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718B1 - 카모마일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카모마일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718B1
KR102083718B1 KR1020180019958A KR20180019958A KR102083718B1 KR 102083718 B1 KR102083718 B1 KR 102083718B1 KR 1020180019958 A KR1020180019958 A KR 1020180019958A KR 20180019958 A KR20180019958 A KR 20180019958A KR 102083718 B1 KR102083718 B1 KR 102083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sential oil
sunscreen
present
chamomile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9905A (ko
Inventor
민유홍
정다운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9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718B1/ko
Publication of KR20190099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유래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카모마일(Chamomile German)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센셜 오일을 포함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식물 유래의 천연자외선차단 성분으로서 효과적인 자외선 차단제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모마일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for sunprotection using a chamomile essential oil}
본 발명은 카모마일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오존층 파괴, 기후변화 및 사람들의 야외 활동이 증가하면서 자외선 노출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피부 건강뿐만 아니라 미적 측면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자외선(UV)은 파장에 따라 자외선A(UVA), 자외선B(UVB), 자외선C(UVC)로 나눈다. 자외선A는 320~400nm의 장파장으로 인체 피부의 진피층까지 침투해 광노화, 색소침착 등을 일으킨다 (김기연 외 2009). 자외선B는 290~320nm의 파장으로 피부에 홍반, 일광화상 등을 일으킨다 (김기연 외 2009). 자외선C는 200~290nm의 파장으로 대부분 오존층에서 흡수되어 지표면에 거의 도달하지 않으나 피부암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피부의 멜라닌 색소는 이러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보호하고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등 건강에 이로운 작용을 한다. 하지만 멜라닌 색소침착은 미용상 문제가 될 수 있다. 색소침착이란 멜라닌 세포(melanocytes)에서 멜라닌이 생성되어 표피(epidermis)에 축척되는 것으로, 생리적으로 체내에 있는 멜라닌의 양이 비정상적인 경우, 또는 나타나는 위치에 이상이 있을 경우 등이 있다 (Solano et al 2006).
이러한 색소침착을 막기 위해서는 자외선차단이 필요하다. 자외선차단제는 기능성 화장품으로 유기화학물질인 화학적 차단제와 무기물질인 물리적 차단제의 두 가지 성분을 사용한다. 화학적 차단제는 자외선을 흡수해서 진동, 열 등으로 변환시켜 차단하는 것으로 피부에 사용 시 투명하여 사용감이 좋지만 해로운 반응성 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을 생성하고 피부자극, 접촉피부염, 광독성, 광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다 (Leslie 2004). 예로는 PABA, benzophenone, salicylate 및 가장 흔히 사용되는 ethylhexyl methoxycinnamate 등이 있다. 물리적 차단제는 자외선을 산란(반사)시켜 차단하는 것으로 사용 시 백탁현상, 모공 막힘, 끈적임을 유발하며 피부에 유해한 광반응성, DNA 손상 등의 가능성이 있다 (Leslie 2004). 예로는 titanium dioxide, zinc oxide 등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기존 자외선 차단성분들의 독성이나 부작용 때문에 천연자외선차단제를 찾으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자외선차단지수 즉 SPF(Sun Protection Factor)는 자외선B를 차단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수치로 자외선 차단제에는 자외선 차단지수가 표기되어 있다. 자외선양이 1일 때 SPF15 차단제를 바르면 피부에 닿는 자외선의 양이 15분의1로 줄어든다는 의미다. 따라서 SPF는 숫자가 높을수록 차단 기능이 강한 것이다.
