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815A -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815A
KR20190056815A KR1020170154140A KR20170154140A KR20190056815A KR 20190056815 A KR20190056815 A KR 20190056815A KR 1020170154140 A KR1020170154140 A KR 1020170154140A KR 20170154140 A KR20170154140 A KR 20170154140A KR 20190056815 A KR20190056815 A KR 20190056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oil
extract
wee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3294B1 (ko
Inventor
김동섭
김재훈
성낙윤
이동국
권순영
신해식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엔제이바이오피아 주식회사
우리나무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엔제이바이오피아 주식회사, 우리나무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엔제이바이오피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4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29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61K36/634Forsyth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16Disaccharides, e.g. lactose, lact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자극으로 인한 상처에 의해 소실되거나 노화에 의해 세포사한 피부조직을 재생시키기 위한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미선나무의 잎, 줄기, 열매, 뿌리 및 전초 중에서 단독 또는 복수의 부위로부터 분획하여 제조된 버바스코사이드(verbascoside)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선나무 추출물과,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에 기능성 효능을 발휘하는 성분들을 혼합하여 조성되는 조성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diseases containing extracts of abeliophyllum distichum and extract thereof having skin reproduction effect}
본 발명은 외부 자극으로 인한 상처에 의해 소실되거나 노화에 의해 세포사한 피부조직을 재생시키기 위한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의 개념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어 왔지만 미를 추구하고 획득하려는 노력은 계속되어 왔다.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부드럽고 건강한 피부에서 미를 인식해왔으며, 필연적으로 깨끗한 피부를 만들기 위한 피부미용학적 지식과 기술이 발달해 왔다.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의 3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표피는 피부의 가장 표면에 위치하여 피부결, 수분, 피부색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는 표면에 윤기가 있고 매끄러우며, 탄력성이 좋고 피부결이 섬세하다. 건강한 피부의 각질층은 15 - 20%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고 수분이 10% 이하로 떨어지면 건조해지고 윤기와 탄력이 감소하여 주름이 증가하며 나이들어 보이는 피부가 된다.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피부는 표피와 진피의 경계부위가 편평해지면서 경계부의 면적이 감소하여 외부 손상에 더욱 취약해지고 피부 영양공급이 감소된다. 세포주기가 감소되면서 피부 표면에 덩어리진 각질세포가 거칠고 둔탁한 피부느낌을 줄 뿐만 아니라 진피 두께가 감소되면서 콜라겐이 변성되고 탄력섬유가 파괴되어 쉽게 주름이 생기고 건조함, 노화 등 외관상 변화를 가져온다.
이러한 피부변화 현상을 늦추고, 젊고 산뜻한 외모를 가꾸려는 사회적 요구에 맞춰 최근 화장품의 연구동향이 새로운 원료개발과 상용화에 집중되고 있다. 촉촉하고 탄력 있는 피부는 밝고 유연한 이미지를 보여주기 때문에 보습제, 에센스, 앰플 등 다양한 효과와 성상의 화장품이 꾸준한 인기와 개발을 이어오고 있으며 이는 사람들이 피부미용의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현대사회의 발달과 함께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거칠고 나이들어 보이는 피부를 아름답고 촉촉하게 보이기 위하여 다양한 성분과 형태의 화장품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1337392호에 '돈지 및 죽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이 개시되어 있다.
위 기술은 돈지 및 죽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염증 및 알레르기 등의 피부와 관련된 질병에 효과적이고 피부재생능을 갖도록 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위와 같은 기술은 체계적인 인체적용시험과 과학적인 결과 분석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피부질환 및 피부재생 등의 효과가 종래의 기술보다 우수함을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없었으며, 무엇보다 인체에 대한 안전성 검증이 확보되지 않아 인체에 적용 시 부작용을 수반할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37392호(2013.12.06. 등록)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66092호(2013.06.20. 공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04701호(2016.01.13. 공개)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부작용을 수반하지 않으면서도 피부재생 등의 효과가 우수한 물질을 예의 연구한 결과,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피부재생 및 보습, 각질, 피부 수분 손실량, 안면 볼 리프팅, 탄력, 진피치밀도, 피부톤(맑기), 외부 자극(물리적 자극)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면서 인체에 대해 부작용을 수반하지 않음을 인체적용시험 등을 통해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 적합성과 피부재생능 등의 효과가 우수하며, 화장료, 의약외품 등의 범용이 가능한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미선나무의 잎, 줄기, 열매, 뿌리 및 전초 중에서 단독 또는 복수의 부위로부터 분획하여 제조된 버바스코사이드(verbascoside)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선나무 추출물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은 용매추출(solvent), 증류(hydrodistillation) 및 수증기 증류(steam distillation)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것이고, 상기 용매추출의 용매는 정제수(aqua),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아세톤(acetone), 글리세린(glycerin),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메틸아세테이트(methyl acetat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헥산(hexane), 디에틸에테르(diethylether),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소르비톨(sorbitol)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조성물은 미선나무추출물 1.0 - 29.0wt%, 세라마이드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eramide & caprylic/capric triglyceride) 1.0 - 1.2wt%, 메도우폼씨드오일(maedowfoam seed oil) 3.8 - 4.2wt%, 스쿠알란(squalane) 4.8 - 5.2wt%,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coco caprylrate/caprate) 3.8 - 4.2wt%, 토코페롤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3 - 0.7wt%, 쉐어버터(shea butter) 2.8 - 3.2wt%, 소르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0.8 - 1.2wt%, 칸데릴라왁스(candelilla wax) 1.8 - 2.2wt%,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0.8 - 1.2wt%,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1.8 - 2.2wt%, 미선나무추출수 15.0 - 30.0wt%,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2.2 - 2.8wt%, 알란토인 & 소듐하이아루로네이트(allantoin & sodium hyaluronate) 1.8 - 2.2wt%, 글리세린(glycerin) 2.8 - 3.3wt%,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1.8 - 2.5wt%, 이디티에이/정제수(EDTA/aqua) 0.8 - 1.5wt%, 아데노신 &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즈(adenosine & hydroxy ethylcellulose) 3.8 - 4.2wt%, 소르비탄올리베이트/세테아릴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cetearyl olivate) 2.8 - 3.2wt%,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0.8 - 1.3wt%,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polypeptide-1) 0.8 - 1.2wt%,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4.7 - 5.2wt%, 1,2-헥산디올(1,2-hexanediol) 1.8 - 2.3wt%, 정제수(aqua) 7.4 - 10.5wt% 및 호호바씨오일(jojoba seed oil), 카렌듈라꽃오일(calendula officinalis flower oil), 스윗아몬드오일(sweet almond oil), 캐모마일꽃오일(anthemis nobilis flower oil), 자스민꽃오일(jasminum officinalis flower oil), 두송열매오일(juniperus fruit oil), 라벤더오일(lavender oil), 오렌지껍질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il), 티트리잎오일(melaleuca altemifolia leaf oil), 편백오일(chamaecyparis otbusa oil)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오일 또는 2가지 이상의 오일이 혼합된 보조제제 2.8 - 3.3wt%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조성물은 연고제, 도포제, 패치제 및 액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되거나 또는 크림, 세럼, 앰플, 마스크팩, 유연화장품, 수렴화장품, 영양화장수,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스프레이 및 파우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장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은, 인체 적합성이 탁월하고, 보습, 각질, 피부수분손실량, 안면 볼 리프팅, 탄력, 진피치밀도, 피부톤(맑기), 외부 자극(물리적 자극)에 의한 피부 자극 진정에 우수한 효능을 발휘할 뿐 아니라, 피부장벽강화에 도움을 주며, 보습, 안면 볼 리프팅, 탄력, 진피치밀도가 현저히 개선되어 안티에이징에도 유의한 작용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 처리에 따른 인체 진피 섬유 모세포의 세포증식능을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 처리에 따른 인체 각질 세포증식능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 처리에 따른 인체 피부 각질 세포의 세포이주능을 관찰한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 처리에 따른 인체 피부 각질 세포의 세포이주능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에 대한 사용 전후의 피부수분변화 및 피부수분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의 Epsilon E100에 의한 보습 분석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에 대한 사용 전후의 피부각질도변화 및 피부각질도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의 비디오 마이크로 스코프에 의한 각질 분석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에 대한 사용 전후의 경피수분손실량 및 경피수분손실량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에 대한 사용 전후의 elevations medium값 및 elevations medium값 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의 ANTERA 3D에 의한 안면 볼 리프팅 분석 사진.
도 12는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에 대한 사용 전후의 CoR값 및 CoR값 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13은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에 대한 사용 전후의 진피치밀도 및 진피치밀도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14는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의 DUB-Skin Scanner에 의한 진피치밀도 분석 사진.
도 15는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에 대한 사용 전후의 L* value 및 L* value 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16은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의 전안촬영시스템에 의한 피부톤(맑기) 분석 사진.
