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319A -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319A
KR20210043319A KR1020190126335A KR20190126335A KR20210043319A KR 20210043319 A KR20210043319 A KR 20210043319A KR 1020190126335 A KR1020190126335 A KR 1020190126335A KR 20190126335 A KR20190126335 A KR 20190126335A KR 20210043319 A KR20210043319 A KR 20210043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il
skin
natural extract
se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6909B1 (ko
Inventor
김대익
김동섭
성낙윤
이경일
한인준
엄지
이병수
Original Assignee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6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9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43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22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Abstract

본 발명은 보습 개선, 각질 개선, 피부수분손실 개선, 안면 볼 리프팅 개선, 피부 탄력 개선, 피부치밀도 개선, 피부톤 개선 및 외부자극에 대한 피부 자극 진정 효과 개선 작용이 우수한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정제수 39.8 - 77.98중량%, 천연추출복합물 1.0 - 5.0중량%, 폴리소르베이트80 3.5 - 5.5중량%, 비사보롤 0.1 - 1.0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1.0 - 3.5중량%, 글리세린 3.0 - 6.0중량%, 부틸렌글라이콜 3.0 - 6.0중량%,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정제수/1,2-헥산디올 0.1 - 2.0중량%, 트로메타민 0.05 - 0.5중량%,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05 - 0.5중량%, 카퍼트리펩타이드-1 3.0 - 6.0중량%,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3.0 - 6.0중량%,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1.0 - 3.0중량%,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 1.0 - 3.0중량%, 아데노신 0.01 - 0.1중량%, 폴리쿼터늄-51 1.0 - 5.0중량%, 트라넥사믹애씨드 0.01 - 0.1중량%, 폴리라이신/카프릴릴글라이콜/에칠헥실글리세린/부틸렌글라이콜 0.1 - 2.0중량%, 금사연둥지추출물 1.0 - 3.0중량% 및 식물성오일 0.1 - 2.0중량%로 조성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A serum-typ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natural extract compound}
본 발명은 보습 개선, 각질 개선, 피부수분손실 개선, 안면 볼 리프팅 개선, 피부 탄력 개선, 피부치밀도 개선, 피부톤 개선 및 외부자극에 대한 피부 자극 진정 효과 개선 작용이 우수한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외모를 가꾸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특히, 깨끗한 피부를 지니고자 하는 소망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가지고 있으며, 각종 화장품 등의 개발 및 이의 소비증가가 이를 대변하고 있다.
한편, 피부미용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써,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89266호에 '피부미용 효능을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위 기술은 피부미용을 활성화시키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서 피부 관리에 일시적인 피부미용 효과는 있었으나,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페녹시에탄올과 같은 화학방부제의 첨가로 인해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부작용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안전성이 높아 피부 부작용이 없는 천연유래 화합물을 대상으로 피부 개선효과를 가지는 화장용 조성물을 예의 연구한 결과, 미선나무 잎 추출물과 청각 추출물 및 들깨 잎 추출물을 일정 함량으로 혼합한 천연추출복합물이 피부미용에 부작용이 없고, 피부에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89266호(2014.07.14. 피부미용 효능을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025367호(2017.03.08. 피부 개선용 조성물) 한국 등록특허 제10-1355385호(2014.01.20. 피부재생용 펩타이드,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재생 방법)
본 발명은 종래의 화학성분이 첨가된 화장용 조성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선나무 잎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들깨 잎 추출물을 혼합한 천연추출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보습 개선, 각질 개선, 피부수분손실 개선, 안면 볼 리프팅 개선, 피부 탄력 개선, 피부치밀도 개선, 피부톤 개선 및 외부자극에 대한 피부 자극 진정 효과 개선에 우수한 작용을 나타내면서 인체에 대한 부작용은 수반하지 않는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정제수(purified water) 39.8 - 77.98중량%, 천연추출복합물 1.0 - 5.0중량%, 폴리소르베이트80(polysorbate 80) 3.5 - 5.5중량%, 비사보롤(bisabolol) 0.1 - 1.0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1.0 - 3.5중량%, 글리세린(glycerin) 3.0 - 6.0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3.0 - 6.0중량%,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정제수/1,2-헥산디올(sodium hyaluronate/purified water/1,2-hexanediol) 0.1 - 2.0중량%, 트로메타민(tromethamine) 0.05 - 0.5중량%,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05 - 0.5중량%,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3.0 - 6.0중량%, 아세틸헥사펩타이드-8(acetyl hexapeptide-8) 3.0 - 6.0중량%,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1.0 - 3.0중량%,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palmitoyl pentapeptide-4) 1.0 - 3.0중량%, 아데노신(adenosine) 0.01 - 0.1중량%, 폴리쿼터늄-51(polyquaternium-51) 1.0 - 5.0중량%, 트라넥사믹애씨드(tranexamic acid) 0.01 - 0.1중량%, 폴리라이신/카프릴릴글라이콜/에칠헥실글리세린/부틸렌글라이콜(polylysine/caprylyl glycol/ethyl hexyl grlycerin/butylene glycol) 0.1 - 2.0중량%, 금사연둥지추출물 1.0 - 3.0중량% 및 식물성오일 0.1 - 2.0중량%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은,
