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677B1 - 피부에 있어서 안티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에 있어서 안티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677B1
KR100356677B1 KR1020000029611A KR20000029611A KR100356677B1 KR 100356677 B1 KR100356677 B1 KR 100356677B1 KR 1020000029611 A KR1020000029611 A KR 1020000029611A KR 20000029611 A KR20000029611 A KR 20000029611A KR 100356677 B1 KR100356677 B1 KR 100356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eight
extract
effec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9607A (ko
Inventor
강학희
이영하
이호
박종호
이성구
김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20000029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677B1/ko
Publication of KR20010109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677B1/ko

L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공해, 담배연기 등 피부에 미치는 각종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안티스트레스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어성초추출물 0.01∼5.00중량%과 목련추출물 0.01∼5.0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은 녹차 추출물 0.001∼5.00중량%, 하기 구조식 Ⅰ의 네오 세라미드(Hydroxypropyl Bispalmitamide MEA; Neo-Ceramide;ceradiamide 16) 0.01~5.00중량% 및 조합향 0.05~0.5중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Ⅰ)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 성분의 상승작용으로 자외선, 유해산소, 공기중에 표류하는 유해물질 등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고, 도시생활 등에 의한 과밀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장벽기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정서적인 안정을 도모할 하여 피부진정효과 및 피부 보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에 있어서 안티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외용제 조성물{External applications having antistress effect in the skin}
본 발명은 자외선, 공해, 담배연기 등 피부에 미치는 각종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안티스트레스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어성초추출물 0.01∼5.00중량%과 목련추출물 0.01∼5.00중량%를 함유하거나, 녹차 추출물 0.001∼5.00중량%, 하기 구조식 Ⅰ의 네오 세라미드(Hydroxypropyl Bispalmitamide MEA; Neo-Ceramide;ceradiamide 16) 0.01~5.00중량% 및 조합향 0.05~0.5중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하여 자외선, 유해산소, 공기중에 표류하는 유해물질 등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고, 도시생활 등에 의한 과밀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장벽기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정서적인 안정을 도모하여피부진정효과 및 피부보습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트레스라는 말은 어떤 외적자극이 영향을 미친 결과 그 대상에 생긴 이상을 통칭하는 말이며, 피부스트레스라 함은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내적, 외적 환경요인을 말한다.
즉, 피부상태에 악영양을 미치는 자외선, 유해산소 또는 담배연기, 자동차 배기 가스와 같은 공기에 존재하는 유해요소들이 피부스트레스로 작용한다. 또한, 도시 생활 등과 같은 과밀화에 의한 정신적 스트레스 또한 피부스트레스로 작용한다.
따라서, 종래 이러한 피부스트레스를 제거하기 위한 조성물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 제 2000-11151호에는 글루타치온, 티오타우린 또는 히포타우린, 타닌 및 비타민 C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여 담배의 연기, 자동차의 배기가스, 화학공장이나 화력발전소의 매연 등의 인위적인 원인에 의하여 대기중에 부유하는 미립자에 의한 스트레스를 제거하는 환경스트레스 방지 외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공개특허 평 10-203994호에는 우유, 대두 및 효모에서 추출한 적어도 1종의 단백질에 프로테아제를 작용시켜 제조한 분자량 500~5,000의 펩티드를 함유하여 우수한 안티스트레스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단순히 부유물질과 같은 외부의 악영향 요인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으로, 내적 요인에 의한 피부스트레스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산화방지성분을 첨가하거나 자외선 차단효과가 있는 원료를 첨가하여야만 한다. 즉, 공지의 조성물들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한 피부 스트레스에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안티스트레스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스트레스로 작용하는 내적, 외적 요인에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활성성분을 찾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항산화 효과가 있는 어성초 추출물과 목련 추출물을 조합하였을 경우, 항염증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아황산가스, 담배염기 등에 의한 피부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피부과산화지질 억제 효과와 세포막 보호효능을 갖는 녹차추출물, 과밀스트레스에 의한 장벽기능의 저하의 방지에 효과가 있는 네오세라미드 또는 정신적 안정에 의해 피부의 보습을 증가시키고, 피부를 진정시킬 수 있는 조합향에, 어성초 추출물과 목련추출물의 혼합물을 부가하였을 경우에, 녹차 추출물, 네오세라미드 및 조합향이 갖는 효능이 더욱 상승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황산가스와 같은 공해물질, 담배연기, 자외선 등과 같은 피부에 미치는 각종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안티스트레스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피부진정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온도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피부진정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안티스트레스 외용제 조성물은 어성초 추출물 0.01~5.00중량%과 목련 추출물 0.01~5.00중량%을 함유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녹차 추출물 0.001~5.00중량%, 하기 구조식 (Ⅰ)의 네오-세라미드 0.01~5.0중량% 및 조합향 0.05~0.5중량%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Ⅰ)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어성초 추출물은 어성초(Houttuynia cordata) 건조물을 50중량% 에탄올에 일주일간 침적시킨 후, 원심분리하고, 그 여액을 냉장보관하면서 숙성시킨다음,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한 것을 사용한다.
