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392B1 - 돈지 및 죽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돈지 및 죽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392B1
KR101337392B1 KR1020110091398A KR20110091398A KR101337392B1 KR 101337392 B1 KR101337392 B1 KR 101337392B1 KR 1020110091398 A KR1020110091398 A KR 1020110091398A KR 20110091398 A KR20110091398 A KR 20110091398A KR 101337392 B1 KR101337392 B1 KR 101337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bamboo salt
skin
present
bambo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7883A (ko
Inventor
최은아
Original Assignee
인산죽염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산죽염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산죽염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1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392B1/ko
Publication of KR20130027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3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4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5Fat tissue; Adipocytes; Stromal cells; Connective tissues

Abstract

본 발명은 돈지 및 죽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돈지 및 죽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염증 및 알레르기 등의 피부와 관련된 모든 질병에 효과적이고 피부재생능력이 우수한 피부재생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 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돈지 및 죽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Composition for renewing skin containing lard and bamboo salt}
본 발명은 돈지 및 죽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돈지 및 죽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염증 및 알레르기 등의 피부와 관련된 모든 질병에 효과적이고 피부재생능력이 우수한 피부재생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 식품에 관한 것이다.
죽염은 대나무와 살균으로 부패를 방지하는 소금을 소성로에서 고열로 반복처리함으로써, 이들이 가지고 있는 약효를 최대한 증진시킨 가공소금의 일종이다. 1980년에 출판된 인산 김일훈의 저서 '우주와 신약'에 죽염 제조법이 공개되면서 죽염은 민간에서 널리 알려져 소화기 계통의 치료제 및 각종 염증완화제 등으로 애용되어 왔다.
본 발명의 죽염은 약리효과를 보다 증대시킬 목적으로 천일염을 대나무 통속에 다져 넣고 대통입구를 황토로 반죽하여 봉한 다음, 대나무 통들을 가마에 쌓아 소나무를 때서 고온으로 가열하고, 구워진 죽염덩어리를 가루로 만들어 다시 대나무 통속에 다져 넣고 동일 조건에서 가열하는 일을 총 8회 반복한 다음에, 9번째에서는 송진가루를 장작 위에 뿌리고 1000~1800℃로 가열하면 소금이 용융되어 용암처럼 흘러내리는데, 이것이 식어서 굳은 후 분쇄하면 죽염이 완성된다.
일반적으로 돈지(돼지기름)는 동물성 식용유지로서 가격이 저렴하고 식물성 식용유지에 비해 끓는 점이 높은 특징이 있어, 조리시에 많이 사용되는 대중적인 식용유지에 해당한다.
한국특허공개 제2010-0104703호에는 피부재생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사용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돈지 및 죽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돈지 및 죽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염증 및 알레르기 등의 피부와 관련된 모든 질병에 효과적이고 피부 세포 및 콜라겐 생성 촉진효과 등의 피부재생능력이 우수한 피부재생용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돈지 및 죽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부재생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돈지 및 죽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염증 및 알레르기 등의 피부와 관련된 모든 질병에 효과적이고 피부 세포 및 콜라겐 생성 촉진효과 등의 피부재생능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천연유래 성분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부작용 등이 전혀 없어, 의약품, 의약외품, 화장품 및 식품의 재료 등의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돈지 및 죽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돈지는 바람직하게는 돼지비계를 160~180℃에서 0.8~1.2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에 의해 돼지비계에서 추출된 기름을 여과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돼지비계를 17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에 의해 돼지비계에서 추출된 기름을 여과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조건에서 돈지를 추출하는 것이 돈지 특유의 냄새를 감소시키면서 유효성분을 최대로 추출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죽염은 천일염을 분쇄하여 대나무에 다져 넣고, 황토로 입구를 밀봉한 뒤, 이를 이중으로 만든 두 겹의 쇠판 사이에 황토를 다져넣어 만든 쇠통에 넣고, 소나무 장작불로 600~1000℃에서 6~10번 구운 후, 1000~1800℃에서 1~2번 구워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0℃에서 8번 구운 후, 1500℃에서 1번 구워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방법으로 죽염을 제조하는 것이 죽염의 약리효과를 최대로 증진시킬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돈지와 죽염은 바람직하게는 4.5~5.5:0.8~1.2 중량비율로 혼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1 중량비율로 혼합할 수 있는데, 상기 비율로 돈지와 죽염을 혼합하는 것이 죽염을 단독으로 처리하거나 다른 비율로 혼합하는 것에 비해 피부재생효과 및 염증억제효과가 우수하였다.