첫째, 미선나무 잎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들깨 잎 추출물로 이루어진 천연추출복합물이 함유되어 보습 개선, 각질 개선, 피부수분손실 개선, 안면 볼 리프팅 개선, 피부 탄력 개선, 피부치밀도 개선, 피부톤 개선 및 외부자극에 대한 피부 자극 진정 효과 개선 작용이 우수하면서도 피부발진이나 자극에 의한 부작용은 일체 수반하지 않고,
둘째, 피부에 잔류하는 시간이 길어져 오랜 시간동안 피부 보습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셋째, 12종의 식물성오일이 피부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써, 피부 속 수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보습력 개선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및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각질 개선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및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피부수분손실량 개선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안면 볼 리프팅 개선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및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피부치밀도 개선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및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피부톤(맑기) 개선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및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피부 자극에 의한 진정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및 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은,
정제수(purified water) 39.8 - 77.98중량%, 천연추출복합물 1.0 - 5.0중량%, 폴리소르베이트80(polysorbate 80) 3.5 - 5.5중량%, 비사보롤(bisabolol) 0.1 - 1.0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1.0 - 3.5중량%, 글리세린(glycerin) 3.0 - 6.0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3.0 - 6.0중량%,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정제수/1,2-헥산디올(sodium hyaluronate/purified water/1,2-hexanediol) 0.1 - 2.0중량%, 트로메타민(tromethamine) 0.05 - 0.5중량%,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05 - 0.5중량%,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3.0 - 6.0중량%, 아세틸헥사펩타이드-8(acetyl hexapeptide-8) 3.0 - 6.0중량%,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1.0 - 3.0중량%,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palmitoyl pentapeptide-4) 1.0 - 3.0중량%, 아데노신(adenosine) 0.01 - 0.1중량%, 폴리쿼터늄-51(polyquaternium-51) 1.0 - 5.0중량%, 트라넥사믹애씨드(tranexamic acid) 0.01 - 0.1중량%, 폴리라이신/카프릴릴글라이콜/에칠헥실글리세린/부틸렌글라이콜(polylysine/caprylyl glycol/ethyl hexyl grlycerin/butylene glycol) 0.1 - 2.0중량%, 금사연둥지추출물 1.0 - 3.0중량% 및 식물성오일 0.1 - 2.0중량%로 조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세럼형 화장료 조성물을 조성하는 물질 중, 상기 정제수는 이온(Mg+, Ca+ 등)들을 대부분 제거한 순수한 물로써, 전체 조성물의 함량 중, 39.8 내지 77.98중량%가 함유된다. 이는 상기 정제수가 39.8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수분 함유량이 낮아져 고체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77.98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무른 액상에 가까운 성상때문에 피부에서 쉽게 흘러내리기 때문이다.
상기 천연추출복합물은, 미선나무 잎 추출물과 청각 추출물 및 들깨 잎 추출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천연추출복합물은 전체 조성물의 함량 중, 1.0 내지 5.0중량%가 함유된다.
상기 미선나무 잎 추출물을 얻기 위한 대상체인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는, 물푸레나무과의 식물로 열매의 모양이 둥근 부채를 닮아 미선나무라고 명명하고, 한국에서만 유일하게 서식하는 관목으로서 세계유일의 1속 1종의 천연기념물이다. 녹차의 약 10배에 달하는 폴리페놀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항염작용, 항암작용, 항산화작용 등에 유익한 성분을 다량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선나무 잎 추출물은 천연추출복합물 총 중량에 대해 75.0 내지 94.5중량%로 함유된다. 상기 미선나무 잎 추출물이 94.5중량%를 초과할 경우 소망하는 기능적 작용, 이를테면 항염, 항산화 작용 등은 충분히 이루어지나 필요 이상으로 첨가됨으로 인해 비경제적이고, 75.0중량% 미만일 경우 그 함유량이 미미하여 소망하는 기능적 작용이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 청각 추출물을 얻기 위한 대상체인 청각(Codium fragile)은, 온해성의 해조로서 세계 각지에 분포하며, 만구부의 간조선 직하부터 깊이 30㎝ 전후의 해저까지 생육한다. 최근 청각의 효능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고, 그 유용성과 효과가 여러 논문을 통해 입증되어 왔다. 또한, 민간요법의 구충제로 이용되거나 배변활동 증진 및 혈액순환 개선, 비뇨기 질환 및 수종 치료에 이용되어 왔으며, 청각에는 항생 작용이 있는 아크릴산, 항응고 활성물질 등이 함유되어 있을 뿐 아니라, 항암 및 항돌연변이 효과와 면역 활성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상기 청각은 콜라겐 형성에 필수적인 히드록시르톨린(hydroxyproline)을 유일하게 함유하고 있는데, 콜라겐은 인체 각 결합조직에 분포하는 중요한 단백질로서 조직 내의 콜라겐의 손상의 조직의 노화와 골 관절염, 골다공증 변인의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청각이 이러한 연골의 재생을 향상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어 청각의 유용성을 더욱 뒷받침해주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청각 추출물은 천연추출복합물 총 중량에 대해 0.5 내지 5.0중량%로 함유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각 추출물이 5.0중량%를 초과할 경우 필요 이상으로 첨가되어 비경제적이고, 0.5중량% 미만일 경우 콜라겐의 형성에 필요한 히드록시르톨린의 함량이 낮아 피부 재생작용이 미약하다.
