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9111A -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9111A
KR20210139111A KR1020200094739A KR20200094739A KR20210139111A KR 20210139111 A KR20210139111 A KR 20210139111A KR 1020200094739 A KR1020200094739 A KR 1020200094739A KR 20200094739 A KR20200094739 A KR 20200094739A KR 20210139111 A KR20210139111 A KR 20210139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eight ratio
blocking
sunscreen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0447B1 (ko
Inventor
유정호
Original Assignee
유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호 filed Critical 유정호
Publication of KR20210139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9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인 벤조페논-3을 함유하지 않아 안전성 문제로부터 자유로우면서 우수한 수준의 자외선 차단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벤조페논-3 성분을 포함하지 않아 인체 내 독성문제로부터 자유로우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백탁현상이 개선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습성과 발림성 및 끈적임이 개선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COSMETIC COMPOSITION FOR UV PROTE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인 벤조페논-3를 함유하지 않아 안전성 문제로부터 자유로우면서 우수한 수준의 자외선 차단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존층 파괴에 의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자외선의 조사량이 남반구를 중심으로 하여 지구 전체로 퍼져 나가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자외선을 차단하려는 생각들이 확산되면서 자외선 케어 화장품에 대한 요구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상기 자외선 케어 화장품은 선스크린(sunscreen)제 라고 불려 여름철을 중심으로 세계 각국에서 생활필수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케어 화장품은 SPF, PA라고 하여 자외선차단지수가 표기된 것을 가리킨다. 지금까지는 자외선 차단이라고 하는 최소한의 기능성이 부여된 자외선 케어 화장품이 많았으나, 최근 들어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에도 자외선 차단 지수가 표기된 것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자외선 차단에 대한 의식이 높아져 자외선 케어 화장품 개발을 촉진하게 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자외선 케어 화장품에 자외선 차단 효과를 부여하고 있는 것이 자외선 산란제와 자외선 흡수제이다.
이 중 자외선 흡수제는 주로 유기계의 화학물질이며, 흡수한 자외선 에너지를 열, 진동, 형광, 라디칼 등의 다른 에너지 형태로 변화시켜 방출한다. 유기물질인 자외선 흡수제는 무기물에 비해 백탁 현상이 없는 화장품 제형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합성된 유해한 성분의 화학물질로 피부에 침투하여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킬 수 있고, 자외선에 의해 화학변화가 일어나 2차적 문제 발생의 소지가 있다는 단점도 있다.
그리고 자외선 산란제는 미립자 티타늄디옥사이드와 징크옥사이드를 가리키며, 접촉성 피부염과 같은 부작용이 없지만, 불투명하고 배합량이 많으면 백탁 현상이 생겨 미관상 좋지 않고, 뻑뻑한 사용감으로 인해 미용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한 제형이 된다.
한편, ‘벤조페논-3/옥시벤존(benzophenone-3/oxybenzone)’은 자외선 차단제와 같이 빛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것에 두루 쓰이고 있는데, 벤조페논-3의 역할은 주로 빛을 흡수하거나, 안정화제로서 화학적 변색방지제로 쓰이고 있다. 가령, ‘특허문헌 1’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서 벤조페논-3를 포함하고 있다.
벤조페논류의 화학성분들은 자외선 차단제뿐만 아니라 화장품의 광안정제, 즉 햇빛에 노출되었을 때 제품의 색상이 바뀌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 성분으로도 쓰여지며, 식제품에서는 조미료로도 쓰인다. 벤조페논-3은 옥시벤존 또는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이라고도 하는데, 엷은 황색의 결정성 가루로 냄새가 없으며 화학적 자외선 흡수제로서 대부분의 국가에서 특정 농도로 자외선 차단제에 사용될 수 있도록 허가되었다.
