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6826A -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6826A
KR20090026826A KR1020070091829A KR20070091829A KR20090026826A KR 20090026826 A KR20090026826 A KR 20090026826A KR 1020070091829 A KR1020070091829 A KR 1020070091829A KR 20070091829 A KR20070091829 A KR 20070091829A KR 20090026826 A KR20090026826 A KR 20090026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lant extract
skin
vitamin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문식
강환열
이민경
김동원
이준영
문종국
Original Assignee
장문식
강환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문식, 강환열 filed Critical 장문식
Priority to KR1020070091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6826A/ko
Publication of KR20090026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8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4Ganoder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7Chrysanthemum, e.g. dai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4Ebenaceae (Ebony family), e.g. persim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2Chaenomeles, e.g. flowering qui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잎, 계피, 국화, 모과, 녹차, 상황버섯, 영지버섯, 송이버섯으로부터 유효 성분을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각종 민감성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를 부드럽고 윤기있게 가꾸어주어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식물 추출물(상표명 : Dew Plus TM)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피부 보호, 화장료, 감잎, 계피, 녹차

Description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lant extracts with the antioxidant effect }
도 1은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DPPH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슈퍼록사이드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콜라게나아제 활성을 저해능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리폭시게나아제 활성을 저해능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의 전기전도율을 이용한 수분 보유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의 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은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음파 추출에 의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 노화 현상은 두가지가 있는데 대게 25세 내지 26세를 기점으로 시작되는 자연 노화와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 (또는 외인성 노화)가 있다. 자연 노화(내인성 노화)는 나이가 들면서 찾아오는 필연적인 현상으로 피할 수 없으며 유전자를 통하여 전해져 내려오는 것으로 거스를 수 없는 현상이고, 호흡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활성 산소가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연령이 증가하면서 탄력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또한 수분량과 피지량도 30대 이후 크게 감소하고 피지량의 경우 20대 이후부터는 계속하여 감소한다. 이러한 수분량과 피지량의 감소는 20 내지 30대 이후 피부의 주름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 다른 노화 현상인 광노화(외인성 노화)는 피부가 항상 외부 환경에 노출된 까닭에 발생하는 노화를 말한다. 냉방 및 온방 장치의 사용으로 건조한 실내 환경에 의해 피부의 적정 수분 유지가 어렵기도 하며 바람, 화학물질 등에 의해 정상적인 수분을 피부가 유지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다. 특히 대부분 자외선에 노출되어서 발생하므로 조심하면 상당부분 피할 수 있다는 것이 내인성 노화와의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광노화의 주원인은 햇빛(자외선)을 받았을 때 생기는 활성산소가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태양 광선에 포함된 자외선은 그 파장 영역에 따라 장파장, 중파장, 단파장으로 나누어지며, 이들 자외선은 피부에 여러 부작용을 유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외선 중의 단파장 자외선은 인체에 매우 유해하나 현재까지는 대기중의 오존층에 흡수되어 지표상에는 거의 도달하지 않으며, 주로 장파장 자외선과 중파장 자외선이 피부에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장파장 자외선은 색소 침착, 광독성, 광알레르기 등을 유발하고, 에너지가 더 큰 중파장 자외선은 홍반, 수포 유발을 비롯한 화상, 피부암, 색소 침착 및 피부 단백질 변성 등을 일으키므로 이들 피부에 조사되는 자외선을 막아주는 것이 피부의 건강에 매우 중요하며, 종래로부터 자외선을 막아주기 위한 여러 가지 자외선 차단제가 개발되어 왔다.
종래의 자외선 흡수제로는 벤조페논 유도체, 파라아미노 유도체, 계피산 유도체, 트리아진 유도체 등의 화합물질이 있고, 자외선 산란제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무기 안료가 사용되어 왔는데, 자외선 흡수제는 주로 중파장 자외선 영역의 자외선만을 흡수하며 자체가 화학합성물질이라 피부에 다른 부작용, 즉 자극, 알레르기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많다. 또한 자외선 산란제는 자외선 뿐만 아니라 가시광선까지도 화장료로 사용하였을 때 불투명하며, 피부에 도포시 사용감이 나쁘다고 지적되어 왔다.
