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086B1 - 혼합이성화당과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 Google Patents
혼합이성화당과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7086B1 KR101137086B1 KR1020040023439A KR20040023439A KR101137086B1 KR 101137086 B1 KR101137086 B1 KR 101137086B1 KR 1020040023439 A KR1020040023439 A KR 1020040023439A KR 20040023439 A KR20040023439 A KR 20040023439A KR 101137086 B1 KR101137086 B1 KR 1011370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kin
- composition
- mixed
- extract
- inflammato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 유도체인 혼합이성화당(saccharide isomerate) 및 천연한방성분인 은행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항염증 및 피부자극완화 효과를 가지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혼합이성화당 * 은행잎 추출물 * 항염증 * 자극완화 * 피부외용제 조성물
Description
도 1은 젖산 및 자극완화 원료에 대한 인체 누적자극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당 유도체인 혼합이성화당(saccharide isomerate) 및 천연한방성분인 은행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항염증 및 피부자극완화 효과를 가지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접촉성 피부염은 외부의 자극 물질을 피부에 적용할 때 피부에서 나타나는 국소적 염증반응으로서, 임상적 증상으로는 가려움, 따끔거림, 화끈거림 등의 자극감 및 홍반(erythema), 부종(edema) 등의 염증성 자극 반응이 있으며, 조직학적으로는 진피에서 부종이 발견되고 표피와 진피에서 단핵세포의 유입이 관찰된다. 또한, 접촉성 피부염은 임상적 증상이나 발현 기전에 따라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 알러지성 접촉성 피부염, 감각성 자극, 광독성 피부염 등으로 대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은 자극원에 의해 자극받은 각질형성세 포(keratinocyte)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사이토카인(cytokines)을 분비하고 이들이 주위의 세포들에 작용하여 염증매개체, 사이토카인 등을 유리하여 혈관확장과 혈관투과성의 항진, 그리고 백혈구(leukocytes)의 이동을 유도하여 자극원의 작용부위에 홍반과 부종 등 염증을 일으키는 비면역 반응이다. 알러지성 접촉성 피부염은 면역반응으로 화학물질에 특이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감지하기 어렵고 상대적으로 심각한 임상적 반응을 보이며, 때로는 전신적인 반응을 유도한다. 감각성 자극은 홍반이나 부종 등의 임상적 증상을 보이지 않으며 가려움, 따끔거림, 화끈거림 등의 주관적 증상을 보인다. 광독성 자극은 광자극원 분자가 빛과 반응하여 일련의 생리 화학적인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그 증상은 화끈거림, 가려움, 홍반 및 부종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들의 명확한 구분은 어려우며 서로 상충되는 부분이 많다.
어떤 물질이 피부에 자극을 일으키기 위한 공통적인 과정은 물질이 피부에 침투되어, 표피 세포나 진피 세포와 상호작용을 하여 면역체계를 활성화시키고, 그 결과 염증반응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와 관련된 많은 제품은 자극이나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서 생활용품(personal care product)을 사용하는 사람 중 10% 이상이 피부에 대한 부작용을 호소하고 있으며, 1990년대 미국에서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0% 이상이 자신을 민감성 피부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최근 화장품은 피부에 실질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에 치중하는 경향이어서 화장품 등의 제품 사용으로 인한 피부 부작용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피부 자극을 완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어 왔으며, 예를 들면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기능성 원료 자체가 자극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고 또한 향료, 방부제, 기제 등의 화학물질이 5,500 종 이상 사용되고 있어 각각의 구성 성분에 의하여 여러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 레티노이드(retinoid) 등은 피부세포 재생의 촉진 또는 항주름 효과를 위해 화장품에 함유되지만 피부 자극을 유발한다. 따라서, 사용하는 원료자체가 자극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아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의 연구는 한계가 있다.