그런데 ‘벤조페논-3’이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몸속으로 들어가게 되면 유해 활성 산소를 증가시키고 DNA 세포 활동을 교란시켜 기형아나 성장지연을 일으킬 수 있고, 정자세포의 기능을 방해해 불임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또한, 벤조페논-3은 염소와 반응하여 수영장과 폐수 처리장에 사용되는 위험한 부산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벤조페논-3으로 오염된 물고기를 섭취하거나, 몸을 씻은 물에 포함된 벤조페논-3가 식수로 되돌아오게 되면 부작용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인간에게 있어서 벤조페논-3는 접촉 및 광접촉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내분비 교란 물질로서 작용할 수 있고, 허쉬 스프룽병(Hirschsprung's disease)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비특허문헌 1).
KR 10-2012161 B1 (2019. 08. 20.)
DiNardo J.C., Downs C.A. Dermatological and environmental toxicological impact of the sunscreen ingredient oxybenzone/benzophenone-3. J. Cosmet Dermatol. 2018;17:15-19. doi: 10.1111/jocd.12449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벤조페논-3 성분을 포함하지 않아 인체 내 독성문제로부터 자유로우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백탁현상이 개선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습성과 발림성 및 끈적임이 개선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벤조페논-3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자외선을 차단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와 상기 자외선 차단제에 더 포함되어 자외선 차단 지수를 향상시키는 자외선 차단 보조제;와 화장료 조성물을 투명하게 유지하며 경도를 향상시키는 고형제와;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를 분산시키고 사용감을 증대시키는 분산제와; 항산화제 및 점도 증가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2.00 내지 5.00 중량비,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5.00 내지 14.00 중량비, 옥토크릴렌(Octocrylene) 6.00 내지 10.00 중량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자외선 차단 보조제는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 copolymer) 4.00 내지 8.00 중량비, 부틸록틸살리실레이트(Butyloctyl Salicylate) 4.00 내지 6.00 중량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고형제는 옥틸도데카놀(Octyldodecanol), 프로필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Prop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디부틸라우릴글루타미드(Dibutyl Lauroyl Glutamide),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미드(Dibutyl Ethylhexanoyl Glutamide) 및 덱스트린팔미테이트(Dextrin palmitate)로 구성되어 제작된 고형제를 35.00 내지 45.00 중량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분산제는 부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4.00 내지 5.50 중량비,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8.00 내지 12.00 중량비, 옥틸도데카놀(Octyldodecanol) 10.00 내지 13.00 중량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항산화제는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10 내지 0.8 중량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점도 증가제는 VP/에이코신코폴리머(VP/Eicosene Copolymer) 0.5 내지 2.00 중량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벤조페논-3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제와 자외선 차단 보조제를 70 내지 100℃의 온도로 가온하여 투명하게 용해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생성 제1 단계; 고형제와 분산제, 증가제 및 항산화제를 80 내지 120℃의 온도로 가온하여 투명하게 용해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생성 제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생성 제1 단계에서 생성된 화장료 조성물과 화장료 조성물 생성 제2 단계에서 생성된 화장료 조성물을 혼합시키는 조성물 혼합단계; 상기 조성물 혼합단계에서 혼합된 화장료 조성물을 자연냉각 시키는 조성물 냉각단계; 액체 상태인 화장료 조성물을 용기에 충진하는 조성물 충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2.00 내지 5.00 중량비,,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5.00 