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3293A -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3293A
KR20090013293A KR1020070077271A KR20070077271A KR20090013293A KR 20090013293 A KR20090013293 A KR 20090013293A KR 1020070077271 A KR1020070077271 A KR 1020070077271A KR 20070077271 A KR20070077271 A KR 20070077271A KR 20090013293 A KR20090013293 A KR 20090013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pear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pear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대영
도상온
정준호
정용면
강명화
황성연
Original Assignee
안성마춤농협조합공동사업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마춤농협조합공동사업법인 filed Critical 안성마춤농협조합공동사업법인
Priority to KR1020070077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3293A/ko
Publication of KR20090013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2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DPPH 소거 활성, 하이드록시 라디칼 소거 활성, 슈퍼록사이드 음이온 소거 활성 및 일중항산소(singlet oxygen) 소거능력에 의한 항산화효과; 타이로시나아제 저해능과 세포내 멜라닌 합성 저해능으로 인한 피부 미백 효과;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능, 콜라게나아제 저해능에 따른 피부 주름개선효과; 및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저해능에 따른 항염 효과:가 우수한 배 추출물을 주요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노화를 억제하여 주름개선에 탁월하며, 아울러, 독성이 적고 자연 친화적인 천연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피부 안정성이 확보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피부 노화, 화장료, 배 추출물

Description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ANTI-WRINKLE COSMETIC COMPOSITION WITH ANTI-AGING EFFECT CONTAINING PEAR EXTRACTS}
본 발명은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항산화효과, 피부 미백 효과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자연 친화적인 화장료 조성물의 소재인 배 추출물을 주요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체내의 모든 기관을 기온 및 습도의 변화와 자외선 등 외부 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받는 끊임없는 물리적, 화학적 자극은 피부 기능을 저하시키고 피부의 노화 현상을 촉진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피부의 노화는 피부 구성 성분의 전체적인 악화를 수반하여 결과적으로 피부가 쉽게 갈라지게 된다. 또한, 섬유 아세포의 감소 및 이 세포의 활성도 손상 역시 피부 노화 프로세스 중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피부 노화현상을 방지하고 보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각종 식물, 동물, 미생물로부터 얻은 생리활성물질들을 함유한 화장품을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고유 기능을 유지시키고 피부 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 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부단히 노력해 왔다.
그러나 기존의 화장품 원료는 만족할만한 효과나 효능을 충족하기에는 여전히 미흡하고, 오히려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독성이 적고 자연 친화적인 화장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그의 일환으로서, 라디칼 제거 기능을 갖는 식물에 대한 탐색 과정을 거친 결과, 수종의 식물들이 피부 노화 및 주름살 억제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그 일례로, 삼백초 추출물을 함유한 라디칼 제거제가 보고되었으며[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64554호], 꿩의 비름속 식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라디칼 제거제가 알려졌으며[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4-36642호], 연꽃 추출물을 주요 성분으로 함유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5-21778호], 율피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주름 개선 화장료[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7-58952호]가 알려졌고, 잠용유를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등이 보고되어 있다[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7-15702호]. 이외에도 단일조성이 아닌, 복합조성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이 다수 보고되어 있는 바, 일례로 금은화, 황금, 오배자, 녹차, 도토리, 계피, 석류, 승마 추출물 등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5-70732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독성이 적고 자연 친화적인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를 탐색한 결과, 각종 천연 과일 중에서, 배 추출물이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 활성 및 슈퍼 록사이드 음이온 소거 활성 등에 의한 항산화효과, 우수한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능으로 인한 피부 미백 효과, 우수한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능 및 콜라게나아제 저해능에 따른 피부 주름개선효과 및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저해능에 따른 항염 효과를 확인하고, 상기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안출해 냄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주름살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는 천연소재 함유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 추출물을 주요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 추출물 0.05 내지 5.0 중량%를 주요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배 추출물이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및 초임계 추출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바디로션,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비누 및 삼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서, 천연 과일에서 선택된 배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독성이 적고 자연 친화적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효과, 피부 미백 효과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배 추출물을 주요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주름살 생성을 억제하는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배 추출물 0.05 내지 5.0 중량%를 주요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배는 학명이 Pyrus pyrifolia로서, 수분함량이 85 중량% 내지 88 중량%이고, 열량은 51 칼로리이며 주성분은 탄수화물이다. 