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5388B1 -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재배딸기류의 잎 추출물 - Google Patents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재배딸기류의 잎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5388B1
KR100905388B1 KR1020080134010A KR20080134010A KR100905388B1 KR 100905388 B1 KR100905388 B1 KR 100905388B1 KR 1020080134010 A KR1020080134010 A KR 1020080134010A KR 20080134010 A KR20080134010 A KR 20080134010A KR 100905388 B1 KR100905388 B1 KR 100905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leaf
propylene glycol
skin whitening
ellag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강길남
김연태
지동현
이성권
태경환
우제욱
Original Assignee
충청남도
이성권
태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청남도, 이성권, 태경환 filed Critical 충청남도
Priority to KR1020080134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5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재배딸기류의 잎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재배딸기류 잎을 프로필렌글리콜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추출물은 높은 전자공여능 및 멜라닌 색소의 중요한 단계를 촉매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높으며 프로필렌글리콜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재배딸기류 잎 추출물은 유효성분인 엘라직산의 함량을 더 높이는 효과가 있다.
딸기, 엘라직산, 티로시나아제, 프로필렌글리콜, 설향

Description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재배딸기류의 잎 추출물{Leaf extract of Fragaria ananassa Duchesne Complex having skin whitening activity containing ellagic acid}
본 발명은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재배딸기류의 잎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내 멜라닌의 농도와 분포에 따라 유전적으로 결정되나 태양의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은 페놀류가 산화효소에 의해 산화되어 유도된 갈색 또는 흑색 고분자 색소의 총칭으로 동식물계에 널리 분포하며 멜라닌의 생성은 티로신 및 도파와 같은 적합한 기질, 분자 산소, 티로시나아제와 같은 3가지 물질에 의해 좌우된다.
미백화장품의 메카니즘은 티로시나아제라는 효소의 저해에 관여하거나, 이미 생성된 멜라닌 색소의 환원을 촉진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표면에 침작되는 멜라닌 색소의 합성은 자외선의 자극에 의해 생성된다. 표피에 존재하는 멜라닌 세포인 멜라노좀에서 시작되는 티로신은 멜라닌의 전구체로, 멜라닌으 로 자연 산화하는 생합성의 초기단계인 도파퀴논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티로시나아제라는 효소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티로신이 도파와 도파크롬으로 산화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서 멜라닌 생성이 억제되고 이에 의한 피부미백의 결과를 가져온다.
대부분의 미백 화장품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 들어서는 천연의 재료들을 활용하여 피부 미백에 대한 물질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알로에신(aloesin), 알부틴(arbutin), 아젤라인산(azelaic acid), 글리콜 추출물(glycolic extract), 감초 추출물(licorice extract), 멜라토닌(melatonin), 니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닥나무(paper mulberry), 콩 추출물(soy ectracts), 비타민 C(vitamin C), 딸기(Fragaria spp.)를 비롯한 다양한 물질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피부 미백제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253842호에는 뽕나무 가지 추출물,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999-0038744호에는 검은콩 추출물,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998-0869944호에는 율피 추출물 등이 공지되어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2008-0105310호에는 항산화기능을 갖는 천연 미백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2006-0104178호에는 산수유, 구기자, 복분자, 해송자, 진주가루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4061234호에는 자외선에 의해 증가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을 억제하는 성분과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성분을 동시에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이 공지되어 있으나, 항산화 효과 및 미백효과가 뛰어난 딸기 잎 추출물에 관한 것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444599호에는 피부자극 및 염증완화 효과를 갖는 라스베리 잎 또는 열매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공지되어있으나, 이는 딸기류에 속하는 라스베리의 잎과 열매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라스베리 잎를 통한 피부 미백에 대한 효과는 공지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끊임없는 미백효능이 있는 천연물인 딸기 잎 추출물에 대한 연구를 하던 중 프로필렌글리콜로 딸기 잎을 추출하였을 때 기존의 피부 미백제들 보다 높은 미백활성을 나타내며 기존의 항산화제인 비타민 C보다 월등 높은 전자 공여능을 보인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 항산화효과를 갖고, 피부 미백화장료로 제공되는 유효성분인 엘라직산(ellagic acid)을 함유하는 재배딸기류 잎 추출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재배딸기류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배딸기류의 잎 추출물은 프로필렌 글리콜로 추출하는 딸기류의 잎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한 재배딸기류는 장미목 장미과의 식용식물로서, 야생 산딸기류에서 기원되어 재배되고 있는 재배딸기류(Fragaria ananassa Duchesne complex)의 잎과, 대한민국 충청남도가 자체 품종 개발한 논산딸기라 부르는 설향(Fragaria × ananassa L. Duch. cv. 'Sulhyang')의 잎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미백제에서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재배딸기류의 잎 추출물은 재배딸기류 잎을 프로필렌글리콜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추출액이어도 추출액을 농축, 건조 등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 고형물이어도 좋다. 추출은 1회의 추출 조작으로도 좋지만, 필요에 따라 다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 조작을 복수회 행할 수도 있다. 상기 재배딸기류 잎 추출물은 엘라직산을 포함하도록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용매인 프로펠렌글리콜 수용액은 30 내지 100%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바람직하게는 50~100%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이 좋다.
