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7700A - 관동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관동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7700A
KR20100067700A KR1020080126202A KR20080126202A KR20100067700A KR 20100067700 A KR20100067700 A KR 20100067700A KR 1020080126202 A KR1020080126202 A KR 1020080126202A KR 20080126202 A KR20080126202 A KR 20080126202A KR 20100067700 A KR20100067700 A KR 20100067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composition
kanto
lin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달수
임갑영
김소연
정한순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80126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7700A/ko
Publication of KR20100067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7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동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관동화의 꽃, 잎, 씨앗, 뿌리, 및 줄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위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자극 완화효과, 염증 억제 및 피부보습효과를 나타낸다.
관동화 * 피부자극 완화 * 피부보습 * 염증억제

Description

관동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for skin care containing extract of Tussilago farfara Linne flower}
본 발명은 관동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체내의 제기관을 온도 및 습도 변화와 자외선, 공해물질 등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요즘 급증하고 있는 접촉성 피부염은 외부의 자극 물질을 피부에 적용할 때 피부에서 나타나는 국소적 염증반응으로서, 임상적으로 증상으로는 가려움, 따끔거림, 화끈거림 등의 자극감과 홍반(erythema), 부종(edema) 등의 염증성 자극 반응이 있으며, 조직학적으로는 진피에서 부종이 발견되고 표피와 진피에서 단핵세포의 유입이 관찰된다. 또한, 접촉성 피부염은 임상적 증상이나 발현 기전에 따라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 알러지성 접촉성 피부염, 감각성 자극, 광독성 피부염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은 자극원에 의해 자극받은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사이토카인(cytokines)을 분비하고, 이들이 주위의 세포들에 작용하여 염증매개체, 사이토카인 등을 유리하여 혈 관확장과 혈관투과성의 항진, 및 백혈구(leukocytes)의 이동을 유도하여 자극원의 작용부위에 홍반과 부종 등 염증을 일으키는 비면역 반응이다. 또한, 상기의 알러지성 접촉성 피부염은 면역반응으로 화학물질에 특이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감지하기 어렵고 상대적으로 심각한 임상적 반응을 보이며, 때로는 전신적인 반응을 유도한다. 또한, 상기의 감각성 자극은 홍반이나 부종 등의 임상적 증상을 보이지 않으며 가려움, 따끔거림, 화끈거림 등의 주관적 증상을 보인다. 또한, 상기의 광독성 피부염은 광자극원 분자가 빛과 반응하여 일련의 생리 화학적인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하며, 그 증상은 화끈거림, 가려움, 홍반, 부종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피부염들의 명확한 구분은 어려우며 서로 상충되는 부분이 많다. 어떤 물질이 피부에 자극을 일으키기 위한 공통적인 과정은 물질이 피부에 침투되어 표피 세포나 진피 세포와 상호작용을 하여 면역체계를 활성화시키고, 그 결과 염증반응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와 관련된 많은 제품은 자극이나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서 생활용품(personal care product)을 사용하는 사람 중 10% 이상이 피부에 대한 부작용을 호소하고 있으며, 1990년대 미국에서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0% 이상이 자신을 민감성 피부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최근 화장품은 피부에 실질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에 치중하는 경향이어서 화장품 등의 제품 사용으로 인한 피부 부작용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피부 자극을 완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어 왔으며, 예를 들 면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기능성 원료 자체가 자극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고, 또한 향료, 방부제, 기제 등의 화학물질이 5,500 종 이상 사용되고 있어 각각의 구성 성분에 의하여 여러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들어,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레티노이드(retinoid) 등은 피부세포 재생의 촉진 또는 항주름 효과를 위해 화장품에 함유되지만, 피부 자극을 유발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사용하는 원료자체가 자극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아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의 연구는 한계가 있다.
