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024B1 -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024B1
KR101299024B1 KR1020110117787A KR20110117787A KR101299024B1 KR 101299024 B1 KR101299024 B1 KR 101299024B1 KR 1020110117787 A KR1020110117787 A KR 1020110117787A KR 20110117787 A KR20110117787 A KR 20110117787A KR 101299024 B1 KR101299024 B1 KR 101299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oxidant
comparative example
clove oil
activity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2379A (ko
Inventor
박병화
박진일
이원희
Original Assignee
박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화 filed Critical 박병화
Priority to KR1020110117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024B1/ko
Publication of KR20130052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0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정향유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정향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정향을 70 내지 90℃ 및 0.9 내지 1.2atm에서 1 내지 9시간 동안 수증기 증류(Steam distillation)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정향유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정향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의 미백 성분인 알부틴 보다 피부 미백 및 항산화 효과가 매우 뛰어나며, 피부에 대한 세포 독성이 없어 인체에 무해하므로, 코직산에 비하여 안정성이 높다.

Description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SMETICS COMPOSITION FOR SKIN LIGHTENING COLOR, ANTIOXIDANTSAND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정향유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정향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의 색소는 햇빛, 특히 자외선의 유해한 영향으로부터 피부나 모발을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이러한 색소가 부족한 사람은 햇빛에 매우 민감하여 화상을 입기 쉬우며 어린 나이에도 피부암의 발생 확률이 높다. 단파장의 자외선 (290-320 nm) 및 발암 물질은 피부에서 유해 라디칼, 예컨대, 산소 라디칼을 형성하며, 이러한 산소 라디칼이 피부 세포를 공격하여 피부를 노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의 피부색은 멜라닌, 카로틴 및 헤모글로빈의 양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 중 멜라닌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크며, 피부의 두께와 반사도 및 혈류량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한국, 일본, 중국 등의 동양인들은 하얀 피부를 아름다움의 척도 중에 하나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으며, 그러한 미백용 조성물로부터 실질적인 피부 개선 효과를 기대하는 욕구도 대단히 강하다.
한편, 멜라닌은 단순히 피부색을 결정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햇빛 중 자외선의 빛 에너지를 흡수하여 유해 라디칼을 제거함으로서, 자외선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피부 및 더 깊숙이 위치하는 세포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멜라닌이 비정상적으로 적게 생산되면 백반증과 같은 피부병변이 유발되고, 반대로 자외선 등에 의한 멜라닌의 과도한 합성은 피부에 손상을 줄 뿐만 아니라, 색소침착으로 기미 및 주근깨를 형성하고 나아가 피부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멜라닌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에 의해 티로신(tyrosine)이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되고,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서 생성된다. 이때 생성된 멜라닌은 피부 세포에 전달되고 표피 박리와 함께 멜라닌이 상실되어 소멸되는 순환 과정을 가진다.
이러한 멜라닌 생성 과정은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으로서, 정상 상태의 사람 피부에서는 멜라닌이 과다 생성되지 않으나, 피부가 자외선, 환경오염 또는 스트레스 등의 외부의 자극과 반응하면 멜라닌이 과다 생성된다.
피부 미백은 멜라닌 과다 생성의 억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대표적인 멜라닌 과다 생성 억제의 방법으로는, 자외선과 같은 외부자극을 차단하는 방법, 멜라닌 형성과 관련된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 멜라닌 생성을 주관하는 멜라닌 세포의 분열을 방해하는 방법, 비타민 C 유도체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현재까지 피부 미백과 관련하여 알려진 위한 방법들로는 자외선 차단, 신호 억제, 유전자 발현 억제, 효소작용 억제, 색소 환원, 각질층 제거 등이 있다. 미백 기능을 나타내는 대표적 단일 물질로는 코직산, 비타민 C, 하이드로퀴논, 알부틴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자연 친화적인 미백제 개발을 위한 다양한 물질 및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을 보면, 선행기술 1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코직산을 포함하는 화장료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코직산(Kojic Acid)의 경우 간암을 유발시킬 수 있는 발암물질로 물질로 알려져 화장품에 대한 사용이 중단되었다.
다음으로, 피부 색소 침작을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로서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을 사용한 선행기술 2(일본특허공개 평6-192062)가 있는데, 상기 하이드로퀴논은 피부자극을 유발할 뿐 아니라 설치류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던 동물실험에서 발암물질로 작용할 수 있음이 시사된 바가 있어 그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한편, 선행기술 3(일본특허공개 평4-9315)은 미백용 화장료에 대한 것으로 미백 성분으로 알부틴(arbutin)을 사용하는 것인데, 최근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로 알려진 미백 성분 이외에 보다 안정성이 높고 효능이 뛰어난 미백제의 개발이 필요하고, 시장에서의 선택의 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단순한 미백효과를 넘어 복합적으로 피부에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성분 등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선행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소56-7710, 공개일 1979. 6. 28. (선행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 평6-192062, 공개일 1992. 12. 24. (선행특허문헌 3) 일본특허공개 평4-9315, 공개일 1992.1.14.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미백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정향유의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정향유의 피부 미백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고, 상기 정향유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세포에 대한 안전성을 나타내는 범위를 확인하고, 미백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최적의 정향유 함량을 확인하여 이를 다양한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정향유의 제조방법은 정향을 70 내지 90℃ 및 0.9 내지 1.2atm 에서 1 내지 9 시간 동안 수증기 증류(Steam distillation)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향유와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킬 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후 알킬 아세테이트 층만을 분리하여 45 내지 55℃로 열처리 하여 제1정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제 용액에 탄소수가 1 내지 5인 알코올을 첨가하고 45 내지 55℃로 열처리 하여 제2 정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정향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정향유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상기 정향유를 0.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팩,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 되는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정향을 70 내지 90℃ 및 0.9 내지 1.2atm 에서 1 내지 9시간 동안 수증기 증류(Steam distillation)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향(Syzygium aromaticum Merrill et Perry:丁香)이란, 정향나무의 꽃봉오리를 말한다. 상기 수증기 증류에 사용되는 정향은 일반적인 정향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공정의 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건조된 정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정향유는 연한 노란색을 띄며, 액체 상태로 얻을 수 있다.