내지 14.00 중량비, 옥토크릴렌(Octocrylene) 6.00 내지 10.00 중량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외선 차단 보조제는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 copolymer) 4.00 내지 8.00 중량비, 부틸록틸살리실레이트(Butyloctyl Salicylate) 4.00 내지 6.00 중량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고형제는 옥틸도데카놀(Octyldodecanol), 프로필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Prop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디부틸라우릴글루타미드(Dibutyl Lauroyl Glutamide),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미드(Dibutyl Ethylhexanoyl Glutamide) 및 덱스트린팔미테이트(Dextrin palmitate)로 구성되어 제작된 고형제를 35.00 내지 45.00 중량비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제는 부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4.00 내지 5.50 중량비,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8.00 내지 12.00 중량비, 옥틸도데카놀(Octyldodecanol) 10.00 내지 13.00 중량비를 포함하며, 상기 항산화제는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10 내지 0.80 중량비를 포함하고, 상기 점도 증가제는 VP/에이코신코폴리머(VP/Eicosene Copolymer) 0.50 내지 2.00 중량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 식물 추출물이 더 부가되고, 상기 식물 추출물은, 아르간 오일, 캐모마일 추출물, 왕귤 추출물, 목련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화이트윌로우 추출물 및 나한백가지 추출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기 식물 추출물은, 홍삼 추출물 및 달팽이 점액 추출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벤조페논-3 성분을 포함하지 않아 인체 내 독성문제로부터 자유로우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백탁현상이 개선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습성과 발림성 및 끈적임이 개선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차단지수 인체적용 연구결과 요약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A 차단지수 인체적용 연구결과 요약서.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차단지수 인체적용 연구결과 요약서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A 차단지수 인체적용 연구결과 요약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을 차단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100)와 상기 자외선 차단제(100)에 더 포함되어 자외선 차단 지수를 향상시키는 자외선 차단 보조제(200)와 화장료 조성물을 투명하게 유지하며 경도를 향상시키는 고형제(300)와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를 분산시키고 사용감을 증대시키는 분산제(400)와 항산화제(500) 및 점도 증가제(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벤조페논-3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제(100)와 자외선 차단 보조제(200)를 70 내지 100℃의 온도로 가온하여 투명하게 용해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생성 제1 단계(S100)와 고형제(300)와 분산제(400), 항산화제(500) 및 점도 증가제(600)를 80 내지 120℃의 온도로 가온하여 투명하게 용해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생성 제2 단계(S200)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생성 제1 단계(S100)에서 생성된 화장료 조성물과 화장료 조성물 생성 제2 단계(S200)에서 생성된 화장료 조성물을 혼합시키는 조성물 혼합단계(S300)와 상기 조성물 혼합단계(S300)에서 혼합된 화장료 조성물을 자연냉각 시키는 조성물 냉각단계(S400)와 액체 상태인 화장료 조성물을 용기에 충진하는 조성물 충진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자외선 차단제(100)는 태양으로부터 발생되는 자외선 A 성분을 차단하기 위한 조성물이고, 자외선 차단 보조제(200)는 상기 자외선 차단제(100)에 더 포함되어 자외선의 차단 성능을 향상시키거나 보완하는 추가 첨가제이다.
또한, 상기 고형제(300)는 혼합된 화장료 조성물을 투명하게 유지시키는 한편, 경도를 향상시켜 화장료 조성물을 고체의 형태로 제작하는데 사용하는 첨가제 이다.
또한, 상기 분산제(400)는 혼합된 자외선 차단제, 자외선 차단 보조제, 고형제를 분산시켜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을 증대시키는데 사용하며, 항산화제(500)는 자외선에 의해 피부에 홍반현상 또는 노화가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하는 조성물이고, 점도 증가제(600)는 고형제와 같이 사용되어 화장료의 점도를 미세하게 조절하는데 사용한다.