종래 어성초 추출물은 체내의 독소와 노폐물을 배출시키는 체내 정화를 목적으로 사용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아황산가스, 담배연기 등과 같은 유해물질에 의한 피부자극 및 염증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억제제로 작용한다.
어성초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0중량% 이상으로 함유되면, 외용제 조성물에 함유된 염의 영향으로 인하여 제형의 점도를 강하시키므로, 장기적으로 제형의 안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0.01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피부자극 및 염증에 대한 유의한 억제작용을 나타낼 수 없으므로, 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목련 추출물은 목련(Mognolia kous)의 줄기 및 뿌리 건조물을 50중량% 에탄올에 일주일간 침적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여과하고, 그 여액을 냉장보관하면서 숙성시킨다음,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한 것을 사용한다.
종래 목련 추출물은 혈행촉진 목적으로 사용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아황산가스, 담배연기 등과 같은 유해물질에 의한 피부자극 및 염증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억제제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목련 추출물 또한 어성초 추출물과 동일한 이유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은 상기한 어성초 추출물과 목련 추출물을 함유하여, 아황산가스와 같은 공해물질, 담배연기 등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조성물로, 각각을 단독으로 함유하는 경우보다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경우에 그 효과가 상승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피부과산화지질 억제 효과와 세포막 보호효능을 갖는 녹차 추출물을 더 함유시키는 경우, 녹차 추출물의 이러한 효과가 더욱 상승되므로,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은 자외선과 같은 피부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에도 효과적이다. 녹차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과밀스트레스에 의한 장벽기능의 저하의 방지에 효과가 있는 네오-세라미드(Ⅰ)를 더 함유시키는 경우, 네오-세라미드(Ⅰ)의 효과가 더욱 상승되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도시생활과 같은 과밀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에도 효과적이다. 네오-세라미드(Ⅰ)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정신적 안정을 도모하여, 피부를 진정시키고, 피부의 수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조합향을 더 함유시키는 경우, 조합향의 효과가 더욱 상승된다. 조합향은 천연에센셜 오일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전체적인 향취계열은 Citrus Hebal Woody계열로 전체 천연 조합향 중량%비로 천연레몬오일(Lemon Oil) 10중량%, 천연라벤더오일(Lavender Oil) 10중량%, 천연카모마일오일(Chamomile Oil) 10중량%, 천연일랑일랑오일(Ylang Ylang Oil) 30중량%, 천연세다우드오일(Cedarwood Oil) 20중량% 및 천연센달우드오일(Sandalwood Oil) 20중량%을 실온에서 혼합교반하여 얻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조합향은 일반적으로 정신적 안정감을 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라벤더 오일에 비해 알파파, 피부저항, 피부온도 등의 생체지표에 있어서 더 우수한 심리적 및 피부진정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조합향은 0.5중량% 이상에서는 강한 향취에 의해 향취선호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0.05중량% 미만에서는 피부온도, 피부저항 및 알파파 등의 생체지표 효과에 대하여 유의한 안티스트레스 작용을 나타낼 수 없으므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0.5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안티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외용제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점착타입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또한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의 제형을 갖는 의약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은 제형에 따라 상기한 성분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하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른 성분들은 더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시험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피부자극완화 효과
시험방법은 Draize's 시험법을 사용하여 목련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의 공해의 주성분인 아황산에 대한 피부자극 완화효과를 측정하였다.