추출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온도는 20∼100℃, 바람하게는 50∼100℃이고, 상온에서도 적합하게 추출할 수 있다. 온도가 높은 쪽이 추출 효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추출 시간은 0.5∼24시간이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시간이다. 또한, 추출에 사용하는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 용매량은 원료에 대해 중량비로 통상 1∼20 배량, 바람직하게는 2∼10 배량이다.
추출 조작도 특별히 한정적은 아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행하면 좋다.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진탕 추출이나, 교반기 등을 구비한 추출기를 사용해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배딸기류 잎을 추출 용매에 침지하거나, 또는 침지하지 않고, 추출 용매와 함께 교반, 진탕하는 추출 처리를 행하여 처리액을 여과, 원심분리 또는 디캔테이션 등에 의해 추출액과 추출 잔류물로 분리함으로써 추출 처리를 행할 수 있고, 추출 잔류물은 동일한 추출 처리를 더 행하여도 좋다. 얻어지는 추출액은 그대로 사용해도 좋지만, 필요에 따라, 더욱 농축 처리 및/또는 분획·정제 처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미백제에서, 유효성분인 재배딸기류 잎의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 추출물의 사용량은, 사용 형태 등에 따라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는 상기 본 발명의 미백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미백제, 항산화제,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제, 히알루노니다제 활성 저해제, 노화 방지제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도 제공된다. 상기 화장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화장수, 유액, 크림, 팩, 세정료 등의 스킨케어 화장료; 립스틱, 파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두발용 화장료 등을 들 수 있고, 그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임의이다. 또한, 피부외용제로는 연고, 각종 피부용 약제 등을 들 수 있다.
통상, 피부외용제 또는 화장료 전량에 대하여 재배딸기류 잎 추출물의 건조물 환산으로 0.0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 이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및 화장료에는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 화장료 원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물, 유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알콜류, 수용성 고분자제, 겔화제, 보습제, 완충제, 방부제, 항염증제, 증점제, 향료, 비타민류, 본 발명의 미백제, 항산화제, 콜라게나제 활성저해제, 히알루노니다제 활성 저해제 또는 노화 방지제 이외의 미백제, 항산화제, 콜라게나제 활성 저해제,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저해제 또는 노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고, 사용시에는, 피부 외용제, 화장료의 종류나 다른 목적, 게다가 그 형태 등에 따라 적당히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재배딸기류의 잎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산화제를 배합하여 항산화 작용을 갖는 식료품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식료품은 상기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식료품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엿, 음료, 잼, 추잉 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임의이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용도에 알맞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재배딸기 잎 추출물의 액상에는 엘라직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 성분은 암세포를 사멸시키고 종양의 성장을 멈추게 하며 암세포의 분열을 중단시키고 p53의 종양억제유전자를 파괴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항암효과가 있으며, 발암물질의 독성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항산화효과가 높은 비타민 C 보다 항산화 활성 및 활성 산소를 비롯한 다른 라디칼에 대한 소 과활성능이 뛰어나며, 인체 내에서 활성 라디칼에 의한 노화를 억제하는 척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재배딸기 잎으로부터 추출된 프로필렌글리콜 추출물은 추출물 그대로를 시료로 사용하여도 멜라닌을 생성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에 대해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기존 미백 원료들과 비교해 볼 때 월등히 높은 저해활성을 보여 화장품의 미백제로 사용시 뛰어난 미백효과를 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배딸기류로부터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재배딸기류 잎 추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실시예 1> 재배딸기 잎 물 추출물
재배딸기(설향) 잎을 선별하여 깨끗한 물로 세척하여 그늘에서 건조한 후 분쇄하여 분말로 100 g을 얻고, 여기에 증류수 500 ㎖를 넣어주고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여과하여 재배딸기 잎 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재배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 추출물
재배딸기(설향) 잎을 선별하여 깨끗한 물로 세척하여 그늘에서 건조한 후 분쇄 분말로 100 g을 얻고, 여기에 90%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 500 ㎖를 넣어주고 7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여 재배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 추출물을 제 조하였다.
