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178B1 - 수박 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민감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박 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민감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81178B1 KR101081178B1 KR1020040008305A KR20040008305A KR101081178B1 KR 101081178 B1 KR101081178 B1 KR 101081178B1 KR 1020040008305 A KR1020040008305 A KR 1020040008305A KR 20040008305 A KR20040008305 A KR 20040008305A KR 101081178 B1 KR101081178 B1 KR 1010811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melon
- skin
- extract
- endothelial
-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자극 및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능을 갖는 민감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박(Citrullus Vulgaris) 내피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레티놀 및 자외선 자극에 대항하여 피부 세포에서 염증매개인자인 인터페론-γ에 의한 ICAM-1의 발현 및 IL-1α, TNF-α 및 IL-8의 생합성을 억제하는 것을 통해, 자극완화 기능 및 사이토카인(cytokine)의 생성 조절기능에 의해 민감성 피부를 개선하며 이들을 환경에 적응하도록 하는 효능이 뛰어난 민감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박 내피 추출물 * 피부 자극 * 민감성 피부 * 화장품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박 내피 추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수박 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민감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정 피부형이 다른 형에 비해 더 민감하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민감성 피부의 증상 및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민감성 피부 보유자들은 화장품, 스트레스, 대기오염 등 외부적 영향에 의해 역반응을 쉽게 나타낸다. 이러한 역반응들은 홍반 등의 가시적인 반응 및 피부 건조, 피부 거침 등의 비염증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따가움, 가려움 등의 주관적인 느낌까지 매우 다양하다. 이에 대해 피부 과학자들은 민감성 피부를 평균적 집단에 비해 접촉성 자극이나 알러지 반응(allergic reaction)을 더 잘 나타내는 피부라고 정의한다. 민감성 피부를 가려내는 실험으로서, 자극을 유발한다고 알려진 젖산(lactic acid) 이나 DMSO를 처리하여 민감성 피부를 구분하는 예도 있다(K. Laammintausta et al, Dermatoses, 1988, 36,45-49). 이러한 민감성 피부 보유자들은 점점 증가추세에 있으며, 심지어 전체 미국 여성의 절반이상이 민감성 피부라고 주장하기도 한다(AW Johnson and DW Paige, making sense of sensitive skin, 1995).
민감성 피부에서의 역반응은 접촉성 자극염 등의 염증성 경로를 따르기도 하며 알러지 반응의 경로를 따르기도 한다. 여러 염증성 매개물질(leukotrien, prostaglandin) 및 사이토카인(cytokine) 등이 역반응에 관여하므로, 사이토카인 및 염증성 매개물질의 조절에 의해 역반응을 완화시키거나 희석시킬 수 있다.
또한 피부 자극원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있어서 건강한 각질층(stratum corneum)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JP Frosch and AM Kligman, Principles of cosmetics for the dermatologist, 187-196, 1982). 실제로 피부의 자극 경향 정도와 피부투과도가 상호관련이 있으므로, 피부장벽부실도 민감성 피부의 한 원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장벽의 강화도 민감성 피부의 정상화 방편 중 하나가 된다.
한편 지금까지의 민감성 피부용 화장품들은 자극을 일으킬 여지가 있는 유효원료를 제거하여 이들이 접촉성 피부염, 알러지성 피부염 등을 일으키지 않도록 개발되어져 왔다. 그러나 환경적, 심리적 요인에 의해 민감성 피부 보유자들의 화장품에도 유효 성분들의 사용이 요구된다. 따라서, 사이토카인 및 염증성 매개물질의 조절에 의해 역반응을 완화시키며, 피부 장벽 강화 기능, 피부 보호 기능을 통해 민감성 피부를 개선시키고 정상화시키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 정이다.
