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7327A -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7327A
KR20190137327A KR1020180063391A KR20180063391A KR20190137327A KR 20190137327 A KR20190137327 A KR 20190137327A KR 1020180063391 A KR1020180063391 A KR 1020180063391A KR 20180063391 A KR20180063391 A KR 20180063391A KR 20190137327 A KR20190137327 A KR 20190137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aging
composition
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영
이혜숙
임승은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80063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7327A/ko
Publication of KR20190137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32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의 콜라겐 당화를 억제하여 피부 내 콜라겐 분해 저해를 통한 주름 개선과 피부의투명도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trans-페루릭산 및 리기다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손상 보호 효과가 우수하고, 당화반응(glycation)에 의한 콜라겐 당화를 억제하여 피부의 주름 생성을 예방하거나 개선할 수 있으며, 최종 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의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 단백질 당화에 의한 피부 투명도가 저하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노화 방지, 주름 개선, 피부 톤 개선 등을 위한 의약품, 화장품, 퍼스널 케어 제품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osition for anti-aging}
본 발명은 trans-페루릭산; 및 리기다소나무 줄기 수피 추출물, 리기다 소나무 잎 추출물, 리기다소나무 열매 추출물, 및 리기다소나무 종자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리기다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손상 보호 효과를 나타내고, 최종당화산물의 생성을 억제하며, 인체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된 콜라겐의 당화를 효과적으로 저해시켜 피부노화 방지, 주름 개선, 피부 톤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노화는 나이가 들어가면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변화이며 그 밖에도 자외선, 담배, 식이습관 및 환경오염 등 많은 외부적 인자에 의해서 발생한다. 피부의 노화에는 겉보기 나이의 저하, 살결의 저하, 주름증가, 칙칙함의 증가, 피부기능의 저하 등이 있다. 피부는 나이 듦에 따라 붉은색이 감소, 노란색이 증가, 명도가 낮아지는 색조로 변화하여 피부가 칙칙한 상태로 된다. 칙칙함의 요인에는 피부의 색소침착, 단백질의 당화나 산화에 의한 착색 등이 관여한다. 피부의 주름이 증가하는 주요인 중 하나인 피부 당화는 진피층 내 탄력을 유지시켜주면서 비교적 반감기가 긴 콜라겐과 당화반응을 통해 콜라겐의 가교결합이 일어나면서 피부 내 최종당화산물을 축적하고, 이러한 일련의 반응이 지속됨에 따라 MMP-1 단백질 발현이 높게 유지시켜 진피 층 내 콜라겐을 분해하여 주름을 유발한다.
피부 노화의 주원인 중 하나인 당화반응(non-enzymatic glycation)이란 단백질의 유리 아미노기인 리신이나 아르기닌과 환원당의 카보닐기가 반응하여 초기 당화 생성물인 shiff base를 형성한다. 이 반응은 당류 농도에 의존적으로 진행되며, 수 시간 내 반응이 이루어진다. 생성된 shiff base는 화학적 재배열을 통해 안정된 아마도리 산물을 생성하며, 수 일 내 반응이 이루어진다. 아마도리 산물이 체내 축적되어 일련의 산화, 탈수, 축합, 재전위, 분열, 고리화 등의 반응을 통해 단백질과 가교결합을 형성하는데 이 반응은 비가역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반응이 수 주에서 수 개월 정도 이루어지면 최종적으로 생성된 갈색화합물의 당화산물인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GEs)을 형성하는데 이 물질은 매우 안정하여 체내 축적될 경우 세포 내 외부에 이상을 초래한다(Jeanmaire et al., 2001; Gkogkolou and Bohm, 2012; Ott et al., 2014). 당화반응은 고혈당을 가지는 당뇨환자에서 정상인보다 급격히 일어나지만 정상 혈당의 경우에도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체내에서 일어난다.