한편, 상기 자외선 차단제(100)는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2.00 내지 5.00 중량비,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5.00 내지 14.00 중량비, 옥토크릴렌(Octocrylene) 6.00 내지 10.00 중량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외선 차단 보조제(200)는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 copolymer) 4.00 내지 8.00 중량비, 부틸록틸살리실레이트(Butyloctyl Salicylate) 4.00 내지 6.00 중량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고형제(300)는 옥틸도데카놀(Octyldodecanol), 프로필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Prop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디부틸라우릴글루타미드(Dibutyl Lauroyl Glutamide),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미드(Dibutyl Ethylhexanoyl Glutamide) 및 덱스트린팔미테이트(Dextrin palmitate)로 구성되어 제작된 고형제를 35 내지 45.00 중량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산제(400)는 부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4.00 내지 5.50 중량비,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8.00 내지 12.00 중량비, 옥틸도데카놀(Octyldodecanol) 10.00 내지 13.00 중량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항산화제(500)는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10 내지 0.80 중량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점도 증가제(600)는 VP/에이코신코폴리머(VP/Eicosene Copolymer) 0.50 내지 2.00 중량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부가적으로 첨가할 수 있는 첨가물로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르간트리커넬 오일, 캐모마일 추출물(꽃, 잎), 왕귤 추출물, 목련나무 추출물(껍질), 녹차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화이트윌로우 추출물(껍질), 나한백가지 추출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식물 추출물은 홍삼 추출물 및 달팽이점액 여과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각 식물 추출물은 자연 건조시킨 다음 다양한 추출방법을 통해 추출할 수 있다. 가령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추출, 열수 추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수 추출의 경우에는 열탕증류기에서 8~48 시간동안, 80~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열수 추출물을 얻는다. 냉수 추출의 경우에는 냉수(15~25℃)에 캘러스 배양물 자체 또는 그것의 건조된 분말을 혼합한 뒤 3일 동안 추출함으로써 냉수추출물을 얻는다. 이 외에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추출한 액은 바로 사용하거나 필터 후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 2 및 3에서의 추출물은 열탕증류기에서 24 시간동안, 90 내지 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달팽이(snail)는 복족류에 속하는 육산패류로 세계에 약 2만 종이 알려져 있다. 이동력이 타 생물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아 이동될 수 있는 가능성이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전 지역에 걸쳐 고루 분포하고 있다.
달팽이의 점액(mucus)을 구성하는 성분은 뮤신(Mucin)인데, 뮤신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은 콘드로이틴설페이트(chondroitin sulfate)이다. 달팽이 점액(snail mucus)의 주요 함유물질인 알란토인(allantoin)은 피부진정 및 모공수축작용이 있으며, 글리콜산(glicolic Acid)은 피부트러블 예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달팽이 점액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25℃ 온도와 65% 습도 범위에서 사육된 달팽이를 정제수에 세척하고 망에 투입한 후 6시간 동안 달팽이로부터 분비된 점액을 수집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2.00 내지 5.00 중량비,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5.00 내지 14.00 중량비, 옥토크릴렌(Octocrylene) 6.00 내지 10.00 중량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외선 차단제(100)와,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 copolymer) 4.00 내지 8.00 중량비, 부틸록틸살리실레이트(Butyloctyl Salicylate) 4.00 내지 6.00 중량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외선 차단 보조제(200)를 70 내지 100℃의 온도로 가온하여 투명하게 용해시킨다(이하 ‘A-1상’).
옥틸도데카놀(Octyldodecanol), 프로필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Prop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디부틸라우릴글루타미드(Dibutyl Lauroyl Glutamide), 디부틸에칠헥사노일글루타미드(Dibutyl Ethylhexanoyl Glutamide) 및 덱스트린팔미테이트(Dextrin palmitate)로 구성되어 제작된 고형제(300)와, 부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4.00 내지 5.50 중량비,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8.00 내지 12.00 중량비, 옥틸도데카놀(Octyldodecanol) 10.00 내지 13.00 중량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산제(400)와,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10 내지 0.80 중량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항산화제(500) 및 VP/에이코신코폴리머(VP/Eicosene Copolymer) 0.50 내지 2.00 중량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도 증가제(600)를 혼합한 다음 100 내지 120℃의 온도로 가온하여 용해시킨다(이하 ‘B상’).
이후 A-1상을 B상에 투입하여 혼합 및 고르게 분산시킨 후(S300) 자연냉각 시킨다(S400). 여기서 자연냉각 된 화장료 조성물을 품질검사한 후, 투명한 액체 상태인 내용물을 용기 또는 성형틀에 넣고 냉각시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완성하였다(도 1 참조).
여기서, 상기 조성물은 100 내지 120℃의 온도를 유지하여 액체상태일 때 충진될 수 있도록 주의한다.