도 17은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에 대한 사용 전후의 a* value 및 a* value 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18은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의 ANTERA 3D에 의한 외부 자극(물리적 자극)에 의한 피부 자극 진정효과 분석 사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은,
미선나무의 잎, 줄기, 열매, 뿌리 및 전초 중에서 단독 또는 복수의 부위로부터 분획하여 제조된 버바스코사이드(verbascoside)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은, 용매추출(solvent), 증류(hydrodistillation) 및 수증기 증류(steam distillation)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것이고, 상기 용매추출의 용매는 정제수(aqua),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아세톤(acetone), 글리세린(glycerin),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메틸아세테이트(methyl acetat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헥산(hexane), 디에틸에테르(diethylether),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소르비톨(sorbitol)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의 공급원인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는 국내에서만 유일하게 자생하면서 세계에서 단 1속 1종 밖에 없는 희귀식물로, 현재 환경부는 미선나무를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국가 적색목록 취약(VU) 품목으로 보호 야생식물로 지정되었다. 이러한 미선나무에서 추출한 추출물은 in vitro 선행연구 결과, 미선나무 추출물은 염증반응과 같은 면역 부작용 없이 피부 세포의 재생력이 탁월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항염증, 항산화 효능, 아토피의 완화효과, 피부보호 및 노화방지, 세포활성 효능, 미백 및 주름개선, 보습 등의 기능적 효능이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특히, 미선나무 추출물의 유효성분인 버바스코사이드(verbascoside)는 페닐프로파노이드 글리코사이드(phenylpropanoid glycoside)에 속하는 화합물로 항산화, 항염, 항균 및 면역억제효과 등 여러 가지 생리활성이 보고되었으며, 항암제로서 다양한 종양 세포에 대해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냄이 증명되었다(Wu et. al., 2007;Cardinali et. al., 2012).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미선나무에서 버바스코사이드를 함유하는 추출물을 분리하여 이 추출물을 HaCaT 및 HDF에 대해서 피부재생평가(시험예 1 참조)를 실시한 결과, 세포증식율, 세포이주능 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버바스코사이드가 함유된 미선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추출과정 중 버바스코사이드의 성분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추출효율은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미선나무의 잎, 줄기, 열매, 뿌리 및 전초 중에서 단독 또는 복수의 부위를 택하여 용매추출, 증류 및 수증기 증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매추출을 적용할 경우 용매로서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소르비톨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택하여 사용하는게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에 따른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은,
미선나무추출물 1.0 - 29.0wt%, 세라마이드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eramide & caprylic/capric triglyceride) 1.0 - 1.2wt%, 메도우폼씨드오일(maedowfoam seed oil) 3.8 - 4.2wt%, 스쿠알란(squalane) 4.8 - 5.2wt%,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coco caprylrate/caprate) 3.8 - 4.2wt%, 토코페롤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3 - 0.7wt%, 쉐어버터(shea butter) 2.8 - 3.2wt%, 소르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0.8 - 1.2wt%, 칸데릴라왁스(candelilla wax) 1.8 - 2.2wt%,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0.8 - 1.2wt%,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1.8 - 2.2wt%, 미선나무추출수 15.0 - 30.0wt%,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2.2 - 2.8wt%, 알란토인 & 소듐하이아루로네이트(allantoin & sodium hyaluronate) 1.8 - 2.2wt%, 글리세린(glycerin) 2.8 - 3.3wt%,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1.8 - 2.5wt%, 이디티에이/정제수(EDTA/aqua) 0.8 - 1.5wt%, 아데노신 &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즈(adenosine & hydroxy ethylcellulose) 3.8 - 4.2wt%, 소르비탄올리베이트/세테아릴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cetearyl olivate) 2.8 - 3.2wt%,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0.8 - 1.3wt%,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polypeptide-1) 0.8 - 1.2wt%,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4.7 - 5.2wt%, 1,2-헥산디올(1,2-hexanediol) 1.8 - 2.3wt%, 정제수(aqua) 7.4 - 10.5wt% 및 호호바씨오일(jojoba seed oil), 카렌듈라꽃오일(calendula officinalis flower oil), 스윗아몬드오일(sweet almond oil), 캐모마일꽃오일(anthemis nobilis flower oil), 자스민꽃오일(jasminum officinalis flower oil), 두송열매오일(juniperus fruit oil), 라벤더오일(lavender oil), 오렌지껍질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il), 티트리잎오일(melaleuca altemifolia leaf oil), 편백오일(chamaecyparis otbusa oil)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오일 또는 2가지 이상의 오일이 혼합된 보조제제 2.8 - 3.3wt%를 포함하여 조성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을 조성하는 각 성분들의 특징 및 효능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선나무추출물: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핵심성분으로서, 미선나무에 형성된 잎, 줄기, 열매, 뿌리 및 전초 중에서 단독 또는 복수의 부위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건조시켜 분말화한 것이다. 버바스코사이드(verbascosid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녹차의 약 10배에 해당하는 폴리페놀(polyphenol)과 항염작용, 항암작용 및 항산화작용 등의 작용기작을 하는 물질을 다량 보유하고 있다.
·세라마이드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eramide & caprylic/capric triglyceride): 세라마이드(ceramide)는 스핑고지질(sphingolipid)의 공통구조 단위로, 스핑고신(spingosin) 염기의 아미노기에 지방산이 산아미드 결합(펩타이드 결합)한 구조를 지닌 화합물로서, 친수성기와 친유성기를 같이 가지고 있어서 피부에 있는 수분의 증발을 억제함과 동시에 수분을 함유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외부에서 체내로 병균 및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저지하고, 상처 입은 피부장벽을 빠르게 복원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는 동식물에서 얻을 수 있는 천연 지방의 일종으로, 코코넛 야자유 등으로 만들어진 지방산에서 카프릴릭애씨드(caprylic acid)와 카프릭애씨드(capric acid)를 분획하여, 그 분획된 지방산을 글리세린과 반응시켜 만든 합성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s)이다. 이 성분을 함유시켜 제조된 크림을 피부에 도포 시 끈적임이나 번들거림이 적고 침투성이 뛰어나 발림성이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불포화지방산(unsaturated fatty acid)을 함유하지 않아 산화안정성이 우수하다.
·메도우폼씨드오일(maedowfoam seed oil): 림베티스알바식물의 씨앗에서 추출한 오일로, 피부에 촉촉함을 부여하고 보습, 피부 코팅효과, 수분 손실방지, 피부 트러블 완화 효과 및 피부에 빠른 흡수의 특징을 갖는다.
·스쿠알란(squalane): 화장품유제 중에서도 다른 유성물질과의 혼화성이 좋고, 또한 처방에서도 지극히 배합이 용이하고 다양한 제형에 응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는 성분이다.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coco caprylrate/caprate): 코코넛 알코올과 카프릴릭애씨드(caprylic acid) 및 카프릭애씨드(capric acid)의 에스터 혼합물이고, 피부 유연화제로 피부에 용이하게 도포되도록 돕는 유성성분이다.
·토코페롤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대두 및 다양한 식물에서 얻어진 토코페롤(tocopherol)과 아세틱애씨드(acetic acid)의 아세틸화시켜 얻은 성분으로서, 식물성 비타민 E의 유도체로 항산화 능력이 대단히 높은 물질이고, 산화방지제의 역할을 하며, 로션, 크림 등 유화화장품에 첨가된 오일들이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 및 변질되는 것을 막아주고,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 방지와 주름 개선에도 유의한 작용을 한다.
·쉐어버터(shea butter): 손상된 피부를 재생시키는 기능이 우수한 식물성 버터로서, 피부에 탄력을 부여하고, 보습력을 강화시켜 피부를 보호하기 때문에 발진 진정, 자외선 차단 등에 도움을 준다.
·소르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주로 소르비톨(sorbitol)에서 유래된 헥시톨안하이드라이트(hexitol anhydrit)와 올리브오일에서 유래된 지방산의 모노에스터로, 서로 섞이지 않는 성분들의 계면을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칸데릴라왁스(candelilla wax): 칸데릴라(candelilla)에서 추출하여 얻은 왁스 성분으로, 점성이 높은 특징이 있으며, 피부에 유분기를 제공하여 수분 증발을 차단시켜주는 보습효과를 지닌다.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복합성, 계면활성제, 세정제, 유화제, 완화제 등으로 사용되는 고급지방산으로, 다른 물질들이 용제 내에서 손상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제형을 유지시켜주며 피부에 유분기를 공급하여 보습막을 형성하는 보습성질을 지닌다. 또한, 친수성의 성질을 지닌 유화제로서 계면장력을 낮춰주기도 한다.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야채나 열매 등에서 추출된 식물성 물질로,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및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로 구성된 지방알코올의 혼합물이다. 유화안정제로서 각 물질들이 잘 섞이도록 하고, 우수한 발림성으로 인해 피부에 용이하게 스며들어 피부를 보호하며 피부의 유연성 향상에 도움을 준다.