<비교예 1> 산딸기 잎 물추출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산딸기 잎을 이용하여 산딸기 잎 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산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추출물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산딸기 잎을 이용하여 산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멍석딸기 잎 물추출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멍석딸기 잎을 이용하여 멍석딸기 잎 물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멍석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추출물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멍석딸기 잎을 이용하여 멍석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사용예 1> 미백기능성 스킨의 제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재배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 추출물 5.0중량%, 1,3-부틸렌글리콜 5.2중량%, 올레일알코올 1.5중량%, 에탄올 3.2중량%, 폴리솔베이트 20 3.2중량%, 벤조페논-9 2.0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글리세린 3.5중량% 향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의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스킨을 제조하였다.
<사용예 2> 미백기능성 로션의 제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재배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 추출물 5.0중량%,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1.0중량%,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0.8중량%,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3중량%, 폴리솔베이트 60 1.0중량%, 미네랄오일 5.0중량%, 사이크로메치콘 3.0중량%, 디메치콘 0.5중량%, 알란토인 0.1중량%, 글리세린 5.0중량%, 알코올 2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0중량%, 향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의 함량으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로션을 제조하였다.
<사용예 3> 미백기능성 에센스 제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재배딸기(설향) 잎 프로필렌글리콜 추출물 5.0중량%, 1,3-부틸렌글리콜 4.0중량%, 글리세린 3.0중량%, 알란토인 0.5중량%, EDTA-2Na 0.01중량%, 에탄올 5.0중량%, 트리에탄올아민 1.5중량%, 스쿠알란 2.0중량%, 밀납 2.5중량%, 폴리솔베이트60 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중량%, 향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의 함량으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추출용매에 따른 엘라직산 함량분석
재배딸기(설향) 잎 물 추출물(실시예 1), 재배딸기(설향) 잎 프로필렌글리콜 추출물(실시예 2), 산딸기 잎 물 추출물(비교예1), 산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 추출물(비교예2), 멍석딸기 잎 물 추출물(비교예3), 멍석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 추출물(비교예4)의 엘라직산 함량을 HPLC로 분석하여 비교평가 하였다.
실시예 1~2와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재배딸기 잎 물추출물, 재배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추출물, 산딸기 잎 물추출물, 산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 추출물, 멍석 딸기 잎 추출물, 멍석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 추출물을 각각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2g씩 넣고 물, 염화수소, 에탄올을 각각 넣은 후 60분간 중탕하고 원심분리기에서 3500 rpm에서 10분간 실행 후 syringe filter(0.45㎛)로 정제하여 엘라직산 함량을 측정하였다.
HPLC 분석조건으로는 고정상을 C18 컬럼(Zorbax Eclipse XDB C18, 4.6×150㎜, 5μm)을 사용하였다. 이동상의 조건은 5mM potassium dihydrogen orthohoshte pH 2.5와 아세토나이트릴을 81:15(V:V) 조건으로 하였고, 유속은 0.42 ㎖/min로 수행하였다. 검출기는 UV 검출기를 사용하여 UV 360 ㎚에서 측정하였다.
엘라직산(시그마에서 구입)을 표준품으로 하여 작성한 검정곡선으로부터 시료의 총 엘라직산 함량을 조사하였다. 함량분석 결과는 아래 표1 에 나타내었다.
표1. 추출용매에 따른 엘라직산 함량분석 결과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엘라직산 함량(㎎/L) 52.0 284.3 15.0 31.6 4.6 15.7
상기 표1 은 추출용매에 따른 엘라직산 함량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재배딸기 잎 물 추출물(실시예 1)과 재배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 추출물(실시예 2)의 엘라직산 함량은 52.0 ㎎/L와 284.3 ㎎/L로 각각 나타났으며, 산딸기 잎 물 추출물(비교예 1)과 산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 추출물(비교예 2)의 엘라직산 함량은 15.0 ㎎/L와 31.6 ㎎/L로 나타났으며, 멍석딸기 잎 물 추출물(비교예 3)과 멍석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 추출물(비교예 4)의 엘라직산 함량은 4.6 ㎎/L와 15.7 ㎎/L로 나타 났다.
