发护理和/或治疗的组合物
KR101627542B1 (ko) 제주현무암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2945704B1 (de) Kopfhaut-pflegepräparation
Londhe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Clay Face Pack.
KR20210004573A (ko) 정제수 및 젤라틴을 이용한 피부보호용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피부보호막 화장품 조성물
CN104490704A (zh) 一种植物精油护肤品
KR101825293B1 (ko) 에센스 오일 화장료 조성물
CN107773487A (zh) 一种防辐射祛黄美白面膜
US20110129547A1 (en) Preparation for care and protection of skin with children and adults, method for obtaining thereof
KR20200036411A (ko) 초미세먼지 및 자외선 차단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10139111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210020595A (ko) 한방 화장품 조성물
Matsui et al. The interaction of metals and the skin: The good, bad, and the ugly
JPH09291015A (ja) 化粧品組成物
KR102641072B1 (ko) 립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립밤
KR102177835B1 (ko) 물 없이 씻는 바디워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00040654A1 (en) Exfoliating and moisturizing composition and method
KR101796816B1 (ko)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및 브로멜라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호용 조성물
KR102211169B1 (ko) 여드름, 모낭염 및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완화 효과를 가지는 무독성 천연 액상 비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여드름, 모낭염 및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완화 효과를 가지는 무독성 천연 액상 비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