상기 수증기 증류는 끓는점이 높고,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유기화합물에 수증기를 불어넣어, 그 물질의 끓는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수증기와 함께 유출되어 나오는 물질의 증기를 냉각하여, 물과의 혼합물로서 응축시키고 그것을 분리시키는 증류법을 말한다.
상기 수증기 증류에 따라 식물의 오일을 추출하는 경우에는 100℃ 이상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 정향유가 피부 미백 및 항산화 효과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70 내지 90℃의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수증기 증류를 하여야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향을 75 내지 85℃에서 수증기 증류를 할 수 있다. 상기 수증기 증류 온도가 85℃를 초과하는 경우 오일이 변성되어 안정성이 저하 되는 문제가 생기며, 75℃ 미만인 경우 증류 수율이 저하 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수증기 증류는 0.9 내지 1.2 atm에서 이루어 져야하는데, 바람직하게는 0.98 내지 1.02atm에서 할 수 있다. 압력이 1.02 atm을 초과하는 경우 증류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행하며, 0.98 atm 미만인 경우 상기 정향유에 물이 과다하게 함유될 수 있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상기 수증기 증류는 1 내지 9시간 동안 이루어 져야하는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시간 동안 할 수 있다. 상기 증류시간이 4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정향유의 변형에 따라 불순물이 포함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2시간 미만인 경우 수증기 증류의 수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정향유는 미백과 관련된 유효성분 이외에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정향유와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킬 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후 알킬 아세테이트 층만을 분리하여 45 내지 55℃로 열처리 하여 제1정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제 용액에 탄소수가 1 내지 5인 알코올을 첨가하고 45 내지 55℃로 열처리 하여 제2 정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수 1 내지 10인 알킬 아세테이트는 상기 정향유에 대하여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1 : 3 내지 3 : 1 질량비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1 : 3 질량비를 초과하면, 과량의 알킬 아세테이트를 열처리에 따라 휘발시키는데 어려움이 있고, 3 : 1 질량비 미만이면, 유효성분 이외의 불순물이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알킬아세테이트는 45 내지 55℃로 열처리 할 수 있는데, 상기 열처리는 상기 정향유 및 상기 알킬아세테이트의 혼합용액을 가열하는 것을 말하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가열장비를 이용하거나 물중탕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감압 휘발 공정을 추가하여 알킬아세테이트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온도가 55 ℃를 초과하는 경우 정향유 성분까지 휘발되는 문제가 생기며, 45 ℃ 미만인 경우 알킬 아세테이트의 휘발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수 1 내지 5인 알코올은 구체적으로 상기 쿠루드 정향유에 대하여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1 : 3 내지 3 : 1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1 : 3 중량비를 초과하면, 과량의 알코올을 열처리에 따라 휘발시키는데 어려움이 있고, 3 : 1 중량비 미만이면, 유효성분 이외의 불순물이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알코올은 45 내지 55℃로 열처리 할 수 있는데, 상기 열처리는 상기 제1 정제용액 및 상기 알코올의 혼합용액을 가열하는 것을 말하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가열장비를 이용하거나 물중탕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감압 휘발 공정을 추가하여 알코올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온도가 55 ℃를 초과하는 경우 정향유 성분까지 휘발되는 문제가 생기며, 45 ℃ 미만인 경우 알코올의 휘발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정향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공된다.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정향유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001 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0.001 중량% 미만인 경우 미백 및 항산화 효과가 미미하여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향유가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정향유가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미백 및 항산화의 효과가 다소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고, 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세포 독성이 강해지고, 상기 정향유가 제형 내에서 분산력이 저하되어 제형으로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세제 및 섬유 등의 피부에 접촉하는 피부 외용제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미백 조성물은 투여 경로에 제한이 없으나, 미백 목적상, 경피 투여, 피하 투여 등의 국부 투여가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스킨로션), 영양화장수(영양로션), 에센스, 크림, 바디크림 및 팩의 제형을 갖는 것인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제형에 적합하고 당업계에 주지된 각종의 통상적인 담체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가능한 부형제로는, 글리세린, 전분, 유당, 물,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살리실산, 다히아드로초산 및 생리식염수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추가적으로 일반 화장료에 배합되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의 성분을 필요한 만큼 적용 배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바디 화장품, 두피용 화장품 또는 면도용 화장품의 용도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초화장품의 예로는 크림,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등이 있으며,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으로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립스틱, 아이새도,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펜슬 등이 있으며, 바디 화장품으로는, 비누, 액체 세정제, 입욕제, 선스크린 크림, 선 오일 등이 있으며, 두피용 화장품으로는 헤어 토닉, 스칼프 트리트먼트가 있으며, 상기 면도용 화장품으로는 애프터셰이브로션, 셰이빙 크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정향유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정향유 및 상기 정향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의 미백 성분인 알부틴 보다 피부 미백 및 항산화 효과가 매우 뛰어나며, 피부에 대한 세포 독성이 없어 인체에 무해하다. 또한, 코직산에 비하여 안정성이 높다.
