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991B1 - Dhhb 및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Dhhb 및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991B1
KR102572991B1 KR1020210049600A KR20210049600A KR102572991B1 KR 102572991 B1 KR102572991 B1 KR 102572991B1 KR 1020210049600 A KR1020210049600 A KR 1020210049600A KR 20210049600 A KR20210049600 A KR 20210049600A KR 102572991 B1 KR102572991 B1 KR 102572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cream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3282A (ko
Inventor
박재규
박선민
공원호
김창건
문홍식
손성무
김동현
김수연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테크노파크
주식회사 프로그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테크노파크, 주식회사 프로그린테크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210049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991B1/ko
Publication of KR20220143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9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1Aromatic amines, i.e. where the amino group is directly linked to the aromatic nucle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HHB(Diethylamino Hydroxy benzoyl HexylBenzoate)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DHHB 및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A UV PROTECTION OF 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BENZOATE, PLANT EXTRACTS INCLUDING PINUS RIGIDA MILL EXTRACTS, AND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 자극이 적은 반면, 자외선 차단 활성은 현저히 개선된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광(日光)은 인체의 체온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피부의 살균 작용과 비타민 D를 합성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하지만 과도하게 일광에 노출되면 피부화상을 비롯해 광-민감성 피부염을 일으키기도 하고, 조기 노화현상, 심각하게는 피부암을 유발하기도 한다.
일광에 의한 피부 변화는 거칠어짐, 주름, 착색 반점, 혈색이 나쁨, 모세혈관 확장, 흑점, 자반 및 종양발생 등이 있으며, 이러한 변화를 광노화라고 한다.
광노화는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피할 수 없는 내인성 노화에 비하여 더욱 깊고 많은 주름을 유발하는 임상적 특성을 가진다.
햇빛에 노출된 피부는 불규칙한 색소 침착 및 일광흑자(solar lentigo) 등의 색소질환이 증가할 수 있으며, 수분의 감소로 인해 탄력성이 감소하고 피부 처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일광에는 가시광선, 적외선 및 자외선이 존재하는데, 자외선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A(320-400 nm), B(280-320nm), C(200-280nm)로 구분된다.
자외선 C는 생명체에 치명적이지만 오존층에 의해 100% 흡수되어 지표면에 도달하지 않으므로 유해성에 대해 심각한 우려가 없다.
반면, 자외선 B는 장시간 햇볕에 노출된 경우에 빈번하게 경험하는 일광화상 (sunburn)의 직접적 원인으로 알려져 있고, 자외선 A는 피부의 진피층에 침투하여 피부암 및 노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외선은 면역 세포의 수를 저하시켜 피부 면역 체계를 혼란시키고, 유전물질인 DNA를 변화시켜 피부암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피부 구조 단백질은 콜라겐, 엘라스틴 등을 파괴하여 피부 탄력 저하, 주름 노화 등의 현상을 촉진시키는 피부 건강의 최대 위해 요소로 오존층의 파괴에 따른 자외선 조사량 증가는 다양한 종류의 자외선 차단 및 흡수 관련 기능성 화장품 개발을 촉진시키고 있다.
자외선 차단 소재는 작용 기전에 따라 유기 및 무기 계열로 나눌 수 있는데 유기물 차단제는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화학물질(ex. Avobenzone, Octylmethoxycinnamate, Benzophenone)을 기반으로, 무기물 차단제는 자외선을 산란시키거나 흡수하여 광촉매 기능을 할 수 있는 금속산화물(ex. TiO2, ZnO, Fe2O3)을 기반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유기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소재는 화장품 제형 내에서 안정성을 저하시키거나 피부트러블을 유발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있으며, 자외선 차단제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화장품의 중요한 화두이다.
화장품 업계는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다수의 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65202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2019-0063213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 안전성과 함께 자외선 차단 활성이 현저히 개선된 자외선 차단제 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DHHB(Diethylamino Hydroxy benzoyl HexylBenzoate) 및 리기다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블랙베리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블루베리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UVA 및 UVB에 대한 차단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분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영양로션,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오일, 파운데이션,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마스크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함께 도입하여 인체 안전성이 우수하며,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화학 물질의 함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은 화학 물질 및 천연 성분의 시너지 활성을 통해 자외선 차단 활성이 현저히 증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DHHB(Diethylamino Hydroxy benzoyl HexylBenzoate) 및 리기다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을 산란시키거나 흡수하는 등의 방식으로 자외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진 조성물로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은 화합물과 함께 천연 추출물 성분을 포함하므로 자외선 차단 효과는 개선된 반면 피부에 대한 자극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은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예컨대, 주름 개선 효능과 관련된 콜라겐 합성, 탄력 개선 또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 피부 자극 완화, 피부 진정 효과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DHHB(Diethylamino Hydroxy benzoyl HexylBenzoate)는 UVA 방사선을 흡수하는 유기 화합물로 흡수 최대 값은 354nm이며,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 Mill)”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침엽 교목으로 북아메리카 동부가 원산지이며, 세잎소나무라고도 불린다.
