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2898A -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칠향팔백산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칠향팔백산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2898A
KR20090092898A KR1020080018123A KR20080018123A KR20090092898A KR 20090092898 A KR20090092898 A KR 20090092898A KR 1020080018123 A KR1020080018123 A KR 1020080018123A KR 20080018123 A KR20080018123 A KR 20080018123A KR 20090092898 A KR20090092898 A KR 20090092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smetic composition
skin
palbaeksan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7126B1 (ko
Inventor
박상욱
강태준
박선규
이천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80018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126B1/ko
Publication of KR20090092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1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5Foeniculum (fenn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3Thymelaeaceae (Mezereum family), e.g. leatherwood or false ohelo
    • A61K36/835Aquila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칠향팔백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정향, 백단향, 감송향, 침향, 귤홍, 회향, 곽향, 백복령, 백급, 백작약, 백과, 백삼, 백질려 및 백렴으로 구성되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칠향팔백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각종 민감성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를 부드럽고 윤기 있게 가꾸어주며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미백 효과, 항산화 효과 및 항염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칠향팔백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KOREAN NATURAL MEDICAL-HERBAL EXTRACTS WITH THE WHITENING AND ANTIOXIDANT EFFECT}
본 발명은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칠향팔백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온 초음파 추출에 의해 정향, 백단향, 감송향, 침향, 귤홍, 회향, 곽향, 백복령, 백급, 백작약, 백과, 백삼, 백질려 및 백렴으로부터 유효 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제조한 칠향팔백산을 화장품 조성물 베이스에 함유함으로써, 각종 민감성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를 부드럽고 윤기 있게 가꾸어주며,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미백 효과, 항산화 효과 및 항염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피부 노화 현상은 두 가지가 있는데, 대체로 25세 내지 26세를 기점으로 시작되는 자연 노화(내인성 노화)와, 자외선에 의한 광 노화(또는 외인성 노화)가 있다. 자연 노화는 나이가 들면서 찾아오는 필연적인 현상으로 피할 수 없으며 유전자를 통하여 전해져 내려와 거스를 수 없는데, 호흡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가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연령이 증가하면서 피부 탄력이 점차 감소하고, 수분과 피지의 양도 30대 이후 크게 감소한다. 피지량의 경우에는 20대 이후부터 계속하여 감소하며, 이러한 수분량과 피지량의 감소는 20 내지 30대 이후 피부의 주름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 다른 노화 현상인 광 노화(외인성 노화)는 피부가 항상 외부 환경에 노출된 까닭에 발생하는 노화를 의미한다. 냉방 및 난방 장치의 사용으로 건조한 실내 환경에 의해 피부의 적정 수분 유지가 어려울 뿐 아니라, 바람, 화학물질 등에 의해 피부가 정상적인 수분량을 유지하기 어려운 것도 있다. 특히, 외인성 노화는 대부분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어 발생하므로, 주의할 경우 상당 부분 피할 수 있다는 것이 내인성 노화와의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광 노화의 주원인은 햇빛(자외선)을 받았을 때 생기는 활성산소로 알려져 있다. 태양 광선에 포함된 자외선은 그 파장 영역에 따라 장파장, 중파장, 단파장으로 나누어지며, 피부에 여러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자외선 중의 단파장 자외선은 인체에 매우 유해하나 현재까지는 대기중의 오존층에 흡수되어 지표상에는 거의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주로 장파장 자외선과 중파장 자외선 이 피부에 부작용을 유발한다. 장파장 자외선은 색소 침착, 광 독성, 광 알레르기 등을 유발하고, 에너지가 더 큰 중파장 자외선은 홍반, 수포 유발을 비롯하여 화상, 피부암, 색소 침착 및 피부 단백질 변성 등을 일으키므로, 이들 피부에 조사되는 자외선을 막는 것이 피부의 건강에 매우 중요하여, 종래부터 자외선을 막기 위한 여러 가지 자외선 차단제가 개발되어 왔다.