적정한 환경(23±2℃, 상대습도 50±10%)에서 음수와 고형사료를 자유로이 섭취시킨 2~2.5Kg의 웅성 뉴질랜드 흰 토끼에 대해 3마리를 1군으로 구성하여, 24시간 전에 제모한 각 동물의 등 부위를 척추를 중심으로 약 1.5cm X 1.5cm 정도의 크기로 하기 표 1의 시료물질과 대조물질을 동물 1마리당 1.0g씩 투여 부위에 도포하고, 적용부위는 가제로 덮은 후, 비자극성 테이프로 잘 고정하여 24시간 적용시켰다. 적용부위는 24시간 후 및 72시간 후 홍반과 가피형성, 부종형성 등의 자극성 유무를 관찰하였다. 피부반응의 평가는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기준"에 의거하여 판정하였다. 또한, 결과에 대한 자극성의 정도 판정은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일차자극지수의 산출방법에 따랐다(Draize, J.H., Appraisal of safety od chemical in foods, drugs and cosmetics. The staff of division of pharmacology, Food and Drug Education and Welfare, Pub. (1959) 및 Guidelines for the testing of chemical substance(1992). OECD, Paris, France 참조). 한편, 대조물질로 H2SO410% 수용액과 Na2SO410% 수용액을 사용한 이유는 수용액 상태에서 수소 이온과 SOx의 형태로 존재하여 매연의 주성분인 SOx와 유사한 형태의 물질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대조물질로 하여 비교하였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9]
성분 1차 자극 지수
물질1 실시예 1+물질 4 0.25
물질2 비교예 9+물질 4 1.2
물질3 비교예 8+물질 4 1.5
물질4 H2SO410% 수용액 + Na2SO410% 수용액 5.5
표 1의 결과에서 피부일차자극지수 (Primary irritation index, P.I.I)는 하기 표 2의 피부 반응의 정도에 의한 홍반평점과 부종평점의 합의 평균치를 4로 나누어 결정한 것이다. 한편, 상기 표 1의 1차 자극지수는 하기 표 3에 기초하여 평가한다.
피부반응의 정도 평점
1) 홍반과 가피형성홍반이 없음아주 경도의 홍반 (육안으로 겨우 식별할 정도)명료한 홍반중등도에서 강한 홍반심홍색의 강한 홍반과 가피 형성2) 부종형성부종없음매주 가벼운 부종 (육안으로 겨우 식별할 정도)명료한 부종 (주위와 명료한 구분이 됨)중등도의 부종 (1mm 정도 부어 올랐을 경우)강한 부종 (1mm 이상 부어 오르고 노출 부위밖에 까지 확장된 상태) 0123401234
안전성 구분 1차 자극성 지수
0 ~ 0.50.6 ~ 2.02.1 ~ 5.05.1 이상 자극이 없음약한 자극적당한 자극심한 자극
표 1로부터, 어성초 추출물 0.01중량% 및 목련추출물 0.01중량%의 혼합사용한 실시예 1에서 피부자극완화 효과가 상승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항염증 효과
쥐의 귀에 TPA(Tetradecanoyl Phorbol Acetate)를 처리하여 부종을 유발한 후, 15분 경과 후, 하기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어성초 추출물과 목련 추출물을 각각 0.01mg/30㎕ 함유한 시료와, 어성초 추출물을 0.02mg/30㎕ 함유한 시료, 목련 추출물을 0.02mg/30㎕ 함유한 시료를 귀에 도포하고 6시간 경과 후 시료를1회(0.003㎎/30㎕) 더 도포하였다. 최초 TPA 도포 후 24시간 뒤, 쥐 귀의 일정부분을 펀치로 도려내어 무게를 측정하고, MPO(마이엘로퍼옥시다제; Myeloperoxidase) 축적억제(neutrophil 수 평가) 정도를 평가하였다. 염증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아스피린과 염증완화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물질 농도 귀무게억제율(%) MPO축적억제율(%)
어성초 추출물+ 목련 추출물 0.02㎎/30㎕ 80 77
0.003㎎/30㎕ 64 59
아스피린(양성) 0.02㎎/30㎕ 63 51
0.003㎎/30㎕ 36 20
어성초 추출물 0.02㎎/30㎕ 10 8
0.003㎎/30㎕ 7 5
목련 추출물 0.02㎎/30㎕ 15 12
0.003㎎/30㎕ 10 8
표 4로부터, 어성초 추출물과 목련 추출물을 단독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성초 항염증 효과가 미비하나, 추출물과 목련 추출물을 혼합 사용하였을 경우, 국소 항염증 효과가 양성 대조군인 아스피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피부과산화지질 억제 효과