한편, 화장품이 아닌 의약품에는 자극완화 및 염증 완화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로서 비스테로이드계인 프루페나믹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등이 있고, 스테로이드 계통으로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등이 있으나, 피부에 대한 안전성 면에서나 피부용 조성물 배합시의 안정성 면에서 대부분 문제점을 안고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어 있어(김창종, 병태심리학, pp61-69, 1988) 인체에 부작용이 적으며 항염증 및 자극완화 효과가 있는 물질이 연구, 개발되고 있는 중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자극 완화 및 염증 완화물질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피부 부작용을 줄이면서 항염증 효과를 갖는 자극완화 물질을 찾고자 연구한 결과, 혼합이성화당이 우수한 항염증 효과 및 피부 자극완화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아울러, 혈행촉진효과를 나타내는 은행잎추출물도 항염증 효과 및 피부 자극완화 효과를 가지며, 이들을 같이 적용시 이 효과가 더욱 상승된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당 유도체인 혼합이성화당 및 천연한방성분인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및 피부자극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혼합이성화당(saccharide isomerate) 및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및 피부자극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혼합이성화당(saccharide isomerate)은 화학적 분류에서 탄수화물(carbohydrate)에 속하는 탄수화물 복합체로 단당류(saccharide) 혼합물이 촉매화반응에 의해 재정렬되면서 만들어진 구조로 피부표면에 강력하게 부착되어 건조한 공기에서도 수분을 잡아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 즉 물자석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피부 보습효과가 뛰어난 성분이다. 이성화당은 자연계에서 세포의 에너지 생성 반응을 위한 대사작용 중 반응의 초기 단계인 해당과정에서 볼 수 있다. 반응의 기질이 되는 포도당(D-glucose)은 효소에 의해 이성질당인 과 당으로 전환된 후 다음 반응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혼합이성화당은 식물 유래의 포도당(D-glucose)으로부터 제조한다.
은행잎 추출물은 학명이 Ginkgo biloba L.(Ginkgoaceae)이며, 어린 은행잎에서 유래하였으며, 전통동양약물데이타(Tredimed)에서 그 작용으로 담천(호흡이 곤란하고, 천식(喘息)이 심하고, 기침이 남), 백대(요산복통이 있고, 식욕이 없고, 아랫배가 처지는 느낌이 남), 소변백탁, 수사(소화가 안되어 물같은 설사를 하는 것), 흉민(가슴이 답답한 증) 등의 병증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소개되어져 있으며 화장품에서는 혈행촉진을 통해 혈색을 높이는 효과로 소개되어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유효성분으로 혼합이성화당 0.001~20.0 중량%를 함유하고, 은행잎 추출물 0.001~10.0 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또한,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이하,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혼합이성화당은 Pentapharm사제(스위스, 상품명; Pentavitin HM) 를 사용하였으며, 은행잎 추출물은 태평양사제(한국, 상품명; 은행잎 추출물)를 사용하였다.
[시험예 1] 항염증시험 1
항염증 효과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 억제 효과로 평가하였다. 전기 추출물을 이용한 대식세포를 대상으로 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마우스의 복강에서 채취한 대식세포에 최종농도가 500μM이 되도록 아스피린을 첨가해 세포에 잔존하는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cyclooxygenase; COX) 활성을 비가역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런 다음 전기 현탁액을 96 웰의 세포배양관(96 well plate)의 각 웰에 100㎕를 하여 5% CO2와 37℃ 조건의 배양기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여 대식 세포를 용기 표면에 부착시켰다. 부착된 대식 세포를 PBS로 3회 세척한 후 이를 추출물의 효과 시험에 사용하였다. 전기 배양한 대식세포 5x104cell/㎖에 LPS를 1%(w/v)로 함유하는 RPMI 배지를 첨가하여 12시간 동안 배양한 후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유발하고 추출물을 100㎕ 처리하여 유리된 프로스타글란딘을 효소면역 분석법(ELISA)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이때, 추출물의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억제 활성은 LPS를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 각각 생성된 프로스타글란딘의 차이를 100%로 설정하고 LPS와 시료를 함께 처리하여 감소된 프로스타글란딘의 백분율을 통하여 대조군과 비교,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 료 | 억제율(%) |