한편, 천연물에서 추출 분리한 자외선 흡수 작용을 가지는 물질은 일반적으로 자극이 적고, 항염증, 수렴 작용, 항균 작용과 같은 기타의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로부터 화장료에 배합하는 자외선 흡수제로서 유망시되어 왔으며, 천연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자외선 흡수물질을 검색, 분리하려는 노력이 시도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미 알려져 있는 활성산소의 저해능이 뛰어나며 보습 및 피부 재생능이 우수하며 자외선 차단제의 단점을 극복하고 보다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각종 천연 식물로부터 물 또는 유기용매로 선택적 추출 공정을 이용한 추출물의 특성을 고려한 결과, 피부 보호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식물 성분의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 성분의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를 윤기있고 밝게 가꾸어주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며, 1,3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에탄올 또는 정제수를 사용하여 혼합 사용하여 추출하여, 비흡광도가 크며, 화장료용의 각종 기제 및 첨가제, 유기용제 등에 대한 용해성, 친화성 및 안정성이 좋고, 특히 기존의 자외선 차단제와 병용하였을 때 자외선 차단 지수를 현저히 높이는 상승 작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로서 식물은 감잎, 계피, 국화, 모과, 녹차, 상황버섯, 영지버섯, 송이버섯을 사용하여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감잎 1 내지 30 중량%, 계피 1 내지 30 중량%, 국화 1 내지 30 중량%, 모과 1 내지 30 중량%, 녹차 1 내지 30 중량%, 상황버섯 1 내지 30 중량%, 영지버섯 1 내지 30 중량%, 송이버섯 1 내지 30 중량%로 구성되며 식물 추출물 99 중량%에 대하여 비타민 C 0.8 중량%와 비타민 E를 0.2 중량%를 혼합하여 추출시 추출 안정화 유지 성분으로 사용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는 보수적인 추출 방법으로서의 침지에 의한 추출이 가진 추출 효율을 개선한 저온의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한다.
여기서 저온이라 함은 섭씨 60도 이하를 말한다. 그리하여 추출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식물 추출물의 조성의 변화에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하였다. 이러한 초음파 추출 방법은 각종 유용성분의 불안정한 구조를 안정화시키며 다양한 범위의 초음파에 의하여 식물 원료에 깊게 침투하여 천연물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초음파 추출 방법에서 초음파란 인간의 귀로 들을 수 없는 높은 진동수의 소리를 말한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된 초음파 추출 방법은 장점은 초음파 에너지 변화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그리하여 추출 효율이 매우 높으며 약리 활성을 나타내는 유효 성분의 변성 및 파괴 가능성을 최소화시키며, 생산 속도가 기존의 전통적 열수 추출 방법보다 빠르므로 추출시간을 단축시키며 이로 인하여 저비용 저에너지 사용이라는 특징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원물로서 건조된 식물 잎을 잘게 분쇄하고 분쇄물 1 내지 10 중량%를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등의 유기용매 1 내지 50%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저온의 초음파 추출 공정을 사용하여 천연 식물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추출을 극대화한다. 이 때 에탄올 또는 부틸렌글리콜 유기용매 10 내지 90 중량%, 물 10 내지 40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용매로 하여 상기 원료의 성질에 의해 구분되어 초음파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의 식물 추출물에 1 내지 5배의 에탄올 또는 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유기용매 또는 정제수를 가하여 화장료 제조시 첨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할 경우 상기 제조된 식물 추출물을 0.1 ~ 5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2 중량%가 되게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0.1 중량% 이하는 첨가시에 본 발명의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가 미흡하게 나타나며, 5 중량% 이상 사용하는 경우 최종 제품에서 고유 풍미에 따른 고유취와 색상이 강하게 나타나 제품 적용에 어려움이 있어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중량%로 제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바디로션,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이하에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대표적인 스킨과 로션 조성물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은 통 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식물 추출물의 제조