물론 염증성 매개체의 조절 및 민감성 피부의 역반응 조절이라는 측면에서 브레디키닌 길항제(bradykinin antagonist)에 대한 미국특허 제 5,849,312 호가 있으며, 사이토카인 중 하나인 TNF-α 저해제를 민감성 피부용 제제로 적용한 예로 미국특허 제 5,851,556 호가 있다. 그러나 이들은 제형의 안전성 및 안정성 측면에서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사람의 각질형성 세포나 랑게르한스 세포에서는 외부의 물질에 의해 다양한 사이토카인을 만들어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토카인은 피부의 자극유발이나 국소적인 염증반응의 진행에 필수적이다(J Appl Toxicol 16:65-70, 1996). 실제로 자극성 접촉피부염에서 인터루킨-6(Interleukin-6:IL-6), 인터루킨-1(Interleukin-1:IL-1), 종양 괴사인자-α(Tumor necrosis factor-α: TNF-α)의 증가가 보고되고 있다(Contact Dermatitis 35:355-60, 1996, Dec). 또한 알러지 유발물질에 의해 인터루킨-6(Interleukin-6:IL-6)가 특이하게 증가하고 있다고 하며, 특정 화학물질을 도포하여 IL-6, TNF-α가 유도된다는 보고도 있다(Am J Contact Dermat 8:8: 158-64, 1997). 알러지 반응에 대해 인터루킨-8(Interleukin-8:IL-8)의 관련도 보고되고 있다(Contact Dermatitis, 35:355-60, 1996 Dec).
또한 세포간 유착 분자-1(Intracellular Adhesion Molecule-1: ICAM-1)은 각질형성 세포와 림프구 간의 유착에 있어서 필수적인 분자인데, 피부에서 자극유발이나 국소적인 염증반응의 진행에 있어서 그 단백질 수준 및 유전자 수준에서의 발현량의 증가가 관찰되고 있다(Free Rad Biol Med, 28:219-227, 2000). 염증성 사이 토카인인 인터페론-γ(Interferon-γ: IFN-γ)는 각질형성 세포에 작용하여 각질형성 세포 표면의 ICAM-1 분자의 발현을 유도하므로, 염증성 역반응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효능성분으로서의 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자극과 관련된 사이토카인으로는 IL-1과 TNF-α, 알러지 관련 사이토카인으로는 IL-6, IL-8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염증성 반응경로와 관련된 표면 분자로서 ICAM-1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따라서, 민감성의 원인 중 하나인 사이토카인의 조절 및 염증 매개분자의 발현 조절에 의해 자극 등의 역반응을 조절하여 피부 정상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화장품, 의약품 등에 사용되어서 이미 안전성이 입증된 생약 추출물 및 천연물 유래 물질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던 중, 수박 내피 추출물이 배양된 사람세포에서 레티노인산(retinoic acid) 및 자외선 자극에 대항하여 매우 우수한 사이토카인 조절능이 있으며, 염증성 세포 표면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능력이 있고,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는 레티놀이 피부에 홍반, 인설, 가려움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는 것에 대하여, 동물 실험모델과 인체대상 시험에서 레티놀에 의해 생기는 피부 홍반과 인설을 억제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박 내피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자극 및 염증을 완화시키는 민감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박 내피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자극 및 염증을 완화시키는 민감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박은 수박속에 속하는 여름철 과실로서 본 발명에서는 재배종 수박 (Citrullis Vulgaris)의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수박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나타내었으며,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수박 내피를 세척하는 단계;
2) 여과하는 단계;
3) 활성탄소와 함께 교반하여 탈색, 탈취하는 단계; 및
4) 여과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박 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수박 내피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자극 및 염증 생성을 방지 또는 완화시키며, 민감성 피부를 완화하거나 정상화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며,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고,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또한,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다른 성분들은 기타 화장료 조성물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목적하는 효과를 얻기 위하여 상기의 수박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 중량%로 함유된다. 0.0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였을 때는 적절한 효능을 기대하기 어렵고, 10 중량% 초과하여 사용 할 경우에는 제품의 안전성 및 안정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박 내피 추출물의 제조
먼저 원료를 초순수로 세척하고 250 메쉬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원료 100 Kg 당 50% 1,3-부틸렌 글리콜 200 kg의 비율로 가하여 5∼7일간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250 메쉬와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0.5 ㎛ 여과지로 다시 한 번 여과한 후, 활성탄소와 함께 2시간 동안 교반하여 탈색과 탈취 과정을 수행하고, 3 ㎛ → 1 ㎛ → 0.5 ㎛ → 0.3 ㎛ → 0.2 ㎛ 로 순차적으로 여과하여 활성탄소를 완 전하게 제거하였다. 최종 수율은 수박 내피원료 100 kg에서 140 kg 의 최종산물을 얻었다.