Blank | 100 |
대조군 (아스피린 처리군) | 25.0 |
혼합이성화당 1.0% | 52.0 |
혼합이성화당 3.0% | 67.0 |
은행잎 추출물 0.1% | 34.6 |
은행잎 추출물 0.5% | 42.2 |
실험결과 아스피린으로 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혼합이성화당에 의한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억제효과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은행잎 추출물에 의한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 억제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적용되는 사용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효과가 함께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항염증시험 2
본 실험은 SD 생쥐를 이용한 카라기난 발 부종(Carrageenan foot edema)법을 사용하였다. 혼합이성화당과 은행잎 추출물의 각각의 시료 40㎎/㎏을 복강으로 투여한 후 1시간 뒤, 0.1%의 카라기난 용액 0.5㎖를 실험 동물의 뒷발바닥에 주입하여 염증을 유발하였다. 카라기난 주입 직후와 주입 후 4시간 뒤의 쥐의 발부피의 변화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 억제율을 산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ΔV : 발 부피의 변화)
시 료 | 억제율(%) |
대조군 (아스피린 40 ㎎/㎏) | 35±6 |
혼합이성화당 40 ㎎/㎏ | 70±9 |
은행잎 추출물 40 ㎎/㎏ | 45±8 |
[시험예 3] 국소 항염증 효능
테트라데카노일포르볼 아세테이트(Tetradecanoylphorbol acetate; TPA) 2㎍을 20㎕ 아세톤에 녹이고, ICR 쥐의 귀에 도포하여 부종을 유발하였다. 부종유발한 후 15분, 6시간 뒤에 각각의 시료를 도포하였다. 최초 TPA 도포 후 24시간 마우스 귀의 일정 부분을 펀치로 도려낸 후 귀의 무게를 측정하고, 또한 부종 부위로 몰려든 뉴트로필수를 평가하기 위하여 마이엘로퍼옥시다아제(myeloperoxidase) 활성을 측정하여 각 시료의 항염증 효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 | 귀무게 억제율(%) | 마이엘로퍼옥시다아제 활성억제율(%) |
대조군 (아스피린 0.4 ㎎/ear) | 55 | 45 |
혼합이성화당 0.4 ㎎/ear | 59 | 55 |
은행잎 추출물 0.4 ㎎/ear | 53 | 48 |
상기 표 2 및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혼합이성화당과 은행잎 추출물을 처리한 군은 대조군으로 사용한 아스피린 처리군보다 우수한 효과를 보였 다. 특히 혼합이성화당에 의한 항염증 효과가 훨씬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혼합이성화당과 은행잎 추출물을 같이 적용할 경우 더욱더 우수한 항염증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
[시험예 4] 자극완화 시험
여성과 남성 15명(M3, F12)을 대상으로 직경 1.3㎝ 정도의 원형에 시험물질 20㎕를 스파툴라(spatula)를 이용하여 50회 문질러 주고, 처음 2회는 물질 도포 후 속에 여과지가 없는 힐탑챔버(hill top chamber)를 얹은 후 adhesive로 고정하여 폐쇄 조건을 만들어 주었다. 힐탑챔버에 의한 챕버 반응이 있어 3회에서 8회까지의 첩포 때는 물질 도포 후 여과지를 얹어 주고 접착제(adhesive)를 이용하여 고정시켜주었다. 매 23시간 동안 첩포하고 첩포 제거 후 1시간에 CTFA 가이드라인(1981년)의 terminology에 의거하여 검사하였다. 주말에는 첩포하지 않았다. 첩포 종료 후 4일째에는 delayed type 반응을 보기 위하여 추가로 검사하였고 결과에 반영하였다. 데이터는 맨 마지막 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Levene s test를 등분산을 확인한 후 ANOVA(Duncan)를 통해 사후 검정 (p<0.05)하여 비교하였다. 판정은 아래 표 4를 기준으로 하였다. 시험물질은 세포 재생의 촉진 또는 항주름 효과를 위해 화장품에 함유되는 기능성 원료 중 하나인 젖산(lactic acid)을 선택하여 시행하였으며, 혼합이성화당 및 은행잎 추출물에 의한 자극완화 효과가 있는지 함께 파악하기 위해 젖산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등급 | 기호 | 판정기준 |
0 | - | No visible reactions |
1 | + | Mild erythema(약한 홍반) |
2 | ++ | Intense erythema(강한 홍반) |
3 | +++ | Intense erythema with edema(강한 홍반과 부종) |
4 | ++++ | Intense erythema with edema & vesicle(강한 홍반, 부종, 물집) |
시험물질은 하기 표 5의 처방으로 제조되었다.