각 조성물의 조성은 이하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구분 원료명 중량비
A-1상 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2.00 ~ 5.00
Homosalate 5.00 ~ 14.00
Octocrylene 6.00 ~ 10.00
Acrylates copolymer 4.00 ~ 8.00
Butyloctyl Salicylate 4.00 ~ 6.00
B상 Octyldodecanol 35.00 ~ 45.00
Prop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Dibutyl Lauroyl Glutamide
Dibutyl Ethylhexanoyl Glutamide
Dextrin palmitate
Octyldodecanol 10.00 ~ 13.00
Diisostearyl Malate 8.00 ~ 12.00
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4.00 ~ 5.50
Tocopheryl Acetate 0.1 ~ 0.80
VP/Eicosene Copolymer 0.5 ~ 2.00
실시예 2.
아르간 오일, 캐모마일 추출물(꽃, 잎), 왕귤 추출물, 목련나무 추출물(껍질), 녹차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화이트윌로우 추출물(껍질) 및 나한백가지 추출물을 아래의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비율로 혼합하여 식물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에 혼합하였고,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과 식물 혼합 추출물의 비율은 중량비 기준으로 9:1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구분 원료명 중량비
C상 아르간 오일 7 ~ 13
캐모마일 추출물(꽃, 잎) 6 ~ 9
왕귤 추출물 9 ~ 13
목련나무 추출물(껍질) 6 ~ 10
녹차 추출물 6 ~ 10
프로폴리스 추출물 3 ~ 6
화이트윌로우 추출물(껍질) 3 ~ 6
나한백가지 추출물 3 ~ 6
정제수 36 ~ 50
실시예 3.
실시예 2의 C상에 홍삼 추출물 6 내지 10 중량비 및 달팽이점액 여과물 7 내지 11 중량비를 각각 더 부가하여 식물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에 혼합하였고,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과 식물 혼합 추출물의 비율은 중량비 기준으로 9:1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비교예 1.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벤조페논-3(Benzophenone-3)을 혼합한 다음 70 내지 100℃의 온도로 가온하여 용해시킨다(이하 ‘A-2상’).
실시예 1의 방법과 같이 준비된 B상을 60 내지 80℃의 온도로 냉각한 다음 C상과 혼합한 뒤 성형틀에 넣고 냉각시켜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각 조성물의 조성은 이하의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다.
구분 원료명 중량비
A-2상 Ethylhexyl Methoxycinnamate 10.00 ~ 14.00
Titanium Dioxide 7.00 ~ 9.00
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11.00 ~ 13.00
Benzophenone-3 0.50 ~ 1.50
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4.50 ~ 7.00
B상 Octyldodecanol 35.00 ~ 45.00
Prop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Dibutyl Lauroyl Glutamide
Dibutyl Ethylhexanoyl Glutamide
Dextrin palmitate
Octyldodecanol 5.00 ~ 6.00
Diisostearyl Malate 8.00 ~ 12.00
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4.00 ~ 5.50
Tocopheryl Acetate 0.10 ~ 0.80
VP/Eicosene Copolymer 0.50 ~ 2.00
실험예 1. 시험평가(자외선차단지수)
20세에서 69세의 피부질환이 없는 신체 건강한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등 부위에 35㎠(7cm * 5cm) 직사각형 도포 부위를 구획하고, 전체 도포량이 2.00㎎/㎠이 되도록 작은 방울(15방울 이상) 형태로 떨어뜨리고 핑거코트를 이용하여 원을 그리듯이 펴 바른 후 직선(위/아래 방향)으로 움직이며 제품을 부드럽게 펴 발랐다.
제품 도포 후 자외선 조사까지 15~30분의 대기시간을 가지고, 자외선 조사 후 2~24시간동안 최소홍반량을 판정하였다.
