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371A -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371A
KR20090002371A KR1020070064104A KR20070064104A KR20090002371A KR 20090002371 A KR20090002371 A KR 20090002371A KR 1020070064104 A KR1020070064104 A KR 1020070064104A KR 20070064104 A KR20070064104 A KR 20070064104A KR 20090002371 A KR20090002371 A KR 20090002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kin
cosmetic composition
soothing effect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8308B1 (ko
Inventor
장문식
문주성
송명규
이민경
김동원
이준영
문종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오엘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오엘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오엘리
Priority to KR1020070064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308B1/ko
Publication of KR20090002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3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5Ericaceae or Vacciniaceae (Heath or Blueberry family), e.g. blueberry, cranberry or bi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7Magnoliaceae (Magnolia family)
    • A61K36/575Magno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요 생약 성분으로 목련, 산다화, 연꽃, 봉선화, 진달래로 구성된 복합 추출물(Phyto Soothing)을 함유하여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피부진정, 화장료, 목련, 산다화

Description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 Cosmetic composition with the effect of calming skins }
본 발명은 피부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요 생약 성분으로 목련, 산다화, 연꽃, 봉선화, 진달래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진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 광선에 포함된 자외선은 그 파장 영역에 따라 장파장, 중파장, 단파장으로 나누어지며, 이들 자외선은 피부에 여러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외선 중의 단파장 자외선은 인체에 매우 유해하나 현재까지는 대기중의 오존층에 흡수되어 지표상에는 거의 도달하지 않으며, 주로 장파장 자외선과 중파장 자외선이 피부에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장파장 자외선은 색소 침착, 광독성, 광알레르기 등을 유발하고, 에너지가 더 큰 중파장 자외선은 홍반, 수포 유발을 비롯한 화상, 피부암, 색소 침착 및 피부 단백질 변성 등을 일으키므로 이들 피부에 조사되는 자외선을 막아주는 것이 피부의 건강에 매우 중요하며, 종래로부터 자외선을 막아주기 위한 여러 가지 자외선 차단제가 개발되어 왔다.
종래의 자외선 흡수제로는 벤조페논 유도체, 파라아미노 유도체, 계피산 유도체, 트리아진 유도체 등의 화합물질이 있고, 자외선 산란제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무기 안료가 사용되어 왔는데, 자외선 흡수제는 주로 중파장 자외선 영역의 자외선만을 흡수하며 자체가 화학합성물질이라 피부에 다른 부작용, 즉 자극, 알레르기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많다. 또한 자외선 산란제는 자외선 뿐만 아니라 가시광선까지도 화장료로 사용하였을 때 불투명하며, 피부에 도포시 사용감이 나쁘다고 지적되어 왔다.
한편, 천연물에서 추출 분리한 자외선 흡수 작용을 가지는 물질은 일반적으로 자극이 적고, 항염증, 수렴 작용, 항균 작용과 같은 기타의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로부터 화장료에 배합하는 자외선 흡수제로서 유망시되어 왔으며, 천연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자외선 흡수물질을 검색, 분리하려는 노력이 시도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미 알려져 있는 자외선 차단제의 단점을 극복하고 보다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각종 천연물로부터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한 생약 추출물의 특성을 고려한 결과, 피부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하던중 주요 생약 식물 즉, 목련, 산다화, 연꽃, 봉선화, 진달래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피부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요 생약 성분으로 목련, 산다화, 연꽃, 봉선화, 진달래 추출물을 함유하여 자외선 흡수 효과를 가지며, 비흡광도가 크며, 화장료용의 각종 기제 및 첨가제, 유기용제 등에 대한 용해성, 친화성 및 안정성이 좋고, 특히 기존의 자외선 차단제와 병용하였을 때 자외선 차단 지수를 현저히 높이는 상승 작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에서 각 생약 성분의 조성은 각각의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목련 10 ~ 30 중량%, 산다화 10 ~ 30 중량%, 연꽃 10 ~ 30 중량%, 봉선화 10 ~ 30 중량%, 진달래 10 ~ 30 중량%의 비율로 배합하여 사용된다.