종래의 자외선 흡수제로는 벤조페논 유도체, 파라아미노 유도체, 계피산 유도체, 트리아진 유도체 등의 화학물질이, 자외선 산란제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무기 안료가 사용되어 왔다. 자외선 흡수제는 주로 중파장 자외선 영역의 자외선만을 흡수하며 자체가 화학합성물질이라 피부에 여러 부작용, 즉 자극, 알레르기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많다. 또한, 자외선 산란제는 자외선 뿐만 아니라 가시광선까지도 영향을 미치므로, 화장료로 사용하였을 때 불투명하고 피부에 도포시 사용감이 나쁘다고 지적되어 왔다.
한편, 천연물에서 추출 분리한 자외선 흡수 작용을 가지는 물질은 일반적으로 자극이 적고, 항염증, 수렴 작용, 항균 작용과 같은 기타의 약리작용을 가지므로 종래부터 화장료에 배합하는 자외선 흡수제로서 유망하게 여겨졌으며, 이에 따라 천연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자외선 흡수물질을 검색, 분리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미 알려져 있는 자외선 차단제의 단점을 극복하고 보다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각종 천연 생약으로부터 저온 초음파 추출 방법을 통하여 유효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찾던 중, 정향, 백단향, 감송향, 침향, 귤홍, 회향, 곽향, 백복령, 백급, 백작약, 백과, 백삼, 백질려 및 백렴으로 구성된 천연 생약 성분인 칠향팔백산이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면서 미백 효과, 항산화 효과 및 항염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 알려져 있는 자외선 차단제의 단점을 극복하고 보다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천연 생약으로부터 저온 초음파 추출 방법을 통하여 유효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함으로써 미백 효과, 항산화 효과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정향, 백단향, 감송향, 침향, 귤홍, 회향, 곽향, 백복령, 백급, 백작약, 백과, 백삼, 백질려 및 백렴으로 구성되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칠향팔백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칠향팔백산은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정향 1 내지 30 중량%, 백단향 1 내지 30 중량%, 감송향 1 내지 30 중량%, 침향 1 내지 30 중량%, 귤홍 1 내지 30 중량%, 회향 1 내지 30 중량%, 곽향 1 내지 30 중량%, 백복령 1 내지 30 중량%, 백급 1 내지 30 중량%, 백작약 1 내지 30 중량, 백과 1 내지 30 중량%, 백삼 1 내지 30 중량 %, 백질려 1 내지 30 중량% 및 백렴 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물을 80 내지 100 ℃에서 30 분 내지 1 시간 동안 습식 열처리하는 단계, 그리고 정제수 및 유기용매로서 저급 알코올, 특히 에탄올을 1:1 내지 5의 용량비로 첨가하여 초음파 추출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이와 같이 제조된 칠향 팔백산을 0.1 내지 10.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젤 또는 연고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정향, 백단향, 감송향, 침향, 귤홍, 회향, 곽향, 백복령, 백급, 백작약, 백과, 백삼, 백질려 및 백렴으로부터 저온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유효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얻어진 천연 생약 추출물을 원료로 한 칠향팔백산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각종 민감성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를 부드럽고 윤기 있게 가꾸어주며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미백 효과, 항산화 효과 및 항염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의 파장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의 농도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의 농도에 따른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의 농도에 따른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의 농도에 따른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의 농도에 따른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는 자외선 차단 효과와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천연 생약 성분으로 이루어진 칠향팔백산을 함유하도록 하였다. 여기에서, 천연 생약 성분의 추출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저온 초음파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 또는 정제수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여 저온 초음파 추출함으로써, 얻어진 생약 추출물은 비흡광도가 크고, 화장료용 각종 기제 및 첨가제, 유기용제 등에 대한 용해성, 친화성 및 안정성이 우수하고, 특히 기존의 자외선 차단제와 병용하였을 때 자외선 차단 지수를 현저히 높이는 상승 작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생약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는 정향, 백단향, 감송향, 침향, 귤홍, 회향, 곽향, 백복령, 백급, 백작약, 백과, 백삼, 백질려 및 백렴을 사용하며,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정향 1 내지 30 중량%, 백단향 1 내지 30 중량%, 감송향 1 내지 30 중량%, 침향 1 내지 30 중량%, 귤홍 1 내지 30 중량%, 회향 1 내지 30 중량%, 곽향 1 내지 30 중량%, 백복령 1 내지 30 중량%, 백급 1 내지 30 중량%, 백작약 1 내지 30 중량, 백과 1 내지 30 중량%, 백삼 1 내지 30 중량%, 백질려 1 내지 30 중량% 및 백렴 1 내지 30 중량%로 구성된다.