이러한 자외선차단지수 SPF는 최소홍반량 (minimum erythemal dose, MED;피부에 자외선B를 조사 후 16~24시간에 홍반이 발생하는 최소한의 자외선 조사량)을 측정하여 그 비율로서 나타낼 수 있으나 측정에 많은 비용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식물로부터 유래된 다수의 에센셜 오일에 대하여 SPF를 측정하여 자외선차단 기능이 높은 에센셜 오일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천연물인 에센셜 오일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천연 자외선 차단 성분으로의 개발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독성이나 부작용이 없는 천연의 식물 유래의 에센셜 오일로서,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가지는 카모마일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은 SPF(Sun Protection Factor)가 20 내지 24 SPF 인 카모마일(Chamomile German) 에센셜 오일을 자외선 차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조성물은 290 내지 320 nm 파장의 자외선B에 대한 자외선 차단능을 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카모마일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따르면, 에센셜 오일을 포함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식물 유래의 천연자외선차단 성분으로서 효과적인 자외선 차단제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본 발명의 효과들은 후술할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분명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모마일 에센셜 오일의 in vitro SPF 측정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카모마일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용 조성물은 카모마일(Chamomile German)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이라 함은 식물이 만들어 낸 향이 나는 식물의 성분을 물리적인 방법으로 얻어낸 휘발성 물질로서, 식물의 꽃이나 잎, 열매, 뿌리, 줄기 등에서 추출한 순수한 오일이다. 에센셜 오일은 항균, 소염, 진통, 거담, 소화촉진, 혈액순환, 정신안정, 항스트레스 작용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조성준, 이인숙 2006).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대중요법 치료를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라고 한다. 에센셜 오일의 자외선 차단효과에 대해 보고된 내용은 매우 적은데, Kaur와 Saraf의 연구에 따르면 9종의 에센셜 오일의 in vitro SPF 측정 결과, peppermint 6.668, tulsi6.571, lemongrass 6.282, lavender 5.624, orange 3.975, lemon 2.810, eucalyptus2.625, tea tree 1.702, rose 0.248으로 나타났다 (Kaur, Saraf 2010). 따라서 에센셜 오일은 자외선차단 성분으로 개발 가능성을 보인다.
본 발명에서 에센셜 오일은 식물 유래로서 카모마일(Chamomile German) 로부터 제조된 에센셜 오일을 사용하며, 이를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으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편도(Bitter almond), 일랑일랑(Ylang-Ylang), 시더우드(Cedarwood), 메이창(May chang), 레몬그라스(Lemongrass), 파출리(Patchouli), 네롤리(Neroli), 베르가못(Bergamot), 정향(Clove bud),바질(Basil), 페퍼민트(Peppermint), 샌들우드(Sandalwood) 또는 제라늄(Geranium) 으로 제조된 에센셜 오일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모마일 에센셜 오일은, SPF(Sun Protection Factor)가 20 내지 24 SPF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센셜 오일은 290 내지 320 nm 파장의 자외선B에 대한 자외선 차단능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크림, 로션, 겔, 스프레이, 스틱 등과 같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는 추가의 보조 또는 첨가 물질로서, 순한 계면활성제, 오일 보디(oil body), 에멀션화제, 고지방화제(hyperfatting agent), 진주 러스터 왁스, 점조도 부여 물질(consistency substance),증점제, 중합체, 실리콘 화합물, 지방, 왁스, 안정화제, 생물기원 활성 물질, 탈취제, 비듬억제제, 막 형성제, 팽윤제, 항산화제, 무기 착색 안료, 굴수성유발물질, 방부제, 방충제, 자기 탄닌제(self tanning agent), 가용성화제, 향료 기름, 착색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인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모마일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화를 하기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1은 크림제형예를 나타낸 것이고, 표 2는 로션의 제형예를 나타낸 것이고, 표 3은 스프레이의 제형예를 나타낸 것이고, 표 4는 스틱의 제형에를 나타낸 것이다. 다만, 하기 제형화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국한되지 않을 것이다.
원료 함량 (%, w/w)
카모마일 에센셜오일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7.0
시어버터 2.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6
스테아린산 2.0
세테아릴알코올/폴리소르베이트60 4.0
잔탄검 0.1
글리세린 3.0
1,3-부틸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5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원료 함량 (%, w/w)
카모마일 에센셜오일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6.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4
세테아릴알코올/세테아레스-20 3.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3.0
잔탄검 0.2
글리세린 2.0
1,3-부틸렌글리콜 3.0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원료 함량 (%, w/w)
카모마일 에센셜오일 5.0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5.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1.0
아크릴레이트/옥틸아크릴아마이드 코폴리머 3.0
에틸알코올 잔량
원료 함량 (%, w/w)
카모마일 에센셜오일 5.0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5.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1.0
비즈왁스 22.0
소르비탄올리베이트 10.0
실리카 5.0
방부제 미량
아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잔량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실시예 1> 에센셜 오일 준비
본 발명에서 사용된 에센셜 오일은 시판되고 있는 에센셜 오일을 이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에센셜 오일과 그 제조사는 아래 표 5과 같다.
