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외용제에 배합되는 다른 조성물과 함께, 라스베리의 일종인 복분자(Rubus coreanum), 멍덕딸기(Rubus idaeus) 및 멍석딸기(Rubus parvifolius)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의 잎 또는 열매 추출물을 0.00001~3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라스베리는 장미과 식물로서, 이에 속하는 식물 중, 본 발명에서는 복분자, 멍덕딸기 및 멍석딸기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이 식물들의 잎 또는 열매추출물이 동통, 홍반, 가려움 등의 피부염증 유발에 관련되는 브라디키닌과 물질 P의 작용을 길항하는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피부세포 및 신경교세포주에서 브라디키닌과 물질 P에 의해 분비되는 염증 매개 사이토킨인 IL-6와 IL-8의 분비를 억제하고, 자외선에 의해 증가되는 염증 매개 인자인 PGE2의 생합성을 억제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는 레티놀이 피부에 홍반, 수포 형성, 부종, 가려움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는 것에 대하여, 상기한 추출물들은 피부 세포에서 레티놀에 의한 염증매개인자인 MCP-1의 생합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동물 실험모델과 인체대상 시험에서 레티놀에 의해 생기는 피부 홍반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라스베리 추출물은 계면활성제로서 화장품에 첨가되는 SLS(sodium lauryl sulfate)와 기능성 원료인 락트산에 의한 피부 자극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가 있었으며, 자원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임상 시험에서 자외선 조사로 유발되는 피부 홍반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상기한 복분자, 멍덕딸기 및 멍석딸기의 추출물들은 피부 자극 및 염증 유발에 관여하는 인자들의 생성을 차단함으로써 효과를 나타내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천연물 추출물은 이들의 용어 그 식물 자체를 한정한 것이 아니고, 그 생약으로부터 침출 또는 전출하여 얻은 침출액, 또는 침출액을 다시 일부 또는 전부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 또는 다시 그 농축물을 건조시켜 제조한 침제, 전제, 정기, 유동엑기스(이하 추출 엑기스라 함) 및 천연물 중에 함유되어 주효과를 발휘하는 화학물질 그 자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상기 복분자, 멍덕딸기 및 멍석딸기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의 잎 또는 열매 추출물을 0.00001~3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함유량이 0.0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얻기가 힘들며,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자극 및 염증 생성을 방지 또는 완화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며,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이,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또한,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복분자 추출물의 제조
복분자 잎과 열매 1㎏을 정제수로 세척하여 건조시킨 다음, 분말화한 복분자 가루를 프로필렌 글리콜 5ℓ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있는 추출기에서 3일간 추출한 후, 와트만 필터페이퍼를 사용하여 2회 여과하였다. 이후 냉각 콘덴서가달려있는 증류 장치를 사용하여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킨 후에 농축하였다.
[참고예 2] 멍덕딸기 추출물의 제조
멍덕딸기 잎과 열매 1㎏을 사용하여, 상기 참고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참고예 3] 멍석딸기 추출물의 제조
멍석딸기 잎과 열매 1㎏을 사용하여 상기 참고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시험예 1] 라스베리 추출물의 신경교세포주, U373 MG에서 물질 P 자극에 의한 IL-6 생합성 억제 효능 평가