기니픽의 등 부위를 제모한 후, 상기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7의 화장수를 각각 120㎕씩 24시간동안 첩포를 실시한 다음 UVB 50 mJ/㎠를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 18시간후, 피부를 생검하고 20배 용량의 인산나트륨완충용액(pH 7.4)를 가하고 균질화하였다. 얻어진 조직액을 15,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해 실험에 사용하였다. 과산화지질의 정량은 조직상등액을 1%의 tiobarbituric acid (TBA)와 반응시킨 다음, 형광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여기 515㎚, 흡수 553㎚에서 형광도를 측정하고, 표준물질로 1,1,3,3-테트라에톡시 프로판(TEP)를 사용하여 표준 곡선을 작성, 과산화지질을 비교 정량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S. Gonalez, M.A. Pathak : Inhibition of ultraviolet-induced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lipid peroxidation, erythema and skin photosensitization by polypodium leucotomos,Photodermatol. Photoimmunol. Photomed. 12,45-56 (1996) 및 Y. Shido, E. Witt, D. Han : Recovery of antioxidants and reduction in lipid hydroperoxides in murine epidermis and dermis after acute ultraviolet radiation exposure,Photodermatol. Photoimmunol. Photomed. 10,183-191 (1994) 참조).
성분 과산화지질양(nmol/㎎ protein) 과산화지질 생성억제율(%)
비교예 1 838.1±144 0
비교예 7 355.1±48 57
실시예 2 286.8±57 66
표 5로부터, 녹차 추출물이 자외선 조사시 생성되는 자유라디칼에 의한 피부과산화 지질의 생성억제에 효과가 있으며, 이 효과가 어성초 추출물 및 목련 추출물과의 혼합사용에 의하여 더욱 상승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광용혈 억제 효과
실험에 사용된 적혈구는 삼육축산농원(경기도 화성군)에서 구입한 생후 6개월된 건강한 토끼로부터 얻었다. 채혈즉시 시트르산나트륨을 첨가한 시험관에 넣은 후, 3,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적혈구와 혈장을 분리하고, 분리한 적혈구는0.9% 인산나르륨완충용액(pH 7.4, Na2HPO412H2O 1.6mM)으로 세척하여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한 후 침전된 적혈구의 바로 위면에 있는 흰색의 백혈구층을 제거하였다. 이후 3회 반복하여, 세척, 분리한 적혈구는 4℃의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채혈후 12시간이내에 행하였다.
1.5×107RBC/㎖ 현탁액 3.5㎖를 파이렉스 시험관(No.9820)에 넣은 후, 시험물질을 에탄올에 녹여 각각 50㎕씩 첨가하였다. 암소에서 30분간 전배양(pre-incubation)시킨 후, 광증감제로 로즈-벵골(rose-bengal; 12μM) 0.5㎖를 가하고, 파라필름으로 입구를 봉한 후 15분간 광조사하였다. 광용혈에 필요한 광조사는 내부를 검게 칠한 50cm x 20cm x 25cm 크기의 상자안에 20W 형광등(FL-20D 금호전기)을 장치하고, 형광등에서 5cm 거리에 적혈구의 현탁액이 담긴 파이렉스 시험관을 형광등과 평행이 되도록 배열한 후 관을 조사하였다. 광조사가 끝난 후, 후배양(post-incubation)에 의한 적혈구의 파괴속도를 15분 간격으로 700㎚에서 산란에 의한 투광도의 감소로부터 구하였다. 이 파장에서 적혈구의 현탁액의 산란에 의한 투광도의 감소는 적혈구의 농도에 비례한다.
각 시료는 1회당 4개씩하여 평균하였으며 모두 3회씩 반복하고 용혈정도(% hemolysis)는 광조사전의 적혈구 현탁액이 나타내는 O.D.에 대한 용혈이 진행된 적혈구 현탁액의 O.D.의 비로 결정하였는데, 적혈구의 50%가 용혈되는 시간인 τ50을 구하여 비교하였다.