배합성분(중량%) | 비교제형예 1 | 비교제형예 2 | 비교제형예 3 | 제형예 1 |
정제수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젖산 | 3.0 | 3.0 | 3.0 | 3.0 |
혼합이성화당 | - | 1.0 | - | 1.0 |
은행잎추출물 | - | - | 0.1 | 0.1 |
식물성 경화유 | 1.5 | 1.5 | 1.5 | 1.5 |
스테아린산 | 0.6 | 0.6 | 0.6 | 0.6 |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 1.0 | 1.0 | 1.0 | 1.0 |
세테아닐 알코올 | 2.0 | 2.0 | 2.0 | 2.0 |
아라키딜베헤닐 알콜 &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 1.0 | 1.0 | 1.0 | 1.0 |
세틸아릴 알콜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 3.0 | 3.0 | 3.0 | 3.0 |
액상파라핀 | 11.0 | 11.0 | 11.0 | 11.0 |
카프릴릭/카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글리세라이드 | 6.0 | 6.0 | 6.0 | 6.0 |
방부제, 향, 색소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날짜별 자극 수치 데이터는 하기 표 6과 같다. 자극에 대해 반응한 피검자의 반응지수를 날짜별로 합하여 나타내었으며, 도 1은 각 시료별 자극 지수값을 총합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첩포 횟수 |
젖산 (비교제형예 1) |
젖산+혼합이성화당 (비교제형예 2) |
젖산+은행잎추출물 (비교제형예 3) |
젖산+혼합이성화당 +은행잎추출물 (제형예 1) |
|||||
1st | 3 | 1 | 1 | 0 | |||||
2nd | 5 | 1 | 1 | 1 | |||||
3rd | 3 | 0 | 0 | 0 | |||||
검사 | 3 | 1 | 1 | 1 | |||||
4th | 2 | 0 | 0 | 0 | |||||
5th | 3 | 0 | 0 | 0 | |||||
6th | 4 | 1 | 1 | 0 | |||||
7th | 2 | 0 | 1 | 0 | |||||
8th | 7 | 0 | 2 | 0 | |||||
종류후 4일째 | 10 | 1 | 2 | 1 | |||||
합계 | 42 | 5 | 9 | 3 |
본 시험 결과를 통해 젖산(lactic acid)에 의한 피부에 대한 자극 반응이 매우 높은 반면, 혼합이성화당 및 은행잎 추출물에 의해 젖산에 의한 피부 자극이 매우 낮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극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혼합이성화당과 은행잎 추출물을 함께 적용하였을 때 피부 자극완화 효과가 더욱 높아짐을 본 데이터로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염증 및 자극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혼합이성화당 및 은행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항주름 등에 효과를 가지고 있는 기능성 성분에 의한 피부 자극을 완화하고, 염증을 유발시키는 물질에 대해 염증 완화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안전성이 매우 높은 민감성 피부 외용제로 사용할 수 있었다.
Claims (5)
- 혼합이성화당(saccharide isomerate) 및 은행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이성화당은 식물 유래의 포도당인 D-글루코오스의 해당과정에서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혼합이성화당을 0.001~20.0 중량% 양으로 함유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은행잎 추출물을 0.001~10.0 중량% 양으로 함유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자극 완화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23439A KR101137086B1 (ko) | 2004-04-06 | 2004-04-06 | 혼합이성화당과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
JP2005109022A JP2005298504A (ja) | 2004-04-06 | 2005-04-05 | 混合異性化糖及び銀杏葉抽出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23439A KR101137086B1 (ko) | 2004-04-06 | 2004-04-06 | 혼합이성화당과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8119A KR20050098119A (ko) | 2005-10-11 |
KR101137086B1 true KR101137086B1 (ko) | 2012-04-19 |
Family
ID=35330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23439A KR101137086B1 (ko) | 2004-04-06 | 2004-04-06 | 혼합이성화당과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005298504A (ko) |
KR (1) | KR10113708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19612A1 (en) * | 2015-07-27 | 2017-02-02 | Mary Kay Inc. | Topical skin formulation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4444B1 (ko) * | 2017-02-03 | 2020-05-21 | 정호철 | 포도당을 포함하는 염증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022818A1 (en) * | 2002-07-31 | 2004-02-05 | Cho Suk H. | Skin care compositions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726864A1 (de) * | 1987-08-12 | 1989-02-23 | Bauer Johann | Verwendung von ginkgo bilobae extrakten zur bekaempfung von entzuendlichen prozessen |