이들 정향, 백단향, 감송향, 침향, 귤홍, 회향, 곽향, 백복령, 백급, 백작약, 백과, 백삼, 백질려 및 백렴으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건조과정을 거치거나, 또는 그대로 80 내지 100 ℃에서 30 분 내지 1 시간 동안 습식 열처리한다. 이러한 습식 열처리 단계는 미생물 오염도를 낮추며 각 혼합물을 구성하는 원료의 영양성분이 활성화되어 추출 효율이 높게 되는 화학적 조건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어서, 정제수 및 유기용매로서 저급 알코올, 특히 에탄올을 1:1 내지 5의 용량비로 혼합 첨가한 후 저온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교반하고 추출액을 회수, 농축하여 1차 정제한다. 추가 정제하고자 할 때는 4 ℃에서 분자량 10 kD의 막 필터를 이용한 투석을 통해 저분자량의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분리된 용액의 부피와 동일한 부피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추출물의 점도를 낮춘 후,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칠향팔백산을 화장료 제조시 첨가한다.
본 발명에서는 보수적인 생약 추출 방법인 침지에 의한 열수 추출이 갖는 추출 효율 및 유효 성분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저온의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칠향팔백산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칠향팔백산 제조 방법에서 저온이라 함은 60 ℃ 이하를 의미한다. 이러한 저온 추출에 의해, 추출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생약 추출물의 조성 변화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추출 방법은 각종 유용성분의 불안정한 구조를 안정화시키며, 다양한 범위의 초음파는 식물 원료에 깊게 침투하여 천연물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추출 방법에서, 초음파란 인간의 귀로 들을 수 없는 높은 진동수의 소리를 말한다. 초음파 추출 방법은 20 KHz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초음파를 추출 물질 및 추출 용매에 발사함으로써 초음파의 공동 효과에 의해 높은 압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세포 내부 조직이 파괴되어 천연물 등의 추출원료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초음파 추출 방법은, 예를 들면 한국생물공학회지 제19권, 제2호, 113-117(2004)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칠향 팔백산의 제조에 사용된 초음파 추출 방법의 장점은 초음파 에너지 변화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으로, 추출 효율이 매우 높으며 약리 활성을 나타내는 유효 성분의 변성 및 파괴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추출물 생산 속도가 전통적 열수 추출 방법보다 빠르므로 추출 시간이 단축되며, 이로 인하여 저비용 저에너지 사용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칠향팔백산 생약 추출물은, 1 내지 5 배의 에탄올 또는 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유기용매 또는 정제수를 가하여 화장료 제조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을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할 경우, 정향, 백단향, 감송향, 침향, 귤홍, 회향, 곽향, 백복령, 백급, 백작약, 백과, 백삼, 백질려 및 백렴으로 구성된 천연 추출물은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천연 추출물의 양이 0.1 중량% 미만이면 첨가시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가 미흡하게 나타나며, 10 중량% 보다 많으면 최종 제품에서 추출물 고유 풍미에 따른 고유취와 색상이 강하게 나타나 제품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칠향팔백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등의 화장수, 바디 에센스와 같은 에센스, 바디 로션과 같은 로션, 영양크림과 같은 크림, 젤 또는 연고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로 하는 적절한 각종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제조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칠향팔백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 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칠향팔백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칠향팔백산의 제조
칠향팔백산 제조에는 건조된 정향, 백단향, 감송향, 침향, 귤홍, 회향, 곽향, 백복령, 백급, 백작약, 백과, 백삼, 백질려 및 백렴 생약원료를 사용하였다.
정향, 백단향, 감송향, 침향, 귤홍, 회향, 곽향, 백복령, 백급, 백작약, 백과, 백삼, 백질려 및 백렴으로 구성되는 천연 생약 원료 혼합물을 80 내지 100 ℃에서 30 분 내지 1 시간 동안 습식 열처리하였다. 정제수와 유기용매로서 저급 알코올, 특히 에탄올을 1:1의 용량비로 혼합 첨가하고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교반하고 추출액을 회수한 후 이를 농축하여 1차 정제하였다. 더욱 정제하고자 할 경우, 4 ℃에서 분자량 10 kD의 막 필터를 이용한 투석을 통해 저분자량의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분리된 용액의 부피와 동일한 부피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칠향팔백산의 점도를 낮추고 동결 건조한 후 건조중량을 측정하여 생산성을 결정하였다.