상기 들깨 잎 추출물을 얻기 위한 대상체인 들깨(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는,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일년생 초본식물로서, 인체에 유용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들깨의 종실에는 오메가-3 계열의 지방산인 리놀렌산(linolenic acid)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고혈압, 알레르기성 질환 등의 성인병을 일으키는 에이코사노이드(eicosanoid) 합성을 억제하는 기능이 탁월하다. 또한, 들깨 잎에는 식물성 정유로서 페릴라 알데히드(perillylaldehyde), 리모넨(limonene), 페릴라 케톤(perillaketon) 등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들깨 잎 추출물은 천연추출복합물 총 중량에 대해 5.0 내지 20.0중량%로 함유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들깨 잎 추출물이 20.0중량%를 초과할 경우 유지 성분이 많아져 제형이 바람직하지 못하고, 5.0중량% 미만일 경우 들깨 잎에 함유된 리놀렌산에 의한 기능적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을 조성하는 물질 중, 상기 폴리소르베이트80(polysorbate 80)은 서로 잘 혼합되지 않는 액체나 고체를 액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이며 황색을 띄는 액체이다. 알코올(alcohol),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등에는 용해되나 미네랄 오일(mineral oil)에는 용해되지 않는 성질을 지니며, 유화제 및 안정제 등으로 사용된다. 상기 폴리소르베이트80은 전체 조성물의 함량 중, 3.5 내지 5.5중량%가 함유된다. 상기 폴리소르베이트80이 3.5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유화 작용이 미미하고, 5.5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제형 안정도와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비사보롤(bisabolol)은 피부 자극을 완화하여 피부를 진정시키고, 피부에 보습력을 부여하며, 피부 속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톤을 개선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비사보롤은 전체 조성물의 함량 중, 0.1 내지 1.0중량%가 함유된다. 상기 비사보롤이 0.1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보습력과 멜라닌 생성력이 저하되고, 1.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첨가량 증대에 따른 효과 증진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아 비경제적이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는 비타민 B2 유도체로서, 항산화성분과 동시에 세포대화성분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또 열과 빛에도 안정적으로 작용하며 피부에 도포시 수분손실을 막으며, 진피의 미세 순환을 자극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전체 조성물의 함량 중, 1.0 내지 3.5중량%가 함유된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가 1.0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실질적인 효과 증대가 미미하고, 3.5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피부 자극에 따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glycerin)은 피부속 보습력 증진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 조성물의 함량 중, 3.0 내지 6.0중량%가 함유된다. 상기 글리세린이 3.0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보습 효과가 미미하고, 6.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점도가 높아져 피부 흡수도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은 본 발명의 세럼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시 쉽게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습효과가 오랫동안 지속되도록 한다. 상기 부틸렌글라이콜은 전체 조성물의 함량 중, 3.0 내지 6.0중량%가 함유되는데, 이는 3.0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보습효과가 미미하고, 6.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제형이 물러져 피부에서 쉽게 흘러내리기 때문이다.
상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정제수/1,2-헥산디올(sodium hyaluronate/purified water/1,2-hexanediol)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와 정제수 및 1,2-헥산디올의 혼합물로써, 수분을 끌여당기는 강한 보습력으로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정제수/1,2-헥산디올은 전체 조성물의 함량 중, 0.1 내지 2.0중량%가 함유된다. 상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정제수/1,2-헥산디올이 0.1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보습작용이 미미해지고, 2.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함량 증가에 비해 그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아 비경제적이다.
상기 트로메타민(tromethamine)은 향을 부여하고 산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트로메타민은 전체 조성물의 함량 중, 0.05 내지 0.5중량%가 함유된다. 이는 상기 트로메타민이 0.05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산도가 제대로 조절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0.5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증가된 함량만큼 뚜렷한 효과의 증대가 나타나지 않아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상기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는 점증제로써 함유되며, 피부에 얇은 피막을 형성하고 수분 유지와 매끈한 피부결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는 전체 조성물의 함량 중, 0.05 내지 0.5중량%가 함유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가 0.05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점도가 낮아져 안정성이 저하됨과 동시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를 수 있고, 0.5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점도가 높아져 사용감이 저하된다.
상기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은 트리펩타이드-1(tripeptide-1)의 카퍼복합체 성분으로, 피부 장벽을 강화하여 재구축하고 피부에 컨디셔닝을 부여하여 생기있고 건강한 피부로 가꾸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주름진 피부에 탄력을 강화시키고, 순환을 촉진시키는데 관여하여 피부상태를 개선하고 새로운 피부층으로의 전환에도 도움을 준다. 상기 카퍼트리펩타이드-1은 전체 조성물의 함량 중, 3.0 내지 6.0중량%가 함유된다. 상기 카퍼트리펩타이드-1이 3.0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피부의 탄력을 개선하는 인자들의 작용이 미미하고, 6.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함유량 증가에 비해 그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아 비경제적이다.
상기 아세틸헥사펩타이드-8(acetyl hexapeptide-8)은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의 분비를 방해하여 피부를 기능적으로 부드럽게 함으로써 주름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은 전체 조성물의 함량 중, 3.0 내지 6.0중량%가 함유된다. 이는 상기 아세틸헥사펩타이드-8이 3.0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주름 감소 작용이 저조하며, 6.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제형이 바람직하지 않아 사용상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은 단일사슬인간재조합 펩타이드 성분으로서, 피부 장벽을 탄탄하게 채워서 강화시키고, 피부 노화로 인해 생긴 주름에 탄력을 부여하는데 관여하며, 피부 주기의 순환을 촉진하여 새로운 피부층으로의 전환에 도움을 준다. 상기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은 전체 조성물의 함량 중, 1.0 내지 3.0중량%가 함유된다. 상기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이 1.0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주름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3.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필요 이상의 과도한 함량으로 인해 피부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palmitoyl oligopeptide-4)는 팔미틱애씨드 및 펜타펩타이드-4의 반응물 성분으로 생물계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지방산 성분인 팔미틱애씨드와 아미노산의 펩타이드 결합을 통해 연결된 물질인 펜타펩타이드-4가 반응하여 얻어진 물질로 피부 친화력이 높다. 팔미틱애씨드 및 펜타펩타이드-4는 피부 활성을 증가시켜 노화로 인해 주름진 피부의 굴곡을 완화하고, 주름의 생성을 예방하는데 관여하여 탄력 있는 피부 관리에 도움을 준다. 또한 피부 보습력을 유지하여 건조함을 예방하고 자외선 및 외부 자극에 의해 손상된 피부를 재생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는 전체 조성물의 함량 중, 1.0 내지 3.0중량%가 함유된다. 상기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가 1.0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피부 활성능이 저하되고, 3.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제형 안정성이 저하된다.