시료 τ50(half-time hemolysis; min)
비교예 1 32
비교예 7 60
실시예 2 260
표 6으로부터, 녹차추출물은 광용혈을 억제할 수 있어 적혈구 세포막에 대한 광보호 효과가 있으며, 어성초 추출물 및 목련 추출물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그 효과가 더욱 상승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동물실험을 통한 군집과밀스트레스에 의한 장벽손상에서의 보호효과
무모생쥐에 과밀스트레스의 부하에 의한 피부기능의 변화에 있어서 장벽기능의 보호효과를 평가하였다. 우선 과밀스트레스를 부하하기 위하여 무모생쥐 사육 우리 27cm x 22cm x 13cm에 10마리를 사육하였으며, 군집과밀스트레스를 부하하고 1일이 경과한 후, 표피수분손실량(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을 스웨덴 서바메드(servomed)사의 증발계(evaporimeter)인 EP1으로 측정하여 기준값으로 삼고, 시료도포군과 스트레스군으로 나누어 하기 비교예 1, 비교예 5, 실시예 3 및 실시예 5의 화장수를 5㎠ 면적에 도포하여 표피수분손실양을 측정하여 감소되는 정도를 평가함으로써 장벽기능이 보호되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각각 2일, 4일 및 7일이 경과한 후에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회복율(%)
2일 경과(초기TEWL기준) 4일 경과(초기TEWL기준) 7일 경과(초기TEWL기준)
비교예 1 68.5 49.3 13.6
비교예 5 55.2 43.2 12.1
실시예 3 40.2 33.8 8.5
실시예 5 30.1 21.2 4.1
표 7로부터, 네오-세라미드에 의해 장벽기능 보호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네오-세라미드를 단독으로 함유하는 경우보다, 어성초 추출물과 목련추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경우에 효과가 상승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6: 피부 진정효과 인체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화장수에 대하여 피부 진정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후각기능이 정상이고, 물리적 및 심리적 스트레스가 없으며, 음주, 담배를 3일전까지 경험하지 않은 20∼30대 성인남여 6명을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험대상자에게 비교예 1~4, 비교예 6 및 실시예 1~5의 화장수를 1분 동안 주는데, 순서에 의한 효과를 없애기 위해 7종류를 random order에 의해 실시하였다. 비교예의 대조군으로는 증류수를 이용하여 실험 전, 실험 중, 실험 후에서 각각 측정하였으며, 또한 각성효과가 좋은 자스민과 이완 효과를 보이는 라벤더 함유군을 비교예로 피부저항 및 피부온도를 뉴로데이타(Neurodata) 1200(Grass, U.S.A)의 장치를 통해 Acqknowledge ver 3.2.4로 분석하였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향을 맡았을 때 코의 점막에 분포되어 있는 감각수용기를 자극하고, 이 신호들이 대뇌로 전달되어 크게 두가지로 대별되는 진정 또는 각성의 감성의 변화를 일으키게 되는데, 이러한 감성의 변화는 자율신경계와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따라서, 자율신경계의 생체지표인 피부저항(GSR-Galvanic Skin Resistance) 또는 피부온도, 중추신경계의 생체지표인 뇌파 등을 측정하여, 감성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다.