식물 추출물은 건조된 식물 원료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된 추출 방법은 원물로서 식물를 99 중량% 사용하였으며, 추출 효율을 높이며, 추출되는 동안 유효 성분의 안정화를 위하여 비타민 C와 비타민 E를 각각 0.8 중량%와 0.2중량%로 혼합 사용하였다. 식물 원료는 잘게 분쇄하고 분쇄물 100 중량%를 70% 에탄올로 1시간 동안 섭씨 60도에서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때 에탄올과 물을 70 : 30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용매로 하여 상기 원료를 저온 초음파 추출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식물 원료를 저온 초음파 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2g의 식물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순번 종류 추출전 무게(g) 추출후 무게(g)
1 감잎 10.0
2 계피 9.0
3 국화 10.0
4 모과 8.0
5 녹차 15.0
6 상황버섯 20.0
7 영지버섯 13.0
8 송이버섯 14.0
9 비타민 C 0.8
10 비타민 E 0.2
합계 100.0 2.0
실시예 2 : 식물 추출물의 제조
식물 추출물은 건조된 식물 원료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된 추출 방법은 원물로서 식물를 100 중량% 사용하였다. 식물 원료는 잘게 분쇄하고 분쇄물 100 중량%를 1시간 동안 섭씨 100도에서 열수 추출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하여 열수 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2g의 식물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3 :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 효과가 있는 스킨 로션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조성비율로 스킨 로션을 제조하였다. 알콜 부분은 곡정에서 생산하여 78℃ 증류한 알콜에 M-P, tween 20, NP-12의 순서대로 용해시켜 제조하였고, 정제수 부분은 멸균 처리된 정제수에 글리세린, 1,3-BG, DC-193, 히아루론산, 알란토인, 구연산, 구여산소다의 순서대로 용해시켜 제조한 다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식물 추출물과 혼합하여 스킨 로션을 제조하였다.
분류 원료명 무게(중량%)
알콜 부분 에탄올 7
메틸파라히드록시벤조익산 0.1
tween-20 0.2
노닐페닐에테르-12 0.2
정제수 부분 정제수 89.01
글리세린 0.1
1,3-부틸렌글리콜 0.2
알라닌 193 0.1
히아루론산 0.5
알란토인 0.05
구연산 0.01
구연산소다 0.03
식물추출물 식물 추출물 2.5
합계 100
실시예 4 :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 효과가 있는 밀크 로션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밀크 로션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무게(중량%)
스테아린산 2.1
세탄올 1.3
유동파라핀 7.0
스쿠알렌 0.5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1.0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0.5
아라셀-60 0.85
tween-20 0.1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0.5
프로필파라벤 0.1
알라닌 200F/100CS 0.1
정제수 71.65
트리에탄올아민 0.7
프로필렌글리콜 7.0
글리세린 3.0
메틸파라히드록시벤조익산 0.1
식물 추출물 3.5
합계 100
실험예 1 : 본 발명에 따른 스킨 로션의 피부 자극성 및 보호 효과 확인
건강한 성인 남녀 40명(남자 20명, 여자 20명)의 전박부에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스킨 로션을 일정량(10m/5㎠)씩 도포하고, 그외의 부위를 알루미늄 호일로 차폐하여 30분 후에, 자외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장파장 자외선을 10.2J/㎠ 의 용량으로 조사하고 24시간 후에 피부 상태(홍반, 부종, 구진 등)를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피부에 홍반 등의 부작용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스킨 로션은 광독성이 없으며 피부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본 발명에 따른 밀크 로션의 피부 자극성 및 보호 효과 확인
건강한 성인 남녀 40명(남자 20명, 여자 20명)의 전박부에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밀크 로션을 일정량(10m/5㎠)씩 도포하고, 그외의 부위를 알루미늄 호일로 차폐하여 30분 후에, 자외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장파장 자외선을 10.2J/㎠ 의 용량으로 조사하고 24시간 후에 피부 상태(홍반, 부종, 구진 등)를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피부에 홍반 등의 부작용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밀크 로션은 광독성이 없으며 피부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 본 발명에 따른 스킨 로션 및 밀크 로션의 피부 안정성 확인 시험