[시험예 1] 수박 내피 추출물의 각질 세포주, HaCaT에서 레티노인산 자극에 의한 IL-1α 생합성 억제 효능 평가
사람의 각질 세포주 HaCaT(Dr. N. Fuseni로부터 구입)을 10%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이하 'FBS'라 한다)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BioWhittaker 社) 배양액으로 96-웰 시험 플레이트의 각 웰에 2 ×104개씩 세포를 부착시켜 5% CO2,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플레이트에서 배지를 제거한 후, 인산염 완충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200㎕로 1회 세척하고, FBS가 함유되지 않은 DMEM 배양액 200㎕을 넣어 24시간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수박 내피 추출물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농도 만큼씩 1% FBS가 함유된 DMEM 배양액에 혼합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 50㎕를 취하여 IL-1α ELISA(Pharmingen社)를 통해 레티노인산에 의한 IL-1α 유리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성 분 |
수박 내피 추출물 농도 (중량%) |
IL-1α (pg/ml) |
% 억제율* |
음성 대조 | - | 8.93 | - |
레티노인산(100μM) | - | 30.75 | - |
레티노인산(100μM)+수박 내피 추출물 | 0.5 | 18.34 | 56.9 |
* 레티노인산을 처리하지 않은 HaCaT 세포와 레티노인산을 처리한 세포의 IL-1α 생성량의 차이를 기준으로 계산함. |
상기 표 1로부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수박 내피 추출물은 사람의 각질세포주 HaCaT에서 레티노인산의 자극에 의한 염증 매개 물질인 IL-1α의 생합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수박 내피 추출물의 피부섬유 아세포에서 레티노인 산 자극에 의한 TNF-α 생합성 억제 효능 평가
사람의 표피 조직으로부터 분리, 배양한 피부 섬유아세포를 10%의 FBS가 함유된 DMEM(BioWhitakker 社) 배양액으로 96-웰 시험 플레이트에 2 ×104개씩 각 웰에 부착시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FBS를 넣지 않은 DMEM으로 24시간 정도 세포를 배양한 후에, 1%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으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수박 내피 추출물을 하기 표 2에 나타낸 농도 만큼씩 처리한 다음, 1시간 배양한 후에 배양액을 취하고, 각 배양액 50㎕에 대해 TNF-α 에 대한 ELISA(Pharmingen社, OptEIA Human TNF-α set 사용)를 수행함으로써, 레티노인산에 의한 TNF-α의 생합성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성 분 |
수박 내피 추출물 농도 (중량%) |
TNF-α (pg/ml) |
% 억제율* |
음성 대조 | - | 1.13 | - |
레티노인산(10μM) | - | 8.65 | - |
레티노인산(10μM)+ 수박 내피 추출물 | 0.1 | 4.69 | 52.7 |
* 레티노인산을 처리하지 않은 피부섬유아세포와 레티노인산을 처리한 세포의 TNF-α 생성량의 차이를 기준으로 계산함. |
상기 표 2로부터, 수박 내피 추출물은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레티노인 산 자극에 의한 염증 매개 인자인 TNF-α의 생합성 저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수박 내피 추출물의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UVB자극에 의한 TNF-α와 IL-8의 생합성 억제 효능 평가
사람의 표피조직으로부터 분리, 배양한 피부 섬유아세포를 10%의 FBS가 함유된 DMEM(BioWhittaker 社) 배양액으로 96-웰 시험 플레이트에 2 ×104개씩 각 웰에 부착시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FBS를 넣지 않은 DMEM으로 24시간 정도 세포를 배양한 후에, PBS를 넣고 UVB를 30 mJ/㎠ 조사하였다. 이후 1%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배양액으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수박 내피 추출물을 하기 표 3에 나타낸 농도 만큼씩 처리한 다음, 1시간(TNF-α)/24시간 (IL-8) 배양한 후에 상등액을 취하고, 상등액을 50㎕씩 취하여 TNF-α 및 IL-8에 대한 ELISA 평가법(Pharmingen社, OptEIA Human TNF-α set 사용)을 수행함으로써, UVB에 의한 TNF-α와 IL-8의 생합성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 수박 내피 추출물 농도 (중량%) |
TNF-α (pg/ml) |
TNF-α 억제율(%)* |
IL-8 (pg/ml) |
IL-8 억제율 (%)* |
음성대조 | - | 0.3 | - | 1395.15 | - |
UVB (30mJ/㎠) | - | 6.97 | - | 1817.78 | - |
UVB+수박 내피 추출물 | 0.1 | 3.20 | 54.3 | 1448.64 | 87.3 |