또한, 종래의 정향의 열수 추출물 또는 알코올 추출물은 미백 효과가 미미하여 미백성능을 나타내는 다른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상기 정향유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정향 추출물에 비해 뛰어난 미백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기 정향유를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충분한 미백 및 항산화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상기 정향유를 0.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효과에 있어 알부틴 뿐만 아니라 코직산에 비하여도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기타 다양한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정향유는 종래에 피부의 미백 또는 항산화 효과와 관련하여 알려진 바가 없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향유의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정향유에 대하여 하기의 시험을 진행하였다.
[ 제조예 ]
[정향유의 제조]
건조된 정향 1kg을 80℃ 및 0.99atm에서 3시간 동안 수증기 증류하여 정향유를 제조하고, 냉각시킨 뒤 비중 차에 따라 하층에 가라앉은 정향유를 분리한다. 상기 분리된 정향유 200g에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400g를 혼합하고 로터리 증발기(Rotary evaporator)로 50℃를 유지하면서 에틸아세테이트를 휘발시켜 정제한다. 또한, 상기 정향유 용액에 이소프로필알코올 200g를 혼합하고, 로터리 증발기(Rotary evaporator)로 50℃를 유지하면서 이소프로필알코올를 휘발시켜 정제한다.
[정향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정향 1kg에 대하여 정제수 5kg 및 에탄올 5kg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고, 상기 혼합물을 7일간 실온에서 침지하여 여과지로 여과한 뒤 정향 추출물을 만들었다.
[비교예 및 실시예의 제조]
하기의 시험예에 따라 정향유의 안정성, 미백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정향유를 포함하지 않은 0.1 M 인산염완충용액 (pH 6.5)을 비교예 0으로 하고, 정향유를 0.1 M 인산염완충용액 (pH 6.5)에 각각 0.001, 0.005, 0.01, 0.05, 0.1, 0.5, 1, 2, 3 중량%로 희석하여 실시예 1 내지 9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정향 추출물을 0.1 M 인산염완충용액 (pH 6.5)에 각각 0.001, 0.005, 0.01, 0.05, 0.1, 0.5, 1, 2, 3 중량%로 희석하여 비교예 1 내지 9를 제조하였다.
[대조예의 제조]
또한, 하기의 각 시험예에 있어 종래에 이미 미백효과가 알려진 코직산(대조군A) 및 알부틴(대조군B)을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9에 따른 효과와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대조군은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 0.001, 0.01, 0.05, 0.1, 0.5, 1, 2, 3 중량%로 희석하여 제조하였다.
[ 시험예 ]
[시험예 1: 세포독성시험]
정향유를 피부의 미백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포함시키는데 있어 정향유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B16F10 마우스 멜라노마(mouse melanoma) 세포에 대하여 상기 비교예 0 및 실시예 1 내지 9에 대한 세포독성시험을 진행하였다. B16F10 세포주의 1차 세포독성은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96 well plate에 세포(2.0 x 104 cells/㎖)를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다. 배지를 suction system으로 제거해 주고, DMEM배지에 비교예 및 각 실시예에 따른 시료를 각 well에 100 ㎕씩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MTT stock solution을 첨가하고 2시간 동안 추가 배양 하였다. Formazan desolve solution 100 ㎕를 첨가하고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0에 따른 생존율을 100으로 하고 상기 비교예 0에 따른 결과를 기준으로 각 실시예 1 내지 9에 대한 생존율을 비교하였는바, 비교예 0 및 실시예 1 내지 9에 대한 세포독성시험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0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농도(%) 0 0.001 0.005 0.01 0.05 0.1 0.5 1 2 3
1차 1.021 1.123 1.056 0.994 1.075 0.962 1.001 0.994 0.922 0.851
2차 1.109 1.054 1.034 1.067 1.002 1.033 0.994 0.976 0.901 0.874
3차 0.987 1.034 1.022 1.121 1.114 0.984 0.996 0.995 0.934 0.855
평균 1.039 1.070 1.037 1.061 1.064 0.993 0.997 0.987 0.919 0.860
S.D 0.063 0.047 0.017 0.064 0.057 0.036 0.004 0.011 0.017 0.012
생존율 (%) 100.0 103.0 99.8 102.1 102.4 95.6 96.0 95.1 88.5 82.8
상기 표 1을 참조할 때, 정향유는 1 중량%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세포에 대한 독성이 급격히 증가하지만, 1 중량%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 독성이 크게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정향유를 0.1 내지 1 중량% 범위에서 조성물에 포함하는 경우에는 세포독성이 거의 없어 조성물에 대한 안정성이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In vitro tyrosinase 활성 저해시험 (In vitro tyrosinase inhibition assay)]
타이로시나제는 인체의 멜라닌 생합성 경로에서 가장 중요한 초기 속도결정단계에 관여하는 효소로서 미백성분이 이 효소를 억제하는 작용기전을 가지고 있다. In vitro tyrosinase 활성 저해시험은 시험관내에서 타이로시나제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는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96 well plate에 비교예 0 및 실시예 1 내지 9에 따른 시료를 140 ㎕ 그리고 mushroom tyrosinase (1,500 U/ml)액 20 ㎕를 순서대로 넣은 후, 상기 용액에 1.5 mM tyrosine액 40 ㎕를 넣고 상온에서 30 분간 반응 시켰다. 그리고 상기 반응 용액을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양성대조군으로서 대조군A(코직산) 및 대조군B(알부틴)을 사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시험을 진행하였다.
