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282B1 - 대황에서 추출한 스틸벤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황에서 추출한 스틸벤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282B1
KR0162282B1 KR1019950041933A KR19950041933A KR0162282B1 KR 0162282 B1 KR0162282 B1 KR 0162282B1 KR 1019950041933 A KR1019950041933 A KR 1019950041933A KR 19950041933 A KR19950041933 A KR 19950041933A KR 0162282 B1 KR0162282 B1 KR 0162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rhubarb
stilbene
stilbene derivatives
ultravio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1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602A (ko
Inventor
전체옥
오지연
김승정
김은정
Original Assignee
이능희
주식회사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능희, 주식회사태평양 filed Critical 이능희
Priority to KR1019950041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2282B1/ko
Publication of KR970025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2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황에서 추출한 스틸벤 유도체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변색 및 변취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황에서 추출한 스틸벤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제1도는 대황에서 분리한 3,5,3',4'-테트라히드록시 스틸벤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이다.
제2도는 대황에서 분리한 3,5,5'-트리히드록시-4'-메톡시 스틸벤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이다.
제3도는 대황에서 형태한 3,5-디히드록시-4'-메톡시 스틸벤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이다.
제4도는 대황에서 분리한 시틸벤 유도체들의 자외선에 의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대황에서 추출 형태한 하기 일반식의 스틸벤(stilbene)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것이다.
(상기 식 중에서, R1은 히드록시기이고 R2는 수소이거나, R1은 히드록시시이고 R2는 메틸기이거나, R1은 수소이고 R2는 메틸기이다)
일반적으로, 태양 광선 중에 포함된 자외선은 그 파장 영역에 따라 정파장 자외선(UVA, 320~400nm), 중파장 자외선(UVB, 200~280nm) 및 단파장 자외선(UVC, 200~280nm)으로 분리되어지며, 이들 자외선은 피부에 여러가지의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UVC은 인체에 매우 유해하나 현재까지는 대기중의 오존층에 흡수되어 지표상에는 거의 도달하지 않으며, 주로 UVA와 UVB가 피부에 부작용을 유발한다. UVA는 색소 침착, 광독성 및 광알러지 등을 유발하고, 에너지가 더 큰 중파장 자외선, 즉 UVB는 일광화상(홍반, 수포 유발), 피부암, 색소 침착, 피부 단백질 변성 및 피부 세포 각질화 촉진등을 일으킨다.
따라서 피부에 조사되는 자외선을 막아주는 것이 피부건강상 매우 중요하며, 자외선을 막아주기 위한 여러가지 자외선 차단제가 꾸준히 개발되어 있다.
종래의 자외선 흡수제로는 벤조페논 유도체, 파라아미노 안식향산 유도체, 계피산 유도체 및 트리아진 유도체 등의 화학물질이 있고, 자외선 산란제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등의 무기 안료가 사용되어 왔는데, 상기 자외선 흡수제들은 주로 UVB 영역의 자외선만을 흡수하며 그 자체가 합성 화학 물질이라 피부에 여러 부작용(예 : 자극, 알러지, 광감각 등)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자외선 산란제는 자외선 뿐만 아니라 가시광선까지로 산란시켜 화장료에 배합하였을 때, 화장료의 색감이 불투명해지며, 피부에 도포시 사용감이 나빠다는 단점이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한편, 천연물에서 추출, 분리한 자외선 흡수작용을 갖는 물질은 일반적으로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적고, 또 항염증, 수렴 작용, 항균작용 같은 기파의 약리 작용을 갖고 있기 때문에 종래로부터 화장료에 배합하는 자외선 흡수제로서 유망시되어 왔으며 천연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자외선 흡수 물질을 검색, 분리하려는 노력이 시도되어 왔다. 