정향, 백단향, 감송향, 침향, 귤홍, 회향, 곽향, 백복령, 백급, 백작약, 백과, 백삼, 백질려 및 백렴 각 10 g의 혼합 원료를 저온 초음파 추출한 후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2 g의 칠향팔백산을 얻었다.
이하에서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대표적인 스킨 로션과 밀크 로션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2: 칠향팔백산을 포함하는 스킨 로션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 비율로 스킨 로션을 제조하였다.
알콜 부분은 곡정에서 생산하여 78 ℃에서 증류한 알콜에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tween 20, NP-12의 순서대로 용해시키고, 정제수 부분은 멸균 처리된 정제수에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베타인, 히아루론산, 알란토인, 구연산, 구연산나트륨의 순서대로 용해시킨 다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칠향팔백산과 혼합하여 스킨 로션을 제조하였다.
분류 원료명 무게(중량%)
알콜 부분 에탄올 7.0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1
tween-20 0.2
노닐페닐에테르-12 0.2
정제수 부분 정제수 89.51
글리세린 0.1
1,3-부틸렌글리콜 0.2
베타인 0.1
히아루론산 0.5
알란토인 0.05
구연산 0.01
구연산나트륨 0.03
첨가제 칠향팔백산 2.0
합계   100
실시예 3: 칠향팔백산을 포함하는 밀크 로션의 제조
표 2에 나타낸 조성 비율에 따라,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밀크 로션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무게(중량%)
정제수 잔량
트리에탄올아민 0.3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진한글리세린 5.0
프로필렌글리콜 5.0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2
세토스테아릴알코올 0.8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5
모노스테아린산솔비탄 0.3
피오이(20)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5
이소세틸미리스테이트 7.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5.0
향료 0.16
칠향팔백산 2.0
합계 100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스킨 로션의 피부 자극성 및 보호 효과 확인
건강한 성인 남녀 40명(남자 20명, 여자 20명)의 전박부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스킨 로션을 일정량(10 ㎎/5 ㎠)씩 도포하고, 그외의 부위를 알루미늄 호일로 차폐하여 30 분 후, 자외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장파장 자외선을 10.2 J/㎠의 용량으로 조사하고, 24 시간 후 피부 상태(홍반, 부종, 구진 등)를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피부에 홍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스킨 로션은 광 독성이 없으며 피부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본 발명에 따른 밀크 로션의 피부 자극성 및 보호 효과 확인
건강한 성인 남녀 40명(남자 20명, 여자 20명)의 전박부에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밀크 로션을 일정량(10 ㎎/5 ㎠)씩 도포하고, 그외의 부위를 알루미늄 호일로 차폐하여 30분 후, 자외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장파장 자외선을 10.2 J/㎠의 용량으로 조사하고, 24 시간 후 피부 상태(홍반, 부종, 구진 등)를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피부에 홍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밀크 로션은 광 독성이 없으며 피부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의 피부 안정성 확인
칠향팔백산 2.0%, 소디움라우릴셀페이트 1.0% 및 에탄올 10%를 함유한 시료의 안전성을 소디움라우릴셀페이트 1.0% 및 에탄올 10% 용액과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 표 3와 같이 인체 첩포 시험(Human patch test)을 통하여 인체에 대한 1 차 자극시험을 행하였다.