·미선나무추출수(WF ultra vacuum extracts): 미선나무는 물푸레 나무과의 식물로 열매의 둥근 부위를 닮아 '미선나무' 라고 명명하는데, 이러한 미선나무는 우리나라에서만 서식하는 관목으로서 세계유일의 1속 1종의 천연기념물이며, 주요 효능으로는 녹차의 약 10배에 달하는 폴리페놀(polyphenol) 성분과 항염작용, 항암작용 및 항산화작용 등의 작용기전을 하는 성분을 다량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미선나무추출수는, 가공된 미선나무에 용매를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이 혼합된 혼합물에서 추출용액을 추출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여 미선나무추출수를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매로는 70% 에탄올(ethanol), 정제수, 메탄올(methanol), 글리세린(glycerin),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에테르(ethyl ether) 및 헥산(hexane)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을 동일비율로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선나무추출수의 추출은 총 고형량에서 불용성 고형물량을 뺀 나머지인 가용성 고형물의 농도를 20°brix 내지 21°brix가 될 때까지 추출하는게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농도범위에서 유기산 등의 함량이 가장 많기 때문이다.
상기 미선나무추출수는 초진공 상태를 유지하는 추출기를 통해 수득하는게 바람직하나, 이미 공지된 것이나 상업상 이용 가능한 추출장치 또는 추출방법 등을 적용하여 추출할 수도 있다.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비타민 B3 유도체로서, 항산화성분과 동시에 세포대화성분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열과 빛에도 안정적으로 작용하며, 피부에 도포 시 수분손실을 막으며, 진피의 미세 순환을 자극시키는 작용을 한다.
·알란토인 & 소듐하이아루로네이트(allantoin & sodium hyaluronate): 알란토인(allantoin)은 주로 여러해살이 풀인 캄프리(comfrey), 상수리나무, 밀의 싹 등에서 추출한 천연물질로, 살아있는 세포와 죽은 세포 사이의 세포간질에 함수를 증가시켜 각질을 제거하고,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여 피부를 부드럽게 하며, 세포의 분아 번식을 증진시켜 피부의 상처 치유를 돕는다. 또한, 자극과 항원에 민감한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소듐하이아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는 '히알루론산' 이란 명칭으로 명명하기도 하며, 피부에 일정량 존재하는 천연보습인자로써, 수분함량이 일반 수분인자의 약 6,000배에 달한다. 따라서, 핸드크림, 보습젤, 크림과 같이 보습성분을 중점으로 하는 제품에 주로 사용된다.
·글리세린(glycerin): 동식물의 지방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으로서, 점성이 강하며 습윤성 및 특유한 용해력이 있어 점조제, 보습제, 보향제, 용제로 사용된다.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입자가 큰 알코올로, 수분을 끌어당기며 흡수성이 강해서 강한 보습제 성분으로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컨디셔닝제, 용제 등으로도 사용된다.
·이디티에이/정제수(EDTA/aqua): 이디티에이(EDTA)는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의 약어로 통용되는 물질로, 비타민 C의 산화방지 및 금속이온봉쇄제로 사용된다.
·아데노신 &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즈(adenosine & hydroxy ethylcellulose): 아데노신(adenosine)은 아데닌(adenine)과 D-리보오스(D-ribose)가 결합한 뉴클레오티드, 리보 핵산(RNA)이나 ATP 성분으로, 동식물 또는 미생물 등 모든 생물체의 세포에 존재하여 생화학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인체 세포 내의 성분으로 피부에 침투 시 안정성과 지속성이 뛰어나고, 피부세포자생력을 회복시켜줌과 동시에 항염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여드름 및 지성피부 트러블 개선에도 효과적이다.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즈(hydroxy ethylcellulose)는 하이드록시에칠 곁사슬을 갖는 변형된 셀룰로오즈 폴리머(cellulose polymer) 성분으로, 피부에 얇은 피막을 형성하여 피부를 부드럽게 감싸고, 다른 물질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유화 안정에 도움을 준다. 또한, 겔(gel)을 형성하는 작용을 하여 점도를 개선하는 기능도 한다.
·소르비탄올리베이트/세테아릴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cetearyl olivate): 소르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는 올리브오일 유래 천연 유화제로 주로 소르비톨(sorbitol)에서 유래된 헥시톨안하이드라이드와 올리브오일에서 유래된 지방산의 모노에스터이다. 실온에서는 고체상태이지만 열을 받게 되면 액상으로 변화하는 특성을 지니며, 주로 유화제 및 점증제로 사용된다. 세테아릴올리베이트(cetearyl olivate)는 식물성, 수분증발차단제, 보습제, 올리브오일 유도체로, 올리브오일의 지방산과 세테아릴알코올의 에스터이다. 주로 피부 유연화제로 사용되는 성분으로 피부에 자극이 없는 특성이 있다.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단일사슬인간재조합 펩타이드 성분으로서, 피부 장벽을 탄탄하게 채워서 강화시키고, 피부 노화로 인해 생긴 주름에 탄력을 부여하는데 관여하며, 피부 주기의 순환을 촉진하여 새로운 피부층으로의 전환에 도움을 준다.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polypeptide-1): 피부를 구성하는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를 자극하여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elastin), 피브로넥틴(fibronectin) 등과 같은 세포의 합성을 촉진하는데 관여함으로써, 피부 노화로 인해 감소한 활성을 증대시킨다.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트리펩타이드-1(tripeptide-1)의 카퍼복합체 성분으로, 피부 장벽을 강화하여 재구축하고 피부에 컨디셔닝을 부여하여 생기있고 건강한 피부로 가꾸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주름진 피부에 탄력을 강화시키고, 순환을 촉진시키는데 관여하여 피부상태를 개선하고 새로운 피부층으로의 전환에 도움을 준다.
·1,2-헥산디올(1,2-hexanediol): 알파-리포산(α-lipoic acid), 디오스게닌(diosgenine), 글루코사민(glucosamine)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화합물로서, 산화방지 효과가 있으며, 물(정제수)과의 상용성이 높고 화장품을 제조할 때 제형변화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물질이다. 주로 제품 안정화 기능, 용제의 기능 및 보습기능을 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을 조성하는 성분 중, 보조제제를 구성하는 각 성분들의 특징 및 효능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호호바씨오일(jojoba seed oil): 호호바의 종자로부터 얻어지는 액상 에스테르유(산과 알코올이 작용하여 탈수 반응을 일으켜 생긴 화합물을 통틀어 일컫음)로서, 안정성, 감촉 면에서 우수하고, 기초화장품을 중심으로 유상원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호호바씨오일은 다른 식물유에 비해 유성감이 적은 유지로서, 피지의 한 성분인 왁스에스테르(wax ester)의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피부와 친숙하기 쉽다. 그 때문에 유액, 크림, 바디오일, 핸드로션 등의 스킨케어 제품, 립스틱, 파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 제품에 사용된다.
·카렌듈라꽃오일(calendula officinalis flower oil): 마리골드의 꽃을 해바라기 오일 등에 넣어 우려낸 침출 오일이다. 상처가 생긴 부위의 피부나 점막을 치유하고 보호하는 작용을 하며, 민감한 피부에 이로운 효능을 발휘한다. 또한, 항염증작용과 항진균작용이 우수하여 베인 상처나 습진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스윗아몬드오일(sweet almond oil): 아몬드의 종자에서 뽑아낸 담황색의 무취 오일이다. 다른 오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양분이 많고 단백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피부를 부드럽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타민 D, E와 미네랄 등을 함유하고 있어서 피부의 가려움을 억제하고 건성 피부, 염증성 질환에 효과적이며 지친 피부를 회복시킨다.
·캐모마일꽃오일(anthemis nobilis flower oil): 심신을 안정시키고 불면증에 효과적이며, 피부를 부드럽고 탄력있게 해준다. 두통, 편두통, 신경통, 치통 등과 여성의 생리 장애에도 효과적이면서 모든 알레르기 피부에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자스민꽃오일(jasminum officinalis flower oil): 감미로운 향기가 로맨틱한 무드를 조성하며 기분을 부드럽게 해준다. 또한, 중증 우울증에 효과가 있으며 에너지를 발생시켜 활력을 찾게 해준다. 최근에는 여성의 성적 장애를 개선하고, 남성의 정자 수를 증가시켜 불임증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
·두송열매오일(juniperus communis fruit oil): 다이어트에 도움을 주고, 비뇨기계 살균 소독과 방광염, 배뇨, 신장 결석 완화에 효과적이다. 또한, 해독 작용을 하여 육식과 과식에서 오는 독성을 해소시키며 여성의 생리를 정상화시키고 통증이 수반된 경련을 완화시킨다.
·라벤더오일(lavandula augustifolia oil): 주요 화학성분은 아세트산리날릴(linalyl acetate), 아세트산라반둘릴(lavandulyl acetate) 등의 에스테르계와 리나놀(linalool), 게라니올(geraniol) 등의 알코올계로 독성과 자극이 없는 안전한 오일이며, 아로마세러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오일이기도 하다.
·오렌지껍질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il): 긴장을 완화시켜주고 만성 불안증과 우울증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스트레스 해소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여성의 생리전 긴장과 갱년기 증상인 흥분, 외로움 등의 불안을 호전시키는 효과도 있다. 특히, 피부 세포의 재생 효과가 우수하며, 건성, 민감성 및 노화피부에도 좋은 효능을 발휘한다.
·티트리잎오일(melaleuca altemifoila leaf oil): 티트리잎 오일은 면역체계를 활성화시켜 전염성 질병을 퇴치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백혈구를 활성화시키고, 항균, 항진균 효과가 있으며, 유행성 감기, 헤르페스(herpes), 카타르(catarrh)와 선열 및 치주질환인 치은염에도 효과가 있다.