*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섬유아세포와 자외선을 조사한 섬유아세포의 TNF-α, IL-8 생성량의 차이를 기준으로 계산함. |
상기 표 3으로부터, 수박 내피 추출물은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UVB 자극에 의한 염증 매개 인자인 TNF-α와 IL-8의 생합성 저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염증매개 물질인 IFN-γ에 의한 ICAM-1분자의 유도발현 억제 효능 평가
사람의 각질 세포주 HaCaT을 10%의 FBS가 함유된 DMEM(BioWhittaker 社) 배양액으로 96-웰 시험 플레이트의 각 웰에 2 ×104개씩 세포를 부착시켜 12시간 동안 배양한 후, 적당한 농도가 되도록 DMEM 배양액으로 희석한 다음,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수박 내피 추출물을 넣고 12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PBS로 세척한 후, 20 unit/mL 의 IFN-γ를 함유한 DMEM 배양액으로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여 HaCaT 세포주의 표면에 ICAM-1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사람의 T 림프구 세포주인 Jurkat을 1 ×107/mL 이 되도록 PBS로 희석한 후 살아있는 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염색되는 형광 염료인 calcein-AM (Fluka #17783)을 최종농도 5 μM 이 되도록 첨가한 후 30분간 배양하였다. 세포에 염색되고 남은 과잉의 염료를 PBS로 씻어내는 과정을 3회 반복하고 3 ×106/mL 이 되도록 RPMI- 1640(BioWhittaker 社) 배양액으로 준비하였다. HaCaT 세포주 표면에의 ICAM-1 분자의 유도발현 과정이 완료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깨끗이 세척한 후 칼세인-AM(calcein-AM)으로 형광 염색된 Jurkat 세포주를 각 웰 마다 3 ×105 씩 넣고 1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HaCaT 세포주와 유착하지 않은 과잉의 Jurkat 세포들을 PBS로 깨끗이 제거하는 과정을 4회 반복하였고 형광 판독기(Fluorescent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480/530 nm 파장에서 형광 정도를 측정하였다. HaCaT 세포주와 Jurkat 세포주 간의 유착의 정도는 ICAM-1 분자의 발현정도를 의미하며, 그 값은 측정된 형광의 세기에 비례한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 추출물 농도 | 형광 측정값 | 발현 억제율 |
음성대조(DMEM) | - | 1197 | - |
자극원(20 unit/mL IFN-g) | - | 5201 | - |
수박 내피 추출물 + 자극원 | 0.1% | 1055 | 79.7% |
※ 상기 표 4에서 발현억제율(%)은 하기 수학식 1로 산출하였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수박 내피 추출물은 피부 각질형성 세포에서 염증 유발인자인 인터페론-γ에 의한 ICAM-1 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5] 동물시험을 통한 수박 내피 추출물의 레티놀 홍반 자극 완화 효능 평가
뉴질랜드 흰토끼의 등 피부에 하기 표 6에 나타낸 조성물을 1일 2회 간격으로 4일간 총 8회 도포하였다. 물질 도포 후, 홍반 및 가피형성 평점과 부종형성 평점 값을 누적시켜 피부누적자극 지수를 구하였다. 피부누적자극 지수는 표 5에 나타낸 판정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결과에 나타낸 자극 지수는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Draize의 1차 자극 지수(Primary Irritation Index)의 산출 방법에 따른 것이다(Draize, J.H., Appraisal of the safety of chemical in foods, drugs and cosmetics). 하기 수학식 2를 사용하여 자극완화율을 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피부 자극의 정도 | 평점 |
1)홍반과 가피형성 홍반이 없음 아주 경도의 홍반(육안으로 겨우 식별할 정도) 명료한 홍반 중등도에서 강한 홍반 심홍색의 강한 홍반과 가피 형성 |
0 1 2 3 4 |
2)부종형성 부종 없음 매우 가벼운 부종(육안으로 겨우 식별할 정도) 명료한 부종(주위와 명료한 구분이 됨) 중등도의 부종(1㎜정도 부어 올랐을 경우) 강한 부종(1㎜ 이상 부어오르고 노출 부위 밖에까지 확장된 상태) |
0 1 2 3 4 |
피부 일차 자극 지수(Primary irritation index, P.I.I.) = (홍반 평점과 부종 평점의 합의 평균치)/4 |
= (홍반 평점과 부종 평점의 합의 평균치)/4
조성물 | 추출물 농도(%) | 자극완화율(%)* |
(-)레티놀 + 부형제(Vehicle) | - | - |
(+)레티놀 3000 IU + 부형제(Vihicle) | - | - |
(+)레티놀 3000 IU + 수박 내피추출물 (실시예 1) | 0.5% | 20 |
(+)레티놀 3000 IU + 수박 내피추출물 (실시예 1) | 1.0% | 28 |
* 레티놀을 도포하지 않은 군과 도포한 군의 누적자극지수의 차를 기준으로 하여 자극 완화율 계산 |