사람의 신경교세포주 U373 MG를 10%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이 함유된 MEM(Minimum Essential Media, GIBCO BRL, Life Technologues社) 배지로 96-웰 시험 플레이트의 각 웰에 2×104개씩 세포를 부착시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후, 인산염완충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200㎕로 1회 세척하고, FBS가 함유되지 않은 MEM 배지 200㎕에 평가하고자 하는 참고예 1~3의 추출물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농도 만큼씩 처리하여 5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배양액 25㎕를 취하여 IL-6 ELISA(Pharmingen社, OptEIA Human IL-6 set 사용)를 통해 물질 P에 의한 IL-6 유리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성분 |
추출물 농도(ppm) |
IL-6(pg/105cells) |
% 억제율* |
(-)기질(Substance) P+부형제(Vehicle) |
|
10.5 ±32 |
- |
(+)SP(1μM)+부형제(Vehicle) |
|
981.4 ±61 |
- |
(+)SP(1μM)+복분자 추출물(참고예 1) |
100 ppm |
505.7 ±41 |
48.5 |
(+)SP(1μM)+멍덕딸기 추출물(참고예 2) |
100 ppm |
602.7 ±38 |
39.6 |
(+)SP(1μM)+멍석딸기 추출물(참고예 3) |
100 ppm |
583.0 ±21 |
41.0 |
* Substance P를 처리하지 않은 U373 세포와 Substance P를 처리한 U373 세포의 IL-6 생성량의 차이를 기준으로 계산함. |
상기 표 1로부터, 복분자 추출물, 멍덕딸기 추출물 및 멍석딸기 추출물은 사람의 신경교세포 U373에서 물질 P 자극에 의한 염증 매개 물질인 IL-6의 생합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라스베리 추출물의 피부섬유아세포에서 브라디키닌 자극에 의한 IL-6 및 IL-8 생합성 억제 효능 평가
사람의 표피조직으로부터 분리, 배양한 피부섬유아세포(fibroblast)를 10%의 FBS가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GIBCO BRL, Life Technologues社) 배지로 96-웰 시험 플레이트에 2×104개씩 각 웰에 부착시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FBS를 넣지 않은 DMEM으로 24시간 정도 세포를 배양한 후에, 1%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으로 평가하고자 하는 참고예 1~3의 추출물을 하기 표 2에 나타낸 농도 만큼씩 처리한 다음, 5시간 배양한 후에 배양액을 취하고, 각 배양액 25㎕에 대해 IL-6와 IL-8에 대한 ELISA(Pharmingen社, OptEIA Human IL-6/IL-8 set 사용)를 수행함으로써, 브라디키닌에 의한 IL-6 및 IL-8의 생합성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성분 |
추출물 농도(ppm) |
IL-6(pg/105cells) |
IL-8(pg/105cells) |
IL-6억제율* |
IL-8억제율* |
(-)Bradykinin+부형제(Vehicle) |
|
0.86 ±0.27 |
2.93 ±0.99 |
- |
- |
(+)BK(1μM)+부형제(Vehicle) |
|
2.63 ±0.32 |
6.71 ±1.37 |
- |
- |
(+)BK(1μM)+복분자 추출물(참고예 1) |
10 ppm |
1.55 ±0.11 |
5.63 ±0.05 |
61.0 |
28.5 |
(+)BK(1μM)+복분자 추출물(참고예 1) |
50 ppm |
1.48 ±0.05 |
5.31 ±0.57 |
65.0 |
37.0 |
(+)BK(1μM)+멍덕딸기 추출물(참고예 2) |
10 ppm |
1.60 ±0.27 |
5.79 ±0.27 |
58.2 |
24.3 |
(+)BK(1μM)+멍석딸기 추출물(참고예 3) |
10 ppm |
1.59 ±0.74 |
5.34 ±0.19 |
58.8 |
36.2 |
* Bradykinin을 처리하지 않은 피부섬유아세포와 Bradykinin을 처리한 피부섬유아세포의 IL-6 또는 IL-8 생성량의 차이를 기준으로 계산함 |
상기 표 2로부터, 복분자 추출물, 멍덕딸기 추출물 및 멍석딸기 추출물은 피부섬유아세포에서 브라디키닌 자극에 의한 염증 매개 인자인 IL-6와 IL-8의 생합성 저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라스베리 추출물의 각질형성세포에서 자외선 자극에 의한 프로스타글란딘 생합성 억제 효과 평가