·편백오일(chamaecyparis otbusa oil): 알레르기 및 피부질환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아토피의 주요원인 중 하나인 집먼지진드기의 기피효과가 뛰어나고, 새집증후군을 일으키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중화시킨다. 또한, 아토피나 알레르기 질환의 가장 괴로운 부분인 피부 가려움증을 크게 완화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선나무추출물은 피부재생능 등의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전체 조성비의 함량 중 1.0wt% 내지 29.0wt%가 첨가된다. 상기 미선나무추출물이 29.0wt%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기능성은 증대될 수 있으나, 필요 이상으로 첨가됨으로써 비경제적이고, 1.0wt%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피부재생능이 현저히 저하된다.
상기 세라마이드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eramide & caprylic/capric triglyceride)는 상처 입은 피부 장벽을 빠르게 복원시켜주는 기능을 하는 성분으로서, 전체 조성비의 함량 중 1.0wt% 내지 1.2wt%가 첨가된다. 이때, 상기 세라마이드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가 1.2wt%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최종적으로 조성된 조성물을 크림 형태 등으로 제형화하여 피부에 도포 시 끈적임 또는 번들거림이 심해지고, 1.0wt%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피부재생 등의 기능성을 발휘하기 어렵다.
상기 메도우폼씨드오일(maedowfoam seed oil)은 피부 트러블 완화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서, 전체 조성비의 함량 중 3.8wt% 내지 4.2wt%가 첨가된다. 상기 메도우폼씨드오일이 4.2wt%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오일성분이 과다해져 제형화 과정에서 안정성이 저하되고, 3.8wt%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피부 트러블 완화 기능이 미약해진다.
상기 스쿠알란(squalane)은 타 성분과의 혼화성 향상을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서, 전체 조성비의 함량 중 4.8wt% 내지 5.2wt%가 첨가된다. 이때, 상기 스쿠알란이 상기 조성 범위를 벗어나게 첨가될 경우 타 성분과의 혼화성 저하는 물론이고 점도 조절의 기능 또한 발휘하기 어렵다.
상기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coco caprylrate/caprate)는 피부 유연화제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크림 형태로 제형화할 경우 피부에 용이하게 도포되도록 하기 위한 성분으로, 전체 조성비의 함량 중 3.8wt% 내지 4.2wt%가 첨가된다. 상기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가 4.2wt%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상 분리가 비교적 쉽게 발생하여 제형상에 안정성이 저하되고, 3.8wt%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피부 유연화제로서의 기능이 저하된다.
상기 토코페롤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는 항산화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전체 조성비의 함량 중 0.3wt% 내지 0.7wt%가 첨가된다. 상기 토코페롤아세테이트가 0.7wt%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필요 이상으로 과다 첨가되어 비경제적이고, 0.3wt%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그 첨가량이 미미하여 항산화기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상기 쉐어버터(shea butter)는 피부 보습 및 진정 효과를 부여하는 성분으로서, 전체 조성비의 함량 중 2.8wt% 내지 3.2wt%가 첨가된다. 상기 쉐어버터가 3.2wt%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함량 증가에 비해 그 효과 증대가 크지 않고, 2.8wt%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피부 보습 및 진정 효과가 미약하다.
상기 소르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는 계면 활성을 유도하고 안정화 작용을 하도록 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서, 전체 조성비의 함량 중 0.8wt% 내지 1.2wt%가 첨가된다. 한편, 상기 소르비탄올리베이트가 상기 조성 범위를 벗어나도록 첨가될 경우 계면 활성 기능과 안정화 작용이 현저히 저하된다.
상기 칸데릴라왁스(candelilla wax)는 피부에 유분기를 제공하고 수분증발을 차단시켜주는 보습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 조성비의 함량 중 1.8wt% 내지 2.2wt%가 첨가된다. 이때, 상기 칸데릴라왁스가 2.2wt%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필요 이상으로 첨가됨으로 인해 비경제적이고, 1.8wt%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보습효능이 미약하다.
상기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는 천연 유래 지방산으로, 전체 조성비의 함량 중 0.8wt% 내지 1.2wt%가 첨가되는데, 상기 스테아릭애씨드가 상기 조성 범위를 벗어나게 첨가될 경우 점도 유지가 되지 않아 최종 제조된 조성물을 보관 시 상 분리 현상이 쉽게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은 피부 보호와 유연성 향상을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전체 조성비의 함량 중 1.8wt% 내지 2.2wt%가 첨가된다. 이때, 상기 세테아릴알코올이 상기 조성 범위를 벗어나게 첨가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피부 보호 및 유연성 향상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상기 미선나무추출수는 미선나무파우더와 더불어 피부재생능 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된다. 상기 미선나무추출수는 전체 조성비의 함량 중 15.0wt% 내지 30.0wt%가 첨가되는데, 30.0wt%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성분 증가에 비해 효과 증진이 그리 크지 않아 비경제적이고, 15.0wt%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피부재생능 등의 기능성 발휘가 어렵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는 피부컨디셔닝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서, 전체 조성비의 함량 중 2.2wt% 내지 2.8wt%가 첨가된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가 2.8wt%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필요 이상으로 첨가됨으로 인해 비경제적이고, 2.2wt%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피부컨디셔닝과 같은 기능성을 발휘하기 어렵다.
상기 알란토인 & 소듐하이아루로네이트(allantoin & sodium hyaluronate)는 각질 분해 작용과 항염 작용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서, 전체 조성비의 함량 중 1.8wt% 내지 2.2wt%가 첨가된다. 상기 알란토인 & 소듐하이아루로네이트가 2.2wt%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필요 이상으로 과다 첨가됨으로 인해 비경제적이고, 1.8wt%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그 첨가량이 미미하여 각진 분해 및 항염 작용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
상기 글리세린(glycerin)은 점성이 강하고 습윤성 및 용해력이 있는 성분으로, 전체 조성비의 함량 중 2.8wt% 내지 3.3wt%가 첨가된다. 상기 글리세린이 3.3wt%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유지성분이 과다해져 제형화 과정에서 안정성이 저하되고, 2.8wt%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최종 제조된 조성물의 건조화가 빨리 진행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은 보습제 기능을 부여하며, 전체 조성비의 함량 중 1.8wt% 내지 2.5wt%가 첨가된다. 상기 부틸렌글라이콜이 2.5wt%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흡수력이 강해져 제형화 과정에서 안정성이 저하되고, 1.8wt%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구성성분들을 용해시키는 용해력이 약해진다.
상기 이디티에이/정제수(EDTA/aqua)는 주로 보존제 기능을 하는 성분으로, 전체 조성비의 함량 중 0.8wt% 내지 1.5wt%가 첨가된다. 상기 이디티에이/정제수가 1.5wt%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이온 반응이 급격히 증가되어 제형화 과정에서 안정성이 저하되고, 0.8wt%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빠른시간 내에 변질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상기 아데노신 &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즈(adenosine & hydroxy ethylcellulose)는 조성물에 안정성 및 지속성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서, 전체 조성비의 함량 중 3.8wt% 내지 4.2wt%가 첨가된다. 상기 아데노신 &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즈가 4.2wt%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필요 이상으로 첨가됨으로 인해 비경제적이고, 3.8wt%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항염 등의 기능성 발휘가 미약하다.
상기 소르비탄올리베이트/세테아릴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cetearyl olivate)는 계면 활성을 유도하고 안정화 작용을 돕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서, 전체 조성비의 함량 중 2.8wt% 내지 3.2wt%가 첨가된다. 한편, 상기 소르비탄올리베이트/세테아릴올리베이트가 상기 조성 범위를 벗어나게 첨가될 경우 계면 활성 기능 및 안정화 작용을 발휘하기 어렵다.
상기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은 피부 장벽 강화 및 피부노화로 인해 형성되는 주름에 탄력이 부여되도록 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전체 조성비의 함량 중 0.8wt% 내지 1.3wt%가 첨가된다. 한편, 상기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이 상기 조성 범위를 벗어나게 첨가될 경우 피부 장벽 강화 및 주름에 탄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상기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polypeptide-1)은 세포 합성을 촉진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전체 조성비의 함량 중 0.8wt% 내지 1.3wt%가 첨가된다. 이때, 상기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이 1.3wt%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제형화 과정에서 안정성이 저하되고, 0.8wt%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세포 합성능력이 급격히 저하된다.
상기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은 피부에 컨디셔닝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전체 조성비의 함량 중 4.7wt% 내지 5.2wt%가 첨가된다. 상기 카퍼트리펩타이드-1이 5.2wt%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타 성분과의 혼화성이 저하되고, 4.7wt%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컨디셔닝의 기능성 발휘가 미약하다.
상기 1,2-헥산디올(1,2-hexanediol)은 산화방지 작용을 하는 성분으로, 전체 조성비의 함량 중 1.8wt% 내지 2.3wt%가 첨가된다. 이때, 1,2-헥산디올이 상기 조성 범위를 벗어나게 첨가될 경우 제형화 과정에서 안정성이 급격히 저하된다.