실험 결과는 도 1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로부터, 피부각성효과가 있는 자스민향을 함유한 비교예 2의 경우 피부온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고, 자스민과 이완효과가 있는 라벤더향을 혼합한 비교예 4의 경우에는 비교예 2보다 약간 피부 온도가 상승하였으며, 조합향을 함유하는 비교예 6의 경우는 피부 온도가 약간 감소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어성초 추출물과 목련 추출물을 조합향과 같이 사용한 실시예 4의 경우는 어성초 추출물과 목련 추출물만을 함유하는 실시예 1 및 조합향만을 함유하는 비교예 6보다 피부온도의 감소가 크므로, 우수한 피부진정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피부저항의 평가에 있어서도, 피부온도에서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향을 단독으로 함유하는 경우 및 단순 혼합한 향을 함유하는 경우보다 조합향을 함유하는 경우에 피부진정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어성초 추출물과 목련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경우 피부진정효과가 더욱 상승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7: 인체시험을 통한 피부보습력 증가 및 피부 진정효과 측정>
비교예 1~4, 비교예 6, 실시예 4 및 실시예 5의 화장수에 대하여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를 비교하였고, 주관적인 평가를 통하여 피부진정효과에 대한 감성측정을 수행하였다.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는 20~30대 200명을 대상으로 4개조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시험 방법은 하기와 같다. 즉, 각 조에 각각의 화장수를 주고 매일 2회 1개월간 얼굴 및 전박부 부위에 도포하게 하면서 도포 시작 전 항온항습조건(24℃, 습도 40%)에서 코니오미터(corneometer; CM820 courage+Khazaka el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전도도를 측정하여 기본 값을 삼고, 1주, 2주, 4주 경과 후 및 도포를 중지한 지 2주 경과(6주 경과)후 피부수분양의 변화를 측정하여 객관적인 효과를 평가하게 하고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또한, 시험대상자에 대한 설문지를 통하여 주관적인 효능 평가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피부수분증가율(%)
1주경과 2주경과 4주경과 6주경과
비교예 1 8 9 13 4
비교예 2 10 11 25 18
비교예 3 12 14 24 14
비교예 4 12 12 20 14
비교예 6 15 14 23 20
실시예 4 25 24 32 30
실시예 5 40 48 53 47
피부건조 개선평가 (설문)
매우양호 양호 보통 미흡
비교예 1 8 22 54 16
비교예 2 15 45 30 10
비교예 3 25 30 41 4
비교예 4 24 40 20 16
비교예 6 31 28 20 21
실시예 4 52 32 10 6
실시예 5 60 34 6 -
이하, 상기한 시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녹차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목련 추출물, 네오-세라미드 및 조합향을 함유함으로써 피부에 미치는 각종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안티스트레스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여러 제형의 외용제를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6) 유연화장수
구성성분 성분비(중량%)
메틸파라벤천연 안정향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폴리실록산초산토코페롤에탄올네오-세라미드프로필렌글리콜카르복시비닐폴리머녹차추출물어성초추출물목련추출물정제수 적량0.20.60.40.112.00.56.00.120.50.50.5TO 100
(실시예 7): 에센스
구성성분 성분비(중량%)
메틸파라벤천연 안정향옥틸도데스-16콜레스-24/세테스-24폴리실록산초산토코페롤에탄올글리세린네오-세라미드산탄검프로필렌글리콜카르복시비닐폴리머녹차추출물어성초추출물목련추출물정제수 적량0.20.50.20.40.16.015.00.50.074.00.120.50.50.5TO 100
(실시예 8) 영양크림
구성성분 성분비(중량%)
유동파라핀세토스테아릴알코올밀납폴리실록산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스테아레이트네오-세라미드스테아린산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20 E.O)메틸파라벤프로필파라벤천연 안정향에틸렌다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글리세린카르복시비닐폴리머프로필렌글리콜녹차추출물어성초추출물목련추출물정제수 15.02.03.00.52.00.52.00.71.30.20.10.20.025.00.102.00.50.50.5TO 100
(실시예 9) 젤
구성성분 성분비(중량%)
방부제천연 안정향글리세린호호바왁스디엘판텐놀에탄올네오-세라미드카르복시비닐폴리머프로필렌글리콜녹차추출물어성초추출물목련추출물정제수 적량0.25.03.01.07.00.50.63.00.50.50.5TO 100
(실시예 10) 팩
구성성분 성분비(중량%)
메틸파라벤천연 라벤더 향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폴리실록산셀룰로오스검에탄올네오-세라미드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폴리비닐알코올녹차추출물어성초추출물목련추출물정제수 적량0.20.60.20.26.00.55.03.015.00.50.50.5TO 100
(실시예 11); 크림 연고제
구성성분 성분비(중량%)
유동파라핀세토스테아릴알코올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스테아레이트네오-세라미드스테아린산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20 E.O)메틸파라벤프로필파라벤천연 안정향에틸렌다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글리세린카르복시비닐폴리머프로필렌글리콜녹차추출물어성초추출물목련추출물정제수 15.02.02.00.51.50.71.30.20.10.20.023.00.102.00.50.50.5TO 10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용제 조성물은 어성초 추출물과 목련 추출물을 함유하여 공해물질, 담배연기등에 의한 피부자극 및 염증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으며, 녹차추출물, 네오세라미드(Ⅰ) 및 조합향을 더 함유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고, 도시생활 등에 의한 과밀 스트레스로인한 피부장벽기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정서적인 안정을 도모하여 피부의 진정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어성초추출물 0.01∼5.00중량%와 목련 추출물 0.01∼5.00중량%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 완화, 피부 염증 완화, 피부 과산화지질 억제, 광용혈 억제, 군집과밀스트레스에 의한 피부장벽손상보호, 피부 진정 또는 피부 보습력 증진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외용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녹차 추출물 0.01~5.0중량%, 하기 구조식 (Ⅰ)의 네오-세라미드 0.01~5.0중량% 및 조합향 0.05~0.5중량%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 완화, 피부 염증 완화, 피부 과산화지질 억제, 광용혈 억제, 군집과밀스트레스에 의한 피부장벽손상보호, 피부 진정 또는 피부 보습력 증진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외용제 조성물.