사람의 표피 조직에서 분리한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를 24-웰 시험 플레이트에 5×104개씩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FBS가 포함되지 않은 배지로 교체하고, 18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상기의 각질형성세포에 최종 농도가 500μM이 되도록 아스피린(aspirin)을 처리하여, 각질형성세포에 존재하는 프로스타글란딘 생합성 효소(prostaglandin H2 synthetase, 또는 cyclooxygenase, 이하 COX)의 활성을 제거하였다. 아스피린 처리 2시간 후에 각질형성세포가 들어있는 각 웰을 PBS로 2회 세척하고, 각 웰에 100㎕의 PBS를 넣었다. 이 각질형성세포에 자외선 B(UV B) 램프(Model: F15T8, UV B 15W, Sankyo Dennki社, Japan)를 이용하여 자외선 30mJ/㎠를 조사한 후, PBS를 덜어내고 각 웰에 각질형성세포 배양액(keratinocyte growth media, Clonetics, BioWhittacker社, MD, USA) 250㎕를 첨가하였다. 여기에평가하고자 하는 참고예 1~3의 추출물을 하기 표 3에 나타낸 농도만큼씩 처리한 후, 1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상층액을 적당량 취하여 16시간 동안 생합성된 PGE2를 정량함으로써, 라스베리 추출물의 프로스타글란딘 억제 효과를 판단하였다. PGE2의 양은 효소면역분석법(enzyme immunoassay)을 이용하여 정량화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
추출물 농도(ppm) |
PGE2(pg/105cells) |
% 억제율* |
(-) UV B+부형제(Vehicle) |
|
37.7 ±9.2 |
- |
(+) UV B+부형제(Vehicle) |
|
287.5 ±19.5 |
- |
(+) UV B+복분자 추출물(참고예 1) |
10 ppm |
80.4 ±11.4 |
82.9 |
(+) UV B+복분자 추출물(참고예 1) |
1 ppm |
233.7 ±41.2 |
21.5 |
(+) UV B+멍덕딸기 추출물(참고예 2) |
10 ppm |
111.6 ±9.7 |
70.4 |
(+) UV B+멍석딸기 추출물(참고예 3) |
10 ppm |
196.3 ±28.1 |
36.5 |
*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각질형성세포와 자외선을 조사한 각질형성세포의 PGE2생성량의 차이를 기준으로 계산함. |
상기 표 3으로부터, 복분자 추출물, 멍덕딸기 추출물 및 멍석딸기 추출물은 10 ppm의 농도에서 자외선에 의한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생성되는 PGE2는 주로 COX-2 효소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상기 시험을 통해, 각각의 추출물들이 COX-2 효소의 유도작용 또는 활성을 억제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라스베리 추출물의 피부섬유아세포에서 레티놀 자극에 의한 MCP-1 생합성 억제 효능 평가
사람의 표피조직으로부터 분리, 배양한 피부섬유아세포(fibroblast)를 10%의 FBS가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GIBCO BRL, LifeTechnologues社) 배지로 96-웰 시험 플레이트에 2×104개씩 각 웰에 부착시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FBS를 넣지 않은 DMEM으로 24시간 정도 세포를 배양한 후에, 1%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으로 평가하고자 하는 참고예 1~3의 추출물을 하기 표 4에 나타낸 농도만큼씩 처리한 다음, 5시간 배양한 후에 배양액을 취하고, 각 배양액 25㎕에 대해 MCP-1에 대한 ELISA(Pharmingen社, OptEIA Human MCP-1 set 사용)를 수행함으로써, 레티놀에 의한 MCP-1의 생합성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
추출물 농도(ppm) |
MCP-1(ng/105cells) |
% 억제율* |
(-)Retinoic acid+부형제(Vehicle) |
|
2.4 ±0.34 |
- |
(+)RA(10μM)+부형제(Vehicle) |
|
13.2 ±1.14 |
- |
(+)RA(10μM)+복분자 추출물(참고예 1) |
10 ppm |
8.7 ±1.16 |
41.7 |
(+)RA(10μM)+복분자 추출물(참고예 1) |
50 ppm |
7.4 ±0.72 |
53.7 |
(+)RA(10μM)+멍덕딸기 추출물(참고예 2) |
10 ppm |
10.9 ±0.31 |
21.3 |
(+)RA(10μM)+멍석딸기 추출물(참고예 3) |
10 ppm |
8.4 ±1.01 |
44.4 |
* Retinoic acid를 처리하지 않은 피부섬유아세포와 Retinoic acid를 처리한 피부섬유아 세포의 MCP-1 생성량의 차이를 기준으로 계산함 |
[시험예 5] 동물시험을 통한 라스베리 추출물의 레티놀 홍반 자극 완화 효능 평가
뉴질랜드 흰토끼의 등 피부에 하기 표 6에 나타낸 조성물을 1일 2회 간격으로 4일간 총 8회 도포하였다. 물질 도포 후, 홍반 및 가피형성 평점과 부종형성 평점 값을 누적시켜 피부누적자극 지수를 구하였다. 피부누적자극 지수는 표 5에 나타낸 판정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결과에 나타낸 자극 지수는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Draize의 1차 자극 지수(PrimaryIrritation Index)의 산출 방법에 따른 것이다(Draize, J.H., Appraisal of the safety of chemical in foods, drugs and cosmetics).