그리고, 실제로 일부 연구자들이 천연 추출물을 자외선 차단제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천연 추출물들을, 상기와 같은 유용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정제되지 않은 추출물 상태로 화장료에 첨가되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 효과의 충분한 발휘를 위하여 많은 양을 화정료에 첨가시킬 경우, 천연 추출물들의 진한 색깔과 강한 냄새로 힌해, 화장료의 변색 및 변취가 쉽게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 본 발생자들은 종래의 자외선 차단제 및 천연 추출물들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동시에 자외선에 의한 피부 부작용을 막아 줄 수 있는 보다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많은 천연 식물로부터 물 또는 유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들의 특성을 검토한 결과, 대황에서 추출한 활성 성분인 스틸벤(stilbene) 유도체들이 광범위한 파장역(200~350nm)의 자외선 흡수 효과를 갖고, 이들의 비흡광도가 1%의 에탄올 용액에서 약 1200정도로 기존의 자외선 흡수제에 비해서 오히려 크며, 또한 각종 기제 및 첨가제, 유기용매 등에 대한 용해성, 친화성 및 안정성이 좋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또한, 대황으로부터 분리한 스틸벤 유도체들은 자외선으로부터의 세포보호작용, 항염증 효과,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저해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실제로 소량 사용으로도 화장료의 자외선 차단 지수(SPF : Sun Protection Factor)를 현저히 높여줌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스틸벤 유도체들이 무색 무취이므로 화장료에 충분한 양을 첨가하더라도 화장료의 변색 및 변취를 유발하지 않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황에서 분리한 스틸벤(stilbene) 유도체를 함유함으로써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변색 및 변취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대황에서 분리한 스틸벤(stilbene) 유도체들은 다음과 같은 일반식로 표현되며, R1이 히드록시이고 R2가 수소인 경우에는 3,5,3',4'-테트라히드록시 스틸벤이고, R1이 히드록시이고 R2가 메틸기인 경우에는 3,5,3'-트리히드록시-4'-메톡시 스틸벤이며, R1이 수소이고 R2가 메틸기인 경우에는 3,5-디히드록시-4'-메톡시 스틸벤이다.
상기 대황에서 분리한 스틸벤 유도체들은 자외선 흡수 작용 및 항염증 작용, 자외선으로부터의 세포 보호 작용, 티로시나아제 저해 작용등을 가지며, 특히, UVA에서 UVC까지의 광범위한 파장역의 자외선을 유효하게 흡수함으로써 화장료에 첨가할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자극성이 적으며, 기존의 천연 추출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화장료에 비해 변색 및 변취가 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변색 및 변취가 잘 발생하지 않는 썬스크리닝(Sunscreening)용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스틸벤 유도체의 분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생약재로 시판되는 대황을 구입하여 절쇄하고, 물 또는 유기 용제를 3-15배 부피량 가하고, 1~10일간 상온에서 침적 또는 냉각콘덴서가 장치되어 유효성분이 증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중탕 가열로 3~24시간 가열하여 추출한다. 추출한 추출액을 가아제 또는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한 여액을 냉각 콘댄서가 달린 감압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완전히 회수하면서 완전히 감압 농축하여 다갈색-황색의 고체 상태의 추출물을 얻는다. 이렇게 얻어진 고체 상태의 추출물을 적당한 용제에 녹여 그대로 칼럼을 통과시키거나 필요에 따라서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용매 분획을 실시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분획만을 농축하여 적당한 용매에 녹여 칼럼을 통과시킬 수도 있다. 칼럼 용출액으로 디클로로메탄과 메탄올 혼액(100 : 4)을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메탄올의 함량을 서서히 증가시켜 용리한다. 용리된 액을 순차적으로 받은 후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과 항산화 물질의 검색에 이용하는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1,1-dipheny1-2-picrylhydrazyl(DPPH))의 탈색을 이용한 항산화력 측정므로 자외선 흡수력이 높고 황산화력이 우수한 3개의 분획을 얻고, 이들 3개의 분획을 각각 감압농축한 후 메탄올 수용액에서 재결정하여 분리한다. 3개의 분획에서 분리한 각각의 물질들을 UV, IR, Mass, NMR등의 기기 분석을 통해 각각의 구조를 규명한 결과, 3가지 물질은 모두가 스틸벤 유도체들이 었다. 