당분은 10 중량% 내지 15 중량%가 함유되어 있으며,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등의 미량원소 함량은 75 중량%를 차지하고 있는 강알칼리성 식품이다. 따라서, 배는 혈액을 중성으로 유지시켜 건강을 유지하는데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유기산으로서 구연산이 0.12 내지 0.31 중량%, 사과산이 0.08 중량%가 함유되어 있어, 사과에 비해서 비타민 B1과 B2 함량은 다소 많고, 비타민C 함량은 적게 함유되어 있다. 배의 단맛은 대부분 과당이며, 사과산과 구연산, 주석산 등의 유기산이 적어 신맛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배 추출물은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및 초임계 추출법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열수 추출법은 신선한 배를 원료로 준비하고, 상기 배의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15배의 증류수를 가하여, 100±10℃에서 반복 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는 방법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열수 추출법에 일례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추출 방법으로서, 초음파 추출법은 신선한 배를 1차로 정제수로 세척한 후, 잘게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고, 상기 분쇄물 1 내지 10 중량%를 정제수, 폴리올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그들의 혼합용매 1 내지 50%에 침지시키고, 상기 침지 공정동안 저온의 초음파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침지시간은 1일 내지 5일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일 동안 실시하는 것이다.
이때, 폴리올 또는 에탄올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혼합형태 10 내지 70 중량% 및 정제수 30 내지 9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초음파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헥실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중,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배 추출물은 0.05 내지 5.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를 함유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다.
이때, 배 추출물의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에서 주요 유효 성분인 배 추출물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으므로, 배 추출물로부터 부여되는 효능이 미비하고, 5.0 중량%를 초과하면,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내 각종 기제, 첨가제, 유기용제 등에 대한 용해성, 친화성 및 안정성이 불안정하여, 얻고자 하는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주름살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충분히 도달할 수 없다.
이때,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배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상기 배 추출물로보터 항산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항산화제의 환원력을 측정하는 시약으로 사용된, DPPH는 배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DPPH 소거 활성(SC50)이 증가하였으며[도 1], 배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하이드록실 라디칼의 소거능력 및 슈퍼록사이드 라디칼의 소거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자외선이 아닌 청색광 영역에서 만들어지는 일중항산소(singlet oxygen) 소거능력이 향상된다[도 2, 도 3 도 4].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배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우수한 타이로시나아제 저해능과 세포내 멜라닌 합성 저해능을 확인함으로써, 피부 미백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도 5 및 도 6], 배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우수한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능 및 콜라게나아제 저해능을 확인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주름개선효과 및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저해능을 확인함으로써, 우수한 항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도 7, 도 8 도 9].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주요 유효성분으로서, 배 추출물을 함유하되, 상기 배 추출물 이외, 계면활성제 및 기타성분으로 이루어진 에탄올 부분; 및 정제수 및 부틸렌글리콜 등의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정제수 부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주요 유효성분으로서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바, 이외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되는 알코올 부분 및 정제수 부분은 당업자에 의해 공지물질에서 선택 사용 할 수 있음을 당연히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주름살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유연 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바디로션,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비누 및 삼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주름살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적용일례로서 스킨 로션 및 밀크의 조성물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노화억제용 주름살 개선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 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배 추출물의 제조
신선한 배를 원료로 준비하고, 배의 중량에 대하여 10배의 증류수를 가하여, 100ㅁ10℃에서 5시간 3회 반복 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추출 전, 배 추출물의 중량은 100g이고, 추출 후, 배 추출물의 중량은 2g이였다.