인체 첩포 시험은 건강한 성인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CTFA 가이드라인(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20036, 1991)에 따라 실시하였다. 핀 쳄버(Finn Chamber)에 시료 및 용액 20 ㎕를 적하한 후, 이것을 시험 부위인 인체의 등에 얹어 테이프로 고정시켰다. 이어서, 24 시간 동안 첩포한 후 첩포를 제거하고, 다시 4 시간 경과한 다음 시험 부위의 피부 반응을 다음 기준에 따라 판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판정 기준>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 오름
자극도=[{(±)수×1}+{(+)수×2}+{(++)수×3}]/피시험자 수
시료 피검자수 판정 결과 자극도
++ ±
칠향팔백산(2%),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1%) 및에탄올(10%) 50 - - 5 45 0.10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1%) 50 2 8 12 28 0.68
에탄올(10%) 50 - - 10 40 0.20
실험예 4: 칠향팔백산의 파장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
자외선은 파장이 긴 UV-A와 상대적으로 파장이 짧은 UV-B로 구분된다. UV-A의 경우에는 피부 깊은 곳까지 도달하여 피부를 검게 하는 진피 반응이 강하게 나타나고, UV-B의 경우에는 피부에 일광 화상을 일으키며 색소 침착을 촉진한다. 이러한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는데 차단제 자체가 피부 자극을 유도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대조군으로서 1,3-부틸렌글리콜 40%와 Phenonip 0.2%를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칠향팔백산의 파장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피부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의 파장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은 UV-A와 UV-B 모두 흡수하여 이러한 피부 자극 가능성을 낮추어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칠향팔백산의 DPPH 소거활성에 의한 항산화 효과
활성산소에 의한 피부 노화 과정은 지질 과산화, DNA 산화, 멜라닌 생성, 결합조직의 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 결합들을 포함한다. 이들 반응은 거의 대부분 라디칼 반응으로서 자동 산화 반응 과정이 포함된다. 생체 내에서 자동 산화 반응을 차단하는 역할은 항산화제가 담당하고 있으며, 전자를 주는 능력으로서 환원력이 클수록 강한 항산화제가 된다. 항산화제의 환원력을 측정하는 시약으로서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라디칼(DD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이 있다. DPPH는 화합물 내 질소 중심의 안정화된 구조의 라디칼로 존재하는데, 517 ㎚에서 최대 흡수를 나타내고 환원되면 517 ㎚에서 흡수가 없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의 환원력 크기는 라디칼 소거활성(scavenging activity, SC 50)으로 표시하며, SC 50은 DPPH의 농도가 50 % 감소하는 데 필요한 농도를 나타낸다.
본 실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의 농도별 SC50을 측정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의 농도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다음 표 4는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의 DPPH 소거활성(SC 50)을 아스코르빈산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DPPH 소거활성(SC 50)
칠향팔백산 1.52 ㎕/㎖
아스코르빈산 2.20 ㎕/㎖
도 2 및 표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은 농도에 비례하여 DPPH 소거활성이 커지고, 아스코르빈산 보다 우수한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6: 칠향팔백산의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 활성에 의한 항산화 효과
하이드록실 라디칼은 세포에 손상을 주는 가장 강력한 유리 라디칼(free radical)로서 피부 세포막 지질의 과산화반응을 일으키고, 특히 DNA 및 결합조직 기질 손상에 참여하는 주원인 활성산소종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자외선 흡수로 시작되는 광증감 반응에 의해 수퍼옥사이드와 과산화수소가 생성되고, 이들은 생체 내에서 더욱 위험한 하이드록실 라디칼 생성에 참여한다. 즉, 수퍼옥사이드는 철 이온과 구리 이온을 환원시킬 수 있으며, 환원된 철과 구리는 과산화수소를 환원시키면서 결과적으로 하이드록실 라디칼을 생성시킨다.
본 실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이 in vitro에서 Fenton 반응에 의해 생성시킨 하이드록실 라디칼을 소거하는 능력을 측정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의 농도에 따른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다음 표 5는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의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 활성(SC 50)을 Trolox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 활성(SC 50)
칠향팔백산 145.9 ㎕/㎖
Trolox 926.1 ㎕/㎖
도 3 및 표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은 농도에 비례하여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활성이 커지고, SC 50이 145.9 ㎕/㎖로서 Trolox에 비하여 우수한 것을 보여준다.