상기 정제수(aqua)는 전체 조성비의 함량 중 7.4wt% 내지 10.5wt%가 첨가된다. 상기 정제수는 이온들이 거의 제거된 순수한 물을 사용하는게 바람직하며, 10.5wt%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 조성물의 성상이 무르게 되고, 7.4wt%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조성물의 고체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성분들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조성물은 피부재생 효과를 기대하는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고, 연고제, 도포제, 패치제 및 액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되거나 또는 크림, 세럼, 앰플, 마스크팩, 유연화장품, 수렴화장품, 영양화장수,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스프레이 및 파우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장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미선나무 추출물 제조
미선나무 잎을 세척하여 음건하고 시험용 분쇄기로 분쇄하여 미선나무 잎 분쇄 파우더를 준비하였다. 준비된 미선나무 잎 분쇄 파우더 100g에 70% 주정 900㎖를 가하여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하였고, 추출된 추출물을 감압필터하여 상등액을 모으고 동결시켜 최종적으로 버바스코사이드(verbascoside)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선나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미선나무 추출물이 함유된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제조
복수의 보조제제인 호호바씨, 카렌듈라꽃, 스윗아몬드, 캐모마일, 자스민꽃, 두송열매, 라벤더, 오렌지껍질, 티트리잎 및 편백나무에서 통상의 추출기로 착즙, 용매추출법과 수증기증류법을 적용하여 오일을 추출하였다.
다음,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미선나무추출물 1.0 - 29.0wt%, 세라마이드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eramide & caprylic/capric triglyceride) 1.0 - 1.2wt%, 메도우폼씨드오일(maedowfoam seed oil) 3.8 - 4.2wt%, 스쿠알란(squalane) 4.8 - 5.2wt%,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coco caprylrate/caprate) 3.8 - 4.2wt%, 토코페롤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3 - 0.7wt%, 쉐어버터(shea butter) 2.8 - 3.2wt%, 소르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0.8 - 1.2wt%, 칸데릴라왁스(candelilla wax) 1.8 - 2.2wt%,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0.8 - 1.2wt%,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1.8 - 2.2wt%, 미선나무추출수 15.0 - 30.0wt%,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2.2 - 2.8wt%, 알란토인 & 소듐하이아루로네이트(allantoin & sodium hyaluronate) 1.8 - 2.2wt%, 글리세린(glycerin) 2.8 - 3.3wt%,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1.8 - 2.5wt%, 이디티에이/정제수(EDTA/aqua) 0.8 - 1.5wt%, 아데노신 &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즈(adenosine & hydroxy ethylcellulose) 3.8 - 4.2wt%, 소르비탄올리베이트/세테아릴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cetearyl olivate) 2.8 - 3.2wt%,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0.8 - 1.3wt%,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polypeptide-1) 0.8 - 1.3wt%,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4.7 - 5.2wt%, 1,2-헥산디올(1,2-hexanediol) 1.8 - 2.3wt%, 정제수(aqua) 7.4 - 10.5wt% 및 복수의 추출오일인 보조제제 2.8 - 3.3wt%를 통상의 혼합기를 통해 교반시켜 본 발명에 따른 미선나무 추출물이 함유된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구성성분 및 함량을 나타내었다.
구성성분 함량(wt%)
미선나무추출물 1.0 - 29.0
세라마이드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0 - 1.2
메도우폼씨드오일 3.8 - 4.2
스쿠알란 4.8 - 5.2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3.8 - 4.2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3 - 0.7
쉐어버터 2.8 - 3.2
소르비탄올리베이트 0.8 - 1.2
칸데릴라왁스 1.8 - 2.2
스테아릭애씨드 0.8 - 1.2
세테아릴알코올 1.8 - 2.2
미선나무추출수 15.0 - 30.0
나이아신아마이드 2.2 - 2.8
알란토인 & 소듐하이아루로네이트 1.8 - 2.2
글리세린 2.8 - 3.3
부틸렌글라이콜 1.8 - 2.5
이디티에이/정제수 0.8 - 1.5
아데노신 &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즈 3.8 - 4.2
소르비탄올리베이트/세타아릴올리베이트 2.8 - 3.2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0.8 - 1.3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 0.8 - 1.2
카퍼트리펩타이드-1 4.7 - 5.2
1,2-헥산디올 1.8 - 2.3
정제수 7.4 - 10.5
보조제제
(호호바씨오일, 카렌듈라오일, 스윗아몬드오일, 캐모마일오일, 자스민꽃오일, 두송열매오일,
라벤더오일, 오렌지껍질오일, 티트리잎오일,
편백오일)
2.8 - 3.3
[시험예 1] 피부 재생능력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의 인체 피부 재생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피부 재생능력 평가를 진행하였다.
시료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파우더 형태의 미선나무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1. 세포배양
사람 피부 각질세포주(keratinocyte, HaCaT) 및 인체진피 섬유 모세포(HDF)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Manassas, VA, USA)으로부터 입수하였다. 입수된 세포들은 2mM L-glutamine, 100U/㎖ penicllin 100㎎/㎖ streptomycin, 10% fetal bovine serum(FBS)이 첨가된 DMEM 배지에 배양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2. 세포증식능 측정
HaCaT 및 HDF 세포를 96 well plate에 3×104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한 후 37℃, 5% CO2 incubator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세포를 완전히 부착시켜 미선나무 추출물을 12.5, 25, 50, 100 및 200㎍/㎖의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well 당 30㎕의 3-[4,5-dimethylthia 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thiazolyl blue(MTT; Sigma, St. Louis, MO, USA) 용액(5㎎/㎖)을 첨가하여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MTT시약의 첨가로 형성된 formazan을 녹이기 위해서 dimethyl sulfoxide(DMSO, Sigma)를 100㎕씩 첨가하고 1시간 후 mirc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17㎚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대조구(medium only)의 흡광도 값을 기준으로 세포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3. 세포이주능 측정
HaCaT 세포를 24 well plate에 1×105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FBS를 포함하지 않는 배지로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각각의 well에 200㎕ tip으로 스크래치를 형성하고 2회 washing 처리하여, 부착되지 않은 세포를 완전히 제거한 후 미선나무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 처리 후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한 다음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2회 washing 처리하여 fixing한 후 현미경으로 사진을 촬용하고 wound healing이 된 정도를 관찰하였다.
또한, trans-well plate를 이용하여 8㎛ pore의 poly-carbonate membrane(Neuro Probe, Cabin John, MD, USA)은 0.1㎎/㎖의 type Ⅰ collagen으로 30분간 코팅 후 60분 이상 말려주었다. lower chamber에는 0.1% bovine serum albumin(BSA)가 포함된 DMEM, rhEGF 및 PBS에 용해된 미선나무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그 위에 membrane을 올려놓은 후, upper chamber에 1×106 cells/㎖의 HaCaT 세포를 well 당 50㎕씩 처리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chamber 분리 후 membrane을 꺼내어 Diff-Quik solution을 이용하여 세포를 고정 및 염색하고 이동하지 않은 세포를 제거한 후 현미경을 통해 이동한 세포를 카운터한 다음 백분율로 환산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4. 실험결과
4-1. 세포증식능 측정
미선나무 추출물의 인체 각질세포(HaCaT) 및 인체 진피 섬유 모세포(HDF)의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관찰하기 위하여 미선나무 추출물을 12.5, 25, 50, 100 및 200㎍/㎖의 농도로 24시간 처리하여, MTT 방법에 따라 세포증식능을 관찰한 결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세포 모두 미선나무 추출물의 처리농도에 따라 의존적으로 세포증식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4-2. 세포이주능 측정
세포증식능 시험에서 세포증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 농도범위에서 세포이주능에 관하여 시험하였다. 인체 각질세포(HaCaT)를 plate에 로딩하고 200mirco-liter tip을 이용하여 스크래치를 형성한 후, 상기 스크래치 부분으로 세포가 이동하는 것을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혐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선나무 추출물 처리구에서 세포가 다량 이동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trans-well plate를 이용한 세포이주능 측정 결과에서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선나무 추출물 처리구에서 세포의 이동성을 증가시켜 membrane을 통과한 세포의 개수가 증가하여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 처리구에서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시험예 2] 피부첩포에 의한 피부 일차 자극 평가
본 발명에 따른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의 피부첩포에 의한 피부 일차 자극을 평가하기 위해 인체적용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시험은 헬싱키선언에 근거한 윤리규정,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의약품, 의약외품, 화장품 및 의료기기 검사기관 지정 등에 관한 규정, 의약품 임상시험 관리기준, 화장품 인체적용시험 및 효력시험 가이드라인, 화장품 표시·광고 실증을 위한 시험방법 가이드라인, 기능성화장품의 유효성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 보건복지부의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및 한국피부과학연구원 표준작업지침서(SOP)에 따라 실시되었으며, 모든 절차는 신뢰성 보증업무 담당자가 점검하였다.