한편, 화장품이 아닌 의약품에는 자극완화 및 염증 완화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로서, 비스테로이드계인 프루페나믹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등이 있고, 스테로이드 계통으로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물질들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 면에서나 피부용 조성물 배합시의 안정성 면에서 대부분 문제점을 갖고 있으므로 그 사용이 제한되어 있어(김창종, 병태심리학, pp61-69, 1988), 인체에 부작용이 적으면서 항염증 및 자극완화 효과가 있는 물질이 연구, 개발되고 있는 중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효성분으로 관동화추출물을 함유하여 우수한 항염효과, 피부보습 및 피부자극 완화효과를 갖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관동화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99.5중량%로 함유하여 염증을 억제하고 피부자극을 완화시키며, 우수한 피부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관동화추출물을 함유하여 항염증효과와 더불어 피부보습효과를 부여함으로써 피부보습용, 항염증용 등의 외용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관동화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관동(Tussilago farfara Linne)의 꽃이다. 맛은 맵고, 성질은 온(溫)하며 한방에서는 윤폐(潤肺) 작용이 있어서 진해, 거담하는 특징이 있으며, 특히 폐허(肺虛)로 인해 기침이 나 고 가래에 피가 섞일 때 및 폐결핵, 폐농양에 유효한 것(潤肺下氣)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외감성으로 인한 해수, 천식, 상기도감염증에 널리 응용되며, 울체된 기를 풀어 균일한 피부로 가꾸어준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관동화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처리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관동화의 꽃, 잎, 씨앗, 뿌리, 및 줄기 중 하나 이상의 부위를 건조하여 분쇄하고 추출하며, 예를들어 생약재 분쇄물에 물, 탄소수 1~3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디에틸에테르를 분쇄물 건조중량에 대하여 1~15부피배의 양으로 부가한 다음, 냉각콘덴서가 부착된 추출기에서 50~100℃의 온도로 5~24시간동안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상기 분쇄물에 물, 탄소수 1~3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디에틸에테르를 분쇄물 건조중량에 대하여 1~15부피배의 양으로 부가한 다음, 4~25℃ 온도로 3~20일간 침적시켜 추출물을 얻거나; 무수 또는 함수 에탄올 또는 메탄올 추출물에 적당한 양의 물을 가한 뒤 생기는 침전물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기에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또는 디에틸에테르를 가하여 잘 섞은 다음 방치하여 층을 분리시킨 뒤 상층을 분리한 후, 냉각콘덴서가 부착된 추출기에서 추출물을 얻는다.
한편, 상기의 방법으로 얻은 추출물을 저장용기에 보관하며, 저장된 관동화추출물의 방부, 항산화를 위한 처리방법으로는 채취직후의 관동화추출물을 0.2미크론의 공극크기(pore size)를 갖는 여과막을 통과하여 관동화추출물에 존재하는 균, 미생물 및 미생물의 영양분으로 이용되거나 장기보존시 침전, 변성의 가능성이 있 는 분자량이 큰 단백질 등을 제거한 후, 무수에탄올을 최소 7%(w/w)가 되도록 혼합하여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였으며, 처리 직후 바로 밀봉하여 외부와 차단시켜 외부의 균이나 미생물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처리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의 추출물의 여과는 진공펌프를 이용한 감압여과 방식과 정량(peristaltic) 펌프를 이용한 가압여과 방식을 이용하였으며, 두가지 방법 모두 관동화추출물의 여과에 사용할 수 있다. 여과된 추출물은 바로 질소 분위기하에서 밀봉 보관하여 실험에 사용한다.
한편, 초임계 추출조를 이용하여 관동화를 추출할 수 있는데 이는 하기 참조예 1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상기의 관동화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99.5중량%, 바람직하게는 1.0~90.0중량%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의 화장료, 립스틱,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등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샴푸, 린스, 바디크렌저, 비누 등의 세정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또한,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조예 1] 관동화추출물의 추출