당화스트레스로 인한 피부콜라겐의 당화 발생시 콜라겐 단백질 변성 및 이미 생성된 최종당화산물(AGEs)와의 가교결합으로 인해 피부의 유연성 및 탄력성이 감소되어 주름이 생성된다 (Pageon et al., 2007; Pennacchi et al., 2015). 또한, 피부 내 생성된 갈색화합물의 최종당화산물(AGEs)이 축적될 경우 피부의 투명도가 저하되는 등 겉보기 노화에 관여하기 때문에 피부 항노화 대책으로 당화스트레스의 억제(항당화)를 의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Ogura et al., 2011; Lee et al., 2016). 구체적인 당화 대책에는 식후 고혈당을 억제하고 당화반응을 억제하며 생성한 AGEs를 분해 배설하는 것이 있다.
현재, 단백질 당화 억제제로 아미노구아니딘이 친핵성 히드라진(hydrazine)으로 아마도리 산물과 결합하여 단백질과의 교차결합을 방지함으로써 최종당화산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가장 유망한 당화 억제제 의약품으로 제 3상 임상실험까지 진행되었으나, 장기간 투여시 카탈라아제의 저해와 관련된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어 안전하고 효능이 우수한 새로운 단백질 당화 억제 소재를 탐색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어 왔다.
체내 생성된 활성산소는 생체 단백질을 변성시키며, 변성된 생체 단백질은 당과의 반응성이 높아져 당화반응이 유도된다. 이러한 메커니즘에 따라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스트레스 억제능이 우수한 페놀성 화합물이 풍부한 추출물의 항당화 연구가 최근까지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실질적 효능을 구현하기에는 부족한 수준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추출물에 다른 항산화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원료를 추가하여 항당화 시너지 효능을 기대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제품 적용 시에도 효능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노화 방지, 주름 개선, 피부 톤 개선효과를 상승시키고 인체에 안전하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trans-페루릭산; 및 리기다소나무 줄기 수피 추출물, 리기다소나무 잎 추출물, 리기다소나무 열매 추출물 및 리기다소나무 종자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리기다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trans-페루릭산과 리기다소나무 추출물의 중량비는 1:9 내지 9:1 인 조성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우수한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손상 보호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콜라겐 당화와 최종당화산물의 생성을 억제시켜, 피부노화 방지, 주름 개선, 피부 톤 개선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세포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은 안전성을 가지면서 피부 세포 노화를 방지하므로 피부노화 방지, 주름 개선, 피부 톤 개선 등을 위한 의약품, 화장품, 퍼스널 케어 제품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trans-페루릭산; 및 리기다소나무 줄기 수피 추출물, 리기다소나무 잎 추출물, 리기다소나무 열매 추출물 및 리기다소나무 종자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리기다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손상 보호 효과가 우수하고, 최종당화산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효과적으로 콜라겐 당화를 감소시켜 피부노화 방지, 주름 개선, 피부 톤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 Mill )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침엽 교목으로 북아메리카 동부가 원산지이며, 세잎소나무라고도 불린다.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맹아력이 강하며 건조한 곳이나 습지에서도 잘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리기다소나무의 생리활성으로는 항산화, 항균, 항염 효과가 있으며 (Jank et al., 2008), 경증 고혈압 환자들에게서 혈압을 조절하는 효과(Hosseini et al., 2001)와 항혈전 작용 (Araghi-Nikna et al., 2000; Putter et al., 1999) 이 있음이 보고된 바가 있다.