<실시예 2> 배 추출물 함유 스킨 로션의 제조
곡정에서 생산하여 78℃로 증류한 에탄올에 메틸파라히드록시벤조익산, 트윈-20 및 노닐페닐에테르-12를 순서대로 용해시켜 알코올 부분을 제조하였다. 또한, 멸균 처리된 정제수에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알라닌-193, 히알루론산, 알란토인, 구연산, 구연산 소다의 순서대로 용해시켜, 정제수 부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알코올 성분 및 정제수 성분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배 추출물을 하기 표 1의 조성비로 혼합하여 스킨 로션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56158624-PAT00001
< 실시예 3> 배 추출물 함유 밀크 로션의 제조
하기 표 2에 따라, 배 추출물 함유 밀크 로션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56158624-PAT00002
< 실험예 1> DPPH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력 평가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배 추출물에 DPPH(1,1-diphenyl-2 picrylhydrazyl radical) 시약을 가하여 혼합한 후, 실온에서 30분 반응시킨 다음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항산화제의 환원력을 측정하는 시약으로 사용된, DPPH는 화합물 내 질소 중심의 안정화된 구조의 라디칼로 존재하며, 517nm에서 최대 흡수를 나타내고, 환원되면 517nm 영역의 흡수피크가 사라진다. 이때, 식물 추출물의 환원력 크기는 라디칼 소거활성(Scavenging activity, SC50)으로 표시하며, 상기 SC50은 DPPH의 농도가 50% 감소하는데 필요한 농도를 나타낸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 도 1에 기재하였다.
SC50
실시예 1 배 추출물 18.9 ㎍/㎖
비교예 1 아스코르브산 3.0 ㎍/㎖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배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DPPH 소거 활성(SC50)이 우수하였으며, 이때, 표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최고 DPPH 소거 활성(SC50)은 18.9 ㎍/㎖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 활성에 의한 항산화 효과
하이드록실 라디칼은 세포에 손상을 주는 가장 강력한 자유 라디칼로서 피부 세포막의 지질의 과산화반응을 일으키고, 특히 DNA 및 결합조직 기질 손상에 참여하는 주원인 활성 산소종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자외선 흡수로 시작되는 광증감 반응에 의해 슈퍼록사이드와 과산화수소가 생성되고 이들은 생체 내에서 보다 위험한 하이드록실 라디칼 생성에 참여한다. 즉 슈퍼록사이드는 철 이온과 구리 이온을 환원시킬 수 있고 환원된 철과 구리는 과산화수소를 환원시키면서 결과적으로 하이드록실 라디칼을 생성시킨다.
이하, 표 4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배 추출물에 대하여, 시험관 내(in vitro)에서 펜톤(Fenton) 반응에 의해 생성시킨 하이드록실 라디칼의 소거능력을 측정한 결과이다.
구분 SC50
실시예 1 배 추출물 100.0 ㎍/㎖
비교예 2 트로록스(Trolox) 1.1 ㎍/㎖
상기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 추출물은 농도에 따라 하이드록실 라디칼을 소거하는 능력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때, 우수한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활성(SC50)은 100.0㎍/㎖이였다.
<실험예 3> 슈퍼록사이드 음이온 소거 활성에 의한 항산화 효과
활성산소 중, 슈퍼록사이드 음이온은 자외선 흡수로 시작되는 광증감반응에 의해 생성되고, 생체 내에 존재하는 SOD(Superoxide dismutase) 효소에 의해 과산화수소로 전환된다. 슈퍼록사이드와 과산화수소는 반응성이 약하여 직접적으로 조직세포 손상에 참여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보다 위험한 하이드록시 라디칼 생성에 참여한다. 즉 슈퍼록사이드는 철과 구리 이온을 환원시킬 수 있고, 환원된 철과 구리 이온은 과산화수소를 환원시키면서 결과적으로 하이드록실 라디칼을 생성시킨다. 또한 생체 내에서 슈퍼록사이드는 페리틴으로부터 철 이온(II)을 방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자외선 조사 후에 나타나며 자외선으로 인해 생성된 슈퍼록사이드의 작용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하, 표 5 도 3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배 추출물에 대하여, 농도에 따른 슈퍼록사이드 라디칼의 소거활성(SC50)을 측정한 결과이다.