    [화학식 1]
    (Ⅰ)
KR1020000029611A 2000-05-31 2000-05-31 피부에 있어서 안티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외용제 조성물 KR100356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611A KR100356677B1 (ko) 2000-05-31 2000-05-31 피부에 있어서 안티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611A KR100356677B1 (ko) 2000-05-31 2000-05-31 피부에 있어서 안티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607A KR20010109607A (ko) 2001-12-12
KR100356677B1 true KR100356677B1 (ko) 2002-10-18

Family

ID=45869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611A KR100356677B1 (ko) 2000-05-31 2000-05-31 피부에 있어서 안티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6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975A (ko) * 2001-09-24 2003-03-31 주식회사 콧데 신이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조절용 조성물
KR20040026268A (ko) * 2002-09-23 2004-03-31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가려움증 완화 효과와 손상된 피부 복구 기능을 나타내는 피부 외용 조성물
KR100898308B1 (ko) * 2007-06-28 2009-05-19 주식회사 리오엘리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96857B1 (ko) * 2014-11-28 2017-01-17 (주)네오팜 두피개선용 조성물
WO2016085160A2 (ko) * 2014-11-28 2016-06-02 (주)네오팜 발모촉진용 또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846A (ja) * 1993-06-30 1995-01-20 Sansho Seiyaku Co Ltd 皮膚外用剤
JPH1017435A (ja) * 1996-06-25 1998-01-20 Shiseido Co Ltd 抗酸化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846A (ja) * 1993-06-30 1995-01-20 Sansho Seiyaku Co Ltd 皮膚外用剤
JPH1017435A (ja) * 1996-06-25 1998-01-20 Shiseido Co Ltd 抗酸化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607A (ko) 200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5756B1 (en) Stable, homogeneous natural product extracts containing polar and apolar fractions
KR101134716B1 (ko) Egcg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1956539A (zh) 一种抗敏舒缓和皮肤屏障修护精华霜
CN111494266A (zh) 一种舒缓抗敏化妆品组合物
US20190000902A1 (en) Passion flower seed extract, and cosmetic, pharmaceutical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KR101803279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28686B1 (ko) 베리과 열매를 섭취한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Saiyed et al. Safety and toxicological evaluation of Meratrim®: An herbal formulation for weight management
KR101627051B1 (ko) 비타민 c 함유 천연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7230977A (ja)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gm−csf)産生抑制剤ii
KR101078888B1 (ko) 조직배양한 에키네시아 부정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356677B1 (ko) 피부에 있어서 안티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외용제 조성물
KR20050117958A (ko) 복방 생약 추출물이 함유된 나노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JP5047511B2 (ja)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gm−csf)産生抑制剤i
KR100823078B1 (ko) 파그라에아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396476B1 (ko) 화장품용 크림 조성물
KR100578626B1 (ko) 기능성 항산화 음료 조성물
KR101221212B1 (ko) 항스트레스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1081178B1 (ko) 수박 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민감성 화장료 조성물
Leny et al. Formulation of Hair Tonic from Ethanol Extract of Sea Hibiscus (Hibiscus tileaceus L.) Leaves in Promoting Hair Growth on Guinea Pig (Cavia porcellus)
Tram et al. Assessment of anti-psoriatic activity of Cassia fistula L. Extract incorporated cream
KR20100067700A (ko) 관동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52553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54984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조성물
KR20130024168A (ko) 복합 조직배양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