상기 리기다소나무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맹아력이 강하며 건조한 곳이나 습지에서도 잘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리기다소나무는 항산화, 항균, 항염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Jank et al., 2008), 경증 고혈압 환자들에게서 혈압을 조절하는 효과(Hosseini et al., 2001)와 항혈전 작용(Araghi-Nikna et al., 2000; Putter et al., 1999)이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DHHB가 상기 리기다소나무 추출물과 함께 작용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추출물”은 용매와 추출재료를 특정 조건하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추출 재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을 분리해낸 것을 의미한다.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고, 상기 알코올은 60 내지 90% 농도(v/v)의 에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원료에 포함된 유효성분은 용매의 극성에 따라 추출 비율이 상이해질 수 있으며, 상기 에탄올은 천연 원료의 생리 활성 물질 추출에 있어 선택성이 뛰어나므로 상기 에탄올 추출에 의해 최적의 자외선 차단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천연 원료를 물로 수세한 후 건조 및 분쇄하여, 원료 중량의 8 내지 12배에 달하는 부피의 용매로 약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환류 순환 추출, 가압 추출, 초음파 추출 등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 및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감압 증류 또는 동결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공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블랙베리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베리(blackberry)"는 쌍떡잎 식물 장미목 장미과 딸기속에 속하는 식물군으로 각종 비타민이 풍부하여 면역력을 높여줄 수 있고, 높은 비타민 A 함량으로 눈의 피로에 좋고,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안토시아닌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조성물은 블루베리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베리(blueberry)”는 진달래과 산앵도나무속의 관목성 식물의 열매를 의미하며, 안토시안과 카로티노이드 색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및 항염 작용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블루베리는 망막 로돕신 재합성 작용의 활성화를 촉진하여 눈의 피로를 줄여주며 시야가 맑아지게 해주는 효과가 있으며, 요로감염증과 설사, 당뇨 등에 좋은 효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조성물은 UVA 및 UVB에 대한 차단 활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자외선은 280내지 400 나노미터 파장 범위의 태양광선으로서, 과량의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에는 피부 노화, 화상, 피부암 등의 피부 손상이 유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UVA는 320 내지 400 나노미터 파장 범위의 자외선으로 표피의 피부 지질을 손상시키거나, 기저층의 멜라닌 색소를 유발함으로써, 피부 노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UVB는 280 내지 320 나노미터 파장 범위의 자외선으로 피부 홍반, 피부 화상 등을 유발하여 피부를 직접적으로 손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조성물은 UVA 및 UVB를 동시에 차단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상기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을 포함하므로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자외선에 의한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광노화 방지 용도일 수 있다.
상기 “광노화 방지”는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노화 방지용일 수 있다. 상기 “광노화(Photoaging)”는 외부 환경적인 요인인 자외선에 의해 유발되는 노화 현상이다.
상기 자외선은 단백질 분해효소를 활성화하고 기질 단백질의 사슬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 등을 야기하여 생체 구성 성분들의 손상을 결과하고 상기 메커니즘의 반복은 외관상 확연한 피부노화를 초래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외부환경과는 무관하게 유전적 요소에 의해 발생하는 내인성 노화와 달리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피부 노화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분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영양로션,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오일, 파운데이션,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마스크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화에 있어서, 예컨대,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고, 상기 피부 외용제의 제형화에 있어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의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의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의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 등의 메이크업 제거제; 또는 클렌징 폼, 비누, 바디워시 등의 세정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필수성분 외에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고, 스프레이의 경우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용액 또는 유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브틸글리콜 오일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현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 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비누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실시예 및 비교예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기 표 1과 같이 시료를 혼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정하였다.
각 시료는 시중에서 구득하여 사용하였으며, 천연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을 분말화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함량(중량부)]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5 6 7 8
DHHB 60 40 40 30 120 - - - 60 60 40 -
리기다소나무 추출물 60 40 40 30 - 120 - - - - - 40
블랙베리 추출물 - 40 - 30 - - 120 - 60 - 40 40
블루베리 추출물 - - 40 30 - - - 120 - 60 40 40
실험예 1 : 자외선 차단 성능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제형화한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성능을 평가하였다.
상기 자외선 차단 효능 평가는 UVB 차단 효과를 보여주는 지수인 SPF(Sun Protection Factor) 및 UVA 차단 효과를 보여주는 지수인 PFA(Protection Factor of UVA)로 평가하였다.
Labsphere 사의 UV Transmittance analyzer UV-2000S 기계를 이용하여 매뉴얼에 제공된 방법에 따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HELIO PLATE HD6') 플레이트에 2mg/cm2의 각 조성물을 펴 발라준 뒤 자외선 차단 지수를 측정하였다(표 2).