본 발명에 의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3가지 스틸벤 유도체 단독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화장료에 첨가하거나, 기존의 중파장 자외선 흡수제 및 자외선 산란제 등과 함께 화장료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되는 상기의 스틸벤 유도체들은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기제 및 첨가제 또는 유기 용매, 예를들어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그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라우릴알코올,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및 기타 각종 동, 식물성 오일 등에 대한 용해성, 혼화성, 상용성 등이 좋기 때문에, 스틸벤 유도체들 단독 또는 자외선 흡수제 및 자외선 산란제 등과 병용하여, 통상의 각종 화장료 기제 및 첨가제 등에 배합한 크림, 로션, 유액, 화장수, 팩 등의 각종 기초 화장료, 화운데이션, 볼연지, 립스틱, 콘팩트, 트윈케익 등의 각종 메이겁류, 정발료, 양모제등의 각종 두발용 화장료 및 기타의 화장료 형태로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에멀션(O/W, W/O타입), 오일, 연고, 왁스, 겔, 파우더 등의 각종 제형으로의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상기 스틸벤 유도체의 함량은 화장료의 제형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된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상기 각 추출물의 건조 중량으로 화장료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5중량%로 배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대황에서 추출한 스틸벤 유도체와 함께 첨가될 수 있는 자외선 흡수제로는 썬스크리닝용 화장료에 적용되는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 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등의 벤조페논 유유도체; 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와 같은 파라아미노 안식향산 유도체; 2-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 유도체 및; 2,4,6-트리-아닐리노-p-(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등의 트리아진 유도체가 있다. 상기 대황에서 추출한 스틸벤 유도체와 함께 첨가될 수 있는 자외선 산란제로는 썬스크리닝용 화장료에 적용되는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탈크, 마이카, 카올린, 산화 티탄, 산화 아연, 산화 철, 이산화 규소, 산화 알루미늄, 탄산 마그네슘, 탄산 칼슘 및 황산 바륨 등의 무기 안료가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나 자외선 산란제의 배합량은 화장료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10중량% 가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예 1]
건조된 대황 500g을 세절하고 둥근 플라스크에 넣은 후 메탄올 2ℓ에 가해 3시간동안 중탕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한 후그 여과액을 진공 농축기에서 농축하여 건고물 180g을 얻었다. 얻은 건고물에 물과 에틸아세테이트 1ℓ를 각각 가하고 분배하여 에틸아세테이트충만을 취한 후 감압증발시켜 물질 62g을 얻었다. 상기 물질 전량을 실리카컬럼(6×70cm)에 옮기고 디클로로메탄/메탄올 혼액(100 : 2 → 100 : 6)으로 용리하였다. 용리액을 100ml단위로 순차적으로 분획하고 자외선 흡수도와 황산화력이 우수한 3가지분획을 각각 농축한 후 메탄올 수용액에서 재결정하여 무색무취의 순수한 결정 700mg(I), 2300mg(II), 250mg(III)을 각각 얻었다.
[참고예 2]
건조된 대황 500g을 체절하고 80% 아세톤 2ℓ 가해 7일간 상온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진공 농축기에서 농축하여 건고물 207g을 얻었다. 얻은 건고물에 물과 에틸아세테이트 1ℓ를 각각 가하고 분배하여 에틸아세테이트충만을 취한 후 감압증발시켜 물질 67g을 얻었다. 상기 물질 전량을 실리카컬럼(6×70cm)에 옮기고 디클로로메탄/메탄올 혼액(100 : 2 → 100 : 6)으로 용리하였다. 용리액을 100ml 단위로 순차적으로 분획하고 자외선 흡수도와 황산화력이 우수한 3가지 분획을 각각 농축한 후 메탄올 수용액에서 재결정하여 무색 무취의 순수한 결정 670mg(I), 2100mg(II), 220mg(III)을 각각 얻었다.