상기의 배합비로 혼합한 생약 추출물에 1 내지 10배의 증류수를 가하여 100±10℃에서 6시간 3회 반복 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화장료 제조시 첨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제조된 생약 추출물을 0.1 ~ 5 중량%로 바람직하게는 1 중량%가 되게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바디로션,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이하에 피부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대표적인 스킨과 로션 조성물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생약 추출물의 제조
생약제 추출물은 건조된 생약제를 분말화하여 사용하였다.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혼합한 생약제에 10배의 증류수를 가하여 100±10℃에서 6시간 3회 반복 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1g의 생약제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순번 종류 추출전 무게(g) 추출후 무게(g)
1 목련 2.0 1.0
2 산다화 2.0
3 연꽃 2.0
4 봉선화 2.0
5 진달래 2.0
합계 10 1.0
실시예 2 :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스킨 로션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조성비율로 스킨 로션을 제조하였다. 알콜 부분은 곡정에서 생산하여 78℃ 증류한 알콜에 M-P, tween 20, NP-12의 순서대로 용해시켜 제조하였고, 정제수 부분은 멸균 처리된 정제수에 글리세린, 1,3-BG, DC-193, 히아루론산, 알란토인, 구연산, 구여산소다의 순서대로 용해시켜 제조한 다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생약제 추출물과 혼합하여 스킨 로션을 제조하였다.
분류 원료명 무게(중량%)
알콜부분 에탄올 8
메틸파라히드록시벤조익산 0.1
tween-20 0.2
노닐페닐에테르-12 0.2
정제수부분 정제수 89.01
글리세린 0.1
1,3-부틸렌글리콜 0.2
알라닌 193 0.1
히아루론산 1.0
알란토인 0.05
구연산 0.01
구연산소다 0.03
생약제부분 생약제 첨가부분 1.0
합계 100
실시예 3 :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밀크 로션의 제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밀크 로션을 제조하였다.
분류 원료명 무게(중량%)
알콜부분 스테아린산 2.1
세탄올 1.3
유동파라핀 7.0
스쿠알렌 0.5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1.0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0.5
아라셀-60 0.85
tween-20 0.1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0.5
프로필파라벤 0.1
알라닌 200F/100CS 0.1
정제수부분 정제수 74.15
트리에탄올아민 0.7
프로필렌글리콜 7.0
글리세린 3.0
메틸파라히드록시벤조익산 0.1
생약제 생약제 추출물 1.0
합계 100
실험예 1 : 본 발명에 따른 스킨 로션의 피부 자극성 및 진정 효과 확인
건강한 성인 남녀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의 전박부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스킨 로션을 일정량(50m/5㎠)씩 도포하고, 그외의 부위를 알루미늄 호일로 차폐하여 30분 후에, 자외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장파장 자외선을 10.2J/㎠ 의 용량으로 조사하고 24시간 후에 피부 상태(홍반, 부종, 구진 등)를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피부에 홍반 등의 부작용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스킨 로션은 광독성이 없으며 피부 진정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본 발명에 따른 밀크 로션의 피부 자극성 및 진정 효과 확인
건강한 성인 남녀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의 전박부에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밀크 로션을 일정량(10m/5㎠)씩 도포하고, 그외의 부위를 알루미늄 호일로 차폐하여 30분 후에, 자외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장파장 자외선을 10.2J/㎠ 의 용량으로 조사하고 24시간 후에 피부 상태(홍반, 부종, 구진 등)를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피부에 홍반 등의 부작용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밀크 로션은 광독성이 없으며 피부 진정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 본 발명에 따른 스킨 로션 및 밀크 로션의 피부 안정성 확인 시험
건강한 성인 남녀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의 전박부에 상기 실시예 2와 3에서 제조한 스킨 로션 및 밀크 로션을 인체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대상자의 전박부를 70% 에탄올로 잘 닦은 다음 그 부위에, 통상의 화장료 기제에 상기 실시예 2와 3에서 제조한 스킨 로션 및 밀크 로션을 20㎕씩 담은 핀 챔버를 점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24시간 폐쇄 부착시켰다. 24시간 후에 점착 테이프와 핀 챔버를 제거하고, 가제로 피부에 잔존된 시료를 가볍게 닦아 제거한 뒤에 피부 상태를 관찰하고 다시 24시간 후에 한번 더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킨 로션 및 밀크 로션의 피부 자극성을 확인하기 위한 인체 첩포 시험에서 양성 반응을 보이지 않아 인체 피부에 자극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료 24시간 후(n=20) 48시간 후(n=20) 비고
스킨로션 0/30 0/30 반응양성자수/총대상자수
밀크 로션 0/30 0/30
이상 상기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는 천연 생약재인 목련, 산다화, 연꽃, 봉선화, 진달래 추출물에서 유래한 천연 유효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5)