에센셜 오일
(Essential oil)
제조사
(Manufacturer)
에센셜 오일
(Essential oil)
제조사
(Manufacturer)
카모마일 저먼(Chamomile German) Gooworl 레몬(Lemon) Florihana
고편도(Bitter almond) 데라퓨오 프랑킨센스(Frankincence) Florihana
일랑일랑(Ylang-Ylang) 허브누리 카유풋(Cajeput) 리치아로마
시더우드(Cedarwood) 데라퓨오 로즈 제라늄(Rose Geranium) 리치아로마
메이창(May chang) 비누야닷컴 라벤더(Lavender) Florihana
레몬그라스(Lemongrass) 데라퓨오 유칼립투스(Eucalyptus) Florihana
파출리(Patchouli) Florihana 클라리세이지(Clary sage) Florihana
네롤리(Neroli) 데라퓨오 카모마일 로만(Charmomile Roman) Gooworl
베르가못(Bergamot) Florihana 로즈메리(Rosemary) Florihana
정향(Clove bud) Florihana 로즈우드(Rosewood) 데라퓨오
바질(Basil) 비누야닷컴 시트로넬라(Citronella) 비누야닷컴
페퍼민트(Peppermint) florihana 팔마로사(Palmarosa) Florihana
샌들우드(Sandalwood) 비누마루 티트리(Tea tree) Florihana
제라늄(Geranium) Florihana 타임(Thyme) 아로마티카
사이프러스(Cypress) Florihana - -
<실시예 2> in vitro SPF 측정
2-1. SPF 측정 방법
상기 실시예 1의 각각의 에센셜 오일의 SPF를 다음의 순서에 따라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에서의 SPF 측정 방법은 Kaur와 Saraf의 방법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① 탈이온수로 희석한 40% 에탄올 (덕산약품, 한국) 용액을 이용해서 1% (v/v) 에센셜 오일 용액 제조하였고, 이를 다시 40% 에탄올 용액을 이용해서 10배 희석하여 0.1% 에센셜 오일 용액을 제조하였다.
② 290nm부터 320nm까지 5nm간격으로 spectrophotometer (UV-1800, Shimadzu, Japan)를 이용하여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③ 40% 에탄올 용액을 blank로 사용하였다.
④ Mansur 공식을 이용하여 in vitro SPF를 계산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Mansur 공식은 아래 식 1과 같다
[식 1]
Figure 112018017854615-pat00001
CF = correction factor = 10
EE(λ) = erythemal effect spectrum
I(λ) = solar intensity spectrum
Abs(λ) = absorbance
여기서, EE × I 값은 아래 표 6의 수치를 적용하였다(Kaur, Saraf 2010).
Wavelength (nm) EE Ⅹ I
290 0.015
295 0.0817
300 0.2874
305 0.3278
310 0.1864
315 0.0837
320 0.0180
2-2. SPF 측정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각각의 에센셜 오일로 측정한 흡광도는 아래 표 7 및 표 8에 나타내었다.
Essential oil Wavelength (nm)
290 295 300 305 310 315 320
카모마일 저먼(Chamomile German) 4.00±0.26 3.68±0.09 2.62±0.06 1.98±0.11 1.67±0.21 1.55±0.10 1.50±0.17
고편도(Bitter almond) 4.00±0.21 4.00±0.18 2.93±0.10 0.99±0.06 0.47±0.02 0.25±0.01 0.18±0.01
일랑일랑(Ylang-Ylang) 1.80±0.23 1.65±0.19 1.60±0.13 1.54±0.09 1.47±0.07 1.38±0.04 1.28±0.03
시더우드(Cedarwood) 3.48±0.55 2.92±0.98 1.80±0.50 1.04±0.14 0.71±0.01 0.60±0.33 0.57±0.04
메이창(May chang) 1.64±0.01 1.29±0.08 1.05±0.01 0.96±0.01 0.90±0.01 0.83±0.01 0.73±0.01
레몬그라스(Lemongrass) 1.77±0.40 1.20±0.26 0.91±0.17 0.78±0.12 0.70±0.83 0.64±0.06 0.60±0.05
파출리(Patchouli) 0.65±0.09 0.71±0.09 0.76±0.10 0.79±0.11 0.77±0.10 0.71±0.10 0.61±0.08
네롤리(Neroli) 0.47±0.13 0.52±0.15 0.57±0.17 0.65±0.20 0.77±0.23 0.92±0.26 1.00±0.28