건강한 성인 남녀 40명(남자 20명, 여자 20명)의 전박부에 상기 실시예 3과 4에서 제조한 스킨 로션 및 밀크 로션을 인체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대상자의 전박부를 70% 에탄올로 잘 닦은 다음 그 부위에, 통상의 화장료 기제에 상기 실시예 2와 3에서 제조한 스킨 로션 및 밀크 로션을 20㎕씩 담은 핀 챔버를 점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24시간 폐쇄 부착시켰다. 24시간 후에 점착 테이프와 핀 챔버를 제거하고, 가제로 피부에 잔존된 시료를 가볍게 닦아 제거한 뒤에 피부 상태를 관찰하고 다시 24시간 후에 한번 더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킨 로션 및 밀크 로션의 피부 자극성을 확인하기 위한 인체 첩포 시험에서 양성 반응을 보이지 않아 인체 피부에 자극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료 24시간 후(n=30) 48시간 후(n=30) 비고
스킨로션 0/30 0/30 반응양성자수/총대상자수
밀크로션 0/30 0/30
실험예 4 : 본 발명 실시예 1에 의한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DPPH에 의한 항산화 효과
활성 산소에 의한 반응은 거의 대부분 라디칼 반응으로서 자동산화반응 과정이 포함된다. 생체 내에서 자동산화반응을 차단시키는 역할은 항산화제가 담당하고 있다. 전자를 주는 능력으로서 환원력이 클수록 강한 항산화제가 된다. 항산화제의 환원력을 측정하는 시약으로 1,1-diphenyl-2 picrylhydrazyl radical(DPPH)가 있다. DPPH는 화합물 내 질소 중심의 안정화된 구조의 라디칼로 존재한다. 517nm에서 최대 흡수를 나타내며 환원되면 517nm에서 흡수가 없어진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의 환원력의 크기는 라디칼 소거활성(Scavenging activity, SC50)으로 표시하며 SC50은 DPPH의 농도가 50% 감소하는데 필요한 농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비타민 C와 비타민 E를 함께 처리하여 초음파 추출한 식물 추출물에 대하여 농도별 SC50을 측정하여 나타난 결과를 표 5와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본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DPPH 소거 능력이 증가하여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SC 50
식물 추출물 1.05 ㎕/㎖
Ascorbic acid 2.9 ㎍/㎖
실험예 5 : 실시예 2에 의한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DPPH에 의한 항산화 효과
실시예 2에서 항산화제로 알려져 있는 비타민C와 비타민 E를 함께 처리하지 않고 열수 추출하여 실험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실시하여 실험예 4의 결과와 비교시 실험예 4에 비하여 농도별 SC50을 측정하여 본 결과 약 30% 수준 정도 효과가 적게 나타났다.
실험예 6 :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 활성에 의한 항산화 효과
하이드록실 라디칼은 세포에 손상을 주는 가장 강력한 free radical로서 피부 세포막의 지질의 과산화반응을 일으키고 특히 DNA 및 결합조직 기질 손상에 참여하는 주원인 활성 산소종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자외선 흡수로 시작되는 광증감 반응에 의해 슈퍼록사이드와 과산화수소가 생성되고 이들은 생체내에서 보다 위험한 하이드록실 라디칼 생성에 참여한다. 즉 슈퍼록사이드는 철 이온과 구리 이온을 환원시킬 수 있고 환원된 철과 구리는 과산화수소를 환원시키면서 결과적으로 하이드록실 라디칼을 생성시킨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은 in vitro에서 Fenton 반응에 의해 생성시킨 하이드록실 라디칼을 소거하는 능력을 측정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즉 표 6과 도 2에서 보여주듯이 식물 추출물은 농도에 따라 하이드록실 라디칼을 소거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활성(SC 50)이 우수하였으며 1.24㎕/㎖을 나타내었다.
SC 50
식물 추출물 4.0 ㎕/㎖
Trolox 4.0 mM
실험예 7 :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슈퍼록사이드 음이온 소거 활성 효과
활성산소 가운데 슈퍼록사이드 음이온은 자외선 흡수로 시작되는 광증감반응에 의해 생성되고, 생체내에 존재하는 SOD(Superoxide dismutase) 효소에 의해 과산화수소로 전환된다. 슈퍼록사이드와 과산화수소는 반응성이 약하여 직접적으로 조직세포 손상에 참여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보다 위험한 하이드록시라디칼 생성에 참여한다. 즉 슈퍼록사이드는 철과 구리 이온을 환원시킬 수 있고, 환원된 철과 구리 이온은 과산화수소를 환원시키면서 결과적으로 하이드록실 라디칼을 생성시킨다. 또한 생체내에서 슈퍼록사이드는 페리틴으로부터 철 이온(II)을 방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자외선 조사 후에 나타나며 자외선으로 인해 생성된 슈퍼록사이드의 작용으로 간주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을 농도에 따라 슈퍼록사이드 라디칼의 소거활성(SC 50)은 표 7과 도 3에서 보여주듯이 우수하였으며 0.07 ㎕/㎖을 나타내었다.