구분 SC50
실시예 1 배 추출물 7.6 ㎍/㎖
비교예 2 트로록스(Trolox) 27.2 ㎍/㎖
상기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 추출물은 농도에 따라 슈퍼록사이드 라디칼을 소거하는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이때, 슈퍼록사이드 라디칼의 소거활성(SC50)은 7.6 ㎍/㎖이였다.
<실험예 4> 광용혈 측정에 의한 항산화 효과
태양광에 의해 만들어지는 활성산소종 중에서 일중항 산소(singlet oxygen)의 경우 그 발생시간이 매우 짧게 나타난다. 따라서 효소에 의한 제거가 불가능하며, 오로지 활성산소 소거제에 의한 제거만 가능하게 된다. 특히, 일중항 산소는 태양광 중 자외선이 아닌 청색광 영역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제에 의한 제거효과를 얻을 수 없다.
광용혈 실험은 광증감제를 사용하여 일중항 산소를 발생시키고, 상기 일중항 산소가 적혈구 막과 반응하여 용혈이 얼마나 많이 일어나는지 관찰하는 것으로, 본 실험에 사용된 광증감제는 로즈 벤갈(Rose bengal)을 20μM 농도로 사용하였으며 혈액은 토끼의 적혈구를 사용하였다. 토끼에서 채혈된 후, 적혈구와 다른 성분을 분리하고 PBS 완충 용액으로 씻어 준 후 적혈구 원액을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혈액의 광증감도를 높이기 위해 암실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로즈 벤갈(Rose bengal)을 첨가, 형광등 아래에서 15분간 방치하였다. 암실에서 보관하면서 10분마다 흡광도를 측정하여, 일중항 산소(singlet oxygen)의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도시하였는 바, 배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2의 막(well)은 빛을 가한 20분 후 모든 혈액의 용혈이 일어났고, 배 추출물의 원액과 희석액을 첨가한 막(well)에서는 빛을 가하고 50분이 경과한 후에도 전혀 광용혈이 일어나지 않았다. 상기 결과로부터, 광증감제에 의해 만들어진 일중항 산소 모두 배 추출물에 의해 소거되었다고 볼 수 있으므로, 배 추출물은 일중항 산소 소거제로서 매우 탁월한 활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능에 의한 피부 미백 효과
과도한 멜라닌의 합성은 인체에 기미, 주근깨, 검버섯을 형성하고 피부 노화를 촉진하여 피부암 유발에 관여한다. 이러한 멜라닌은 세포 내 소기관인 리보좀에서 타이로시나아제라는 효소의 생합성에 의해 합성되기 시작하고, 이 효소의 작용으로 타이로신 아미노산에서 몇 단계를 거쳐 합성되어 멜라노사이트라는 흑색소포 표면에 침착하여 멜라노좀의 과립이 생성된다. 이러한 멜라닌 색소의 침착을 막기 위해 피부 미백 원료 개발에 여러 가지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중 시험관내(in vitro)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실험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에, 실시예 1의 배 추출물에 대하여, 시험관내(in vitro)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 도 5에 기재하였다.
구분 IC50
실시예 1 배 추출물 60 ㎍/㎖
비교예 3 코직산 15.1 ㎍/㎖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배 추출물의 농도에 따라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능을 확인하였으며, 이때, 우수한 타이로시나아제 저해능(IC50)은 60㎍/㎖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6> 세포내 멜라닌 합성 저해능
멜라닌 세포는 피부상피 조직의 기저층에 있는 분화된 세포로서, 멜라닌 소체라는 특수한 기관에서 멜라닌을 합성한다. 멜라닌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 및 세포독성 라디칼(cytotoxic radical)의 소거제(scavenger)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기미, 주근깨와 같은 색소침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미백원료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시험관내(in vitro) 타이로시나아제 활성억제 시험과 더불어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저해시험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배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세포 내 멜라닌 합성 저해능에 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배 추출물 2.5%일 때, 세포내 멜라닌 합성 저해능은 약 20%의 저해능을 나타내고 있다.