100ml의 초임계 추출조에 건조한 관동화를 분쇄하여 5g을 넣고 추출조를 밀봉 하였다. 추출조의 온도를 40℃까지 승온하고 고압 액체 펌프를 장착하여 부틸렌글리콜을 투입하면서 동시에 이산화탄소를 고압용 기체 펌프를 이용하여 투입하여 압력을 300기압까지 올렸다. 추출조의 출구에 부착된 압력조절 밸브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방출시키면서 압력과 온도를 300기압, 40℃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부틸렌글리콜을 30분에 걸쳐 12.5g을 모두 투입하고 고압 액체 펌프의 가동을 중단하고 고압용 기체 펌프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로만 2시간 추출하여 추출조 내부에 남아있는 부틸렌글리콜을 모두 배출하여 추출을 종료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0.05~0.2 μm의 기공 크기(pore size)를 가지는 여과막을 사용하여 여과하고 무수에탄올을 전체 조성물 100을 기준으로 최소 7 %(w/w)가 되도록 혼합하는 후처리를 하는 방법을 거쳐 관동화추출물(수율 30%)을 얻을수 있다.
[시험예 1] 항염증시험(1)
항염증 효과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억제 효과로 평가하였으며, 참조예 1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이용 대식세포를 대상으로 효과를 측정하였다.
우선, 마우스의 복강에서 채취한 대식세포에 최종농도가 500M이 되도록 아스피린을 첨가하여 세포에 잔존하는 사이클로옥시나아제(cyclooxygenase;COX) 활성을 비가역적으로 억제하였다. 다음 전기 현탁액을 96웰의 세포배양관(96well plate)의 각 웰에 100㎕를 하여 5% CO2와 37℃ 조건의 배양기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여 대식 세포를 용기 표면에 부착시켰다. 이어, 부착된 대식 세포를 PBS로 3회 세척한 후 이를 추출물의 효과 시험에 사용하였다. 전기 배양된 대식세포 5x104cell/㎖에 LPS( Lipopolysaccharide)를 1%(w/v)로 함유하는 RPMI 배지를 첨가하여 12시간 동안 배양한 후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유발하고 상기의 추출물을 100㎕처리하여 유리된 프로스타글란딘을 효소면역 분석법(ELISA)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이때, 추출물의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억제 활성은 LPS를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 각각 생성된 프로스타글란딘의 차이를 100%로 설정하고, LPS와 시료를 함께 처리하여 감소된 프로스타글란딘의 백분율을 통하여 대조군과 비교, 판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억제효과
Blank 100%
대조군(아스피린 처리군) 24.0%
관동화 추출물 0.1% 35.2%
관동화 추출물 0.5% 41.7%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아스피린으로 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관동화 추출물 0.1%에 의한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억제효과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관동화 추출물의 사용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효과가 함께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항염증시험 (2)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D 생쥐를 이용한 카라기난 발 부종(Carrageenan foot edema)법을 사용했다.
먼저, 상기 참조예 1의 관동화 추출물 40㎎/㎏을 복강으로 투여한 후 1시간 뒤, 0.1%의 카라기난 용액 0.5㎖를 실험 동물의 뒷발바닥에 주입하여 염증을 유발하였다. 카라기난 주입 직후와 주입 후 4시간 뒤의 쥐의 발부피의 변화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 억제율을 산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85497702-PAT00001
(△V : 발 부피의 변화)
부종 억제 효과
시료 % 억제율
대조군(아스피린 40㎎/㎏) 36± 5
관동화 추출물 40㎎/㎏ 44 ± 3
상기 표 2으로부터 관동화 추출물로 처리한 경우 염증의 억제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국소 항염증 효능
테트라데카노일포르볼 아세테이트(Tetradecanoylphorbol acetate; TPA) 2㎍을 20㎕ 아세톤에 녹이고 ICR 쥐의 귀에 도포하여 부종을 유발하였다. 부종유발한 후 15분, 6시간 뒤에 각각의 하기 표 3의 시료를 도포하였다. 최초 TPA 도포 후 24시간 마우스 귀의 일정 부분을 펀치로 도려낸 후 귀의 무게를 측정하고, 또한 부종 부위로 몰려든 뉴트로필수를 평가하기 위해 마이엘로퍼옥시다아제(myeloperoxidase) 활성을 측정하여 각 시료의 항염증 효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 귀무게 억제율(%) Myeloperoxidase 활성억제율(%)
대조군(아스피린 40㎎/㎏) 54 46
관동화 추출물 40㎎/kg 51 47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관동화 추출물을 처리한 군은 대조군으로 사용한 아스피린 처리군 만큼의 높은 활성억제율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자극완화 시험