피부 자극의 정도 |
평점 |
1)홍반과 가피형성홍반이 없음아주 경도의 홍반(육안으로 겨우 식별할 정도)명료한 홍반중등도에서 강한 홍반심홍색의 강한 홍반과 가피 형성 |
01234 |
2)부종형성부종 없음매우 가벼운 부종(육안으로 겨우 식별할 정도)명료한 부종(주위와 명료한 구분이 됨)중등도의 부종(1㎜정도 부어 올랐을 경우)강한 부종(1㎜ 이상 부어오르고 노출 부위 밖에까지 확장된 상태) |
01234 |
피부 일차 자극 지수(Primary irritation index, P.I.I.)=(홍반 평점과 부종 평점의 합의 평균치)/4 |
조성물 |
추출물 농도(ppm) |
자극완화율(%)* |
(-)Retinol+부형제(Vehicle) |
- |
- |
(+)Retinol 3000 IU+부형제(Vihicle) |
- |
- |
(+)Retinol 3000 IU+복분자 추출물(참고예 1) |
100ppm |
25.9 |
(+)Retinol 3000 IU+멍덕딸기 추출물(참고예 2) |
100ppm |
38.5 |
(+)Retinol 3000 IU+멍석딸기 추출물(참고예 3) |
100ppm |
32.1 |
* Retinol을 도포하지 않은 군과 도포한 군의 누적자극지수의 차를 기준으로 하여 자극완화율 계산 |
상기 표 6으로부터, 복분자, 멍덕딸기 및 멍석딸기 추출물이 레티놀에 의한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6] 동물시험을 통한 라스베리 추출물 함유 제형의 락트산 및 SLS에 의한 피부 자극 완화 효능 평가
뉴질랜드 흰토끼의 등 피부에 하기 표 7과 같이 유화액(emulsion)으로 제형화한 조성물을 1일 2회 간격으로 4일간 총 8회 도포하였다. 물질 도포 후, 상기 표 5의 판정 기준에 근거하여 홍반 및 가피형성 평점과 부종형성 평점 값을 누적시켜피부누적자극 지수를 구하고, 하기 수학식 1을 사용하여 자극완화율을 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성분 |
함량(중량%) |
비교예 1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복분자 추출물(참고예 1) |
- |
1.00 |
- |
- |
1.00 |
1.00 |
1.00 |
멍덕딸기 추출물(참고예 2) |
- |
- |
1.00 |
- |
1.00 |
- |
1.00 |
멍석딸기 추출물(참고예 3) |
- |
- |
- |
1.00 |
- |
1.00 |
1.00 |
Lactic acid |
20.00 |
20.00 |
20.00 |
20.00 |
20.00 |
20.00 |
20.00 |
SLS |
0.30 |
0.30 |
0.30 |
0.30 |
0.30 |
0.30 |
0.30 |
밀납 |
4.00 |
4.00 |
4.00 |
4.00 |
4.00 |
4.00 |
4.00 |
폴리솔베이트 |
1.50 |
1.50 |
1.50 |
1.50 |
1.50 |
1.50 |
1.50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
0.70 |
0.70 |
0.70 |
0.70 |
0.70 |
0.70 |
0.70 |
유동파라핀 |
5.00 |
5.00 |
5.00 |
5.00 |
5.00 |
5.00 |
5.00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
5.00 |
5.00 |
5.00 |
5.00 |
5.00 |
5.00 |
5.00 |
글리세린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부틸렌글리콜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프로필렌글리콜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트리에탄올아민 |
0.20 |
0.20 |
0.20 |
0.20 |
0.20 |
0.20 |
0.20 |
방부제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색소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향료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정제수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조성물 |
자극완화율(%)* |
실시예 1 |
40.5 |
실시예 2 |
15.5 |
실시예 3 |
29.8 |
실시예 4 |
41.9 |
실시예 5 |
35.1 |
실시예 6 |
39.4 |
비교예 1 |
- |