[참고예 3]
건조된 대황 250g을 세절하고 둥근 플라스크에 넣고 메탄올 1ℓ을 가해 7일간 상온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진공 농축기에서 농축하여 건고물 82g을 얻었다. 얻은 건고물을 실리카컬럼(6×70cm)에 옮기고 디클로로메탄/메탄올 혼액(100 : 2 → 100 : 6)으로 용리하였다. 용리액을 100ml 단위로 순차적으로 분획하고 자외선 흡수도와 황산화력이 우수한 3가지 분획을 각각 농축한 후 메탄올 수용액에서 재결정하여 무색 무취의 순수한 결정 270mg(I), 1100mg(II), 110mg(III)을 각각 얻었다.
[참고예 4]
물질 구조 분석
참고예 1~3에서 각각의 분획에서 얻은 물질 3가지(I,II,III)의 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기기분석을 실시하였다. 녹는점 측정에는 토마스 하버 모세관 융점측정기(Thomas Hoover capillary melting point apparatus)를, UV 및 IR 스펙트럼은 각각 CECIL CE5500 스펙트로미터와 BIO-RAD FTS-40 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1H 및13C-NMR 스펙트럼은 BRUKER AM 200 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하여 얻었다. MS 스펙트럼은 JMS-DX 303 스펙트로미터로 측정하였다. 기기 분석 결과 이들은 모두 서로 구조가 유사한 스틸벤 유도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
자외선 흡수 스펙트라 측정
상기 참고예 1~3에서 분리한 3개의 물질(I,II,III)을 에탄올에 0.0006 중량%로 희석하여 분광 광도계를 이용, 에탄올을 대조액으로 하여 파장 200~40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는 제1도~제3도와 같고, 최대 피크에서 1% 당 흡광계수가 각각 1258,1158,1242로 기존의 자외선 차단제에 비해서도 매우 높았다.
[실험예 2]
티로시아나세 반응에 의한 멜라닌생성에 대한 영향
0.1mg/ml의 티로신, 70㎍/ml의 티로시나아제와 참고예 1~3에서 분리한 물질 I,II,III을 농도별로 함유한 50mM 인산 칼륨 완충액(pH6.8) 1.5ml를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475nm에서 멜라닌 생성정도를 흡광도로 측정하여 티로시아아제 저해도를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아제 50% 저해하는 물질의 농도를 구한 결과 화합물 I,II,III이 각각 20㎍/ml, 28㎍/ml, 11.5㎍/ml로 멜라닌 생성 효소를 현저히 저해함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대황에서 분리한 스틸벤 유도체들은 자외선 흡수 작용뿐만 아니라 피부 세포 혹화 방지 효과로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대황에서 분리한 스틸벤 유도체들의 자외선에 대한 세포사멸에 대한 영향
9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사람 셤유아세포(fibroblasts)를 5000 cells/ml가 되도록 심고 2% 테내 송아지 혈청(fetal bovine serum(FBS))을 함유한 EMEM(Eagle' minimal essential medium) 배지 0.2ml를 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이어서, 배지를 제거하고 생리식염수로 1회 세척하고 참고예 1~3에서 분리한 시료(I,II,III)를 1ppm 함유한 2%의 FBS함유 EMEM배지 0.2ml를 가하고 30분 후부터 38분간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여기서 참고예 1~3에서 분리한 시료물질을 첨가하지 않고 자외선만을 조사한 시험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이때, 총 조사된 자외선의 광량은 UVA 1.0J/cm2, UVB 0.8cm2이었다. 광조사가 끝난 후 2%의 FBS함유 EMEM 배지로 대체하여, 24시간 추가배양하고, 3-[4,5-디메틸티아졸]-2, 5-디페닐 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3-[4,5-dimethylthiazo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MTT))분석을 실시하여 세포 생존율(cell viability)을 평가하였다. 제4도는 대황에서 분리한 스틸벤 유도체들가 자외선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능력이 뛰어남을 보여주고 있다.