본 발명의 리기다소나무 추출물은 리기다소나무 줄기 수피 추출물, 잎 추출물, 열매 추출물, 종자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리기다소나무 줄기 수피 추출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리기다소나무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되고,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유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 알코올, 부틸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본 명세서에서 트랜스 페루릭산(Trans-ferulic acid)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 Cas 번호가 537-98-4이고, 분자량이 194.18인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된 trans-페루릭산; 및 상기 리기다소나무 추출물의 중량비는 1:9 내지 9:1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8 내지 8:2, 보다 바람직하게는 1: 2 ~ 1: 4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trans-페부릭산 및 리기다소나무 추출물의 혼합물이 0.0001 내지 30 중량%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리기다소나무 줄기 추출물"은 리기다소나무 줄기를 추출 대상으로 하여 얻어지는 모든 형태의 추출물로서, 예를들어 식물 줄기에 직/간접적으로 열을 가해 얻는 진액 형태의 추출물, 살아있는 식물 줄기의 윗부분을 잘라 흘러나오는 진액 형태의 추출물, 식물을 유기용매, 또는 물로 추출하여 얻는 추출물, 식물 줄기를 연소시킬 때 기체를 냉각하여 얻는 추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리기다소나무 열매 추출물"은 유기 용매 또는 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추출물과 리기다소나무 열매를 압착하여 얻어지는 진행 형태의 추출물, 용매 추출물을 감압하여 얻어지는 오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리기다소나무 종자 추출물"은, 유기 용매 또는 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과, 리기다소나무 종자를 압착하여 얻어지는 진액 추출물, 또는 용매 추출물을 감압하여 얻어진 오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리기다소나무 잎 추출물"은 유기 용매 또는 물 추출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리기다소나무 추출물은 각각의 줄기, 잎, 열매 및 종자를 분쇄한 후 유기 용매, 예를 들어,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로 추출된 추출물 또는 물 추출물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추출물로는 줄기 수피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냉침 추출법, 온침추출법 또는 열 추출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 분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의하면, 상기 리기다소나무 추출물은 상기 열매 및/또는 종자의 유기용매 추출물을 감압하여 오일로 만든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은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 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농축은 감압 농축기, 일예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할 수 있고, 상기 건조는 일예로 동결 건조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농축, 또는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추출물의 증류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노화란, 피부 보호 및 피부 상태 개선, 피부 미백, 피부 노화 및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모공 수축, 축소, 피부 보호 및 피부의 염증 반응의 완화, 면역질환 개선능,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피부자극 완화, 피부 세포 증식 및 재생능, 항산화능, 콜라겐 합성 증진능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의 의미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써 항노화에 따른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예컨대,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써 주름개선효능과 관련된 콜라겐 합성, melanogenesis 저해에 따른 미백 효능, 피부보습, 모공 수축 또는 iNOS 억제 활성, 피지억제, 항균력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특히, 프로콜라겐 증가, 콜라겐 생합성 증가능을 가지고 있어, 피부 노화 방지, 피부 주름 개선/방지용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미백, 모공수축, 피지억제, 항균,iNOS 억제 활성을 통한 항염, 피부 염증 예방, 완화, 경감, 치료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는,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90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제조되는 후술한 바의 제형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 목 등)나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산란제, 자외선흡수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산란제, 자외선흡수제, 발색제, 향료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상기 trans-페루릭산 및 리기다소나무 추출물 이외에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에탄올,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방부제, 항료, 착색료, 정제수 등을 필요에 따라 미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화장수, 에센스, 젤,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분말, 또는 젤라틴 등의 피막이 있는 캅셀 (소프트 캅셀, 하드 캅셀) 제형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피부는 얼굴뿐만 아니라, 두피, 전신도 포함되는 개념으로, 이러한 두피에 적용될 수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써,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발모제 등이 있고, 전신에 적용될 수 있는 바디클렌져 등의 용도로써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trans-페루릭산 및 리기다소나무 추출물을 함유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제조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제조방법을 일부 변형시킨 방법으로도 본 발명에 따른 trans-페루릭산 및 리기다소나무 추출물을 함유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본 발명에 특별히 개시된 제조방법 이외에도, 통상적으로 알려진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될 경우,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또한,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 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적합한 화장품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이하, 하기 구체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단백질 당화(protein glycation) 반응 저해 효과 측정
리기다소나무 잎, 줄기, 줄기 수피 100 g을 수거하여 70% 에탄올 수용액 5 L를 넣고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냉침한 후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 15 g을 얻었다. 세포 실험을 진행하기 위해 추출물을 DMSO (Dimethyl sulfoxide)에 녹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우혈청 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 Sigma, St. Louis, USA)을 반응 기질로 하여 당화 반응을 수행하고 형광 변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각 시료의 단백질 당화 반응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우선 글리옥살(glyoxal) 용액(1 M) 0.4 ml과 PBS buffer (pH 7.4)에 희석한 200 ppm 농도의 각 시료 용액 0.4 ml을 첨가하여 37℃에서 2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0.2 ml BSA 용액 (20 mg/ml)을 넣어 추가로 48시간동안 같은 온도에서 반응시켰다. 또한 0.02% 소디움 아자이드(sodium azide)를 넣어 반응기간 동안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였다. 각 시료에 의한 형광도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하여 BSA를 처리하지 않은 시료 처리군도 함께 제조하여 같은 기간 반응시켰다. 시료의 경우 당화반응이 일어나지 않은 각 시료의 형광도를 배제한 값을 사용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아미노구아니딘 염산염(aminoguanidine-HCl)을 사용하였고, 반응 후 Victor X2 형광분광분석기(Perkin Elmer Inc.)를 이용하여 들뜸파장(Ex: Excitation wavelength) 355 nm, 방출파장(Em: Emission wavelength) 485 nm로 조정하여 형광도를 측정하였다.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율은 다음의 수학식 1로 산출하였다.