여성과 남성 15명(남성 3명, 여성 12명)을 대상으로 직경 1.3㎝ 정도의 원형에 시험물질 20㎕를 스파츌라(spatula)를 이용하여 50회 문질러 주고, 처음 2회는 물질 도포 후 속에 여과지가 없는 힐탑 챔버(hilltop chamber)를 얹은 후 접착제(adhesive)로 고정하여 폐쇄 조건을 만들어 주었다. 힐탑 챔버에 의한 챔버반응이 있어 3회에서 8회까지의 첩포 때는 물질 도포 후 여과지를 얹어 주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시켜주었다. 매 23시간 동안 첩포하고 첩포 제거 후 1시간에 CTFA 가이드라인(1981년)의 터미놀로지(terminology)에 의거하여 검사하였다. 주말에는 첩포하지 않았다. 첩포 종료 후 4일째에는 지연형(delayed type) 반응을 보기 위하여 추가로 검사하였고 결과에 반영하였다. 데이터는 맨 마지막 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Levene's 테스트를 등분산을 확인한 후 ANOVA(Duncan)를 통해 사후 검정 (p<0.05)하여 비교하였다. 판정은 아래 표 4를 기준으로 하였다. 시험물질은 세포 재생의 촉진 또는 항주름 효과를 위해 화장품에 함유되는 기능성 원료 중 하나인 젖산(lactic acid)을 선택하여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비교예 1 및 실시예 1~3을 시행하였으며, 관동화 추출물에 의한 자극완화 효과가 있는지 함께 파악하기 위해 젖산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그 결과를 자극에 대해 반응한 피검자의 반응지수를 날짜별로 합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grade 기호 판정기준
0 - 육안으로
1 + 약한 홍반
2 ++ 강한 홍반
3 +++ 강한 홍반과 부종
4 ++++ 강한 홍반, 부종 및 물집
배합성분(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젖산 3.0 3.0 3.0 3.0
관동화추출물 0.05 0.1 0.3 -
식물성경화유 1.5 1.5 1.5 1.5
스테아린산 0.6 0.6 0.6 0.6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베헤닐 알콜 2.0 2.0 2.0 2.0
아라키딜베헤닐 알콜&아라키딜글루코사이트 1.0 1.0 1.0 1.0
세틸아릴 알콜&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3.0 3.0 3.0 3.0
액상파라핀 11.0 11.0 11.0 11.0
카프릴릭/카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글리세라이드 6.0 6.0 6.0 6.0
방부제, 향,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첩포횟수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1st 1 1 0 3
2nd 1 1 1 5
3rd 0 0 0 3
검사 1 1 1 3
4th 0 0 0 2
5th 0 0 0 3
6th 1 1 0 4
7th 0 1 0 2
8th 0 0 0 7
종류후 4일째 1 0 1 7
SUM 5 5 3 39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젖산(lactic acid)에 의한 피부에 대한 자극 반응이 매우 높은 반면, 본 발명의 관동화 추출물에 의하여 젖산에 의한 피부 자극이 매우 낮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극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관동화추출물은 사용적정량으로 사용하였을 때 피부 자극완화 효과가 더욱 높아짐을 본 데이터로 알 수 있었다.
[시험예 5]
인간으로부터 직접 채취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한 사람의 건조 표피 세포에 관동화추출물과 증류수를 각각 포화 흡수시키고 흡수된 물의 양을 측정한 후, 48시간 건조후의 질량변화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측정된 질량의 변화로부터 피부세포 단위 질량당 흡수된 물의 양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실험은 표피세포에 흡습되는 물의 양을 비교하기 위한 방법으로 실제 사람의 피부에 있어서도 그 보습효과를 예상할 수 있는 한가지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1) 실험방법
사람의 표피세포를 건조시켜 단위질량당 함유된 수분의 양을 일정하게 만든 후, 각각의 표피세포 시료의 무게와 함유된 물의 양을 Kaiser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물의 함량이 측정된 표피세포를 관동화추출물(A) 및 정제수(B)에 각각 24시간 담지하여 포화 흡수시켜준 후, 세포내에 물이 포화흡수된 표피세포를 꺼내서 무게를 달고, 일부를 채취하여 Kaiser 수분측정기로 함유되어 있는 단위질량당 수분의 양을 측정하였다. 이후 다시 48시간 감압건조시키고 무게를 달고난 후, 일부를 채취하여 Kaiser 방법에 의해서 수분량을 측정하여 함유되어 있는 단위질량당 수분의 양을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표피세포에 대한 수분공급능력(수분 mg/표피세포 질량 g)
초기건조상태의 수분함량 포화상태의 수분함량 건조 후의 수분함량
관동화추출물 450 760 630
정제수 450 750 520
상기의 실험으로부터 관동화추출물로 포화 흡습시킨 표피세포가 정제수에 의하여 포화흡습된 표피세포의 재건조과정에 있어 정제수보다 훨씬 많은 물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관동화추출물의 우수한 피부 흡습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관동화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형예를 하기에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
조성 (함량;중량%) 실시예 1
베타인
낫토검
셀룰로오스검
에탄올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초산토코페롤
방부제
색소
관동화추출물
정제수
3.0
0.08
5.0
0.5
0.2
5.0
미량
미량
적량
100까지
[제형예 2] 영양화장수
조성 (함량;중량%) 실시예 2
세칠에칠헥사노에이트
펜타에리스리틸 다이스테아레이트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 스테아레이트
스쿠알란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수첨레시틴
글리세린
트리에탄올아민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방부제
색소