상기 표 6으로부터, 수박 내피 추출물이 레티놀에 의한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6] 인체 시험을 통한 수박 내피 추출물 함유 제형에서 레티놀에 의한 피부홍반 완화 효능 평가
시험에 들어가기 전 한달 동안에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및 기타 스테로이드 제제를 복용한 경력이 없는 건강한 자원자를 대상으로 수박 내피 추출물의 레티놀에 의한 피부홍반 유발억제 효과를 CTFA(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의 안전성 평가 지침(Safety Testing Guideline, 1981, p3)에 따라 평가하였다. 즉, 15명의 피검자의 전박 안쪽에 하기 표 7의 처방과 같이 제형화한 조성물을 하루에 두번씩 도포하고 (50 ㎕/1.5*1.5 ㎠), 흡수를 돕기 위해 랩(wrap)으 로 3시간 동안 싸두었다. 시험 기간은 피검자의 반응 정도와 피부 상태를 고려하여 조정하였으며 최대 3주로 하였다. 검사는 매일 오전 도포 전에 시행하였고, 마지막 검사는 첩포 시행일로부터 8일까지 실시하였다. 자극의 회복 정도를 반영하기 위해 첩포 종료 후에도 계속 평가하였고, 홍반이 완전히 사라지고 색소 침착만 남은 경우에는 점수를 부여하지 않았다. 각 검사 시점에서 하기 표 8의 판정 방법에 따라 자극정도를 평가하였고, 그 합으로부터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자극완화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성분 | 함량(중량%) | |||
비교예 1 | 비교예 2 | 제형예 1 | 제형예 2 | |
수박 내피 추출물 (실시예 1) | - | - | 0.5 | 1.0 |
레티놀 | 3000IU | - | 3000IU | 3000IU |
밀납 | 4.00 | 4.00 | 4.00 | 4.00 |
폴리솔베이트 | 1.50 | 1.50 | 1.50 | 1.50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 0.70 | 0.70 | 0.70 | 0.70 |
유동파라핀 | 5.00 | 5.00 | 5.00 | 5.00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 5.00 | 5.00 | 5.00 | 5.00 |
글리세린 | 3.00 | 3.00 | 3.00 | 3.00 |
부틸렌글리콜 | 3.00 | 3.00 | 3.00 | 3.00 |
프로필렌글리콜 | 3.00 | 3.00 | 3.00 | 3.0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10 | 0.10 | 0.10 | 0.10 |
트리에탄올아민 | 0.20 | 0.20 | 0.20 | 0.20 |
방부제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색소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향료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정제수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피부의 자극 정도 | 평점 |
경도의 홍반(mild erythema) 심한 홍반(intense erythema) 부종을 동반한 심한 홍반(intense erythema with edema) 부종과 수포를 동반한 심한 홍반 (intense erythema with edema and vesicle) |
1 2 3 4 |
조성물 | 자극완화율(%)* |
비교예 1 | - |
비교예 2 | - |
제형예 1 | 15 |
제형예 2 | 23 |
상기 표 9로부터, 본 발명의 수박 내피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은 사람의 피부에서 레티놀에 의한 홍반 유발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시험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민감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은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며, 피부자극의 신호전달 물질인 사이토카인을 조절하고 염증성 매개분자의 발현을 조절하여 민감성 피부의 정상화를 위한 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여타 자극성이 우려되는 기능성 원료와 함께 사용이 가능하므로 민감성 피부용 화장품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8)
- 피부 자극 및 염증완화제로서 수박 내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감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박 내피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 중량%로 함유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민감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박 내피 추출물은 IL-1α, IL-8 또는 TNF-α의 생합성 억제용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박 내피 추출물은 염증매개 인자인 INF-γ 자극에 의한 ICAM-1의 발현 유도 억제용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박 내피 추출물은 레티놀 자극에 대한 인체피부에서의 홍반 형성반응을 억제시키는 피부 자극 및 염증반응 예방용 유효성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박 내피 추출물은 수박 내피를 1,3-부틸렌 글리콜로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08305A KR101081178B1 (ko) | 2004-02-09 | 2004-02-09 | 수박 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민감성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08305A KR101081178B1 (ko) | 2004-02-09 | 2004-02-09 | 수박 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민감성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0480A KR20050080480A (ko) | 2005-08-12 |