[수학식 1]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율 (%) = 100- {(샘플처리군-블랭크값)/(음성대조군-블랭크값)}X100
시료 농도(중량비) 최종당화산물 생성 저해율 (%)
무처리군 - 0
아미노구아니딘 염산염l
(Aminoguanidine HCl)
(양성대조군)
200 ppm 31.48
리기다소나무
잎 추출물
200 ppm 7.53
리기다소나무
줄기 추출물
200 ppm 10.03
리기다소나무
줄기 수피 추출물
200 ppm 11.46
Trans-페루릭산 200 ppm 10.68
리기다소나무
줄기 수피 추출물 및
Trans-페루릭산
200 ppm (1:1) 17.26
200 ppm (1:2) 12.02
200 ppm (2:1) 13.72
200 ppm (1:4) 11.18
200 ppm (4:1) 13.71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00 ppm의 리기다소나무 줄기 수피 추출물에서 11.46%의 최종당화산물 생성 저해율로 양성대조군인 아미노구아니딘의 3분의 1 수준의 우수한 항당화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부위에 비해 높은 저해율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trans-페루릭산과 리기다소나무 줄기 수피 추출물을 혼합 처리시에는 중량비가 1:1, 1:2, 2:1, 4:1에서 각각 17.26%, 12.02%, 13.72%, 13.71%의 생성 저해율을 나타내어 두 물질을 함께 처리하는 경우에 더욱 현저하게 좋은 항당화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1:4 비율에서는 trans-페루릭산을 단독 처리한 경우보다 최종당화산물 생성 저해율이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시험예 2]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손상 보호 효과 측정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손상 보호 효과는 MTT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인간 정상 피부 섬유아세포(CCD-986sk)를 1X104 cells/well 농도로 96-well plate에 분주한 후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배지를 제거 후 무혈청배지에 희석한 20 ppm 농도의 각 시료를 세포에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세포 내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하기 위하여 0.8 mM의 과산화수소 (hydrogen peroxide, H2O2)를 3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3시간 후, 각 well 당 0.5 mg/ml 농도의 MTT용액 200 ㎕를 처리하여 3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생성된 포마잔(formazan)을 DMSO 100 ㎕로 용해시켜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정상 대조군으로는 시료와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지 않은 well을 사용하여 정상 대조군의 세포 생존율을 100%으로 하여 정상 대조군 대비 과산화수소만 처리군 (음성대조군)과 시료 및 과산화수소 처리군의 세포 생존율을 계산하여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농도(중량비) 세포 생존율(%) 음성대조군 대비
세포 생존 증가율 (%)
정상대조군 -  100 -
과산화수소
(H2O2)
0.8 mM
음성대조군 - 64.51 0
리기다소나무
줄기 수피 추출물
20 ppm 88.36 36.97
Trans-페루릭산 20 ppm 69.43 7.64
리기다소나무
줄기 수피 추출물 및
Trans-페루릭산
20 ppm (1:1) 88.38 37.01
20 ppm (2:1) 94.83 47
20 ppm (4:1) 99.62 54.42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성대조군은 64.51%의 세포 생존율을 보인 반면에 리기다소나무 줄기 수피 추출물과 trans-페루릭산을 단독으로 처리시 88.36%, 69.43%으로 과산화수소 처리로 유도한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손상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하지만 리기다소나무 줄기 수피 추출물에 대한 trans-페루릭산을 혼합 처리시에는 중량비가 1:1, 2:1, 4:1에서 각각 37.01%, 47%, 54.42%의 세포 생존 증가율을 보여 두 물질을 함께 처리하는 경우에 더욱 현저하게 좋은 산화스트레스로 인한 세포 손상 보호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험예 3] 당화스트레스에 의한 콜라겐 당화 저해 효과 측정
시험예 2과 같은 방법으로 세포 분주 및 20 ppm 농도의 각 시료를 24시간 동안 처리한 다음, 무혈청배지에 희석한 0.5 mM의 글리옥살 (glyoxal)을 48시간 처리하여 세포에 당화스트레스를 유발하였다. 48시간 반응이 끝난 후, 각 웰의 상층액을 모아 Human pro-collagen 1 alpha 1 분석 키트 (R&d system, DY6220-05)를 이용하여 상층액의 프로콜라겐 함량(pg/ml)을 측정하였다. Trans-페루릭산과 리기다소나무 줄기 수피 추출물을 혼합 처리시 콜라겐 당화 억제로 인한 콜라겐 회복율(%)을 구하기 위해 정상 대조군으로는 시료와 글리옥살을 처리하지 않은 well의 상층액 내 콜라겐 함량을 100%으로 하여 정상 대조군 대비 글리옥살만 처리군 (음성대조군)과 시료 및 글리옥살 처리군의 콜라겐 생성율을 계산하여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 농도(중량비) 정상대조군 대비
콜라겐 생성율(%)
음성대조군 대비
콜라겐 생성 회복율 (%)
정상대조군 -  100 - 
글리옥살
(glyoxal)
0.5 mM
음성대조군 -  48.91 0