상기 표 8로부터, 본 발명의 복분자, 멍덕딸기 및 멍석딸기 추출물을 1종 이상 함유하는 화장료는 락트산과 SLS에 의한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는 효능이 있는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7] 인체시험을 통한 라스베리 추출물 함유 제형에서의 레티놀에 의한 피부 홍반 완화 효능 평가
시험에 들어가기 전 한달 동안에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및 기타 스테로이드 제제를 복용한 경력이 없는 건강한 자원자를 대상으로 라스베리 추출물의 레티놀에 의한 피부 홍반 유발 억제 효과를 CTFA(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의 안전성 평가 지침(Safety Testing Guideline, 1981, p3)에 따라 평가하였다. 즉, 10명의 피검자의 전박 안쪽에 하기 표 10의 처방과 같이 유화액으로 제형화한 조성물을 24시간 동안 연속 폐쇄 첩포하였다. 첩포 횟수는 피검자의 반응 정도와 피부 상태를 고려하여 2~4회까지 실시하였으며, 검사는 매회 첩포 제거 1시간 후에 시행하였고, 마지막 검사는 첩포 시행일로부터 8일까지 실시하였다. 자극의 회복 정도를 반영하기 위해 첩포 종료 후에도 계속 평가하였고, 홍반이 완전히 사라지고 색소 침착만 남은 경우에는 점수를 부여하지 않았다. 각 검사 시점에서 하기 표 9의 판정 방법에 따라 자극정도를 평가하였고, 그 합으로부터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자극완화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피부의 자극 정도 |
평점 |
경도의 홍반(mild erythema)심한 홍반(intense erythema)부종을 동반한 심한 홍반(intense erythema with edema)부종과 수포를 동반한 심한 홍반(intense erythema with edema and vesicle) |
1234 |
성분 |
함량(중량%) |
비교예 2 |
실시예 7 |
실시예 8 |
실시예 9 |
실시예 10 |
실시예 11 |
실시예 12 |
복분자 추출물(참고예 1) |
- |
1.00 |
- |
- |
1.00 |
1.00 |
1.00 |
멍덕딸기 추출물(참고예 2) |
- |
- |
1.00 |
- |
1.00 |
- |
1.00 |
멍석딸기 추출물(참고예 3) |
- |
- |
- |
1.00 |
- |
1.00 |
1.00 |
레티놀 |
3000IU |
3000IU |
3000IU |
3000IU |
3000IU |
3000IU |
3000IU |
밀납 |
4.00 |
4.00 |
4.00 |
4.00 |
4.00 |
4.00 |
4.00 |
폴리솔베이트 |
1.50 |
1.50 |
1.50 |
1.50 |
1.50 |
1.50 |
1.50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
0.70 |
0.70 |
0.70 |
0.70 |
0.70 |
0.70 |
0.70 |
유동파라핀 |
5.00 |
5.00 |
5.00 |
5.00 |
5.00 |
5.00 |
5.00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
5.00 |
5.00 |
5.00 |
5.00 |
5.00 |
5.00 |
5.00 |
글리세린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부틸렌글리콜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프로필렌글리콜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트리에탄올아민 |
0.20 |
0.20 |
0.20 |
0.20 |
0.20 |
0.20 |
0.20 |
방부제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색소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향료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정제수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조성물 |
자극완화율(%)* |
실시예 7 |
26 |
실시예 8 |
32 |
실시예 9 |
35 |
실시예 10 |
43 |
실시예 11 |
28 |
실시예 12 |
19 |
비교예 2 |
- |
상기 표 11로부터, 본 발명의 복분자, 멍덕딸기 및 멍석딸기 추출물을 1종 이상 함유한 제형은 사람의 피부에서 레티놀에 의한 홍반 유발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8] 인체시험을 통한 라스베리 추출물 함유 제형에서의 자외선에 의한 피부 홍반 완화 효능 평가