JP3263409B2 (ja) * | 1991-07-30 | 2002-03-04 | 株式会社コーセー | 皮膚外用剤 |
JP3573883B2 (ja) * | 1996-10-04 | 2004-10-06 | 株式会社ノエビア | 抗菌性低刺激化粧料 |
JP3643672B2 (ja) * | 1997-03-25 | 2005-04-27 | 株式会社ノエビア | 皮膚外用剤 |
JP2000143513A (ja) * | 1998-11-16 | 2000-05-23 | Taisho Pharmaceut Co Ltd | 外用組成物 |
JP2002121108A (ja) * | 2000-10-13 | 2002-04-23 | Shiseido Co Ltd | 肌荒れ改善用皮膚外用剤 |
-
2004
- 2004-04-06 KR KR1020040023439A patent/KR10113708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5
- 2005-04-05 JP JP2005109022A patent/JP2005298504A/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022818A1 (en) * | 2002-07-31 | 2004-02-05 | Cho Suk H. | Skin care compositions |
Non-Patent Citations (4)
Title |
---|
Pharmacological Research 49: 133-142 (2004.2.) * |
Pharmacological Research 49: 133-142 (2004.2.)* |
Seifen, Oele, Fette, Wachse 121: 1013-1017 (1995) * |
Seifen, Oele, Fette, Wachse 121: 1013-1017 (1995)*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19612A1 (en) * | 2015-07-27 | 2017-02-02 | Mary Kay Inc. | Topical skin formulations |
US11577099B2 (en) | 2015-07-27 | 2023-02-14 | Mary Kay Inc. | Topical skin formulations |
US11911635B2 (en) | 2015-07-27 | 2024-02-27 | Mary Kay Inc. | Topical skin formulation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8119A (ko) | 2005-10-11 |
JP2005298504A (ja) | 2005-10-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2121920A (ja) | 生体適合性のガレン基剤の無害製剤方法 | |
JP5599730B2 (ja) | 免疫細胞の活性化閾値を上昇させる物質 | |
KR102660447B1 (ko) | 에틸 페룰레이트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 |
KR20060136412A (ko) | 생체 적합 갈레닉 기제의 제조 방법 | |
ES2656538T3 (es) | Extracto de semillas de Kniphofia uvaria, composición cosmética o dermatológica que lo contiene, y sus usos | |
KR101744889B1 (ko) |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 |
FR2980707A1 (fr) | Utilisation de glucanes obtenus a partir de prunus persica comme agent cosmetique anti-age | |
KR101137086B1 (ko) | 혼합이성화당과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 |
KR20070069625A (ko) | 레티노이드에 의한 피부자극을 완화시키는 페퍼민트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JP2008013553A (ja) | Limnocitruslittoralis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 |
KR102277525B1 (ko) | 파제신을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 |
JP3496967B2 (ja) | 抗プラスミン剤 | |
KR20100067700A (ko) | 관동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KR102530481B1 (ko) | 오스톨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 |
JP3235919B2 (ja) | 化粧料 | |
Oh et al. | A study of anti‐wrinkle functions and improvement of cream with Phaseolus angularis | |
KR20050080480A (ko) | 수박 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민감성 화장료 조성물 | |
JP3461921B2 (ja) | 化粧料 | |
KR101074985B1 (ko) | 유향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US20230092216A1 (en) | Active principle comprising a particular extract of punica granatum and uses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acne | |
KR102611502B1 (ko) | 클로로젠산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 |
RU2355383C2 (ru) |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на основе коллагеназы микробн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 |
FR3046353A1 (fr) | Extrait de cassia alata contre la peau seche a tendance atopique | |
PAVLOVIĆ et al. | IN VITRO MULLEIN OIL INVESTIGATIONS AND IN VIVO EFFECTS OF MULLEIN OIL CREAM ON HUMAN SKIN PHYSIOLOGY | |
KR102588652B1 (ko) | 데하이드로투물로식 엑시드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