SC 50
식물 추출물 1.1 ㎕/㎖
Trolox 214.3 uM
실험예 8 :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
피부 주름의 발생 원인 중 하나로 피부교원질, 즉 콜라겐의 결핍을 들 수 있다. 콜라겐은 피부 진피를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로서, 피부 구조와 탄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콜라겐은 나이가 들면서 생성은 감소되며, 분해도는 증가되어 피부 진피층의 함몰을 유도하여 피부의 주름을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광노화의 원인인 자외선에 의해 콜라게나아제와 같은 MMP(matrix metalloproteinase)가 발현되고, 이에 의해 콜라겐의 분해가 증가되어 주름이 생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이 콜라게나아제 활성을 저해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피부 주름 개선의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반응구로, 0.05M tricine buffer(pH7.5) 0.8ml에, 0.2mM 농도의 FALGPA을 녹인 기질액0.05ml 및 시료용액을 농도별로 0.05ml 첨가하고, 여기에 콜라게나아제(3mg/ml) 0.05ml을 첨가하여 20 ℃ 에서 18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1N 아세테이트 10ul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킨 후, 흡광도324nm에서 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도 4및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추출물은 농도에 따라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능이 증가함을 나타내었으며, 콜라게나아제 저해능(IC 50) 또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SC 50
식물 추출물 0.04 ㎕/㎖
실험예 9 :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
리폭시게나제(5-LO, 5-lipoxygenase)는 리놀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과 같이 분자 내에 1,4-cis , cis-pentadiene(1,4-pentadiene) 구조를 갖는 불포화 지방산에 분자상 산소를첨가하여 1,3-cis, trans-diene 5-hydroperoxide를 생성하는 산화효소로 아라키돈산으로부터 각종 염증 및 알러지성 질환에 관여하는 로이코트리엔(leucotriene) 생합성의 첫번째 반응에 관여하는 효소이다. 따라서 구조적, 메커니즘적으로5-LO와 유사한 SLO(soybean lipoxygenase)를 이용하여 리폭시게나제의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항염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0.1M Tris 완충용액 200 ul에 2 ul의 시료를 첨가하고, 여기에 500 unit의 15-lipoxygenase를 넣어서 25℃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에탄올에 녹인 linolenic acid를 최종농도 110 uM이 되도록 첨가하여 섞은 후 234 nm에서 5분간 흡광도를 측정하여 추출물의 lipoxygenase 저해활성(%)을 계산하였다. 표 9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추출물은 농도에 따라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저해능이 증가함을 나타내었으며, 리폭시게나아제 저해능(IC 50) 또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SC 50
식물 추출물 9.8 ㎕/㎖
NDGA 2.2 uM
NDGA : Nordihdroguaiaretic Acid
실험예 10 :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의 전기전도율을 이용한 수분 보유 효과
보습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 중 전기 전도율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피부 수분의 증가에 대응하여 전기 전도율을 증가시킨다. 전기 전도율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Dew Plus TM)의 활성도는 전기 전도율 변화로 측정하고, 꾸준한 압력을 피부에 가해 dry electrodes을 전기측정으로 기록한다. 실험자수=3명, 온도 21 내지 23 ℃, 상대습도 40 내지 50%에서 실시하였으며 시험자의팔뚝 바깥쪽 4부위를 선택한다(a witness area, a reference product area, 2군데의 assay areas). 20% 농도의 본 발명의 식물추출물군과 특별한 다른 보습 성분이 없는 대조군을 처리한다. 전기 전도율의 변화는 같은 부위를 값과 관련하여 퍼센트로 계산한다. 평균수치는 Control area와 비교한다. Control 대비 20% 농도의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도 6에서와 같이 전기전도율의 변화는 10분후 대조군보다 43.7%가 높았으며 120분 후에는 51.5% 정도 높게 나타났다.