시험결과, 표준시료 및 시험제품의 SPF 평균의 95% 신뢰구간이 측정된 자외선차단지수 평균값의 ±17% 이내임을 확인함으로써 시험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시험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지수(SPF)는 54.6±10.3으로 확인되었으며, 평가기간 동안 시험 대상자에게 특별한 피부 이상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예 2. 시험평가(자외선 A 차단지수)
20세에서 69세의 피부질환이 없는 신체 건강한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등 부위에 35㎠(7cm * 5cm) 직사각형 도포 부위를 구획하고, 전체 도포량이 2.00㎎/㎠이 되도록 작은 방울(15방울 이상) 형태로 떨어뜨리고 핑거코트를 이용하여 원을 그리듯이 펴 바른 후 직선(위/아래 방향)으로 움직이며 제품을 부드럽게 펴 발랐다.
제품 도포 후 자외선 A 조사까지 15~30분의 대기시간을 가지고, 자외선 A 조사 후 2~24시간동안 최소지속형 흑화량을 판정하였다.
시험결과, 표준시료 및 시험제품의 PFA 평균의 95% 신뢰구간이 측정된 자외선 A 차단지수 평균값의 ±17% 이내임을 확인함으로써 시험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시험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A 차단지수(PFA)는 20.88±4.22, PA[++++]로 확인되었으며, 평가기간 동안 시험 대상자에게 특별한 피부 이상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SPF, PA 등 자외선 차단 지수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다.
성능지표 실시예 1 비교예 1
SPF 50+ 31
PA ++++ ++
벤조페논-3 함유 0% 1.0%
피부 자극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1과 비교 시 SPF와 PA 지수가 모두 현저한 수준으로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관능평가
0세에서 45세 사이의 전문 여성 패널 20명을 대상으로 2개의 군으로 나누어 각 군에 얼굴 양쪽 부위에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사용하게 한 후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바를 때 느끼는 바른 후의 백탁, 촉촉함(보습감), 청량감, 끈적임, 사용 편리성 및 전반적인 만족도 등의 사용감을 평가하였고, 5점 척도에 따라 평가를 실시하였다(5점: 매우 긍정, 1점: 매우 부정). 그 결과는 아래의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백탁 4.8 4.7 4.7
촉촉함(보습감) 4.0 4.2 4.5
청량감 3.1 3.1 3.2
끈적임 3.8 3.7 3.4
사용 편리성 4.4 4.3 4.4
전반적인 만족도 4.3 4.0 4.1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 모두 백탁현상이 개선되어 우수한 수준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사용편리성 측면에서도 우수한 수준으로 평가를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및 3의 경우 실시예 1 대비 보습감과 청량감이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실시예 3의 경우, 실시예 2 대비 촉촉함이 더욱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자외선 차단제 200 : 자외선 차단 보조제
300 : 고형제 400 : 분산제
500 : 항산화제 600 : 점도 증가제

Claims (6)

  1. 벤조페논-3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자외선을 차단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100);와
    상기 자외선 차단제(100)에 더 포함되어 자외선 차단 지수를 향상시키는 자외선 차단 보조제(200);와
    화장료 조성물을 투명하게 유지하며 경도를 향상시키는 고형제(300)와;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를 분산시키고 사용감을 증대시키는 분산제(400)와; 항산화제(500) 및 점도 증가제(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100)는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2.00 내지 5.00 중량비,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5.00 내지 14.00 중량비, 옥토크릴렌(Octocrylene) 6.00 내지 10.00 중량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보조제(200)는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 copolymer) 4.00 내지 8.00 중량비, 부틸록틸살리실레이트(Butyloctyl Salicylate) 4.00 내지 6.00 중량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400)는 부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4.00 내지 5.50 중량비,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8.00 내지 12.00 중량비, 옥틸도데카놀(Octyldodecanol) 10.0 내지 13.00 중량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5. 벤조페논-3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제(100)와 자외선 차단 보조제(200)를 70 내지 100℃의 온도로 가온하여 투명하게 용해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생성 제1 단계(S100);
    고형제(300)와 분산제(400), 항산화제(500) 및 점도 증가제(600)를 100 내지 120℃의 온도로 가온하여 투명하게 용해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생성 제2 단계(S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100)는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2.00 내지 5.00 중량비,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5.00 내지 14.00 중량비, 옥토크릴렌(Octocrylene) 6.00 내지 10.00 중량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외선 차단 보조제(200)는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 copolymer) 4.00 내지 8.00 중량비, 부틸록틸살리실레이트(Butyloctyl Salicylate) 4.00 내지 6.00 중량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00094739A 2020-05-13 2020-07-29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470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966 2020-05-13