[실험예 4]
카라게닌(Carrageenan)에 의해 유도된 족부종 억제 실험
참고예 1~3에서 분리한 스틸벤 유도체들을 생리식염수 녹인 후, 190~200g의 웅성 랫트 각각 10마리에 100mg/kg의 양으로 피하 주사하였다. 1시간 뒤, 생리식염수에 0.1%로 녹인 카라게닌을 랫트의 왼쪽 뒷 발바닥에 피하 주사한 후 4시간 뒤 부종의 크기를 측정하여 족부종 억제 정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물질 대신에 생리식염수만을 투여한 것을 양성 비교군으로, 상기 물질과 카라게닌 투여 대신 식염수를 투여한 것을 음성비교군으로 하여 다음 식에 의하여 족부종 억제율을 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1에 나타나 있다.
상기 표1에서 알 수 있듯이, 대황에서 분리한 스틸벤 유도체들은 유의한 항염증 효과를 가지고 있어자외선 차단제로서 이용시 햇빛에 의해 유발되는 홍반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실시예 1]
O/W형 썬스크리닝 크림
하기 표에 나타난 조성으로 기존의 화장료 제조방법에 따라, O/W형 썬스크리닝 크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썬스크리닝 오일
하기 표에 나타난 조성으로 기존의 화장료 제조방법에 따라, 썬스크리닝 오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O/W형 썬스크리닝 유액
하기 표에 나타난 조성으로 기존의 화장료 제조방법에 따라, O/W형 썬스크리닝 유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시험관 내에서의 자외선 차단 지수 측정
상기 처방예 1~12 및 비교예 1~3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들의 자외선 차단효과를 양성 피부주형(positive Repica)을 이용하여 시험관내(In Vitro)에서 시험하였다.
먼저 영국 플렉시코 디벨로프먼트(Flexcico Development)사의 실리콘고무 (Silflo)와 용제를 이용하여 사람 등(背)피부의 음성주형(Nagative Roplica)을 제작한 뒤, 여기에 독일BASF사제품 Luviset CAP-X수지를 주원료로 한 투명 주형 제조 원료(처방: Luviset CAP-X 25%(w/v), 1,3-부틸렌글리콜 12%(w/v), 에탄올 to 100%)를 2시간 간격으로 3회 얇게 코팅하고, 마지막 코팅 24시간 후에 조심스럽게 벗겨내어 양성 피부주형을 만들었다. 이 양성 피부주형의 자외선 투과율을 미국 솔라 라이트(Solar Light)사의 자외선 조사 장치인 솔라 시뮬레이터(Solar Simulator)와 독일 발드만(Waldmann)사의 UV메터를 이용해서 UVA와 UVB의 양을 측정한 다음, 여기에 상기 처방예 1~12 및 비교예 1~3이 의해 제조된 화장료들 일정량(2mg/cm2)을 도포한 뒤 다시 자외선 투과율을 측정하여 각 시료의 평균 자외선 차단 지수(PI : Protective Index)를 UVA, UVA에 대해 다음 공식에 의거하여 구했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2와 같다.
상기 표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황에서 분리한 스틸벤 유도체들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처방예 1~12)은 스틸벤 유도체를 함유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3)에 비하여 UVA와 UVB에 대한 시험관내 방어 지수가 월등히 높았다.
[실험예 6]
생체 피부에서의 자외선 차단 지수(SPF) 측정
상기 처방예 1~12 및 비교예 1~3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들의 생체 피부에서의 자외선에 의한 홍반 억제정도를 나타내는 자외선 차단 지수(SPF;Sun Portection Factor)를 측정하여 (생체내 시험: In Vivo 시험), 결과를 비교하였다.
생체내 자외선 차단 지수의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험 대상자 50인의 등에 상기 실험예 5에서의 솔라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일정량의 자외선(UVA+UVB)을 조사하고 24시간 후에 조사 부위를 관찰하여 최소 홍반량(피부에 홍반을 일으킬 수 있는 최소의 자외선량)을 측정한 다음, 인접 부위에 각 시료를 일정량(2mg/cm ) 도포하고 20분 후에 자외선을 조사한 후, 다시 24시간 후에 시험부위를 관찰하여 각 시료를 도포했을 때의 최소 홍반량을 결정하여 다음식에 의거하여 자외선 차단 지수를 구하고 그 평균값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3에 나타나 있다.