[시험예 2-1 : 비교예 0 및 실시예 1 내지 9에 대한 타이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저해 시험]
비교예 0에 따른 타이로시나제의 활성도를 100으로 하고 상기 비교예 0에 따른 결과를 기준으로 실시예 1 내지 9에 대한 활성도를 비교하였는바, 비교예 0 및 실시예 1 내지 9에 대한 타이로시나제 활성 저해 시험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0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농도(%) 0 0.001 0.005 0.01 0.05 0.1 0.5 1 2 3
1차 0.293 0.314 0.241 0.194 0.076 0.053 0.059 0.055 0.051 0.054
2차 0.314 0.294 0.206 0.120 0.065 0.051 0.051 0.051 0.052 0.049
3차 0.322 0.321 0.287 0.153 0.070 0.051 0.051 0.051 0.054 0.058
평균 0.310 0.309 0.245 0.156 0.070 0.052 0.054 0.052 0.052 0.054
S.D 0.015 0.014 0.040 0.037 0.006 0.001 0.004 0.003 0.002 0.005
활성도 (%) 100.0 99.8 78.9 50.3 22.6 16.7 17.4 16.9 16.9 17.3
상기 표 2을 참조할 때, 실시예 1 내지 7은 비교예에 비하여 타이로시나아제의 활성도를 낮추므로 정향유의 타이로신에 대한 타이로시나아제의 억제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향유의 세포독성이 거의 없는 농도인 0.1중량% 내지 1중량%의 범위에서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이로시나아제의 활성 억제 효과가 매우 뛰어나고, 1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타이로시나아제의 활성 억제 효과가 더 높아지는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2 : 비교예 1 내지 9에 대한 타이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저해 시험]
비교예 0에 따른 타이로시나제의 활성도를 100으로 하고 상기 비교예 0에 따른 결과를 기준으로 비교예 1 내지 9에 대한 활성도를 비교하였는바, 비교예 1 내지 2에 대한 타이로시나제 활성 저해 시험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농도(%) 0.001 0.005 0.01 0.05 0.1 0.5 1 2 3
1차 0.329 0.312 0.305 0.295 0.257 0.245 0.234 0.224 0.219
2차 0.305 0.306 0.301 0.288 0.277 0.233 0.215 0.215 0.212
3차 0.311 0.304 0.298 0.282 0.268 0.227 0.219 0.205 0.204
평균 0.315 0.307 0.301 0.288 0.267 0.235 0.223 0.214 0.212
S.D 0.012 0.004 0.004 0.007 0.010 0.009 0.010 0.010 0.008
활성도 (%) 102 99.1 97.2 93.0 86.2 75.8 71.8 69.2 68.3
위 표3를 참조할 때, 비교예 1 내지 9에 따른 정향추출물 역시 타이로시나아제의 활성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0.05중량% 이하의 낮은 농도에서는 타이로시나제 활성 저해 효과가 거의 없었다. 또한, 정향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 수록 타이로시나아제에 대한 활성 저해 효과가 증가하였으나, 그 정도가 매우 미미하여 실시예와 비교할 때, 같은 하면 그 효과가 현저히 낮다. 특히, 0.1 중량% 농도를 기준으로 하는 실시예 5와 비교예 6을 비교할 때, 실시예 5는 비교예6에 비하여 약 5배 이상의 타이로시나제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정향 추출물은 본 발명에 따른 정향유와 달리 미백효과가 미미하여 다른 미백효과를 가지는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하지 않으면 그 효과를 거의 볼 수 없고, 따라서 정향추출물 단독으로는 기능성 조성물로 제공되기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3 : 대조군A(코직산)에 대한 타이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저해 시험]
비교예 0에 따른 타이로시나제의 활성도를 100으로 하고 상기 비교예 0에 따른 결과를 기준으로 각 대조군A에 대한 활성도를 비교하였는바, 각 대조군A에 대한 타이로시나제 활성 저해 시험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A1 대조군 A2 대조군 A3 대조군 A4 대조군 A5 대조군 A6 대조군 A7
농도(%) 0.001 0.005 0.01 0.05 0.1 0.5 1
1차 0.201 0.094 0.053 0.052 0.053 0.053 0.055
2차 0.182 0.103 0.051 0.055 0.051 0.051 0.050
3차 0.190 0.085 0.051 0.051 0.051 0.051 0.051
평균 0.191 0.094 0.051 0.052 0.052 0.051 0.052
S.D 0.010 0.009 0.001 0.002 0.001 0.001 0.003
활성도 (%) 61.7 30.4 16.6 16.9 16.7 16.6 16.8
코직산을 처리한 경우에도 타이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0.001 내지 0.05 중량%의 농도에서는 코직산의 활성 억제 효과가 정향유의 경우보나 타이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가 우수하나, 대조군A5 내지 A7 및 실시예 5 내지 7을 비교할 때 0.1 내지 1 중량%의 농도에서는 정향유와 코직산의 타이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가 거의 유사한 수치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4 : 대조군B(알부틴)에 대한 타이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저해 시험]