상기 아데노신(adenosine)은 세포에서 만들어지는 구성물질로 피부에 침투시 안정성과 지속력이 무척 우수하다. 항염기능으로서 여드름 등에 매우 효과적이고 주름개선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아데노신은 전체 조성물의 함량 중, 0.01 내지 0.1중량%가 함유된다. 상기 아데노신이 0.01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항염기능의 효과가 미미하고, 0.1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함량 증가에 비해 그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아 비경제적이다.
상기 폴리쿼터늄-51(polyquaternium-51)은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의 약 2배 이상의 보습력을 가진 고분자 물질로써, 세포막을 형성하는 단백질과 유사한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인산 지질 극성기를 배양하여 얻는 물질이다. 상기 폴리쿼터늄-51은 전체 조성물의 함량 중, 1.0 내지 5.0중량%가 함유된다. 상기 폴리쿼터늄-51이 1.0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피부 흡수력이 저하되고, 5.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본 발명의 세럼 조성물을 피부에 사용시 표면 손질감과 수분감을 급감시킨다.
상기 트라넥사믹애씨드(tranexamic acid)는 멜라닌 세포 자극물질을 조절하여 멜라닌의 생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물질로, 전체 조성물의 함량 중 0.01 내지 0.1중량%가 함유된다. 상기 트라넥사믹애씨드가 0.01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피부 미백이나 피부톤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0.1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폴리라이신/카프릴릴글라이콜/에칠헥실글리세린/부틸렌글라이콜(polylysine/caprylyl glycol/ethyl hexylgrlycerin/butylene glycol)은 혼합물로써, 항균력을 증가시켜주며 보존제 기능을 한다. 상기 폴리라이신/카프릴릴글라이콜/에칠헥실글리세린/부틸렌글라이콜은 전체 조성물의 함량 중, 0.1 내지 2.0중량%가 함유되는데, 이는 0.1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보존제(방부) 효과가 저감되고, 2.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증가량에 비해 보존제 효과의 상승이 미미하기 때문이다.
상기 금사연둥지추출물은 EGF(표피세포 성장 인자, Epidermal Growth Factor), FGF(섬유아세포 증식인자, fibroblast growth factor) 및 시알산을 다량 함유하는데, 이러한 성분은 피부의 표피 내부에 작용하여 콜라겐, 엘라스틴 등 피부의 탄력증진에 관계된 세포의 생성을 촉진시켜 탄력개선, 주름개선 및 피부리프팅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피부보습인자로 알려진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보습 및 미백효과도 가져 올 수 있다. 상기 금사연둥지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함량 중, 1.0 내지 3.0중량%가 함유되는데, 이는 상기 금사연둥지추출물이 1.0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피부탄력개선, 주름개선과 같은 작용이 미약하고, 3.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럼 화장용 조성물을 조성하는 물질 중, 상기 식물성오일은 0.1 내지 2.0중량%가 함유된다. 상기 식물성오일이 0.1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본 발명의 세럼 조성물 사용시 유연감과 보습력이 떨어지며, 2.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잔여감과 끈적임이 높아져 사용감이 저하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물성오일은 호호바씨오일(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 18.5 - 40.0중량%, 달맞이꽃오일(oenothera biennis (evening primrose) oil) 23.5 - 27.0중량%, 살구씨오일(prunis armeniaca (apricot) kernel oil) 33.5 - 37.0중량%, 캐모마일꽃오일(anthemis nobilis flower oil) 0.05 - 1.0중량%, 커먼자스민꽃오일(jasminum officinale flower oil) 0.05 - 0.5중량%, 두송열매오일(juniperus communis fruit oil) 1.0 - 3.0중량%, 라벤더꽃오일(lavandula spica (lavender) flower oil) 1.0 - 3.0중량%, 오렌지껍질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peel oil) 0.5 - 3.0중량%, 티트리잎오일(melaleuca alternifolia (tra tree) leaf oil) 0.1 - 2.0중량%, 오렌지꽃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flower oil) 0.1 - 1.5중량%, 센티드제라늄오일(pelargonium graveoles oil) 0.1 - 1.5중량% 및 마조람꽃오일(origanum majorana flower oil) 0.1 - 2.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기에서는 상기 식물성오일에 포함되는 각 오일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호호바씨오일은 호호바의 종자로부터 얻어지는 액상 에스테르유로서, 안정성과 감촉 면에서 우수하고, 기초화장품을 중심으로 유상원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호호바씨오일은 다른 식물유에 비해 유성감이 적은 유지로서, 피지의 한 성분인 왁스에스테르의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피부와 친숙하기 쉽다. 이 때문에 유액, 크림, 바디오일, 핸드로션 등의 스킨케어 제품, 립스틱, 파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 제품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 달맞이꽃오일은 식물 전체에 짧은 털이 있는 바늘꽃과의 식물인 달맞이꽃의 씨앗을 압착하여 추출한 식물성 오일이다. 피부 보습, 재생 효과가 뛰어나고 월경 전 증후군, 월경통, 갱년기 증상 완화에 효과적이다.