그러나, 그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돈지와 죽염을 어떠한 혼합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예를 들어, 99:1~1:99의 중량비율로 혼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1~1:10의 중량비율로 혼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효과 외에도 피부연화, 각질연화, 마사지, 눈보호, 코보호 및 아토피 억제 등에도 효과적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a) 돼지비계를 160~180℃에서 0.8~1.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돈지를 제조하는 단계;
(b) 천일염을 분쇄하여 대나무에 다져 넣고, 황토로 입구를 밀봉한 뒤, 이를 이중으로 만든 두 겹의 쇠판 사이에 황토를 다져넣어 만든 쇠통에 넣고, 소나무 장작불로 600~1000℃에서 6~10번 구운 후, 1000~1800℃에서 1~2번 구워 죽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a)단계의 제조된 돈지와 상기 (b)단계의 제조된 죽염을 4.5~5.5:0.8~1.2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재생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a) 돼지비계를 17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돈지를 제조하는 단계;
(b) 천일염을 분쇄하여 대나무에 다져 넣고, 황토로 입구를 밀봉한 뒤, 이를 이중으로 만든 두 겹의 쇠판 사이에 황토를 다져넣어 만든 쇠통에 넣고, 소나무 장작불로 800℃에서 8번 구운 후, 1500℃에서 1번 구워 죽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a)단계의 제조된 돈지와 상기 (b)단계의 제조된 죽염을 5:1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아이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및 바디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유효성분을 그대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의약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불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포름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젖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산 부가염 이외에도,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트리에틸아민, 3차-부틸아민과 같은 염기 부가염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약제학적 제형에 있어서, 유효성분의 함유량은 제형에 따라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른다.
본 발명에 의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필요에 따라 의약에 사용되는 각종 보조제, 예컨대 담체나 기타 첨가제, 예컨대 안정제, 완화제, 유화제 등을 첨가하여 제제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비경구, 경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 루트로는 경피 투여가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국소도포가 가장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반창고 형태로 제조하여 붙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형으로는, 연고, 크림, 주사제, 산제, 과립제, 정제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제형으로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0.001 내지 1000 mg / Kg·day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되거나 다른 약제와 동등하게 또는 다른 약제를 보조하기 위해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성분인 조성물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그 예로, 상기 조성물을 연고의 제형으로 제조할 경우 담반가루나 곰초를 보조로 첨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죽염과 돈지를 이용한 조성물의 제조방법
(a) 돼지비계를 17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돈지를 제조하였다.
(b) 천일염을 분쇄하여 대나무에 다져 넣고, 황토로 입구를 밀봉한 뒤, 이를 이중으로 만든 두 겹의 쇠판 사이에 황토를 다져넣어 만든 쇠통에 넣고, 소나무 장작불로 800℃에서 8번 구운 후, 1500℃에서 1번 구워 죽염을 제조하였다.
(c) 상기 (a)단계에 의해 제조된 돈지와 상기 (b)단계에 의해 제조된 죽염을 5: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1: 피부 자극 시험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제조예)에 대한 피부 자극 시험을 조사하기 위해 피부 첩포시험을 실시하였다. 피검자는 15~30세의 시험 부위에 피부 질환이 없는 사람으로 선정하였으며 15명에게 실시하였다. 첩포부위인 상박부를 70% 에탄올로 닦아내고 건조시킨 후, 샘플을 0.1 g씩 가하여 인체 상박부에 24시간 첩포하고, 첩포 제거 후 1시간 이내에 피부 반응을 검사하고, 다음날(48시간 후) 다시 검사하였다. 피부 반응 판정은 하기 검사기준에 의해 판정하였으며, 피부 첩포 시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 피부 반응 검사기준
- : 반응 없음
± : 미약한 양성 반응(홍반)
+ : 양성 반응(홍반)
++ : 강한 양성 반응(홍반, 부종)
+++ : 심한 양성 반응(홍반, 부종, 수포)
피부 자극 시험
처방
시험자수
(명)
판정결과
- ± + ++ +++
제조예 15 15 0 0 0 0
그 결과,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는 피부 자극이 전혀 나타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피부재생 효과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돈지와 죽염의 혼합비율(중량비)에 따른 피부재생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피부 세포(Skin cell) 증식효과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방법은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96-well microplate)의 각 웰(well)에 1×10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여 디엠이엠(DMEM :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샘플을 최종농도 500 ㎍/㎖ 되도록 조정한 혈청이 없는 디엠이엠 배지로 교체한 후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리움(MTT : (3-(4,5-dimethylthiazol-2-yl) 2,5-diphenyl tetrazolium : 5 mg/ml) 10 ㎕씩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방치한 후, 배지 부분을 버렸다. 각 웰당 100 ㎕의 디메틸 설폭사이드 용액을 가하여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57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과정을 실시하여 하기 수학식 1로부터 세포증식 효과를 구해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세포 증식 효과(%) = [(시료 처리시 흡광도-대조군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피부재생 효과
시료(500 ug/ml) 흡광도(570 nm) 세포증식효과(%)
무첨가 0.310 -
비교예 1(죽염) 0.395 27.42
제조예 1(돈지:죽염=5:1) 0.454 46.45
제조예 2(돈지:죽염=1:1) 0.414 33.54
제조예 3(돈지:죽염=10:1) 0.410 32.29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돈지와 죽염이 혼합된 조성물은 모두 정상 섬유아세포 세포증식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죽염을 단독으로 처리한 비교예 1에 비해 돈지와 죽염을 혼합하여 처리한 제조예들이 비교예 1에 비해 높은 세포증식효과를 나타내었고, 돈지와 죽염의 혼합비율 중, 5:1로 혼합하여 제조된 조성물(제조예 1)의 세포증식효과는 46.45%로 나타나 다른 혼합비율에 비해 피부재생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실시예 3: TPA 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의 저해 효과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돈지와 죽염의 혼합비율(중량비)에 따른 염증저해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티피에이(TPA; 12-ο-tetradecanoylphorbol-13-acetate)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에 대한 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먼저 25~30 g의 BALB/C 쥐를 한 군당 8마리씩 준비하여 실험 전에 12시간 절식시킨 후, 각각의 조성물을 1 g/kg의 농도로 경구투여시켰다. 30분 후에 자이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xylazine hydrochloride)로 마취시킨 후, 다시 5분 후에 TPA를 각 귀당 25 ug씩 양쪽 귀에 도포하였다. 그 다음, 5시간 후에 오른쪽과 왼쪽 귀를 6 mm 펀치(punch)로 잘라내어 무게를 측정하였다. 항염증 억제율은 조성물과 티피에이를 함께 처리한 군의 무게 증가량의 감소율을 이용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동량의 티피에이만을 첨가한 쥐의 무게 증가량을 사용하였다.