시험에 들어가기 전 한달 동안에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및 기타 스테로이드 제제를 복용한 경력이 없는 건강한 자원자를 대상으로 라스베리 추출물의 자외선(UVB)에 의한 피부 홍반 유발 억제 효과를 Kaidbey와 Kurban의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Kaidbey & Kurban, 1976, J. Invest. Dermatol., Vol 66 pp153-156). 즉, 건강한 12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피검자의 윗팔뚝 부위에 직경 1.5cm의 구멍 6개가 뚫린 불투명 테이프를 부착한 뒤, 각 피검자의 최소 홍반량(Minimun Erythema Dose, MED)의 2배 정도의 자외선(UVB)을 SE lamp(파장 290~320nm, Toshiba)로 조사하여 홍반을 유도하였다. 하기 표 12의 처방에 따라 제조한 각각의 유화액 제형을 자외선을 조사하기 1시간 전과 자외선 조사 직후 도포하였다. 자외선 조사 후 6시간 및 24시간 후의 홍반지수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성분 |
함량(중량%) |
비교예3 |
실시예 13 |
실시예 14 |
실시예 15 |
실시예 16 |
실시예 17 |
실시예 18 |
복분자 추출물(참고예 1) |
- |
1.00 |
- |
- |
1.00 |
1.00 |
1.00 |
멍덕딸기 추출물(참고예 2) |
- |
- |
1.00 |
- |
1.00 |
- |
1.00 |
멍석딸기 추출물(참고예 3) |
- |
- |
- |
1.00 |
- |
1.00 |
1.00 |
밀납 |
4.00 |
4.00 |
4.00 |
4.00 |
4.00 |
4.00 |
4.00 |
폴리솔베이트 |
1.50 |
1.50 |
1.50 |
1.50 |
1.50 |
1.50 |
1.50 |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
0.70 |
0.70 |
0.70 |
0.70 |
0.70 |
0.70 |
0.70 |
유동파라핀 |
5.00 |
5.00 |
5.00 |
5.00 |
5.00 |
5.00 |
5.00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
5.00 |
5.00 |
5.00 |
5.00 |
5.00 |
5.00 |
5.00 |
글리세린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부틸렌글리콜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프로필렌글리콜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3.0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0.10 |
트리에탄올아민 |
0.20 |
0.20 |
0.20 |
0.20 |
0.20 |
0.20 |
0.20 |
방부제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색소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향료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정제수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조성물 |
홍반지수 |
6시간 후 |
24시간 후 |
비교예 3 |
1.7 |
2.2 |
실시예 13 |
1.0 |
1.6 |
실시예 14 |
0.8 |
1.8 |
실시예 15 |
1.2 |
1.8 |
실시예 16 |
0.7 |
1.6 |
실시예 17 |
0.9 |
1.7 |
실시예 18 |
0.7 |
1.5 |
상기 표 13으로부터, 복분자 추출물, 멍덕딸기 추출물 및 멍석딸기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은 사람의 피부에서 자외선에 의한 홍반 유발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험 결과들로부터, 본 발명의 복분자 추출물, 멍덕딸기 추출물 및 멍석딸기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함유함으로써, 피부 자극 및 염증을 유발하는 인자들을 억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피부 스트레스원 및 화장품 사용으로 인한 피부 세포의 자극 및 염증을 완화 또는 개선시키게 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