리기다소나무
줄기 수피 추출물
20 ppm 55.29 13.04
Trans-페루릭산 20 ppm 52.49 7.32
리기다소나무
줄기 수피 추출물 및
Trans-페루릭산
20 ppm (1:1) 57.70 17.98
20 ppm (1:2) 57.61 17.78
20 ppm (2:1) 58.97 20.56
20 ppm (4:1) 63.47 29.77
표 3에는 명시하지 않았지만 0.5 mM의 글리옥살 (glyoxal)을 48시간 처리시 정상대조군 대비 9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여 세포 사멸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글리옥살 농도 내에서 세포에 당화스트레스를 유발하였다.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성대조군에서 정상대조군 대비 48.91%의 콜라겐 생성율을 보여 세포에 당화스트레스를 유도시 콜라겐 생합성 저해 및 콜라겐 당화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리기다소나무 줄기 수피 추출물과 trans-페루릭산을 단독으로 처리시 각각 13.04%, 7.32%의 콜라겐 생성 회복율을 보였지만 혼합 처리시에는 중량비가 1:1, 1:2, 2:1, 4:1에서 각각 17.98, 17.78, 20.56, 29.77%의 회복율을 보여 두 물질을 함께 처리하는 경우에 더욱 현저하게 좋은 콜라겐 당화 억제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험예 1, 2 및 3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리기다소나무 줄기 수피 추출물과 trans-페루릭산을 단독 처리시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손상 보호,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 그리고 콜라겐 당화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trans-페루릭산과 리기다소나무 줄기 수피 추출물을 혼합 처리하는 경우에는 단독으로 처리하는 것에 비하여 동일한 농도에서 같은 효능에 관해 현저하게 좋은 시너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내 당화스트레스로 유도된 피부노화, 주름 및 피부 투명감 저하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실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trans-페루릭산과 리기다소나무 줄기 수피 추출물을 이용한 여러 제형예를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이들 제형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형이 이들 제형예에만 국한되지 않는 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제형예 1> 유연 화장수 (skin toner)
성분명 함량 (중량%)
Trans-페루릭산 0.33
리기다소나무 줄기-수피 추출물 0.66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에탄올 5.0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0.5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수렴 화장수 (astringent)
성분명 함량 (중량%)
Trans-페루릭산 0.33
리기다소나무 줄기-수피 추출물 0.66
글리세린 3.0
구연산 0.1
에탄올 10.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1.0
소르비톨 2.0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로션(emulsion)
성분명 함량 (중량%)
Trans-페루릭산 0.33
리기다소나무 줄기-수피 추출물 0.66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8.0
스쿠알란 10.0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2.0
트리에탄올아민 1.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스테아릴글리시레티네이트 0.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아르기닌 0.1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크림(cream)
성분명 함량 (중량%)
Trans-페루릭산 0.33
리기다소나무 줄기-수피 추출물 0.66
글리세린 5.0
스테아린산 8.0
스쿠알란 5.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5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1.5
프로필렌 글리콜 4.0
스테아릴글리시레티네이트 0.2
바셀린 2.0
산화방지제 적량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Claims (8)

  1. Trans-페루릭산; 및 리기다소나무 줄기 수피 추출물, 리기다소나무 잎 추출물, 리기다 소나무 열매 추출물및 리기다 소나무 종자 추출물 중 적어도 1종 이상의 리기다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주름 방지 또는 개선; 피부 톤 개선; 또는 피부 모공 축소용인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기다소나무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유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된 추출물인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포함된 trans-페루릭산과 리기다소나무 추출물의 중량비는 1:9 내지 9:1 인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포함된 trans-페루릭산과 리기다소나무 추출물의 중량비는 1:2 내지 1:4 