비교예 0에 따른 타이로시나제의 활성도를 100으로 하고 상기 비교예 0에 따른 결과를 기준으로 각 대조군B에 대한 활성도를 비교하였는바, 각 대조군B에 대한 타이로시나제 활성 저해 시험 결과를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B1 대조군 B2 대조군 B3 대조군 B4 대조군 B5 대조군 B6 대조군 B7
농도(%) 0.001 0.005 0.01 0.05 0.1 0.5 1
1차 0.315 0.337 0.333 0.328 0.326 0.293 0.262
2차 0.302 0.302 0.300 0.300 0.312 0.201 0.201
3차 0.325 0.280 0.291 0.290 0.305 0.250 0.243
평균 0.314 0.307 0.308 0.306 0.314 0.248 0.235
S.D 0.011 0.029 0.022 0.020 0.011 0.046 0.031
활성도 (%) 101.4 98.9 99.5 98.8 101.4 80.0 76.0
알부틴을 처리한 경우에도 타이로시나제 활정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지만,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향유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타이로시나제 활성도 억제 효과가 적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0.1 내지 1 중량% 범위에 있어서는 정향유가 알부틴에 비하여 타이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가 월등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 In vitro DOPA 산화활성 저해시험 (In vitro DOPA oxidation inhibition assay)]
In vitro DOPA 산화활성 저해시험은 멜라닌 합성의 속도결정단계를 결정하는 타이로시나제의 DOPA 산화반응에 대한 활성저해를 측정하여 미백성분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96 well plate에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시료를 넣고, 140㎕ 그리고 mushroom tyrosinase (1,500 U/ml)액 20㎕를 순서대로 넣었다. 상기 용액에 1 mM L-DOPA (L-3,4-dihydroxyphenylalanin)액 40㎕를 넣고 상온에서 30 분간 반응 시킨다. 그리고 이것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양성대조군으로서 대조군A(코직산) 및 대조군B(알부틴)을 사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시험을 진행하였다.
[시험예 3-1 : 비교예 0 및 실시예 1 내지 9에 대한 DOPA 산화활성 저해 시험]
비교예 0에 따른 DOPA에 대한 타이로시나아제의 산화억제활성도를 100으로 하고 상기 비교예 0에 따른 결과를 기준으로 각 실시예에 대한 DOPA에 대한 타이로시나아제의 산화억제활성를 비교하였는바, 비교예 0 및 실시예 1 내지 9에 대한 DOPA에 대한 타이로시나아제의 산화억제활성 시험 결과를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0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농도(%) 0 0.001 0.005 0.01 0.05 0.1 0.5 1 2 3
1차 0.424 0.414 0.341 0.294 0.176 0.133 0.088 0.085 0.080 0.073
2차 0.393 0.383 0.302 0.260 0.154 0.103 0.065 0.065 0.069 0.075
3차 0.372 0.364 0.326 0.270 0.163 0.110 0.071 0.063 0.071 0.077
평균 0.397 0.387 0.323 0.275 0.164 0.115 0.075 0.071 0.073 0.075
S.D 0.026 0.025 0.019 0.017 0.011 0.016 0.012 0.012 0.006 0.002
활성도 (%) 100.0 97.5 81.4 69.3 41.4 29.1 18.9 17.8 18.5 18.9
상기 표 6를 참조할 때, 실시예 1 내지 7은 비교예에 비하여 DOPA에 대한 타이로시나아제의 산화억제활성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향유의 농도가 0.1중량% 내지 1중량%가 되는 범위에서는 상기 함량을 벗어나는 함량범위에 비해 DOPA에 대한 타이로시나아제의 산화억제활성이 우수하였고, 특히, 정향유의 함량이 0.5 내지 1 중량%가 되는 범위에서 타이로시나아제의 산화억제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그러나, 정향유의 농도가 1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타이로시나아제의 산화억제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2 : 비교예 1 내지 9에 대한 DOPA 산화활성 저해 시험]
비교예 0에 따른 DOPA에 대한 타이로시나아제의 산화억제활성도를 100으로 하고 상기 비교예 0에 따른 결과를 기준으로 비교예 1 내지 9에 대한 DOPA에 대한 타이로시나아제의 산화억제활성를 비교하였는바, 비교예 0 및 실시예 1 내지 9에 대한 DOPA에 대한 타이로시나아제의 산화억제활성 시험 결과를 하기의 표 7에 나타내었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농도(%) 0.001 0.005 0.01 0.05 0.1 0.5 1 2 3
1차 0.398 0.391 0.379 0.356 0.365 0.359 0.355 0.375 0.371
2차 0.401 0.389 0.383 0.395 0.387 0.385 0.364 0.354 0.357
3차 0.389 0.407 0.402 0.398 0.378 0.378 0.378 0.369 0.364