상기 SPF 및 PFA는 모두 3 회 반복 측정하였으며, 그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구분 SPF PFA
실시예 1 32.5 6.5
실시예 2 38.4 8.1
실시예 3 37.3 8.3
실시예 4 42.5 9.3
비교예 1 18.4 4.5
비교예 2 12.6 1.2
비교예 3 10.6 2.1
비교예 4 15.3 1.9
비교예 5 20.4 4.3
비교예 6 18.2 4.7
비교예 7 21.4 5.1
비교예 8 19.2 2.5
표 2를 참조하면, DHHB은 리기다소나무 추출물과 동시에 적용했을 때(실시예 1 내지 4) 자외선 차단 효능이 현저히 증진되었으며, 이를 동시에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의 시료는 자외선 차단 활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상기 결과는 DHHB 및 리기다소나무 추출물은 동시에 작용함으로써 시너지 활성이 구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실시예의 시료(실시예 3및 4)는 블랙베리 추출물 및 블루베리 추출물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능이 더욱 증진되었다.
실험예 2 : UV-Vis 분석
실시예 및 비교예 시료의 UVA 및 UVB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도 1).
이 때, 상기 UVA 및 UVB 의 흡수 스펙트럼은 spectrophotometer(Agilent Technologies, Cary 8454)를 통해 측정하였다.
UVB 영역의 300 나노미터 파장에서 흡수율(absorption unit, AU) 및 UVA 영역의 360 나노미터 파장에서 흡수율을 산출하였다(표3).
구분 AU(300nm) AU(360nm)
실시예 1 2.82 2.13
실시예 2 3.36 2.69
실시예 3 3.48 2.53
실시예 4 3.63 2.97
비교예 1 1.40 1.53
비교예 2 1.29 1.40
비교예 3 0.83 1.54
비교예 4 1.26 1.23
비교예 5 1.28 1.28
비교예 6 1.53 1.85
비교예 7 1.42 1.72
비교예 8 1.28 1.47
표 3을 참조하면, DHHB은 리기다소나무 추출물과 동시에 적용했을 때(실시예 1 내지 4) 자외선 흡수율이 현저히 증진되었으며, 이를 동시에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의 시료는 자외선 흡수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상기 결과는 DHHB 및 리기다소나무 추출물이 동시에 작용함으로써 시너지 활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실시예의 시료(실시예 3및 4)는 블랙베리 추출물 및 블루베리 추출물에 의해 자외선 흡수율자외선 흡수율이 더욱 증진되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 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천연 추출물과 시너지 활성에 의해 자외선 차단 성능이 현저히 증진될 수 있으므로, 화학 성분인 DHHB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천연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피부에 대한 자극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DHHB(Diethylamino Hydroxy benzoyl HexylBenzoate), 리기다소나무 추출물, 블랙베리 추출물 및 블루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UVA 및 UVB에 대한 차단 활성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4항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분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영양로션,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오일, 파운데이션,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마스크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제형화된,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4항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210049600A 2021-04-16 2021-04-16 Dhhb 및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KR102572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600A KR102572991B1 (ko) 2021-04-16 2021-04-16 Dhhb 및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600A KR102572991B1 (ko) 2021-04-16 2021-04-16 Dhhb 및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282A KR20220143282A (ko) 2022-10-25
KR102572991B1 true KR102572991B1 (ko) 2023-08-31

Family

ID=83803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600A KR102572991B1 (ko) 2021-04-16 2021-04-16 Dhhb 및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9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40960A (ja) * 2017-02-28 2018-09-13 ロレアル レゾルシノール又はその誘導体を含む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184B1 (ko) * 2009-04-15 2015-10-08 (주)아모레퍼시픽 적포도잎 추출물, 베리 혼합물 및 셀레늄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050640B1 (ko) 2017-11-29 2019-12-02 주식회사 케미랜드 유무기 자외선 차단제가 혼합된 자외선 차단용 분산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65202B1 (ko) 2018-12-19 2019-04-03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무기 자외선 차단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40960A (ja) * 2017-02-28 2018-09-13 ロレアル レゾルシノール又はその誘導体を含む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282A (ko) 202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5822B2 (en)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botanical antioxidant compositions
DE69928005T2 (de)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zusammensetzung enthaltend einen wirkstoff zur stimulierung der synthese des hsp 32 proteins in der haut und verfahren zur kosmetischen behandlung
DE10132953A1 (de) Verwendung von Hopfen-bzw. Hopfen-Malz-Extrakten in kosmetischen oder dermatologischen Zubereitungen zur Prophylaxe gegen und Behandlung von degenerativen Hauterscheinungen
KR20130069512A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0292543B (zh) 一种替代紫外线吸收剂的生物组合物及其应用
KR100992088B1 (ko)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하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220112447A (ko)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US20020015718A1 (en) Use of physiologically compatible sulfinic acids as antioxidant or free-radical scavenger in cosmetic or dermatological preparations
CN112516022A (zh) 一种防晒露及其制备方法
KR102572991B1 (ko) Dhhb 및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KR100898307B1 (ko)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54352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278167B1 (ko) 지질산화 방지, 자외선에 의한 손상 피부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83718B1 (ko) 카모마일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50386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혼합 새싹 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102031289B1 (ko) 플랑크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E10000840A1 (de) Verwendung eines oder mehrerer NO-Synthasehemmer
KR102408582B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02371A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11096A (ko)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010018657A (ko) 괴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19399B1 (ko) 시카케어 크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43302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05602B1 (ko) 천문동 및 천연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594811B1 (ko)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