베르가못(Bergamot) 0.49±0.04 0.55±0.05 0.62±0.05 0.68±0.06 0.72±0.06 0.75±0.06 0.74±0.06
정향(Clove bud) 3.36±0.06 2.00±0.00 0.66±0.01 0.45±0.01 0.37±0.01 0.32±0.01 0.28±0.01
바질(Basil) 1.17±0.02 0.57±0.01 0.52±0.01 0.52±0.01 0.54±0.01 0.57±0.01 0.60±0.01
페퍼민트(Peppermint) 0.60±0.01 0.54±0.01 0.47±0.01 0.48±0.01 0.48±0.01 0.37±0.00 0.22±0.00
샌들우드(Sandalwood) 0.36±0.01 0.31±0.01 0.27±0.01 0.23±0.01 0.19±0.01 0.16±0.01 0.13±0.01
제라늄(Geranium) 0.28±0.01 0.26±0.01 0.24±0.01 0.21±0.01 0.18±0.01 0.14±0.01 0.11±0.01
사이프러스(Cypress) 0.23±0.10 0.20±0.10 0.19±0.10 0.18±0.10 0.17±0.09 0.16±0.09 0.16±0.09
Essential oil Wavelength (nm)
290 295 300 305 310 315 320
레몬(Lemon) 0.22±0.11 0.18±0.11 0.16±0.11 0.16±0.11 0.15±0.11 0.15±0.11 0.15±0.11
프랑킨센스(Frankincence) 0.35±0.00 0.24±0.00 0.17±0.00 0.14±0.00 0.12±0.00 0.10±0.00 0.08±0.00
카유풋(Cajeput) 0.24±0.00 0.19±0.00 0.15±0.00 0.11±0.00 0.08±0.00 0.06±0.00 0.04±0.00
로즈 제라늄(Rose Geranium) 0.24±0.00 0.19±0.00 0.15±0.00 0.11±0.00 0.08±0.00 0.06±0.00 0.04±0.00
라벤더(Lavender) 0.13±0.01 0.11±0.01 0.09±0.00 0.07±0.00 0.06±0.00 0.06±0.00 0.05±0.00
유칼립투스(Eucalyptus) 0.16±0.01 0.12±0.01 0.09±0.01 0.07±0.01 0.05±0.01 0.03±0.01 0.03±0.01
클라리세이지(Clary sage) 0.11±0.00 0.10±0.00 0.08±0.00 0.07±0.00 0.06±0.00 0.05±0.00 0.04±0.00
카모마일 로만(Charmomile Roman) 0.11±0.00 0.09±0.00 0.07±0.00 0.06±0.00 0.05±0.00 0.04±0.00 0.04±0.00
로즈메리(Rosemary) 0.13±0.00 0.09±0.00 0.07±0.00 0.05±0.00 0.04±0.00 0.03±0.00 0.02±0.00
로즈우드(Rosewood) 0.09±0.00 0.07±0.00 0.06±0.00 0.05±0.00 0.04±0.00 0.04±0.00 0.03±0.00
시트로넬라(Citronella) 0.18±0.00 0.07±0.00 0.05±0.00 0.04±0.00 0.03±0.00 0.03±0.00 0.02±0.00
팔마로사(Palmarosa) 0.08±0.00 0.06±0.00 0.05±0.00 0.04±0.00 0.03±0.00 0.02±0.00 0.02±0.00
티트리(Tea tree) 0.37±0.02 0.15±0.01 0.04±0.00 0.02±0.00 0.01±0.00 0.01±0.00 0.01±0.00
타임(Thyme) 0.36±0.03 0.04±0.00 0.01±0.00 0.01±0.00 0.00±0.00 0.00±0.00 0.00±0.00
본 실시예에서 측정된 흡광도를 Mansur 공식에 대입하여 in vitro SPF를 계산하였으며,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카모마일 추출물 제조
일반적인 추출방법인 열수 추출법과 에탄올 추출법을 이용하여 카모마일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열수 추출의 경우, 건조된 카모마일 꽃(비누마루) 100g을 정제수 1liter에 넣고 90℃에서 1시간 추출하고 이를 여과지(Whatman No.1)로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에탄올 추출의 경우, 건조된 카모마일 꽃 100g을 에탄올 (Sigma Aldrich) 1liter에 넣고 상온에서 24시간 추출하고 이를 여과지(Whatman No.1)로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2> in vitro SPF 측정
카모마일 추출물의 in vitro SPF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측정하였으며, 카모마일 추출물의 흡광도는 표 9에 나타내었고, 이로부터 산출된 SPF는 표 10에 나타내었다.