따라서, 재배딸기 잎 물 추출물(실시예 1)과 재배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추출물(실시예 2)은 비교예 1~4보다도 많게는 약 62배, 적게는 약 9배의 엘라직산 함유율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고, 재배딸기 잎 천연추출물 액상에 존재하는 엘라직산의 함량으로 추출용매에 따라 5.5배정도 차이가 나며 높은 함량을 존재함으로 기능성 물질로 개발하여 사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시료 농도에 따른 전자 공여능 테스트
재배딸기 잎 물 추출물(실시예 1), 재배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추출물(실시예 2), 비타민 C (대조군)의 시료 농도에 따른 전자 공여능 테스트를 하였다.
전자공여능 실험에 사용한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는 안정한 자유 라디칼로서 그것의 비공유전자로 인해 517 ㎚ 부근에서 최대 흡수 피크를 나타내며, 전자 또는 수소를 받으면 517 ㎚에서 흡광도가 감소하고, 설향딸기 잎의 물추출물과 프로필렌글리콜 추출물에서 이러한 라디칼을 환원시키거나 상쇄시키는 능력이 크면 높은 항산화 활성 및 활성 산소를 비롯한 다른 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인체 내에서 활성 라디칼에 의한 노화를 억제하는 척도로 이용할 수 있다. 소거활성은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의 농도가 50% 감소하는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SC50 ㎍/㎖)로서 표기하였다.
에탄올에 용해시킨 0.1mM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용액에 재배 딸기 잎 물추출물(실시예 1), 재배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실시예 2), 비타민 C(대조군)을 0.05 0.1, 0.25, 0.5 및 1㎎/㎖의 농도로 각각 첨가하여 섞은 다음 30분 동안 방치 후 분광광도계로 517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활성의 크기를 비교하기 위해 시료를 넣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고, 각 시료를 넣은 것을 실험군으로 하여 다음 식에 의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의 활성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활성저해율(%) = {(실험군 - 대조군) / 실험군} * 100
실험결과는 아래 표2 에 나타내었다.
표2. 시료 농도에 따른 전자공여능 테스트 결과
시료 농도(㎎/㎖)
0.05 0.1 0.25 0.5 1
실시예 1 25.6 52.9 50.4 42.6 35.9
실시예 2 61.6 21.1 73.5 59.9 72.6
비타민 C 37.1 64.0 81.2 87.4 87.8
상기 표2 는 시료 농도에 따른 전자공여능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재배딸기 잎 물 추출물과 재배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 추출물은 추출액 그대로를 시료로 하여 0.05 ㎎/㎖ 농도에서 25.6%와 61.6%의 전자공여능을 보였고, 0.1 ㎎/㎖ 농도에서는 52.9%와 21.1%, 0.25 ㎎/㎖ 농도에서는 50.4%와 73.5%, 0.5 ㎎/㎖ 농도에서는 42.6%와 59.9%의 비교적 높은 전자 공여능을 나타내었고, 1 ㎎/㎖ 농도에서 35.9%와 72.6%로 나타났다. 합성 항산화제인 비타민 C는 0.05 0.1, 0.25, 0.5 및 1㎎/㎖의 농도에서 37.1%, 64.0%, 81.2%, 87.4% 및 87.8%로 나타나 추출액상 그대로를 시료로 전처리하여 시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높은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재배딸기 잎 추출물을 동결건조나 농축하여 농축액으로 사용하면 합성 항산화제인 비타민 C 보다 월등하게 높은 전자 공여능을 보여 항산화 작용에 뛰어난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저해 효과 테스트
멜라닌 색소 형성의 중요한 단계를 촉매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 활성의 저해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재배딸기 잎 물추출물(실시예1), 재배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추출물(실시예2)과 기존의 피부 미백제인 알부틴, 루시놀, 엘라직산의 각 농도에 따른 저해 활성 효과 테스트를 하였다.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 측정은 티로시나아제의 작용결과 생성되는 도파 생성물의 흡광도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50 m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와 06mM L-Dopa (in buffer), 1.5 mM L-Tirosine (in buffer), 500U/㎖ Buffer를 이용하여 5, 10, 25, 50, 100㎎/㎖의 농도로 조절한 후 재배딸기 잎 물 추출물(실시예 1), 재배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 추출물(실시예 2), 알부틴, 루시놀, 엘라직 산의 추출물을 첨가해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로 47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실험을 각각 3회씩 반복하여 평균값으로 구하였다. 실험결과는 아래 표3 에 나타내었다.