상기 시험은 한국피부과학연구원에 의뢰하여 성인 남녀 3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시험방법은 피시험자의 등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내고 건조시킨 다음,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패치 형태로 제형화한 시험물질 20㎕를 직경 8mm의 Finn Chamber에 적하하고 시험부위에 부착하여 고정하였다. 첩포는 24시간 동안 부착하였고, 첩포 제거 후 30분, 24시간, 48시간 경과 후 피부과 전문의에 의하여 하기 표 2의 국제접촉피부염연구원(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의 판정기준에 따라 자극 정도를 관찰하였다. 평균 피부반응도는 평균 피부반응도 계산공식에 따라 산정하였으며, 하기 표 3의 피부첩포시험의 결과 판정표에 따라 시험물질의 자극 정도를 최종 판단하였다.
기호 Score 판정기준
- 0 Negative
± 0.5 Doubtful or slight reaction and erythema
+ 1 Erythema + Induration
++ 2 Erythema + Induration + Vesicle
+++ 3 Erythema + Induration + Bullae
* 피부반응 판정기준
Negative (-): 무자극
Doubtful or slight reaction and erythema(희미한 또는 가까스로 감지할 수 있는 가벼운 홍반) (±): 미자극
Erythema + Induration(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 경자극
Erythema + Induration + Vesicle(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 중자극
Erythema + Induration + Bullae(심한 홍반 및 대수포, 가피형성) (+++): 강자극
피부첩포시험 결과 판정표
판정(Grade) Mean Score
무자극(1) 0.00 - 0.75
미자극(2) 0.76 - 1.50
경자극(3) 1.51 - 2.50
중자극(4) 2.51 - 4.00
강자극(5) 4.01 -
시험예 2에서의 통계처리는 SPSS 17.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피시험자의 피부상태 특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설문지 분석을 위해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을 실시하였다.
한편, 본 시험에 참가한 피시험자의 정보는 하기 표 4와 같다.
등록 피시험자 31명
최종 완료 피시험자 31명
성별 남성 및 여성
평균연령 45.74세
표준편차 9.26
피시험자 31명을 대상으로 피부첩포시험을 한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시험물질은 첩포 제거 후 30분, 24시간, 48시간 경과 후에 자극이 관찰되지 않았다. 평균 피부반응도는 0.00으로 판정기준에 따라 무자극으로 판정되었다.
반응지수 피부반응도 평균 피부반응도
0 0.0 0.0 0.0 0.00
한편, 피시험자의 일반적 피부상태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문항 빈도 백분율(%)
피부타입 지성 1 3.2
건성 20 64.6
중성 5 16.1
복합성 5 16.1
문제점 피부인가 0 0.0
아니오 31 100.0
기타 피부질환을 가지고
있는가
0 0.0
아니오 31 100.0
1년 이내에 화장품 부작용을 경험한 적이 있는가 0 0.0
아니오 31 100.0
금속 알러지(니켈 알러지)를 가지고 있는가 0 0.0
아니오 31 100.0
유아습진이나 아토피를
경험한 적이 있는가
0 0.0
아니오 31 100.0
햇빛 알러지(광민감성)를
가지고 있는가
0 0.0
아니오 31 100.0
합계 31 100.0
본 발명에 따른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은 첩포 제거 후 30분, 24시간, 48시간 경과 후에 자극이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평균 피부반응도는 0.00으로 판정기준에 따라 무자극으로 판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의 피부첩포에 의한 피부 일차 자극 평가에 대한 인체적용시험 결과, 무자극 제품군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이 인체에 대하여 무해함을 확인하고, 사람을 대상으로 한 인체적용시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인체적용시험은 보습, 각질, 피부수분손실량, 안면 볼 리프팅, 탄력, 진피치밀도, 피부톤(맑기) 및 외부 자극(물리적 자극)에 의한 피부 자극 진정효과에 대한 인체효능을 평가하였으며, 공인시험기관인 한국피부과학연구원에 의뢰하여 2017년 8월 1일 부터 2017년 9월 20일까지 진행하였다.
상기 인체적용시험을 위한 피시험자는 자발적으로 모집된 25세 내지 60세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고, 시험책임자 또는 시험책임자의 위임을 받은 시험자는 시험의 모든 정보를 피시험자에게 충분히 알렸으며, 피시험자는 자의에 따라 동의서를 작성하고 시험에 참가하였다.
상기 인체적용시험을 위한 시험물질로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크림형태(연노락색의 불투명한 크림타입)로 제형화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한편, 본 인체적용시험에 참가한 피시험자의 정보는 하기 표 7과 같다.
등록 피시험자 20명
최종 완료 피시험자 20명
성별 여성
평균연령 46.80세
표준편차 7.52
[시험예 3] Epsilon E100에 의한 보습 개선 평가
시험물질의 보습 개선 평가를 위하여 Epsilon E100 (Biox Systems Ltd., UK)을 적용하였다. Epsilon E100은 센서에 접촉된 피부 표면의 수분을 Epsilon (ε) 값으로 산정하며, 피부수분량이 높을수록 이미지 결과물의 명도가 증가하여 파란색 부분이 백색에 가깝게 변화되어 나타난다.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모든 피시험자의 왼쪽 볼 부위를 측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분석은 Epsilon E100 전용 분석프로그램인 Epsilon E100 Software Installer V2를 이용하여 피부수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측정값이 증가할수록 보습이 개선되었음을 의미한다. 기기측정은 시험물질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의 시점에서 이루어졌다.
Epsilon E100을 이용한 시험물질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의 보습 개선을 평가한 결과는 하기 표 8 내지 표 10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피부 수분 변화
사용 전 2주 사용 후
평균 20.10 25.56
표준편차 5.32 4.32
ε=Epsilon, (N=20)
피부 수분 개선율(%)
2주 사용 후
개선율(%) 27.15
Figure pat00001
피부 수분 통계분석
2주 사용 후
p-value .000***
*p<.05 **p<.01 ***p<.001: p-value is measured by paired t-test
상기 표 8 내지 표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Epsilon E100을 이용하여 왼쪽 볼 부위의 보습 개선도를 분석한 결과, 피부 수분이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27.15%가 증가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p<.001) 시험물질이 보습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기평가의 이미지 결과물은 도 6과 같다.
[시험예 4] 비디오 마이크로 스코프와 이미지 분석프로그램에 의한 각질 개선 평가
시험물질의 각질 개선 평가를 위하여 비디오 마이크로 스코프(KONG PC Camera, I Bomtech, Korea)와 이미지 분석프로그램(Image J, National Institites of Health, USA)을 적용하였다. 비디오 마이크로 스코프는 일관된 촬영을 위하여 균일한 조명과 동일한 포지션에서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모든 피시험자의 왼쪽 입가부위를 300배 확대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이미지는 이미지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Otsu의 방법에 따라 역치를 주어 이진화하였으며, 이진화된 이미지는 역치 이상의 백색부위를 각질로 판단하여 전체 면적상 비율로 분석하였다. 시험물질 사용 전 비교하여 측정값이 감소할수록 각질이 개선되었음을 의미한다. 기기측정은 시험물질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의 시점에서 이루어졌다.
비디오 마이크로 스코프와 이미지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한 시험물질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의 각질 개선을 평가한 결과는 하기 표 11 내지 표 13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피부 각질도 변화
사용 전 2주 사용 후
평균 7.64 1.61
표준편차 3.66 1.07
%, (N=20)
피부 각질도 개선율(%)
2주 사용 후
개선율(%) 78.89
Figure pat00002
피부 각질도 통계분석
2주 사용 후
p-value .000***
*p<.05 **p<.01 ***p<.001: p-value is measured by paired t-test
상기 표 11 내지 표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비디오 마이크로 스코프와 이미지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왼쪽 입가부위의 각질 개선도를 분석한 결과, 피부 각질도가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78.89%가 감소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p<.001) 시험물질이 각질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기평가의 이미지 결과물은 도 8과 같다.
[시험예 5] Vapometer에 의한 피부수분손실량 개선 평가
시험물질의 피부수분손실량 개선 평가를 위해 Vapometer (Delfin Tech nologies Ltd., Finland)를 적용하였다.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모든 피시험자의 왼쪽 볼 부위에 동일한 압력으로 probe를 접촉하여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였다. Vapometer는 습도센서를 통해 챔버 내부의 상대 습도(RH) 증가에 의한 증발량을 측정하며 측정단위는 g/㎡/h 이다.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측정값이 감소할수록 피부수분손실량이 개선되었음을 의미한다. 기기측정은 시험물질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의 시점에서 이루어졌다.
Vapometer를 이용한 시험물질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의 피부수분손실량 개선을 평가한 결과는 하기 표 14 내지 표 16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경피수분손실량 변화
사용 전 2주 사용 후
평균 14.47 12.46
표준편차 3.78 3.23
g/㎡/h, (N=20)
경피수분손실량 개선율(%)
2주 사용 후
개선율(%) 13.86
Figure pat00003
경피수분손실량 통계분석
2주 사용 후
p-value .002**
*p<.05 **p<.01 ***p<.001: p-value is measured by paired t-test
상기 표 14 내지 표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Vapometer를 이용하여 왼쪽 볼 부위의 피부수분손실량 개선도를 분석한 결과, 경피수분손실량이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13.86%가 감소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p<.01) 시험물질이 피부수분손실량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예 6] ANTERA 3D에 의한 안면 볼 리프팅 개선 평가
시험물질의 안면 볼 리프팅 개선 평가를 위하여 ANTERA 3D(Miravex, Ireland)를 적용하였다.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모든 피시험자의 오른쪽 볼 부위를 측정하였고, 측정의 재현성을 위하여 시험물질 사용 전에 측정한 이미지와 오버랩시켜 동일부위를 측정하였다. 촬영된 이미지는 ANTERA 3D 전용 소프트웨어인 ANTERA CS software를 이용하여 매칭시킨 후 일치된 측정부위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값은 피부의 증가된 부피를 나타내는 Elevations medium 값을 분석하였으며, 측정단위는 ㎣ 이다.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측정값이 증가할수록 안면 볼 리프팅이 개선되었음을 의미한다. 기기측정은 시험물질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시점에서 이루어졌다.