아래 표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황에서 분리한 스틸벤 유도체들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처방예 1~12)은 스틸벤 유도체를 함유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에 1~3)에 비하여 생체내 자외선 차단 지수에 있어서, 현저한 높은 숫자를 보여주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대황에서 분리한 스틸벤 유도체들의 자외선 흡수 작용 이외에 항염증 작용, 자외선으로부터의 세포 보호 작용 및 항산화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감소시키고 손상된 피부를 본래의 건강한 상태로 환원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실험예 7]
피부자극 실험
피부의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통상의 패취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25~40세의 여성 50명의 양쪽 하박 안쪽애 상기 처방예 1~12 및 비교예 1~3의 첩포를 부착한 후, 24시간이 지난 후에 첩포를 떼어내고, 떼어낸 지 30분이 지난 후에 다음과 같은 판정에 따라 피부 자극의 정도를 점수화하고, 점수의 평균을 표4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4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처방예 1~12)는 피부에 대한 자극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

  1. 대황에서 분리한 3,5,3',4'-테트라히드록시 스틸벤(3,5,3',4'-tetrahydroxy stilbene), 3,5,3'-트리히드록시-4'-메톡시 스틸벤(3,5,3'-trihydroxy-4'-methoxy stilbene) 또는 3,5-디히드록시-4'-메톡시 스틸벤(3,5-dihydroxy-4'-methoxy stilbene)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영역에 흡수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50041933A 1995-11-17 1995-11-17 대황에서 추출한 스틸벤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0162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1933A KR0162282B1 (ko) 1995-11-17 1995-11-17 대황에서 추출한 스틸벤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1933A KR0162282B1 (ko) 1995-11-17 1995-11-17 대황에서 추출한 스틸벤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602A KR970025602A (ko) 1997-06-24
KR0162282B1 true KR0162282B1 (ko) 1998-12-01

Family

ID=19434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1933A KR0162282B1 (ko) 1995-11-17 1995-11-17 대황에서 추출한 스틸벤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22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040B1 (ko) * 2000-10-05 2002-11-2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황백, 산수유, 대황, 행인, 당귀, 정향 및 띠 추출물을안정화한 니오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03010121A1 (en) * 2001-07-23 2003-02-06 Pacific Corporation Stilbene derivatives, a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and its use
KR100816265B1 (ko) * 2006-08-22 2008-03-2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655A (ko) * 1999-08-20 2001-03-15 유상옥 대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040B1 (ko) * 2000-10-05 2002-11-2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황백, 산수유, 대황, 행인, 당귀, 정향 및 띠 추출물을안정화한 니오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03010121A1 (en) * 2001-07-23 2003-02-06 Pacific Corporation Stilbene derivatives, a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and its use
KR100816265B1 (ko) * 2006-08-22 2008-03-2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602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2181A (ko) 대황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보호용화장료 조성물
KR0162282B1 (ko) 대황에서 추출한 스틸벤 유도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9990086516A (ko) 인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JPH08175958A (ja) 皮膚外用剤
KR100920896B1 (ko) 블루로터스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06328048A (ja) 皮膚化粧料
KR100898307B1 (ko)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89632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0468434B1 (ko) 비타민 c 또는 그 유도체 및 빈랑자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98308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111025A (ko) 녹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20110087363A (ko) 멸가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58184B1 (ko) 미인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07311B1 (ko) 퓨라노디에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JP2702860B2 (ja) 皮膚化粧料
KR102106767B1 (ko) 가공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067698B1 (ko) 가공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미백용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9990085303A (ko) 피부 미백재
KR102556457B1 (ko) 리포익산이 다량 함유된 천연물 유래의 미백 조성물
KR101125094B1 (ko) 라폰틴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19897B1 (ko) 이소멘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조성물
KR20040059005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170029802A (ko) 스파티필룸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및 미백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24168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JP2000290131A (ja) 美白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