인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기다소나무 추출물은 리기다소나무의 줄기 수피 추출물인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rans-페루릭산과 리기다소나무 추출물의 혼합물은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 ~ 30 중량%로 포함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취,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자외선차단제, 입욕제, 비누, 액체 세정료 및 분무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인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80063391A 2018-06-01 2018-06-01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90137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391A KR20190137327A (ko) 2018-06-01 2018-06-01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391A KR20190137327A (ko) 2018-06-01 2018-06-01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327A true KR20190137327A (ko) 2019-12-11

Family

ID=69003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391A KR20190137327A (ko) 2018-06-01 2018-06-01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73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6640A (zh) * 2021-11-16 2022-01-04 北京青颜博识健康管理有限公司 一种抗糖化海藻来源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在美容产品中的应用
KR20220152865A (ko) * 2021-05-10 2022-11-17 (주) 바이노텍 안정성이 향상된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봉입 나노 입자 및 제조방법,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865A (ko) * 2021-05-10 2022-11-17 (주) 바이노텍 안정성이 향상된 리기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봉입 나노 입자 및 제조방법,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876640A (zh) * 2021-11-16 2022-01-04 北京青颜博识健康管理有限公司 一种抗糖化海藻来源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在美容产品中的应用
CN113876640B (zh) * 2021-11-16 2023-10-31 北京青颜博识健康管理有限公司 一种抗糖化海藻来源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在美容产品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879900B1 (ko) 멍석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5467B1 (ko) 병아리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130571B1 (ko) 알부틴 및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37327A (ko)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525901B1 (ko) 지면패랭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40018666A (ko)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99024B1 (ko)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08864A (ko) 서장채국화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00169329A (ja) 化粧料組成物
KR100981343B1 (ko)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2476A (ko) 더위지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4999A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455132B1 (ko) 레몬머틀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20950A (ko) 알부틴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00096050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JP2000256175A (ja) 化粧料組成物
JP2000226311A (ja) 抗老化剤
KR102628074B1 (ko) 꿩의밥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427556B1 (ko) 루시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4269433A (ja) 化粧料組成物
KR20120001161A (ko) 효소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411718B1 (ko) 유자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4433B1 (ko) 두부 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00256174A (ja) 化粧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