평균 0.396 0.396 0.388 0.383 0.377 0.374 0.366 0.366 0.364
S.D 0.006 0.010 0.012 0.023 0.011 0.013 0.012 0.011 0.007
활성도 (%) 99.7% 99.7% 99.7% 96.5% 94.9% 94.2% 92.1% 92.2% 91.7%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9에 따른 정향추출물의 경우 산화억제 활성이 아주 미미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농도를 높인 경우라 할지라도 실질적으로 항산화 효과를 얻기가 어렵다. 따라서, 상기 비교예 1 내지 9에 따른 정향추출물을 단독으로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조성물로 사용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3 : 대조예A(코직산)에 대한 DOPA 산화활성 저해 시험]
비교예 0에 따른 DOPA에 대한 타이로시나아제의 산화억제활성도를 100으로 하고 상기 비교예 0에 따른 결과를 기준으로 각 대조군A에 대한 DOPA에 대한 타이로시나아제의 산화억제활성을 비교하였는바, 각 대조군A에 대한 DOPA에 대한 타이로시나아제의 산화억제활성 시험 결과를 하기의 표 8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A1 대조군 A2 대조군 A3 대조군 A4 대조군 A5 대조군 A6 대조군 A7
농도(%) 0.001 0.005 0.01 0.05 0.1 0.5 1
1차 0.393 0.313 0.194 0.123 0.082 0.063 0.054
2차 0.372 0.310 0.201 0.102 0.061 0.050 0.050
3차 0.424 0.290 0.180 0.115 0.095 0.060 0.051
평균 0.397 0.304 0.192 0.113 0.079 0.058 0.052
S.D 0.026 0.012 0.011 0.010 0.017 0.007 0.002
활성도 (%) 100.0% 76.7% 48.3% 28.5% 20.0% 14.6% 13.0%
상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직산을 처리한 경우에도 DOPA에 대한 타이로시나아제의 산화억제활성 효과가 있었는데, 대조군A는 0.001 내지 0.05중량%의 저농도 범위에서는 정향유 보다 산화활성 억제 효과가 다소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0.1 내지 1 중량% 범위에서는 정향유과 거의 동등한 수준의 산화활성 억제 효과가 있었고, 특히 실시예 7 및 대조군A7의 활성도 값을 비교해 볼 때, 1 중량%에서는 정향유가 코직산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DOPA에 대한 타이로시나아제의 산화억제활성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4 : 대조예B(알부틴)에 대한 DOPA 산화활성 저해 시험]
비교예 0에 따른 DOPA에 대한 타이로시나아제의 산화억제활성도를 100으로 하고 상기 비교예 0에 따른 결과를 기준으로 각 대조군B에 대한 DOPA에 대한 타이로시나아제의 산화억제활성을 비교하였는바, 각 대조군B에 대한 DOPA에 대한 타이로시나아제의 산화억제활성 시험 결과를 하기의 표 9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B1 대조군 B2 대조군 B3 대조군 B4 대조군 B5 대조군 B6 대조군 B7
농도(%) 0.001 0.005 0.01 0.05 0.1 0.5 1
1차 0.415 0.437 0.433 0.428 0.426 0.393 0.362
2차 0.430 0.402 0.408 0.399 0.406 0.376 0.343
3차 0.410 0.420 0.410 0.409 0.394 0.380 0.350
평균 0.419 0.420 0.417 0.412 0.409 0.383 0.351
S.D 0.010 0.018 0.014 0.015 0.016 0.009 0.010
활성도 (%) 105.5 105.8 105.2 103.8 103.0 96.5 88.6
상기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알부틴을 처리한 경우에는 0.001 내지 0.5 중량%에서는 DOPA에 대한 타이로시나아제의 산화억제활성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1 중량%의 농도를 사용한 경우에만 약한 정도의 산화활성 억제 효과가 있었다. 정향유를 사용하는 실시예 1 내지 7과 비교해 볼 때, 산화활성도는 정향유가 월등히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 세포내의 멜라닌생성 억제시험 (Melanogenesis inhibition assay)]
마우스의 melanoma 세포인 B16-F10 세포주에서 melanin의 생성량을 공시료액과 비교하는 것이다. Melanin 생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α-MSH를 10 nM씩 첨가하였다.
B16F10 세포주의 멜라닌생성 억제시험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6 well plate에 세포(5.0 x 105 cells/㎖)를 접종한 후 5% CO2, 37˚C하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시료의 배지로 교체한 후 α-MSH를 최종농도 10 nM을 추가하여 5% CO2, 37˚C하에서 48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상기 배양 및 세척한 세포를 cell scraper를 이용하여 세포를 회수한 뒤, 상기 회수된 세포를 5,0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상등액을 제거하여 pellet을 얻었다. 상기 세포 pellet은 60˚C에서 건조 후 10 중량% DMSO(dimethyl sulfoxide)가 함유된 1 M 수산화나트륨액 200㎕를 넣어 60˚C에서 멜라닌을 용출하였고, 이 액을 이용하여 microplate reader로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은 알부틴과 코직산을 사용한다.