실험예 7: 칠향팔백산의 농도에 따른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소거 활성 효과
활성산소 가운데 수퍼옥사이드 음이온은 자외선 흡수로 시작되는 광 증감 반응에 의해 생성되고, 생체 내에 존재하는 SOD(superoxide dismutase) 효소에 의해 과산화수소로 전환된다. 수퍼옥사이드와 과산화수소는 반응성이 약하여 직접적으로 조직세포 손상에 참여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보다 위험한 하이드록시 라디칼 생성에 참여한다. 즉, 슈퍼옥사이드는 철과 구리 이온을 환원시킬 수 있고, 환원된 철과 구리 이온은 과산화수소를 환원시키면서 결과적으로 하이드록실 라디칼을 생성시킨다. 또한, 생체 내에서 수퍼옥사이드는 페리틴으로부터 철 이온(II)을 방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자외선 조사 후에 나타나며 자외선으로 인해 생성된 수퍼옥사이드의 작용으로 간주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의 농도에 따른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활성(SC 50)을 측정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의 농도에 따른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다음 표 6는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의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 활성(SC 50)을 Trolox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 활성(SC 50)
칠향 팔백산 0.7 ㎕/㎖
Trolox 27.2 ㎕/㎖
도 4 및 표 6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은 농도에 비례하여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활성이 커지고, SC 50이 0.7 ㎕/㎖로서 Trolox에 비하여 우수한 것을 보여준다.
실험예 8: 칠향팔백산의 농도에 따른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에 의한 항주름 효과
피부 주름의 발생 원인 중 하나로 피부교원질, 즉 콜라겐의 결핍을 들 수 있다. 콜라겐은 피부 진피를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로서, 피부 구조와 탄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콜라겐은 나이가 들면서 생성이 감소되고 분해도는 증가되어, 피부 진피층 함몰을 유도하여 피부 주름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광 노화의 원인인 자외선에 의해 콜라게나아제와 같은 MMP(matrix metalloproteinase)가 발현되고, 이에 의해 콜라겐의 분해가 증가되어 주름이 생성된다.
본 실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이 콜라게나아제 활성을 저해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반응구로서 0.05 M tricine buffer(pH 7.5) 0.8 ㎖에, 0.2 mM 농도의 FALGPA을 녹인 기질액 0.05 ㎖ 및 시료용액을 농도별로 0.05 ㎖ 첨가하고, 여기에 콜라게나아제(3 ㎎/㎖) 0.05 ㎖를 첨가하여 20 ℃에서 18 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1 N 아세테이트 10 ㎕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킨 후, 324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의 농도에 따른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다음 표 7은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의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IC 50)을 나타낸 것이다.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IC 50)
칠향팔백산 1.38 ㎕/㎖
도 5 및 표 7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은 농도에 따라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이 증가하고, 콜라게나아제 저해 활성(IC 50)은 1.38 ㎕/㎖로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9: 칠향팔백산의 농도에 따른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에 의한 미백 효과
실시예 1에서 얻은 칠향팔백산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노 등의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변형시켜 측정하였다(No.J.K., et al.;Life Science, 65, p241-246, 1999). 실시예 1에서 얻은 칠향팔백산의 대조군으로는, 추출 용매로서 100 ℃ 가열된 물을 사용하는 열수 추출법을 동일한 시간 동안 적용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0.3 ㎎/㎖ 티로신 용액을 1 ㎖씩 시험관에 넣고, 여기에 0.1 M 인산칼륨 완충용액(pH 6.8) 1 ㎖ 및 추출물의 농도별 시료(0.5, 1.0, 2.0, 4.0(%, v/v)) 0.9 ㎖을 넣은 후, 25 ℃ 항온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각 시료 대신 용매만을 0.9 ㎖을 넣은 것을 사용하였다. 이 반응액에 2500 unit/㎖의 티로시나제 효소 0.1 ㎖씩을 넣고 다시 25 ℃ 항온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이 든 시험관을 얼음물 속에 넣어 급냉시켜 반응을 중지시키고, 광전 분광분석계로 파장 475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칠향팔백산의 농도에 따른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다음 표 8은 칠향팔백산의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IC 50)을 코직산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IC 50)
칠향팔백산 2.11 ㎕/㎖
코직산 15.7 ㎍/㎖
도 6 및 표 8에서 보듯이, 칠향팔백산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는, 추출물의 농도가 각각 0.06, 0.13, 0.25, 0.5, 1.0, 2.0(%, v/v)에서 20 내지 90 %를 나타내었으며, IC 50은 2.11 ㎕/㎖로서 코직산 보다 우수하였다.