염증저해 효과
시료(g/kg) 억제율(%)
비교예 1(죽염) 60.4
제조예 1(돈지:죽염=5:1) 86.5
제조예 2(돈지:죽염=1:1) 74.3
제조예 3(돈지:죽염=10:1) 67.8
그 결과, 조성물을 쥐에 경구 투여했을 때, 조성물이 피부염증 유발 물질인 티피에이에 의해 유발된 쥐의 귀 염증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죽염을 단독으로 처리한 비교예 1에 비해 돈지와 죽염을 혼합하여 처리한 제조예들이 비교예 1에 비해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고, 그 중에서 5:1로 혼합하여 제조된 조성물(제조예 1)의 억제율이 86.5%로 나타나 다른 혼합비율에 비해 염증저해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a) 돼지비계를 가열한 후, 가열에 의해 돼지비계에서 추출된 기름을 여과하여 돈지를 제조하는 단계;
    (b) 천일염을 분쇄하여 대나무에 다져 넣고, 황토로 입구를 밀봉한 뒤, 이를 이중으로 만든 두 겹의 쇠판 사이에 황토를 다져넣어 만든 쇠통에 넣고, 소나무 장작불로 600~1000℃에서 6~10번 구운 후, 1000~1800℃에서 1~2번 구워 죽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a)단계의 제조된 돈지와 상기 (b)단계의 제조된 죽염을 4.5~5.5:0.8~1.2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10091398A 2011-09-08 2011-09-08 돈지 및 죽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1337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398A KR101337392B1 (ko) 2011-09-08 2011-09-08 돈지 및 죽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398A KR101337392B1 (ko) 2011-09-08 2011-09-08 돈지 및 죽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883A KR20130027883A (ko) 2013-03-18
KR101337392B1 true KR101337392B1 (ko) 2013-12-06

Family

ID=48178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398A KR101337392B1 (ko) 2011-09-08 2011-09-08 돈지 및 죽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3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815A (ko) 2017-11-17 2019-05-27 농업회사법인 엔제이바이오피아 주식회사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200098288A (ko) 2019-02-12 2020-08-20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0815B1 (ko) * 1995-12-29 1999-06-01 성재갑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0815B1 (ko) * 1995-12-29 1999-06-01 성재갑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전일보 기사, ‘콜레스테롤·피부노화 예방’(2007. 9. 2.)*
대전일보 기사, '콜레스테롤·피부노화 예방'(2007. 9. 2.)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815A (ko) 2017-11-17 2019-05-27 농업회사법인 엔제이바이오피아 주식회사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200098288A (ko) 2019-02-12 2020-08-20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883A (ko) 201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094B1 (ko)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101874462B1 (ko)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10961A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337392B1 (ko) 돈지 및 죽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1337395B1 (ko) 알레르기성 비염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5142B1 (ko) 조팝나무, 배나무, 뱀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76936B1 (ko) 티아졸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9903B1 (ko) 캠퍼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75584A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2076939B1 (ko) 에틸바닐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1029B1 (ko) 수베르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30127B1 (ko) 운데칸 또는 운데칸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JP5004529B2 (ja) ヒスタミン遊離抑制剤
KR102147591B1 (ko) 구아일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2160868B1 (ko) 노네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1984195B1 (ko) 자스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2076938B1 (ko) 카르본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60869B1 (ko) 헵타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2471629B1 (ko) 석창포 추출물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73245A (ko) 연경옥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20240040487A (ko) 플라티코딘 d 및 폴리갈락신 d의 함량이 증대된 도라지 추출법
KR20240054614A (ko)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54619A (ko) 참비녀골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96821A (ko) 게박쥐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07090A (ko) 취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