상기 살구씨오일은 11종의 필수 아미노산과 다양한 미네랄 원소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노화된 각질을 제거하여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시켜주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천연물질이다.
상기 캐모마일꽃오일은 심신을 안정시키고 불면증에 효과적이며, 피부를 부드럽고 탄력있게 해준다. 두통, 편두통, 신경통, 치통과 여성의 생리 장애에도 도움을 준다.
상기 커먼자스민꽃오일은 적당한 보습력과 피지 분비를 도와 피부 밸런스 조절에 관여함으로써 피부 상태를 정상화시켜주고 피부 스트레스를 해소하는데도 도움을 준다.
상기 두송열매오일은 신진대사의 활동을 자극하고 염증제거에 효과적이며, 지성피부, 여드름, 각종 피부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사용된다.
상기 라벤더꽃오일은 스트레스 완화와 숙면에 효과적이며, 두통, 근육통, 생리통 등과 같은 통증을 완화해주고 소량의 경우 피부에 직접 도포할 수 있어 피부염과 가벼운 화상, 건선, 여드름, 벌레 물린 상처에 유용하게 쓰인다.
상기 오렌지껍질오일은 긴장을 완화시켜주고 만성 불안증과 우울증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스트레스 해소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여성의 생리 전 긴장과 갱년기 증상인 흥분, 외로움 등의 불안을 호전시키는 효과도 있다. 특히, 피부 세포의 재생 효과가 우수하며, 건성, 민감성 및 노화피부에도 좋은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티트리잎 오일은 면역체계를 활성화시켜 전염성 질병을 퇴치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백혈구를 활성화시키고 항균, 항진균 효과가 있으며, 유행성 감기, 헤르페스(herpes), 카타르(catarrh)와 선열 및 치은염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 오렌지꽃오일은 오렌지의 꽃에서 얻은 휘발성 오일로, 피부개선 및 주름개선 등에 좋은 효능을 발휘한다.
상기 센티드제라늄오일은 지성 피부의 피지 분비를 조절하여 피부를 정화하고 청결하게 유지하는데 관여하며, 피부에 탄력을 부여하여 활력 있는 피부를 가꾸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지성 두피에서 피지를 조절하고 두피 순환을 촉진하는데 관여하여 건강한 두피 및 모발 관리에도 도움을 준다.
상기 마조람꽃오일은 소화 촉진, 피부 정화, 진정 작용, 근육통 완화 등에 도움을 주는 천연오일로써, 비타민 A, 비타민 C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시력 보호, 야맹증 개선, 감기 예방, 피부 미용, 피로 해소 등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조성물의 가용화를 위하여 감압이 가능한 감압교반기에서 총 중량% 대비, 호호바씨오일 18.5 - 40.0중량%, 달맞이꽃오일 23.5 - 27.0중량%, 살구씨오일 33.5 - 37.0중량%, 캐모마일꽃오일 0.05 - 1.0중량%, 커먼자스민꽃오일 0.05 - 0.5중량%, 두송열매오일 1.0 - 3.0중량%, 라벤더꽃오일 1.0 - 3.0중량%, 오렌지껍질오일 0.5 - 3.0중량%, 티트리잎오일 0.1 - 2.0중량%, 오렌지꽃오일 0.1 - 1.5중량%, 센티드제라늄오일 0.1 - 1.5중량% 및 마조람꽃오일 0.1 - 2.0중량%를 공급하고 40 - 50℃로 가온한 다음, 300 - 400㎜Hg 압력하에서 감압 교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거치는 이유는, 각 물질의 가용화를 위함이고, 구체적으로는 조성물 간에 블렌딩(blending)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소망하는 효과를 더욱 배가시키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세럼 화장용 조성물은 멜라닌 합성 전구체 또는 단백질 합성 촉진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1 - 10%(w/v)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백질 합성 촉진제는 티로신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멜라닌 합성 전구체 및 단백질 합성 촉진제는 물에 대한 분산성이 매우 우수하여 정제수에 분산되어 현탁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정제수에 대한 분산성이 향상될 경우에는 피부에 오래 잔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멜라닌이 피부에 잔류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어 피부미용에 대한 효과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단백질 합성 촉진제를 사용할 경우, 티로신 화합물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단백질 합성 촉진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물질을 본 발명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는 pH 농도가 8.0 내지 8.5인 알칼리수일 수 있다.