[시험예 4-1 : 비교예 0 및 실시예 1 내지 9에 대한 세포내의 멜라닌 생성 저해시험]
비교예 0에 따른 세포내의 멜라닌 생성도를 100으로 하고 상기 비교예 0에 따른 결과를 기준으로 실시예 1 내지 9에 대한 세포내의 멜라닌 생성도를 비교하였는바, 비교예 0 및 실시예 1 내지 9에 대한 세포내의 멜라닌 생성 저해 시험 결과를 하기의 표 10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0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농도(%) 0 0.001 0.005 0.01 0.05 0.1 0.5 1 2 3
1차 0.793 0.814 0.741 0.694 0.476 0.133 0.108 0.098 0.099 0.097
2차 0.772 0.783 0.702 0.660 0.454 0.103 0.092 0.095 0.097 0.102
3차 0.824 0.764 0.726 0.670 0.463 0.110 0.099 0.089 0.093 0.095
평균 0.797 0.787 0.723 0.675 0.464 0.115 0.100 0.094 0.096 0.098
S.D 0.026 0.025 0.019 0.017 0.011 0.016 0.008 0.005 0.003 0.004
활성도 (%) 100.0% 98.7% 90.7% 84.7% 58.3% 14.5% 12.5% 11.8% 12.1% 12.3%
상기 표 10을 참조할 때, 정향유가 첨가된 실시예 1 내지 9는 비교예 0에 비하여 멜라닌 생성 억제에 상당히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정향유 함량이 0.1 내지 1 중량%가 되는 범위에서 멜라닌 활성 억제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상기 정향유 함량이 1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멜라닌 생성저해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2 : 비교예 1 내지 9에 대한 세포내의 멜라닌 생성 저해시험]
비교예 0에 따른 세포내의 멜라닌 생성도를 100으로 하고 상기 비교예 0에 따른 결과를 기준으로 비교예 1 내지 9에 대한 세포내의 멜라닌 생성도를 비교하였는바, 비교예 1 내지 9에 대한 세포내의 멜라닌 생성 저해 시험 결과를 하기의 표 1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농도(%) 0.001 0.005 0.01 0.05 0.1 0.5 1 2 3
1차 0.828 0.798 0.775 0.778 0.779 0.746 0.725 0.717 0.718
2차 0.815 0.786 0.799 0.765 0.756 0.738 0.719 0.711 0.701
3차 0.795 0.805 0.788 0.785 0.745 0.727 0.735 0.702 0.694
평균 0.813 0.796 0.787 0.776 0.760 0.737 0.726 0.710 0.704
S.D 0.017 0.010 0.012 0.010 0.017 0.010 0.008 0.008 0.012
활성도 (%) 102% 99.9% 98.8% 97.4% 95.4% 92.5% 91.1% 89.1% 88.4%
상기 표 11을 참조할 때, 비교예 1 내지 9에 따른 정향추출물 역시 멜라닌 생성 저해하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0.05중량% 이하의 낮은 농도에서는 세포내의 멜라닌 생성의 저해 효과가 거의 없었다. 또한, 정향 추추물의 농도가 증가할 수록 세포내의 멜라닌 생성의 저해 효과가 증가하였으나, 그 정도가 매우 미미하여 실시예와 비교할 때, 같은 하면 그 효과가 현저히 낮다.
본 발명에 따른 정향유와 달리 상기와 같이 정향 추출물은 미백효과가 미미하여 다른 미백효과를 가지는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하지 않으면 그 효과를 거의 볼 수 없고, 따라서 정향추출물 단독으로는 기능성 조성물로 제공되기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4-3 : 대조예A(코직산)에 대한 세포내의 멜라닌 생성 저해시험]
비교예에 따른 세포내의 멜라닌 생성도를 100으로 하고 상기 비교예에 따른 결과를 기준으로 각 대조군A에 대한 세포내의 멜라닌 생성도를 비교하였는바, 각 대조군A에 대한 세포내의 멜라닌 생성 저해 시험 결과를 하기의 표 12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A1 대조군 A2 대조군 A3 대조군 A4 대조군 A5
농도(%) 0.001 0.005 0.01 0.05 0.1
1차 0.713 0.594 0.523 0.282 0.163
2차 0.710 0.601 0.502 0.261 0.150
3차 0.790 0.580 0.515 0.295 0.160
평균 0.738 0.592 0.513 0.279 0.158
S.D 0.046 0.011 0.010 0.017 0.007
활성도 (%) 92.6% 74.3% 64.4% 35.1% 19.8%
상기 표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직산을 처리한 경우에도 세포 내 멜라닌 생성에 대한 저해 효과가 우수하였는데,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상기 대조군 A1 내지 A4를 비교할 때, 코직산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다소 정향유 보다 우수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5 및 대조군 A5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0.1 중량% 이상이 되는 범위에 있어서는 코직산 보다 정향유를 사용한 경우가 멜라닌 생성을 억제 효과가 더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4 : 대조예B(알부틴)에 대한 세포내의 멜라닌 생성 저해시험]
비교예에 따른 세포내의 멜라닌 생성도를 100으로 하고 상기 비교예에 따른 결과를 기준으로 각 대조군B에 대한 세포내의 멜라닌 생성도를 비교하였는바, 각 대조군B에 대한 세포내의 멜라닌 생성 저해 시험 결과를 하기의 표 13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B1 대조군 B2 대조군 B3 대조군 B4 대조군 B5
농도(%) 0.001 0.005 0.01 0.05 0.1
1차 0.785 0.737 0.733 0.728 0.726
2차 0.730 0.802 0.828 0.699 0.706
3차 0.810 0.820 0.810 0.709 0.694
평균 0.775 0.786 0.790 0.712 0.709
S.D 0.041 0.043 0.050 0.015 0.016
활성도 (%) 97.3% 98.7% 99.2% 89.4% 89.0%
상기 표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알부틴을 처리한 경우에는 멜라닌 생성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비교예에 따른 결과와 비교해 볼 때, 활성 억제 효과 정도가 정향유에 비하여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대조군B5와 실시예5에 따른 활성도 값을 비교해 볼 때, 세포내 멜라닌 생성 억제 효력은 알부틴에 비하여 정향유가 월등히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제형예 ]
본 발명의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하기의 조성과 같이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
성분(중량%) 제형예
정향유 0.5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0.4
에탄올 10.0
트리메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총 계 100
[제형예 2] 로션
성분(중량%) 제형예
정향유 0.5
폴리솔베이트 1.5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5
PEG60 경화피마자유 2.0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르릴릭/카프락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크림
성분(중량%) 제형예
정향유 0.5
폴리솔베이트 1.5
밀납 10.0
PEG 60 경화피마자유 2.0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르릴릭/카프락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5] 팩
성분(중량%) 제형예
정향유 0.5