KR101081178B1 true KR101081178B1 (ko) | 2011-11-07 |
Family
ID=37267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08305A KR101081178B1 (ko) | 2004-02-09 | 2004-02-09 | 수박 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민감성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1178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9301A (ko) | 2017-12-11 | 2019-06-19 | 주식회사 엑소코바이오 |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의 예방, 억제, 완화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KR20190069277A (ko) | 2017-12-11 | 2019-06-19 | 주식회사 엑소코바이오 |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 및/또는 세포외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민감성 피부 예방, 억제, 완화 또는 개선 용도 |
KR102105256B1 (ko) | 2018-12-05 | 2020-04-29 | (주) 에이텍 | 죽여추출물이 포접된 입방상 지질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민감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5464B1 (ko) * | 2011-04-27 | 2013-11-04 | 이정남 | 수박 내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TWI637747B (zh) * | 2017-06-19 | 2018-10-11 | 大江生醫股份有限公司 | 用以調控介白素-8、一氧化氮合酶3、內皮素1、組織型纖溶酶原啟動劑、血管性血友病因子、人類凝血因子、絲氨酸蛋白酵素抑制劑1以及細胞間黏附分子1基因的表現之含有西瓜幼果、嘉寶瓜幼果萃取物或其組合之組合物 |
KR20210066737A (ko) | 2019-11-28 | 2021-06-07 | (주)아모레퍼시픽 | 레티놀과 피루브산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5235A (ja) | 1996-07-09 | 1998-01-27 | Michio Kotosaka | 西瓜を原料とする化粧水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0136142A (ja) | 1998-10-29 | 2000-05-16 | Ichimaru Pharcos Co Ltd | 抗アレルギー剤 |
JP2001226249A (ja) | 2000-02-17 | 2001-08-21 | Ichimaru Pharcos Co Ltd | 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
-
2004
- 2004-02-09 KR KR1020040008305A patent/KR10108117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5235A (ja) | 1996-07-09 | 1998-01-27 | Michio Kotosaka | 西瓜を原料とする化粧水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0136142A (ja) | 1998-10-29 | 2000-05-16 | Ichimaru Pharcos Co Ltd | 抗アレルギー剤 |
JP2001226249A (ja) | 2000-02-17 | 2001-08-21 | Ichimaru Pharcos Co Ltd | 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9301A (ko) | 2017-12-11 | 2019-06-19 | 주식회사 엑소코바이오 |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의 예방, 억제, 완화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KR20190069277A (ko) | 2017-12-11 | 2019-06-19 | 주식회사 엑소코바이오 |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 및/또는 세포외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민감성 피부 예방, 억제, 완화 또는 개선 용도 |