상기 알칼리수는 음이온이 다량으로 하전되어 인체의 세포보다도 작은 물 분자 클러스터의 크기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상기 알칼리수를 본 발명의 세럼을 조성하는 용매로써 함유할 때, 세럼 화장용 조성물이 피부 표피를 통과하는 침투력이 증가되고, 또 각질층에 수분을 고정하고 인체의 피부를 보습하는 효과 역시 크게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 제조
총 중량에 대해, 정제수 58중량%, 천연추출복합물 2.9중량%, 폴리소르베이트80 5.0중량%, 비사보롤 0.5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3.0중량%, 글리세린 5.5중량%, 부틸렌글라이콜 4.0중량%,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정제수/1,2-헥산디올 1.5중량%, 트로메타민(tromethamine) 0.1중량%,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4중량%, 카퍼트리펩타이드-1 5.0중량%, 아세틸헥사펩타이드-8(acetyl hexapeptide-8) 5.0중량%,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1.5중량%,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 2중량%, 아데노신(adenosine) 0.05중량%, 폴리쿼터늄-51(polyquaternium-51) 2.0중량%, 트라넥사믹애씨드(tranexamic acid) 0.05중량%, 폴리라이신/카프릴릴글라이콜/에칠헥실글리세린/부틸렌글라이콜 1.0중량%, 금사연둥지추출물 1.5중량% 및 식물성오일 1.0중량%를 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천연추출복합물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비율로 배합하였으며, 상기 식물성오일은 하기 표 2에 나타낸 비율로 배합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미선나무 잎 추출물 80.0
청각 추출물 3.0
들깨 잎 추출물 17.0
성분 함량(중량%)
호호바씨오일 30.5
달맞이꽃오일 24.5
살구씨오일 34.0
캐모마일꽃오일 0.8
커먼자스민꽃오일 0.2
두송열매오일 1.5
라벤더꽃오일 1.5
오렌지껍질오일 2.0
티트리잎오일 1.5
오렌지꽃오일 1.0
센티드제라늄오일 1.0
마조람꽃오일 1.5
[실험예 1] 보습력 평가
보습력 평가 실험은 평균연령 49.3세(49.3±5.92)의 여성 20명에게 4주 동안 1일 2회, 아침, 저녁 세안 후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을 안면부위에 고르게 펴 발라 흡수되게 하였으며, 사용 전과 1회 사용 직후, 그리고 2주 사용 후의 시점에 피시험자의 왼쪽 볼 부위를 Epsilon E100(Biox Systems Ltd., UK)을 이용하여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보습력 평가에 대한 결과는 본 발명의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사용 전과 사용 후의 측정값 증가로 나타내었다.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보습 개선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와 사진을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피부 수분은 본 발명의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사용 전과 비교할 때 1회 사용 직후에는 170.76%, 2주 사용 후에는 43.78%가 증가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사용 전과 비교할 때 1회 사용 직후와 2회 사용 직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이 같은 결과로 보아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은 보습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각질 개선 평가
각질 개선 평가 실험은 평균연령 49.3세(49.3±5.92)의 여성 20명에게 4주 동안 1일 2회, 아침, 저녁 세안 후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을 안면부위에 고르게 펴 발라 흡수되게 하였으며, 사용 전과 1회 사용 직후, 그리고 2주 사용 후의 시점에 피시험자의 왼쪽 입가 부위를 비디오 마이크로 스코프(KONG PC Camera, Bomtech, Korea)를 이용하여 300배 확대하여 측정하였다. 측정한 이미지는 이미지 분석프로그램(Image J,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SA)을 이용하여 Otsu의 방법에 따라 역치를 주어 이진화하였으며, 이진화 된 이미지는 역치 이상의 백색부위를 각질로 판단하여 전체 면적상 비율로 분석하였다. 각질 개선에 대한 결과는 본 발명의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사용 전과 사용 후의 측정값 감소로 나타내었다.
도 2에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크림의 각질 개선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와 사진을 나타내었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피부 각질도는 본 발명의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사용 전과 비교할 때 1회 사용 직후에는 94.17%, 2주 사용 직후에는 76.4%가 감소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사용 전과 비교하여 1회 사용 직후와 2주 사용 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이 같은 결과로 보아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크림은 각질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피부수분손실량 평가
피부수분손실량 평가 실험은 평균연령 49.3세(49.3±5.92)의 여성 20명에게 4주 동안 1일 2회, 아침, 저녁 세안 후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을 안면부위에 고르게 펴 발라 흡수되게 하였으며, 사용 전과 1회 사용 직후, 그리고 2주 사용 후의 시점에 피시험자의 왼쪽 볼 부위에 동일한 압력으로 probe를 접촉하여 경피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측정장비는 Vapometer(Delfin Technologies Ltd., Finland)을 사용하였으며, 피부수분손실량에 대한 결과는 본 발명의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사용 전과 사용 후의 측정값 감소로 나타내었다.
도 3에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피부수분손실량 개선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를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경피수분손실량이 본 발명의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사용 전과 비교할 때 1회 사용 직후에는 21.69%, 2주 사용 후에는 14.13%가 감소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사용 전과 비교하여 1회 사용 직후와 2주 사용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이 같은 결과로 보아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은 피부수분손실량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안면 볼 리프팅 개선 평가
안면 볼 리프팅 개선 정도 평가 실험은 평균연령 49.3세(49.3±5.92)의 여성 20명에게 4주 동안 1일 2회, 아침, 저녁 세안 후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을 안면부위에 고르게 펴 발라 흡수되게 하였으며,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 그리고 4주 사용 후의 시점에 피시험자의 오른쪽 볼 부위를 촬영하였다. 측정장비는 ANTERA 3D(Miravex, Ireland)를 사용하였으며, 촬영된 이미지는 ANTERA 3D 전용 소프트웨어인 ANTERA CS software를 이용하여 매칭시킨 후 일치된 측정부위의 함몰된 부피를 나타내는 Depressions medium 값으로 나타내었으며, 안면 볼 리프팅 개선 정도에 대한 결과는 본 발명의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사용 전과 사용 후의 측정값 감소로 나타내었다.
도 4에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안면 볼 리프팅 개선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와 사진을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피부의 함몰된 부피를 나타내는 Depressions medium 값이 본 발명의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사용 전과 비교할 때, 2주 사용 후에는 21.74%, 4주 사용 후에는 24.33%가 감소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와 4주 사용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이 같은 결과로 보아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은 안면 볼 리프팅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피부 탄력 평가
피부 탄력 평가 실험은 평균연령 49.3세(49.3±5.92)의 여성 20명에게 4주 동안 1일 2회, 아침, 저녁 세안 후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을 안면부위에 고르게 펴 발라 흡수되게 하였으며,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 그리고 4주 사용 후의 시점에 피시험자의 오른쪽 볼 부위를 측정하였다. 측정장비는 Ballistometer(Ballistometer BLS780, DiaStron Ltd., UK)를 사용하였고, Ballistometer Probe에 장착된 2㎜ 직경의 arm이 피부 표면에 접촉할 때의 진동에너지를 수치화하여 피부탄력을 산정하였으며, 피부 탄력 개선 정도에 대한 결과는 본 발명의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크림 사용 전과 사용 후의 CoR 값(Coefficient of Restitution)의 증가로 나타내었다.