ANTERA 3D를 이용한 시험물질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안면 볼 리프팅 개선을 평가한 결과는 하기 표 17 내지 표 19 및 도 10에 나타내었다.
Elevations medium 값 변화
사용 전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평균 1.15 1.29 1.38
표준편차 0.92 1.00 1.03
㎣, (N=20)
Elevations medium 값 개선율(%)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개선율(%) 11.96 19.69
Figure pat00004
Elevations medium 값 통계분석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p-value .009** .002**
*p<.05 **p<.01 ***p<.001: p-value is measured by paired t-test
상기 표 17 내지 표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ANTERA 3D를 이용하여 오른쪽 볼 부위의 안면 볼 리프팅 개선도를 분석한 결과, 피부의 증가된 부피를 나타내는 Elevations medium 값이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11.96%, 4주 사용 후 19.69%가 증가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p<.01) 시험물질이 안면 볼 리프팅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기평가의 이미지 결과물은 도 11과 같다.
[시험예 7] Ballistometer에 의한 탄력 개선평가
시험물질의 탄력 개선 평가를 위하여 Ballistometer (Ballistometer BLS780, Dia-Stron Ltd., UK)를 적용하였으며,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모든 피시험자의 오른쪽 볼 부위를 측정하였다. Ballistometer는 probe에 장착된 2mm 직경의 arm이 피부 표면에 접촉할 때의 진동 에너지를 수치화하여 피부 탄력을 산정하며, 이에 대한 분석은 Ballistometer 전용 분석프로그램인 MApp를 이용하였다. 피부 탄력을 측정하는 값으로는 회복계수인 CoR 값(Coefficient of Restitution)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arm의 리바운드 속도에 대한 충격 속도의 비율을 나타낸다. 처음 3회의 바운스에 대한 CoR의 평균값을 계산하였으며, 최대값은 1.0이다.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측정값이 증가할수록 탄력이 개선되었음을 의미한다. 기기측정은 시험물질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시점에서 이루어졌다.
Ballistometer를 이용한 시험물질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탄력 개선을 평가한 결과는 하기 표 20 내지 표 22 및 도 12에 나타내었다.
CoR 값 변화
사용 전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평균 0.62 0.64 0.65
표준편차 0.02 0.02 0.02
(N=20)
CoR 값 개선율(%)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개선율(%) 3.46 4.74
Figure pat00005
CoR 값 통계분석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p-value .000*** .000***
*p<.05 **p<.01 ***p<.001: p-value is measured by paired t-test
상기 표 20 내지 표 2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Ballistometer를 이용하여 오른쪽 볼 부위의 탄력 개선도를 분석한 결과, 피부 탄력을 나타내는 CoR 값이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3.46%, 4주 사용 후 4.74%가 증가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p<.001) 시험물질이 탄력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예 8] DUB-Skin Scanner에 의한 진피치밀도 개선 평가
시험물질의 진피치밀도 개선 평가를 위해 고해상도의 초음파를 영상화하는 장치인 DUB-Skin Scanner (tpm taberna pro medicum, Germany)를 적용하였다. 시험부위에 초음파 검사용 젤을 바르고 DUB-Skin Scanner의 probe를 피부와 직각이 되도록 한 후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모든 피시험자의 왼쪽 눈꼬리 옆 3cm 부위를 동일한 압으로 눌러 진피치밀도를 측정하였다. 분석범위는 표피 바로 아래에서 피하지방층 윗부분으로 한정하였으며, 진피치밀도를 의미하는 파라미터인 Intensity를 측정 및 분석하였다. 측정단위는 Density이며,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측정값이 증가할수록 진피치밀도가 개선되었음을 의미한다. 기기측정은 시험물질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시점에서 이루어졌다.
DUB-Skin Scanner를 이용한 시험물질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진피치밀도 개선을 평가한 결과는 하기 표 23 내지 표 25 및 도 13에 나타내었다.
진피치밀도 변화
사용 전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평균 23.74 26.02 26.89
표준편차 3.20 4.30 3.88
Density, (N=20)
진피치밀도 개선율(%)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개선율(%) 9.58 13.26
Figure pat00006
진피치밀도 통계분석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p-value .020* .001**
*p<.05 **p<.01 ***p<.001: p-value is measured by paired t-test
상기 표 23 내지 표 2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DUB-Skin Scanner를 이용하여 오른쪽 눈꼬리 옆 3cm 부위의 진피치밀도 개선도를 분석한 결과, 진피치밀도가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9.58%, 4주 사용 후 13.26%가 증가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p<.05) 시험물질이 진피치밀도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기평가의 이미지 결과물은 도 14와 같다.
[시험예 9] 분광광도계와 전안촬영시스템에 의한 피부톤(맑기) 개선 평가
시험물질의 피부톤(맑기) 개선 평가를 위하여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CM-2600D, Konica Minolta, Japan)와 전안촬영시스템(Robo Skin Analyzer CS50, Inforward Inc., Japan)을 적용하였다. 분광광도계는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모든 피시험자의 왼쪽 볼 부위를 3회 연속 측정하고, 그에 대한 평균값을 산정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광광도계의 측정값은 L*, a*, b* 3가지 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L* 값은 명암(brightness), a* 값은 붉은색(redness), b* 값은 노란색(yellowness)을 나타낸다. 시험물질의 피부톤(맑기) 개선을 측정하는 값으로는 피부의 밝기를 나타내는 L* value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L* value의 측정값이 증가할수록 피부톤(맑기)이 개선되었음을 의미한다. 전안촬영시스템은 일관된 촬영을 위해 균일한 조명과 동일한 포지션에서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모든 피시험자의 안면부위를 측정하였다. 피시험자 이마의 헤어라인을 확보하기 위하여 모발을 헤어밴드로 고정시킨 후 동일한 상의 가운을 착용하고 의자에 앉도록 하여, 얼굴을 케이지 아래에 있는 툴바의 상단에 고정시킨 채 얼굴의 정면을 촬영하였다. 기기측정은 시험물질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시점에서 이루어졌다.
분광광도계와 전안촬영시스템을 이용한 시험물질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피부톤(맑기) 개선을 평가한 결과는 하기 표 26 내지 표 29 및 도 15에 나타내었다.
L* value 변화
사용 전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평균 63.52 63.88 64.17
표준편차 2.88 2.77 2.84
(N=20)
△L* value 변화
△L* 1 △L* 2
평균 0.36 0.65
표준편차 0.51 0.57
△L* 1=2주 사용 후-사용 전, △L* 2=4주 사용 후-사용 전, (N=20)
L* value 개선율(%)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개선율(%) 0.57 1.03
Figure pat00007
L* value 통계분석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p-value .005** .000***
*p<.05 **p<.01 ***p<.001: p-value is measured by paired t-test
상기 표 26 내지 표 2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분광광도계와 전안촬영시스템을 이용하여 왼쪽 볼부위의 피부톤(맑기) 개선도를 분석한 결과, 피부의 밝기를 나타내는 L* value가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0.57%, 4주 사용 후 1.03%rk 증가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p<.01) 시험물질이 피부톤(맑기)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기평가의 이미지 결과물은 도 16과 같다.
[시험예 10] 외부 자극(물리적 자극)에 의한 피부 자극 진정효과 평가
1. Tape stripping에 의한 피부 자극 유도
본 시험에서는 기기측정에 앞서 피시험자의 양쪽 전완부위에 Tape stripping을 하여 피부 자극을 유도하였다.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지정된 시험부위에 18mm 테이프(Scotch Transparent Tape, 3M Company, USA)를 부착하여 2초 동안 동일한 압력을 가한 후, 동일한 방향으로 stripping을 하였다. 매회 새로운 테이프를 이용하여 40회 반복하여 stripping을 하였고, 시험물질 도포부위와 무도포부위로 나누어 기기측정을 실시하였다.
2. ANTERA 3D에 의한 외부 자극(물리적 자극)에 의한 피부 자극 진정효과 평가
시험물질의 외부 자극(물리적 자극)에 의한 피부 자극 진정효과 평가를 위하여 ANTERA 3D를 적용하였다.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모든 피시험자의 양쪽 전완부위(시험물질 도포부위, 무도포부위)를 측정하였고, 측정의 재현성을 위하여 시험물질 사용 전에 측정한 이미지와 오버랩시켜 동일부위를 측정하였다. 촬영된 이미지는 ANTERA 3D 전용 소프트웨어인 ANTERA CS software를 이용하여 Average CIE L*, a*, b* values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L* 값은 명암(brightness), a* 값은 붉은색(redness), b* 값은 노란색(yellowness)을 나타낸다. 시험물질의 외부 자극(물리적 자극)에 의한 피부 자극 진정효과를 측정하는 값으로는 피부의 붉은기를 나타내는 a* value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시험물질 무도포부위와 비교하여 도포부위의 측정값 변화가 유의하게(p<.05) 감소할수록 외부 자극(물리적 자극)에 의한 피부 자극 진정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기기측정은 시험물질 사용 전(자극 후)과 1회 사용 직후의 시점에서 이루어졌다.