< 실험예 7>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능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
실시예 1의 배 추출물에 대하여,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능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반응구는 1% 알부민을 함유한 0.2M 트리스-HCl 완충용액 0.1㎖에 10mM MAAPVN (N-methoxysuccinyl-ala-ala-pro-val-nitroanilide)을 녹인 기질액 0.025㎖ 및 시료용액 0.05㎖의 혼합액에 엘라스타아제(3units/㎖) 0.025㎖을 첨가하여 25℃에서 20분 반응시킨 후, 410nm에서 측정하여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 도 7에 기재하였다.
구분 IC50
실시예 1 배 추출물 13.9 ㎍/㎖
비교예 4 우루솔릭산(Ursolic acid) 10.0 ㎍/㎖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배 추출물은 농도에 따라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능이 증가하고 우수한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능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엘라스타아제 저해능(IC50)은 13.9㎍/㎖이였다.
<실험예 8>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능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
실시예 1의 배 추출물에 대하여,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능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반응구는 0.05M 트리신(tricine) 완충용액(pH 7.5) 0.8㎖에 FALGPA(0.2mM)을 녹인 기질액 0.05㎖ 및 시료용액 0.05㎖의 혼합액에 콜라게나아제(3mg/㎖) 0.05㎖을 첨가하여, 20℃에서 18시간 방치시킨 후, 1N 아세테이트 10㎕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켜 흡광도 324nm에서 측정하였다. 이때,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배 추출물은 농도에 따라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능이 증가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콜라게나아제 저해능(IC50)은 5.72㎍/㎖이였다.
<실험예 9>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저해능에 의한 항염 효과
실시예 1의 배 추출물에 대하여,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저해능에 의한 항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반응구는 0.05M 트리신(tricine) 완충용액(pH7.5) 0.8㎖에 FALGPA(0.2mM)을 녹인 기질액 0.05㎖ 및 시료용액 0.05㎖의 혼합액에 콜라게나아제(3mg/ml) 0.05ml을 첨가하여 20℃에서 18시간 방치시킨 후 1N 아세테이트 10㎕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켜 흡광도 324nm에서 측정하여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을 나타낸다. 그 결과를 도 9 표 8에 기재하였다.
구분 IC50
실시예 1 배 추출물 14.1 ㎍/㎖
비교예 5 NDGA 0.6 ㎍/㎖
그 결과, 도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배 추출물은 농도에 따라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저해능이 증가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때,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저해능(IC50)은 14.1㎍/㎖이였다.
<실험예 10> 피부노화 억제효과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스킨 로션을 건강한 성인 남자 20명의 전박부에 일정량(10m/5㎠)씩 도포하고, 그 외의 부위를 알루미늄 호일로 차폐하여 30분 후에, 자외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장파장 자외선을 10.2J/㎠의 용량으로 조사하고 24시간 후에 피부 상태(홍반, 부종, 구진 등)를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피부에 홍반 등의 부작용이 발생되지 않아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스킨 로션은 광독성이 없으며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밀크 로션을 건강한 성인 남자 20명의 전박부에 일정량(10m/5㎠)씩 도포하고, 그 외의 부위를 알루미늄 호일로 차폐하여 30분 후에, 자외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장파장 자외선을 10.2J/㎠ 의 용량으로 조사하고 24시간 후에 피부 상태(홍반, 부종, 구진 등)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피부에 홍반 등의 부작용이 발생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밀크 로션은 광독성이 없으며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1> 피부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2 및 3에서 제조한 스킨 로션 및 밀크 로션을 건강한 성인 남자 20명의 전박부에 인체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대상자의 전박부를 70% 에탄올로 잘 닦은 다음 그 부위에, 통상의 화장료 기제에 상기 실시예 2 및 3에서 제조한 스킨 로션 및 밀크 로션을 20㎕씩 담은 핀 챔버를 점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24시간 폐쇄 부착시켰다. 24시간 후에 점착 테이프와 핀 챔버를 제거하고, 가제로 피부에 잔존된 시료를 가볍게 닦아 제거한 뒤에 피부 상태를 관찰하고 다시 24시간 후에 한번 더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기재하였다.