실험예 10: 칠향팔백산의 농도에 따른 항염 효과
칠향팔백산의 항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이용한 평가법(A. Crummey, G. P. Harper, E. A. Boyle and F. R. Mangan. Inhibition of arachidonic acid-induced ear edema as a model for assessing topical anti-inflammatory compound. Agents and Actions 1987: 20: 69-76)을 이용하였다.
마우스(hairless mouse) 35 마리를 각 7 마리씩 시료 적용 전 에탄올로 깨끗이 세척한 후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양쪽 귀의 두께를 측정한 후, 칠향팔백산 0.5 %, 1.0 % 처리 시료군과 인도메타신(indomethacin) 1.0 % 처리 비교군, 그리고 아라키돈산만을 처리하는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여 마우스 귀 두께의 평균치를 측정하였다. 칠향팔백산 처리 시료군과 인도메타신 처리 비교군은 시료 20 ㎕를, 대조군에는 에탄올 20 ㎕를 1 일 1 회씩 4 일간 지속적으로 도포하였다. 마지막으로 도포하고 1 시간이 경과한 후, 좌측에는 에탄올을, 우측 귀에는 아라키돈산을 2 ㎎/ear 도포하고, 도포 1 시간 후 귀의 부종(eaema) 정도를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양쪽 귀에 대하여 3 회씩 반복 측정하였다. 처리군의 좌측 귀는 시료 자체에 의한 염증 유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항염 효과는 아라키돈산만을 처리한 대조군을 기준으로 부종 억제 정도를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시료 농도(%) 귀두께(㎛) 억제율(%)
시료처리전 시료처리수
시료군 칠향팔백산 0.5 323 536 22.3
칠향팔백산 1.0 320 495 36.1
비교군 인도메타신 1.0 327 468 48.5
대조군 아라키돈산 2 ㎎/ear 324 598
억제율(%)=(A-B)/A×100
A: 대조군 귀의 평균 두께 변화
(아라키돈산 처리 귀의 두께-비처리 귀의 두께)
B: 시료 도포군 귀의 평균 두께 변화
(시료 처리 귀의 두께-비처리 귀의 두께)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칠향팔백산 시료는 36.1%의 높은 염증억제율을 보였으며, 이러한 값은 의약품으로서 항염효과가 매우 우수한 물질인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대비 약 75 % 정도의 항염 효과로 나타났다. 또한, 부종 증가율로 유의차 검증시, 칠향팔백산은 아라키돈산과 99 %의 유의차를 갖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하, 항염 및 항자극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에 안전한 칠향팔백산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제제를 제제하였다.
제조예 1: 화장수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화장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 료 명 중량 %(w/w)
글리세린디프로필렌글리콜히아루론산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폴리에틸렌 올레일에틸에탄올방부제향료색소칠향팔백산정제수 5.03.00.50.10.15.00.15적량적량2.0to 100
제조예 2: 에센스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에센스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 료 명 중량 %(w/w)
세토스테아릴알코올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밀납스쿠알란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디메틸실록산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카르복시폴리머트리에탄올아민방부제향료색소칠향팔백산정제수 1.01.00.55.03.00.30.58.04.00.20.220.25적량적량적량7.0to 100
제조예 3: 로션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로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 료 명 중량 %(w/w)
세토스테아릴알코올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밀납스테아린산유동파라핀스쿠알란마카데미아오일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디메틸실록산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베타인카르복시폴리머트리에탄올아민방부제향료색소칠향팔백산정제수 0.81.00.50.57.05.03.02.00.30.51.24.04.04.00.120.150.25적량적량5.0to 100
제조예 4: 크림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크림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 료 명 중량 %(w/w)
세토스테아릴알코올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밀납유동파라핀스쿠알란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정제호호바유디메틸실록산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베타인산탄검트리에탄올아민방부제향료색소칠향팔백산정제수 3.01.51.50.58.07.04.04.00.31.01.26.04.04.00.060.100.25적량적량7.0to 100
제조예 5: 젤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젤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 료 명 중량 %(w/w)
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에탄올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카르복시폴리머트리에탄올아민방부제향료색소칠향팔백산정제수 4.04.0100.10.300.30적량적량적량1.0to 100
제조예 6 : 연고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연고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 료 명 중량 %(w/w)
세토스테아릴알코올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스테아린산밀납스쿠알란모노스테아린글리세린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폴리솔베이트 80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향료색소칠향팔백산바세린 2.02.01.04.07.03.01.03,05.04.0적량적량10.0to 100

Claims (3)