KR102105256B1 (ko) | 2018-12-05 | 2020-04-29 | (주) 에이텍 | 죽여추출물이 포접된 입방상 지질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민감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0480A (ko) | 2005-08-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102004028302B4 (de) | Stimulierung der Synthese und der Aktivität einer Isoform der Lysyloxidase-ähnlichen LOXL zum Stimulieren der Bildung von elastischen Fasern | |
DE69735814T2 (de) | Verwendung von komplexen in die herstellung von präparaten zur behandlung empfindlicher haut,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hypoallergenische präparate | |
More et al. | Evaluation for skin irritancy testing of developed formulations containing extract of Butea monosperma for its topical application | |
US20050208160A1 (en) | Activities of an active principle obtained from powdered alfalfa seeds (medicago sativa) , active principle used and process of obtaining the same | |
AU2017259057B2 (en) | Saxifraga extracts for cosmetic or therapeutic use on the skin | |
US11311596B2 (en) | Active ingredient obtained from Ophiopogon japonicus for the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 |
KR101081178B1 (ko) | 수박 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민감성 화장료 조성물 | |
KR100453135B1 (ko) | 피부 자극 감소용 조성물 및 방법 | |
KR20070069625A (ko) | 레티노이드에 의한 피부자극을 완화시키는 페퍼민트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US11382858B2 (en) | Active ingredient obtained from Nymphaea alba flowers | |
FR2920303A1 (fr) | Utilisation d'un extrait de boerhavia pour apaiser la peau. | |
KR100444599B1 (ko) | 피부자극 및 염증완화 효과를 갖는 라스베리 잎 또는 열매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US11065194B2 (en) | Cosmetic use of extracts of Salvia miltiorrhiza roots, special extracts of Salvia miltiorrhiza roots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such extracts | |
DE69905603T2 (de) | Walnusssamenschrotmehlextrakt | |
KR20050100473A (ko) | 금은화, 상백피 및 황금 추출물을 함유하여 염증완화능을갖는 항 자외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0954984B1 (ko) |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조성물 | |
KR100431503B1 (ko) | 자외선에 의한 피부세포 손상을 억제하는 프럭토스1,6-디포스페이트 및 그의 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 |
Oh et al. | A study of anti‐wrinkle functions and improvement of cream with Phaseolus angularis | |
KR101137086B1 (ko) | 혼합이성화당과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 |
KR20150105550A (ko) | 동물성 알의 점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JPH09263526A (ja) | イヌカタヒバ有機溶媒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および医薬組成物 | |
KR20050121397A (ko) | 피부자극 완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갖는 천문동 추출물 및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 |
KR101648467B1 (ko) |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여 염증 및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 |
CH706016A2 (de) | Auf Stammzellen der Epidermis und Dermis und auf deren Mikro-Umgebung wirken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 |
US20230092216A1 (en) | Active principle comprising a particular extract of punica granatum and uses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ac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