도 5에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탄력개선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를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피부 탄력을 나타내는 CoR 값이 본 발명의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크림 사용 전과 비교할 때, 2주 사용 후에는 2.06%, 4주 사용 후에는 3.17%가 증가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와 4주 사용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이 같은 결과로 보아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은 탄력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6] 피부치밀도 개선 평가
피부치밀도 개선 평가 실험은 평균연령 49.3세(49.3±5.92)의 여성 20명에게 4주 동안 1일 2회, 아침, 저녁 세안 후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을 안면부위에 고르게 펴 발라 흡수되게 하였으며,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 그리고 4주 사용 후의 시점에 피시험자의 왼쪽 눈꼬리 옆 3㎝ 부의를 동일한 압으로 눌러 치밀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장비는 고해상도의 초음파를 영상화하는 장치인 DUB-Skin Scanner(Taberna pro medicum, Luneburg, Germany)를 사용하였으며, 피부 치밀도 개선 정도에 대한 결과는 본 발명의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사용 전과 사용 후의 Density 값의 증가로 나타내었다.
도 6에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피부치밀도 개선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와 사진을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피부치밀도가 본 발명의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 6.87%, 4주 사용 후 11.91%가 증가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와 4주 사용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이 같은 결과로 보아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은 피부치밀도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7] 피부톤(맑기) 개선 평가
피부톤(맑기) 개선 평가 실험은 평균연령 49.3세(49.3±5.92)의 여성 20명에게 4주 동안 1일 2회, 아침, 저녁 세안 후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을 안면부위에 고르게 펴 발라 흡수되게 하였다. 측정장비는 전안촬영시스템 JANUS-1(PIE Ltd., Korea)과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CM-2600D, Konica Minoita, Japan)을 사용하였으며, 사용 전,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시점에 전안촬영시스템 JANUS-1을 이용하여 피시험자의 안면부위를 측정하였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피시험자의 왼쪽 볼 부위를 3회 연속 측정하고 그에 대한 평균값의 증가로 피부톤(맑기)의 개선 정도를 나타내었다.
도 7에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피부톤(맑기) 개선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와 사진을 나타내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피부의 밝기를 나타내는 L* value가 본 발명의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에는 0.43%, 4주 후에는 0.74%가 증가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사용 전과 비교하여 2주 사용 후와 4주 사용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이 같은 결과로 보아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은 피부톤(맑기)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8] 피부 자극 진정효과 평가
피부 자극 진정효과 평가 실험을 위한 측정장비로는 Tape Stripping과 ANTERA 3D를 사용하였다. 피부 자극 진정효과 평가 실험은 피시험자의 양쪽 전완 부위에 Tape stripping을 하여 피부 자극을 유도한 후, 시험물질 도포부위와 무도포부위로 나누어 ANTERA 3D를 이용하여 촬영을 진행하였다. 촬영된 이미지는 ANTERA 3D 전용 소프트웨어인 ANTERA CS software를 이용하여 a*(redness)를 분석하였으며, 본 발명의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무도포부위와 도포부위의 측정값 감소로 외부자극에 의한 피부 자극 진정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8에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외부 자극(물리적 자극)에 의한 피부 자극 진정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와 사진을 나타내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피부의 붉은기를 나타내는 a* value가 본 발명의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의 사용 전과 비교하여 1회 사용 직후 도포부위에서 10.63%, 무도포부위에서 4.12%가 감소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을 무도포부위의 1회 사용 직후와 비교하여 도포부위의 1회 사용 직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이 같은 결과로 보아 본 발명에 따른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은 외부 자극(물리적 자극)에 의한 피부 자극 진정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6)

  1. 정제수(purified water) 39.8 - 77.98중량%, 천연추출복합물 1.0 - 5.0중량%, 폴리소르베이트80(polysorbate 80) 3.5 - 5.5중량%, 비사보롤(bisabolol) 0.1 - 1.0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1.0 - 3.5중량%, 글리세린(glycerin) 3.0 - 6.0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3.0 - 6.0중량%,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정제수/1,2-헥산디올(sodium hyaluronate/purified water/1,2-hexanediol) 0.1 - 2.0중량%, 트로메타민(tromethamine) 0.05 - 0.5중량%,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05 - 0.5중량%,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3.0 - 6.0중량%, 아세틸헥사펩타이드-8(acetyl hexapeptide-8) 3.0 - 6.0중량%,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1.0 - 3.0중량%,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4(palmitoyl pentapeptide-4) 1.0 - 3.0중량%, 아데노신(adenosine) 0.01 - 0.1중량%, 폴리쿼터늄-51(polyquaternium-51) 1.0 - 5.0중량%, 트라넥사믹애씨드(tranexamic acid) 0.01 - 0.1중량%, 폴리라이신/카프릴릴글라이콜/에칠헥실글리세린/부틸렌글라이콜(polylysine/caprylyl glycol/ethyl hexyl grlycerin/butylene glycol) 0.1 - 2.0중량%, 금사연둥지추출물 1.0 - 3.0중량% 및 식물성오일 0.1 - 2.0중량%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추출복합물은,