관동화추출물
정제수
5.0
1.0
0.8
2.0
1.5
0.5
8.0
0.2
0.2
미량
미량
미량
적량
100까지
[제형예 3] 영양크림
조성 (함량;중량%) 실시예 3
밀납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세토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수첨레시틴
세칠에칠헥사노에이트
스쿠알란
유동파라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식물추출물
방부제
색소

관동화추출물
정제수
1.0
2.0
2.5
1.5
0.5
5.0
5.0
8.0
8.0
4.0
5.0
미량
미량
미량
적량
100까지
[제형예 4] 에센스
조성 (함량;중량%) 실시예 4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셀룰로오스검
낫토검
히아루론산추출물
아미노프로판술포닉액시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에탄올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트리에탄올아민
방부제

색소
관동화추출물
정제수
15.0
5.0
0.05
5.0
5.0
2.0
0.5
5.0
0.5
0.5
미량
미량
미량
적량
100까지
[제형예 5] 로션
조성 (함량;중량%) 실시예 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수첨레시틴
세칠에칠헥사노에이트
스쿠알란
라놀린
글리세린
카르복시비닐폴리머
가수분해콜라겐
트리에탄올아민
방부제
향료
색소
관동화추출물
정제수
1.5
1.5
0.5
3.0
3.0
2.0
8.0
0.5
1.0
0.5
미량
미량
미량
적량
100까지
[제형예 6] 연고
조성 (함량;중량%) 실시예 6
카프린/카프릴 트리글리세리드
액상 파라핀
수첨레시틴
옥틸도데세스-25
세칠에칠헥사노에이트
스쿠알란
살리실산
글리세린
솔비톨
관동화추출물
정제수
10.0
10.0
6.0
9.0
10.0
1.0
1.0
15.0
10.0
적량
100까지
[제형예 7] 분무제
조성 (함량;중량%) 실시예 7
트리에탄올아민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글리세린
폴리아크릴레이트
관동화추출물
정제수
0.2
3.0
5.0
0.2
적량
100까지

Claims (7)

  1. 유효성분으로 관동화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항염증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자극완화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동화 추출물은 꽃, 잎, 씨앗, 뿌리 및 줄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위에서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동화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99.5 중량% 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동화 추출물은 초임계추출조를 사용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0080126202A 2008-12-12 2008-12-12 관동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00067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202A KR20100067700A (ko) 2008-12-12 2008-12-12 관동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202A KR20100067700A (ko) 2008-12-12 2008-12-12 관동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700A true KR20100067700A (ko) 2010-06-22

Family

ID=42366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202A KR20100067700A (ko) 2008-12-12 2008-12-12 관동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77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177A (ko) * 2017-01-10 2018-07-18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2992A (ko) * 2018-08-24 2020-03-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관동화 유래 세스퀴테르펜 화합물 또는 세스퀴테르펜 강화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1481581A (zh) * 2019-01-25 2020-08-04 大江生医股份有限公司 款冬花萃取物用于提升基因表现量的用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177A (ko) * 2017-01-10 2018-07-18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2992A (ko) * 2018-08-24 2020-03-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관동화 유래 세스퀴테르펜 화합물 또는 세스퀴테르펜 강화 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1481581A (zh) * 2019-01-25 2020-08-04 大江生医股份有限公司 款冬花萃取物用于提升基因表现量的用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89046B (zh) 包含植物提取物的局部护肤制剂
KR101382112B1 (ko) 편백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056815A (ko)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3494737A (zh) 一种以姜花作为抗衰老护肤因子的化妆品制剂及制备方法
KR20100067700A (ko) 관동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64428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102400090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32633B1 (ko)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항염증효과, 피부보호효과와피부탄력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16265B1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JP5047511B2 (ja)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gm−csf)産生抑制剤i
KR2017013755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074985B1 (ko) 유향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13743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0318A (ko) 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33707B1 (ko) 천연 추출물 및 천연 가루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9035B1 (ko) 석류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611505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6320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474049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6114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060071661A (ko) 택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