ANTERA 3D를 이용한 시험물질 사용 전(자극 후)과 1회 사용 직후의 외부 자극(물리적 자극)에 의한 피부 자극 진정효과를 평가한 결과는 하기 표 30 및 표 33 및 도 17에 나타내었다.
a* value 변화
도포부위 무도포부위
사용 전(자극 후) 1회 사용 직후 사용 전(자극 후) 1회 사용 직후
평균 16.11 14.69 16.47 15.71
표준편차 1.66 1.65 1.31 1.22
(N=20)
△a* value 변화
도포부위 무도포부위
△a* 1 △a* 1
평균 -1.42 -0.77
표준편차 0.76 0.78
△a* 1=1회 사용 직후-사용 전(자극 후), (N=20)
a* value 개선율(%)
도포부위 무도포부위
1회 사용 직후 1회 사용 직후
개선율(%) 8.82 4.64
Figure pat00008
무도포부위에 대한 도포부위의 △a* value 통계분석
△a* 1
p-value .005**
*p<.05 **p<.01 ***p<.001: p-value is measured by paired t-test
상기 표 30 내지 표 3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ANTERA 3D를 이용하여 양쪽 전완부위의 외부 자극(물리적 자극)에 의한 피부 자극 진정효과 개선도를 분석한 결과, 피부의 붉은기를 나타내는 a* value가 시험물질 사용 전(자극 후)과 비교하여 1회 사용 직후 도포부위에서 8.82%, 무도포부위에서 4.64%가 감소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시험물질 무도포부위의 1회 사용 직후 △a* value와 비교하여 도포부위의 1회 사용 직후 △a* value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p<.01) 시험물질이 외부 자극(물리적 자극)에 의한 피부 자극 진정효과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기평가의 이미지 결과물은 도 18과 같다.
상기 시험들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은 보습, 각질, 피부수분손실량, 안면 볼 리프팅, 탄력, 진피치밀도, 피부톤(맑기), 외부 자극(물리적 자극)에 의한 피부 자극 진정효과에 유의한 효능을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보습, 각질, 피부수분손실량이 개선되어 피부장벽강화에 도움을 주며, 보습, 안면 볼 리프팅, 탄력, 진피치밀도가 개선되어 안티에이징에도 유의한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6)

  1. 미선나무의 잎, 줄기, 열매, 뿌리 및 전초 중에서 단독 또는 복수의 부위로부터 분획하여 제조된 버바스코사이드(verbascoside)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선나무 추출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은,
    용매추출(solvent), 증류(hydrodistillation) 및 수증기 증류(steam distillation)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것이고,
    상기 용매추출의 용매는 정제수(aqua),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아세톤(acetone), 글리세린(glycerin),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메틸아세테이트(methyl acetat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헥산(hexane), 디에틸에테르(diethylether),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소르비톨(sorbitol)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선나무 추출물.
  3. 제1 항 또는 제2 항의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미선나무추출물 1.0 - 29.0wt%, 세라마이드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eramide & caprylic/capric triglyceride) 1.0 - 1.2wt%, 메도우폼씨드오일(maedowfoam seed oil) 3.8 - 4.2wt%, 스쿠알란(squalane) 4.8 - 5.2wt%,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coco caprylrate/caprate) 3.8 - 4.2wt%, 토코페롤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0.3 - 0.7wt%, 쉐어버터(shea butter) 2.8 - 3.2wt%, 소르비탄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0.8 - 1.2wt%, 칸데릴라왁스(candelilla wax) 1.8 - 2.2wt%,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0.8 - 1.2wt%,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1.8 - 2.2wt%, 미선나무추출수 15.0 - 30.0wt%,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2.2 - 2.8wt%, 알란토인 & 소듐하이아루로네이트(allantoin & sodium hyaluronate) 1.8 - 2.2wt%, 글리세린(glycerin) 2.8 - 3.3wt%,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1.8 - 2.5wt%, 이디티에이/정제수(EDTA/aqua) 0.8 - 1.5wt%, 아데노신 &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즈(adenosine & hydroxy ethylcellulose) 3.8 - 4.2wt%, 소르비탄올리베이트/세테아릴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cetearyl olivate) 2.8 - 3.2wt%,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0.8 - 1.3wt%,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polypeptide-1) 0.8 - 1.2wt%,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4.7 - 5.2wt%, 1,2-헥산디올(1,2-hexanediol) 1.8 - 2.3wt%, 정제수(aqua) 7.4 - 10.5wt% 및 호호바씨오일(jojoba seed oil), 카렌듈라꽃오일(calendula officinalis flower oil), 스윗아몬드오일(sweet almond oil), 캐모마일꽃오일(anthemis nobilis flower oil), 자스민꽃오일(jasminum officinalis flower oil), 두송열매오일(juniperus fruit oil), 라벤더오일(lavender oil), 오렌지껍질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il), 티트리잎오일(melaleuca altemifolia leaf oil), 편백오일(chamaecyparis otbusa oil)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오일 또는 2가지 이상의 오일이 혼합된 보조제제 2.8 - 3.3wt%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연고제, 도포제, 패치제 및 액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크림, 세럼, 앰플, 마스크팩, 유연화장품, 수렴화장품, 영양화장수,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스프레이 및 파우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화장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0170154140A 2017-11-17 2017-11-17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083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140A KR102083294B1 (ko) 2017-11-17 2017-11-17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140A KR102083294B1 (ko) 2017-11-17 2017-11-17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815A true KR20190056815A (ko) 2019-05-27
KR102083294B1 KR102083294B1 (ko) 2020-03-02

Family

ID=66679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140A KR102083294B1 (ko) 2017-11-17 2017-11-17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29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704A (ko) * 2019-08-26 2021-03-08 주식회사 피비에스코리아 피부 미백 및 재생 효과를 갖는 칼라 마스크팩
KR20210026037A (ko) * 2019-08-29 2021-03-10 (주)화니핀코리아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3319A (ko) * 2019-10-11 2021-04-21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
KR20210043318A (ko) * 2019-10-11 2021-04-21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크림 화장용 조성물
WO2022045846A1 (ko) * 2020-08-31 2022-03-03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드로겐 수용체 관련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6092A (ko) 2011-12-12 2013-06-20 제너럴바이오(주) 피부재생용 기능성화장료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사용방법
KR101337392B1 (ko) 2011-09-08 2013-12-06 인산죽염촌 주식회사 돈지 및 죽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20160004701A (ko) 2014-07-04 2016-01-13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항산화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20170122315A (ko) * 2016-04-26 2017-11-06 괴산군 미선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392B1 (ko) 2011-09-08 2013-12-06 인산죽염촌 주식회사 돈지 및 죽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20130066092A (ko) 2011-12-12 2013-06-20 제너럴바이오(주) 피부재생용 기능성화장료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사용방법
KR20160004701A (ko) 2014-07-04 2016-01-13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항산화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20170122315A (ko) * 2016-04-26 2017-11-06 괴산군 미선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hytother. Res., 2003, Vol.17, pp.811-813*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704A (ko) * 2019-08-26 2021-03-08 주식회사 피비에스코리아 피부 미백 및 재생 효과를 갖는 칼라 마스크팩
KR20210026037A (ko) * 2019-08-29 2021-03-10 (주)화니핀코리아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3319A (ko) * 2019-10-11 2021-04-21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
KR20210043318A (ko) * 2019-10-11 2021-04-21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크림 화장용 조성물
WO2022045846A1 (ko) * 2020-08-31 2022-03-03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드로겐 수용체 관련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294B1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294B1 (ko)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TWI495488B (zh) 用於刺激magp-1以改善皮膚外觀之組合物及方法
CN108670943A (zh) 一种保湿、美白、淡斑植物提取物组合物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69419B1 (ko) 다중기능성 영양크림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05902418A (zh) 一种仿皮脂基质、包含仿皮脂基质的外用制剂及其应用
KR101055963B1 (ko)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33921B1 (ko) 피부 염증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1835799B1 (ko)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JP2020502172A (ja) 漢方薬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化粧料組成物
KR101110301B1 (ko) 쉬땅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2103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532633B1 (ko)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항염증효과, 피부보호효과와피부탄력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5047511B2 (ja)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gm−csf)産生抑制剤i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86140B1 (ko) 연근 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보습 및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67700A (ko) 관동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7422B1 (ko) 호호바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및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14709A (ko) 좀깨잎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ayaprakash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Multipurpose Herbal Cream
JP2014062090A (ja) トランスグルタミナーゼ活性化剤
KR102281403B1 (ko) 비자 세라마이드와 울금 및 동백유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9885B1 (ko)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074985B1 (ko) 유향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