  1. 정향, 백단향, 감송향, 침향, 귤홍, 회향, 곽향, 백복령, 백급, 백작약, 백과, 백삼, 백질려 및 백렴으로 구성되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칠향팔백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칠향팔백산은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정향 1 내지 30 중량%, 백단향 1 내지 30 중량%, 감송향 1 내지 30 중량%, 침향 1 내지 30 중량%, 귤홍 1 내지 30 중량%, 회향 1 내지 30 중량%, 곽향 1 내지 30 중량%, 백복령 1 내지 30 중량%, 백급 1 내지 30 중량%, 백작약 1 내지 30 중량, 백과 1 내지 30 중량%, 백삼 1 내지 30 중량 %, 백질려 1 내지 30 중량% 및 백렴 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물을 80 내지 100 ℃에서 30 분 내지 1 시간 동안 습식 열처리하고, 정제수 및 저급 알코올을 1:1 내지 5의 용량비로 첨가하여 초음파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칠향팔백산을 0.1 내지 1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18123A 2008-02-28 2008-02-28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칠향팔백산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77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123A KR101477126B1 (ko) 2008-02-28 2008-02-28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칠향팔백산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123A KR101477126B1 (ko) 2008-02-28 2008-02-28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칠향팔백산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898A true KR20090092898A (ko) 2009-09-02
KR101477126B1 KR101477126B1 (ko) 2014-12-29

Family

ID=41301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123A KR101477126B1 (ko) 2008-02-28 2008-02-28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칠향팔백산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1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378B1 (ko) 2016-09-05 2018-09-11 (주) 태일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4384A (ko) 2018-11-29 2020-06-08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약쑥을 함유한 항산화 및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KR102148095B1 (ko) * 2019-02-07 2020-08-25 오성음 표피성장인자, 세리신, 회향 추출물 및 정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9341B1 (ko) 2020-01-02 2021-08-17 (주)심플스틱 자외선 차단 기능을 함유한 투명한 나노파이버 시트 및 태지유사 지질복합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109A (ko) * 1990-07-05 1992-02-28 김만경 미백 화장원료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KR20030091124A (ko) * 2002-05-22 2003-12-03 안창국 한방 에센스 화장품 제조방법
KR100525994B1 (ko) * 2003-05-12 2005-11-08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복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5281288A (ja) * 2004-03-27 2005-10-13 Terauchi Kenji 香気成分からなる美肌効果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7126B1 (ko) 2014-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90191B (zh) 一种晒后修复组合物及其化妆品
Arora et al. Herbal active ingredients used in skin cosmetics
KR100975135B1 (ko)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한방 복합 약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92088B1 (ko)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하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220903B1 (ko) 피부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80103206A (ko) 항산화가 우수한 천연복합물을 함유한 화장료조성물
KR20090092898A (ko)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칠향팔백산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50613B1 (ko) 항산화 효과와 항주름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81001B1 (ko) 항산화 효과와 미백 효과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천연컴플렉스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Bhalke et al. Ethnobotanical assessment of indigenous knowledge of plants used as sunscreen: A comprehensive review
KR20170136378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898307B1 (ko)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CN108938511B (zh) 天然植物提取物的组合物及在皮肤保湿祛痘产品中的应用
KR20060093164A (ko) 주름완화 화장료 조성물
CN107550847B (zh) 一种活性护肤组合物及其应用
Fehér et al. Topical application of Silybum marianum extract
KR20080104671A (ko) 초임계 한방 추출물을 이용한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CN109010572A (zh) 一种具有防晒增效及抗衰老作用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898308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26826A (ko)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250386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혼합 새싹 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CN106420489A (zh) 一种植物复合防晒剂及其制备和应用
KR10173671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3718B1 (ko) 카모마일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12551B1 (ko) 미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