폴리비닐알코올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0.3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6] 젤
성분(중량%) 제형예
정향유 0.5
에틸렌디아민초산나트륨 0.05
글리세린 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에탄올 5.0
PEG 60 경화피마자유 0.5
트리에탄올아민 0.3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5)

  1. 정향을 75 내지 85℃ 및 0.98 내지 1.02atm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수증기 증류(Steam distillation) 하는 단계,
    상기 수증기 증류의 결과로 수득된 정향유와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킬 아세테이트를 혼합하여 후 45 내지 55℃로 열처리 하여 제1정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제 용액에 탄소수가 1 내지 5인 알코올을 첨가하고 45 내지 55℃로 열처리 하여 제2 정제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정향유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정향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향유는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에센스, 크림, 바디크림 및 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인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117787A 2011-11-11 2011-11-11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99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787A KR101299024B1 (ko) 2011-11-11 2011-11-11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787A KR101299024B1 (ko) 2011-11-11 2011-11-11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379A KR20130052379A (ko) 2013-05-22
KR101299024B1 true KR101299024B1 (ko) 2013-08-27

Family

ID=48662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787A KR101299024B1 (ko) 2011-11-11 2011-11-11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0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565B1 (ko) 2019-07-22 2020-10-14 주식회사 오퍼스아시아 기미, 잡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217B1 (ko) * 2014-04-04 2016-07-15 (주) 뉴트리바이오텍 정향의 효소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WO2017145958A1 (en) * 2016-02-24 2017-08-31 Kao Corporation Whitening agent comprising as active agent syzygium polyanthum or an extract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5735A (ja) * 1991-12-06 1993-06-22 Tsuneo Nanba 美白化粧料
US5871757A (en) 1993-10-18 1999-02-16 Scotia Holdings Plc Stabilization of polyunsaturates
JP2007129937A (ja) * 2005-11-09 2007-05-31 Chemi Com Japan Corp コーヒーエキスの製造法及びこれを含む飲料及び食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5735A (ja) * 1991-12-06 1993-06-22 Tsuneo Nanba 美白化粧料
US5871757A (en) 1993-10-18 1999-02-16 Scotia Holdings Plc Stabilization of polyunsaturates
JP2007129937A (ja) * 2005-11-09 2007-05-31 Chemi Com Japan Corp コーヒーエキスの製造法及びこれを含む飲料及び食品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임현희. 한방증류추출액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분석과 정향 Eugenol 유도체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2011년 2월,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석사학위논문, 1~36쪽. *
임현희. 한방증류추출액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분석과 정향 Eugenol 유도체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2011년 2월,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석사학위논문, 1~36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565B1 (ko) 2019-07-22 2020-10-14 주식회사 오퍼스아시아 기미, 잡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379A (ko)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6929B (zh) 用于皮肤增白的含有天女木兰提取物作为活性成分的化妆品组合物
KR20100043655A (ko) 비타민c를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8996A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84010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299024B1 (ko)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12447A (ko)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1835356B1 (ko)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602684B1 (ko) 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2525901B1 (ko) 지면패랭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027647B1 (ko) 알부틴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51112B1 (ko) 미백제
KR20130022476A (ko) 더위지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30669B1 (ko) 락테이트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190137327A (ko)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0256175A (ja) 化粧料組成物
KR102525467B1 (ko) 병아리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20080029037A (ko)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2468538B1 (ko) 와일드제라늄 추출물이 함유되어 항산화, 미백 및 항염효능이 우수한 피부개선용 조성물
KR20130108010A (ko) 두피 보호 및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40854B1 (ko) 피토라이트 및 락테이트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551240B1 (ko) 검은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7151A (ko) 강황잎 및 황촉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95576B1 (ko) 파피루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