  1.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생약추출물로서, 목련, 산다화, 연꽃, 봉선화, 진달래로 구성된 생약 추출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각 생약 성분의 조성은 각각의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삼백초 10 ~ 20 중량%, 제비꽃 10 ~ 30 중량%, 금은화 10 ~ 30 중량%, 홍화꽃 10 ~ 30 중량%의 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3. 목련 10 ~ 30 중량%, 산다화 10 ~ 30 중량%, 연꽃 10 ~ 30 중량%, 봉선화 10 ~ 30 중량%, 진달래 10 ~ 30 중량%의 비로 혼합하는 단계와 열수 추출하여 여과 및 감압 농축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 생약 추출물을 0.1 ~ 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중량%가 되게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중파장 자외선 흡수제를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중파장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페논 유도체, 파라아미노안식향산 유도체, 계피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트리아진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064104A 2007-06-28 2007-06-28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98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104A KR100898308B1 (ko) 2007-06-28 2007-06-28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104A KR100898308B1 (ko) 2007-06-28 2007-06-28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371A true KR20090002371A (ko) 2009-01-09
KR100898308B1 KR100898308B1 (ko) 2009-05-19

Family

ID=40485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104A KR100898308B1 (ko) 2007-06-28 2007-06-28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3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1445A1 (de) * 2010-04-20 2011-10-27 Beiersdorf Ag Wirkstoffkombinationen aus magnolienrindenextrakt und polyethoxylierten verbindungen (peg-40-stearate)
US9186385B2 (en) * 2009-03-03 2015-11-17 Viva Pharmaceutical Inc. Plant extract composi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uenz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430B1 (ko) 2011-05-20 2013-10-10 이상록 진달래꽃, 사과꽃 및 함박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및 진정 화장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677B1 (ko) * 2000-05-31 2002-10-18 주식회사 태평양 피부에 있어서 안티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외용제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6385B2 (en) * 2009-03-03 2015-11-17 Viva Pharmaceutical Inc. Plant extract composi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uenza
WO2011131445A1 (de) * 2010-04-20 2011-10-27 Beiersdorf Ag Wirkstoffkombinationen aus magnolienrindenextrakt und polyethoxylierten verbindungen (peg-40-stea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8308B1 (ko) 2009-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386B1 (ko) 피부색보정, 자외선차단, 주름개선 및 미백 기능을 가지는 크림 제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0899502B1 (ko)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조성물
KR20190028996A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4246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92088B1 (ko)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하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JP3415200B2 (ja) 皮膚外用剤
KR101220903B1 (ko) 피부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00042181A (ko) 대황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보호용화장료 조성물
KR100898308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12447A (ko)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0898307B1 (ko)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77126B1 (ko) 미백,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칠향팔백산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925249A (zh) 一种具有天然防晒性能的组合物
KR101250386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혼합 새싹 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20070051005A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허브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조성물
KR101617730B1 (ko) 인삼열매, 포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0966836B1 (ko) 두피 보호 및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104671A (ko) 초임계 한방 추출물을 이용한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9073A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060100115A (ko) 연꽃 추출물을 주요성분으로 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화장료 조성물
JP2002012548A (ja) 光毒性抑制剤
KR20090026826A (ko)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012551B1 (ko)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0162282B1 (ko) 대황에서 추출한 스틸벤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08582B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