실험예 11 :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의 세포 증식 효과
MTT 정량법은 생존세포에만 활성이 있는 미토콘드리아의 탈수소 효소작용에 의해 색소로 변한다. 살아 있는 세포수가 증가하면 시료 중의 미토콘드리아 탈수소효소의 전체의 활성이 증가하며, 이 효소 활성의 증가가 formazan색소의 생성증가를 유도하기 때문에, formazan색소와 배지중의 대사활성이 있는 세포의 수와는 직선적인 상관관계는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면 세포의 증식에 관한 연구를 비교적 쉽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된다. 노란색의 수용성 tetrazolium MTT은 미코콘드리아의 탈수소효소의 작용에 의하여 보라색의 불용성 formazan(formazan crystal)으로 환원된다. 이를 DMSO에 의해 용해시켜 570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본 실험은 normal human fibroblast에서 추출물에 대한 MTT 정량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7에서와 같이 대조군에 비하여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 증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상기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료는 비타민 C와 비타민 E를 함께 추출 공정에 적용하여 저온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유효 성분의 추출 효율을 극대화하였으며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3)

  1.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로서, 저온에서 감잎, 계피, 국화, 모과, 녹차, 상황버섯, 영지버섯, 송이버섯으로 구성된 식물을 비타민 C와 비타민 E를 함께 초음파 추출하여 얻어진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의 조성은 각각의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감잎, 계피, 국화, 모과, 녹차, 상황버섯, 영지버섯, 송이버섯으로 구성된 식물 99 중량%와 비타민 C 0.8 중량%, 비타민 E 0.2 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의 구성은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감잎 1 내지 30 중량%, 계피 1 내지 30 중량%, 국화 1 내지 30 중량%, 모과 1 내지 30 중량%, 녹차 1 내지 30 중량%, 상황버섯 1 내지 30 중량%, 영지버섯 1 내지 30 중량%, 송이버섯 1 내지 30 중량%로 구성되며 식물 추출물 99 중량%에 대하여 비타민 C 0.8 중량%와 비타민 E를 0.2 중량%를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091829A 2007-09-11 2007-09-11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0900268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829A KR20090026826A (ko) 2007-09-11 2007-09-11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829A KR20090026826A (ko) 2007-09-11 2007-09-11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826A true KR20090026826A (ko) 2009-03-16

Family

ID=4069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829A KR20090026826A (ko) 2007-09-11 2007-09-11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68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226A (ko) * 2018-11-28 2020-06-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영지버섯, 아르니카몬타나꽃, 부들레야 및 타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26746A (ko) * 2020-08-26 2022-03-0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모과, 감나무잎, 육계나무껍질, 쑥잎, 크리산텔룸인디쿰 및 녹차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51361A (ko) * 2021-05-06 2022-11-15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dkmex'를 함유한 항산화, 항염 및 미백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226A (ko) * 2018-11-28 2020-06-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영지버섯, 아르니카몬타나꽃, 부들레야 및 타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26746A (ko) * 2020-08-26 2022-03-0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모과, 감나무잎, 육계나무껍질, 쑥잎, 크리산텔룸인디쿰 및 녹차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51361A (ko) * 2021-05-06 2022-11-15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dkmex'를 함유한 항산화, 항염 및 미백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288B1 (ko) 용암해수와 탄산수, 또는 암반수를 이용한 녹차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899502B1 (ko)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조성물
KR100992088B1 (ko)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하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TWI466686B (zh) Whitening agents, anti-aging agents and antioxidants, and whitening endermic agents, anti-aging and anti-skin external oxidation method for producing a skin external preparation of
KR100881001B1 (ko) 항산화 효과와 미백 효과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천연컴플렉스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130045451A (ko) 드래곤블러드수지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98307B1 (ko)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84163B1 (ko) 차요테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50613B1 (ko) 항산화 효과와 항주름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37020B1 (ko) 무환자 열매로부터 고순도 사포닌을 분리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77126B1 (ko)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칠향팔백산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09568A (ko) 맥주 효모를 이용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370990B1 (ko)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KR20090026826A (ko)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090013293A (ko)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조성물
KR100971655B1 (ko) 항산화, 항염 및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104671A (ko) 초임계 한방 추출물을 이용한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934793B1 (ko) 고욤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광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060093164A (ko) 주름완화 화장료 조성물
Fehér et al. Topical application of Silybum marianum extract
EP1029531A2 (en) Vegetal extract as cosmetic agent for skin
KR101250386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혼합 새싹 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100898308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31289B1 (ko) 플랑크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46994A (ko) 제주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