카모마일
추출물
Wavelength (nm)
290 295 300 305 310 315 320
열수 추출물 0.18±0.00 0.16±0.01 0.17±0.01 0.16±0.00 0.16±0.01 0.15±0.01 0.15±0.01
에탄올 추출물 0.11±0.01 0.11±0.01 0.11±0.02 0.11±0.01 0.12±0.01 0.12±0.01 0.12±0.01
카모마일 추출물 in vitro SPF
열수 추출물 1.61±0.04
에탄올 추출물 1.14±0.09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29종의 에센셜 오일 가운데 카모마일(chamomile german)이 가장 높은 22.28 SPF를 나타내었다. Bitter almond, ylang-ylang, cedarwood는 각각 16.63, 15.37, 13.42으로 높은 자외선차단능(SPF)을 보였다. 기존에 보고된 가장 높은 in vitro SPF 수치는 peppermint의 6.668이었는데 (Kaur, Saraf 2010), 이보다 훨씬 높은 수치의 에센셜 오일을 확인하였다. Kaur와 Saraf의 결과에서는 peppermint 6.668, lemongrass 6.282, lavender 5.624, lemon 2.810, eucalyptus2.625, tea tree 1.702이었는데(Kaur, Saraf 2010), 본 발명에서는 peppermint 4.69, lemongrass 8.37, lavender 0.77, lemon 1.60, eucalyptus0.73, tea tree 0.38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는 각 식물의 품종, 재배지, 제조사 등의 차이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카모마일의 에센셜 오일이 아닌,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과 같이 다른 추출물들의 in vitro SPF 비교를 위해 상기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실험한 결과, 표 9 및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모마일의 열수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은 in vitro SPF가 각각 1.61 및 1.14로 매우 낮았다. 따라서 카모마일은 열수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이 아닌 에센셜 오일만이 높은 자외선차단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센셜 오일들을 in vitro 자외선차단지수(SPF)를 측정한 결과, 에센셜 오일 가운데 14종이 in vitro SPF 2 이상의 자외선차단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카모마일(chamomile german)은 in vitro SPF가 22.28로 매우 높은 자외선차단 효과를 나타났다. 그 외에도 bitter almond, ylang-ylang, cedarwood, may chang, lemongrass등은 in vitro SPF 2 이상의 자외선차단 효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센셜 오일을 포함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식물 유래의 천연자외선차단 성분으로서 효과적인 자외선 차단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유래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SPF(Sun Protection Factor)가 20 내지 24 SPF 인 카모마일(Chamomile German) 에센셜 오일을 자외선 차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290 내지 320 nm 파장의 자외선B에 대한 자외선 차단능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19958A 2018-02-20 2018-02-20 카모마일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3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958A KR102083718B1 (ko) 2018-02-20 2018-02-20 카모마일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958A KR102083718B1 (ko) 2018-02-20 2018-02-20 카모마일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905A KR20190099905A (ko) 2019-08-28
KR102083718B1 true KR102083718B1 (ko) 2020-03-02

Family

ID=67775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958A KR102083718B1 (ko) 2018-02-20 2018-02-20 카모마일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7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334B1 (ko) * 2019-11-29 2022-05-0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바질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98000A1 (en) * 2006-05-26 2007-12-27 Grune Guery L High SPF transparent or translucent naturally derived, cytoprotective, UV radiation resistant compositions
KR101723526B1 (ko) * 2016-02-22 2017-04-06 주식회사 젠퓨어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7336B (en) * 2014-06-19 2019-12-11 Cosmetic Warriors Ltd Sunscreen composition in powder form
KR101824540B1 (ko) * 2016-02-03 2018-02-01 닥터하스킨 주식회사 캐모마일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98000A1 (en) * 2006-05-26 2007-12-27 Grune Guery L High SPF transparent or translucent naturally derived, cytoprotective, UV radiation resistant compositions
KR101723526B1 (ko) * 2016-02-22 2017-04-06 주식회사 젠퓨어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905A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swami et al. Natural sunscreen agents: A review
DE19827624A1 (de) Verwendung von einem mit einem Gehalt an Catecinen oder einem Gehalt an Extrakt von grünem Tee in kosmetischen Zubereitungen zur Bräunung der Haut
EP2806849B1 (en) A photostable sunscreen composition
CN110339076B (zh) 一种具有广谱光防护作用的防晒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19186544A1 (en) Topical cannabidio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tecting the skin from ultra-violet radiation
KR102128974B1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4246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3718B1 (ko) 카모마일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56756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1995997B1 (ko) 아프젤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능이 향상된 spf 부스터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93201B1 (ko)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4305A (ko)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2898A (ko)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칠향팔백산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R3023482A1 (fr) Extrait hydroglycerine d&#39;ombellifere pour un usage cosmetique
KR101250386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혼합 새싹 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100898308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CN106176346A (zh) 一种防晒组合物、制备方法及防晒化妆品
KR101969475B1 (ko) 엉겅퀴를 포함하는 복합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72991B1 (ko) Dhhb 및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KR100920899B1 (ko)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화장료 조성물
Sushma et al. A Review On Benefits of Herbal Ingredients Used in Sunscreen
KR20190056991A (ko) 꽃송이버섯 추출물, 방사무늬돌김 추출물 및 해바라기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보조제 조성물
Patel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herbal sunscreen
KR102594811B1 (ko)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