    미선나무 잎 추출물 75.0 - 94.5중량%, 청각 추출물 0.5 - 5.0중량% 및 들깨 잎 추출물 5.0 - 20.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오일은,
    호호바씨오일(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 18.5 - 40.0중량%, 달맞이꽃오일(oenothera biennis (evening primrose) oil) 23.5 - 27.0중량%, 살구씨오일(prunis armeniaca (apricot) kernel oil) 33.5 - 37.0중량%, 캐모마일꽃오일(anthemis nobilis flower oil) 0.05 - 1.0중량%, 커먼자스민꽃오일(jasminum officinale flower oil) 0.05 - 0.5중량%, 두송열매오일(juniperus communis fruit oil) 1.0 - 3.0중량%, 라벤더꽃오일(lavandula spica (lavender) flower oil) 1.0 - 3.0중량%, 오렌지껍질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peel oil) 0.5 - 3.0중량%, 티트리잎오일(melaleuca alternifolia (tra tree) leaf oil) 0.1 - 2.0중량%, 오렌지꽃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orange) flower oil) 0.1 - 1.5중량%, 센티드제라늄오일(pelargonium graveoles oil) 0.1 - 1.5중량% 및 마조람꽃오일(origanum majorana flower oil) 0.1 - 2.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오일은,
    감압 교반기에 호호바씨오일 18.5 - 40.0중량%, 달맞이꽃오일 23.5 - 27.0중량%, 살구씨오일 33.5 - 37.0중량%, 캐모마일꽃오일 0.05 - 1.0중량%, 커먼자스민꽃오일 0.05 - 0.5중량%, 두송열매오일 1.0 - 3.0중량%, 라벤더꽃오일 1.0 - 3.0중량%, 오렌지껍질오일 0.5 - 3.0중량%, 티트리잎오일 0.1 - 2.0중량%, 오렌지꽃오일 0.1 - 1.5중량%, 센티드제라늄오일 0.1 - 1.5중량% 및 마조람꽃오일 0.1 - 2.0중량%를 공급하고 40 - 50℃로 가온한 다음, 300 - 400㎜Hg 압력하에서 감압 교반하여 가용화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합성 전구체 또는 단백질 합성 촉진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1 - 10%(w/v) 더 포함하고, 상기 단백질 합성 촉진제는 티로신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는, pH 농도가 8.0 - 8.5인 알칼리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
KR1020190126335A 2019-10-11 2019-10-11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 KR102286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335A KR102286909B1 (ko) 2019-10-11 2019-10-11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335A KR102286909B1 (ko) 2019-10-11 2019-10-11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319A true KR20210043319A (ko) 2021-04-21
KR102286909B1 KR102286909B1 (ko) 2021-08-09

Family

ID=75744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335A KR102286909B1 (ko) 2019-10-11 2019-10-11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9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610B1 (ko) * 2022-09-13 2023-02-14 주식회사 바노바기 리쥬버네이팅 스킨 소프너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385B1 (ko) 2013-09-10 2014-02-06 주식회사 위노바 피부재생용 펩타이드,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재생 방법
KR20140089266A (ko) 2013-01-04 2014-07-14 이종걸 피부미용 효능을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
KR20170025367A (ko)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769422B1 (ko) * 2016-02-25 2017-08-18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기능성 세럼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90056815A (ko) * 2017-11-17 2019-05-27 농업회사법인 엔제이바이오피아 주식회사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9266A (ko) 2013-01-04 2014-07-14 이종걸 피부미용 효능을 가지는 영양크림 조성물
KR101355385B1 (ko) 2013-09-10 2014-02-06 주식회사 위노바 피부재생용 펩타이드,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재생 방법
KR20170025367A (ko)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769422B1 (ko) * 2016-02-25 2017-08-18 원광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기능성 세럼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90056815A (ko) * 2017-11-17 2019-05-27 농업회사법인 엔제이바이오피아 주식회사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909B1 (ko) 202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6908B1 (ko)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크림 화장용 조성물
CN106580797A (zh) 一种美白祛斑霜及其制备方法
CN102293733A (zh) 全方位美白祛斑护肤产品
KR101860307B1 (ko) 수용성 규소가 포함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09157450A (zh) 一种祛痘精华乳
CN105902418A (zh) 一种仿皮脂基质、包含仿皮脂基质的外用制剂及其应用
KR102083294B1 (ko)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042960B1 (ko) 피부보습 및 피부톤 개선용 스킨 에센스
CN112870116B (zh) 滋润保湿修复嘴唇的润唇膏及其制备方法、滋润保湿修复嘴唇的口红及其制备方法
CN103462835B (zh) 一种美容护肤乳液及其制备方法
CN110051569A (zh) 一种含茴香油的丰胸调理精华油及其制备方法
CN106333909B (zh) 一种淡化面部红血丝修复肌肤的乳液及其制备方法
JP2010241762A (ja) 化粧料
KR102611063B1 (ko) 마사지용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54160B1 (ko) 두피노화 예방 및 완화, 및 탈모방지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86909B1 (ko)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
CN106333880B (zh) 一种稀薄乳液基质的爽肤水及其制备方法
RU2589279C1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лица и тела
CN105342966A (zh) 含有日本医蛭的护肤保湿霜及其制备方法
CN115154375A (zh) 一种稳定且具有修护及舒缓功效的清洁组合物
KR102071600B1 (ko) 민감성피부 및 피부트러블 개선용 크림 조성물 제조방법
WO2012023179A1 (ja) 持続性鎮痒外皮用剤
RU2571273C1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интенсивного увлажнения и лифтинг-эффекта кожи
RU2431462C1 (ru) Порошковая косметическая фитомаска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лица и тела
CN113278477A (zh) 一种美白保湿滋润抑菌的沐浴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