KR20200056966 2020-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9111A true KR20210139111A (ko) 2021-11-22
KR102470447B1 KR102470447B1 (ko) 2022-11-24

Family

ID=78717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739A KR102470447B1 (ko) 2020-05-13 2020-07-29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4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969B1 (ko) * 2022-11-24 2023-04-26 주식회사 필킨 적외선 및 자외선 차단 화장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054A (ko) * 2000-12-21 2002-07-16 차알스 제이. 메츠 신체 보호용 조성물
US20130028853A1 (en) * 2010-02-09 2013-01-31 Kathryn Nurse High spf sunscreen compositions
US20160374910A1 (en) * 2015-06-25 2016-12-29 L'oreal Sunscreen compositions having synergistic combination of uv filters
KR102012161B1 (ko) 2019-04-03 2019-08-20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054A (ko) * 2000-12-21 2002-07-16 차알스 제이. 메츠 신체 보호용 조성물
US20130028853A1 (en) * 2010-02-09 2013-01-31 Kathryn Nurse High spf sunscreen compositions
US20160374910A1 (en) * 2015-06-25 2016-12-29 L'oreal Sunscreen compositions having synergistic combination of uv filters
KR102012161B1 (ko) 2019-04-03 2019-08-20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iNardo J.C., Downs C.A. Dermatological and environmental toxicological impact of the sunscreen ingredient oxybenzone/benzophenone-3. J. Cosmet Dermatol. 2018;17:15-19. doi: 10.1111/jocd.12449
네이버블로그,"선스틱 절대강자 AHC! 지속내수성까지 잡은 신제품 내추럴퍼펙션선스틱 솔직 사용 후기"(URL:https://blog.naver.com/shineheather/22125292011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969B1 (ko) * 2022-11-24 2023-04-26 주식회사 필킨 적외선 및 자외선 차단 화장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447B1 (ko)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06849B1 (en) A photostable sunscreen composition
EP2499234B1 (en) Bioactive fractions from stress-induced photosynthetic organisms and methods of their manufacture and use
JP2008247854A (ja) 抗酸化剤、dna損傷抑制剤および皮膚外用剤
KR20170100124A (ko)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90107856A (ko) 청색광 및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842960A (zh) 一种同时具有抗紫外线、美白、抗衰老的化妆品组合物
KR102470447B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238742B1 (ko) 안토시아닌을 함유한 자외선 차단효능을 갖는 화장품 조성물
KR101598623B1 (ko)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9328B1 (ko) 두충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쿨링 또는 피부 홍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JPH11349435A (ja) 紫外線による色素沈着症状の防止,改善に有効な皮膚外用剤
KR102354352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0898308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75962A (ko) 돌외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진정 자외선 차단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83718B1 (ko) 카모마일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03126966A (zh) 一种含鱿鱼墨汁黑色素的防紫外霜
KR102572991B1 (ko) Dhhb 및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KR20190056991A (ko) 꽃송이버섯 추출물, 방사무늬돌김 추출물 및 해바라기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보조제 조성물
KR102337422B1 (ko) 호호바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및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616933A (zh) 一种持久醒肤bb霜
CN104288073A (zh) 一种美白防晒霜及其制备方法
KR20160063002A (ko) 호두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05662906A (zh) 鸢尾黄素防晒护肤品
Sharma et al. A REVIEW ON,“SUNSCREEN: USING NATURAL AGENTS”
KR101601777B1 (ko) 자외선차단제의 광안정성 개선용 말채나무잎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자외선차단 기능성 화장료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