시료 24시간 후(n=20) 48시간 후(n=20) 비고
실시예 2 0/20 0/20 반응양성자수/총대상자수
실시예 3 0/20 0/20
상기 표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및 3에서 제조된 스킨 로션 및 밀크 로션은 인체 첩포 시험에서 양성 반응을 보이지 않아 인체 피부에 자극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첫째, 구입 및 추출물의 제조가 용이한 배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독성이 적고 자 연 친화적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였으며,
둘째, 상기 배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상기 배 추출물로부터 항산화효과, 피부 미백 효과, 특히 피부 주름개선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배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DPPH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배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하이드록실 라디칼 소거 활성에 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배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슈퍼록사이드 음이온 소거 활성에 의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배 추출물의 광용혈 측정으로 일중항 산소(singlet oxygen)의 소거 활성에 의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배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저해능에 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배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세포 내 멜라닌 합성 저해능에 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7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배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능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배 추출물의 콜라게나아제 활성 저해능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9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배 추출물의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저해능에 따른 항염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3)

  1. 배 추출물 0.05 내지 5.0 중량%를 주요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 추출물이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및 초임계 추출법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유연 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바디로션,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비누 및 삼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077271A 2007-08-01 2007-08-01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조성물 KR20090013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271A KR20090013293A (ko) 2007-08-01 2007-08-01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271A KR20090013293A (ko) 2007-08-01 2007-08-01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293A true KR20090013293A (ko) 2009-02-05

Family

ID=40683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271A KR20090013293A (ko) 2007-08-01 2007-08-01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329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967B1 (ko) * 2010-02-25 2013-02-01 신영식 배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22671A (ko) * 2016-04-26 2017-11-06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미백개선과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배 캘러스와 유자 캘러스 소재
KR20180115397A (ko) * 2017-04-12 2018-10-23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배 또는 유자 캘러스 배양 추출물 및 잔탄검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71861B1 (ko) * 2020-11-24 2021-07-01 영농조합법인 산골농장 천연소재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230067053A (ko) * 2021-11-09 2023-05-16 주식회사 알씨케이 미백 및 주름개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967B1 (ko) * 2010-02-25 2013-02-01 신영식 배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22671A (ko) * 2016-04-26 2017-11-06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미백개선과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배 캘러스와 유자 캘러스 소재
KR20180115397A (ko) * 2017-04-12 2018-10-23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배 또는 유자 캘러스 배양 추출물 및 잔탄검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71861B1 (ko) * 2020-11-24 2021-07-01 영농조합법인 산골농장 천연소재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230067053A (ko) * 2021-11-09 2023-05-16 주식회사 알씨케이 미백 및 주름개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288B1 (ko) 용암해수와 탄산수, 또는 암반수를 이용한 녹차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887956B1 (ko) 효소 처리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90028996A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20903B1 (ko) 피부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90013293A (ko) 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억제용 주름개선 화장료조성물
KR100992088B1 (ko)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하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30064059A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0710657B1 (ko) 디하이드로퀘세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881001B1 (ko) 항산화 효과와 미백 효과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천연컴플렉스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110109568A (ko) 맥주 효모를 이용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661545B1 (ko) 미백 활성을 갖는 홍경천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98307B1 (ko)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2476A (ko) 더위지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99024B1 (ko)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00551B1 (ko) 하이드록시시트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104671A (ko) 초임계 한방 추출물을 이용한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0466379B1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20090026826A (ko)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210074699A (ko)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111025A (ko) 녹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120032690A (ko) 면역 효과에 의한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067698B1 (ko) 가공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미백용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