표3.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저해 효과 테스트 결과
시료 농도 (㎎/㎖)
5 10 25 50 100
실시예 1 71.1 52.6 57.3 56.8 26.8
실시예 2 96.4 93.0 88.5 74.6 131.8
알부틴 -4.6 -4.3 115.7 91.7 89.9
루시놀 23.4 22.9 52.2 96.5 98.7
엘라직산 55.7 68.6 84.9 93.3 90.8
상기 표3 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저해 효과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재배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추출물(실시예2)과 알부틴, 루시놀, 엘라직산의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저해활성은 100 ㎎/㎖ 농도에서는 각각 89.9%, 98.7%, 90.8%, 131.8%로 높게 나타났고 알부틴, 엘라직산의 경우 25 ㎎/㎖ 농도 이상에서 저해활성이 높게 나타났고, 루시놀의 경우 50 ㎎/㎖ 농도이상에서 저해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세 시료간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프로필렌글리콜추출물은 추출물 그대로를 시료로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5 ㎎/㎖ 농도에서 부터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100 ㎎/㎖ 농도에서는 131.8%로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냈다.
이로써, 딸기 잎 추출물은 기존의 미백원료인 알부틴, 루시놀, 엘라직산과 비교해 볼 때 월등히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미백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4> 인체 피부 자극 테스트
실시예 1~2와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재배딸기 잎 물추출물, 재배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추출물, 산딸기 잎 물추출물, 산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추출물, 멍석딸기 잎 추출물, 멍석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추출물에 대하여 피부 자극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인체 피부 자극 테스트를 하였다.
과거력상 피부자극에 과민반응을 보인 적이 없으며, 현재 피부병 내지 피부 알러지 증상이 없는 2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피부 자극 테스트를 하였으며 시험대상자의 팔뚝 안쪽에 실시예 1~2, 비교예 1~4의 추출물을 사용예 3과 같은 에센스형태로 제조하여 자극원으로 락틱산 5.0%를 각각 첨가하여 1일 2회, 6시간 간격으로 도포하고, 적용부위를 공기중에 노출시켰다. 피부 자극 테스트 결과는 아래 표 4 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0 : 홍반과 가피형성 홍반이 없음
1 :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2 :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3 :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4 : 심한 홍반 및 대수포, 가피형성
표4. 인체 피부 자극 테스트 결과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피부자극지수 1.1 0.8 1.7 1.5 1.9 1.6
상기 표4 는 인체 피부 자극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산딸기 잎 물추출물(비교예 1)과 산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 추출물(비교예 2)는 피부자극지수가 1.7과 1.5로 나타났고, 멍석딸기 잎 물 추출물(비교예 3)과 멍석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추추출물(비교예 4)의 피부자극지수는 1.9%와 1.6%로 나타났으며 재배딸기 잎 물 추출물(실시예 1)과 재배딸기 잎 프로필렌글리콜 추출물(실시예 2)의 피부자극지수는 1.1과 0.8로 다른 비교예보다도 낮은 피부자극지수를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재배딸기 잎 추출물은 비교예 1~4의 산딸기, 멍석딸기 추출물보다 피부자극의 완화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배딸기로부터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재배딸기의 잎 추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6)

  1. 재배딸기 잎을 세척 및 건조 후 분말을 만드는 단계;
    상기 분말의 중량비 2~10 배량의 50~100% 프로필렌글리콜 수용액을 넣고 50~100℃에서 0.5~5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용액을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
    로부터 제조되는 재배딸기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재배딸기는 논산딸기 설향(Fragaria × ananassa L. duch cv. 'Sulhya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미백용 조성물은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5. 삭제
  6. 제 1 항의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20080134010A 2008-12-26 2008-12-26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재배딸기류의 잎 추출물 KR100905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010A KR100905388B1 (ko) 2008-12-26 2008-12-26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재배딸기류의 잎 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010A KR100905388B1 (ko) 2008-12-26 2008-12-26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재배딸기류의 잎 추출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5388B1 true KR100905388B1 (ko) 2009-07-01

Family

ID=41337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010A KR100905388B1 (ko) 2008-12-26 2008-12-26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재배딸기류의 잎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53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329B1 (ko) 2009-10-01 2010-01-06 주식회사 제마유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장딸기의 열매 추출물
KR101091641B1 (ko) * 2009-10-06 2011-12-08 전라남도 석류로부터 엘라그산을 효율적으로 분리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CN104382813A (zh) * 2014-10-25 2015-03-04 维西傈僳族自治县碧罗雪山生物资源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含有青刺果油的唇膏及其制备方法
KR101518707B1 (ko) * 2012-11-29 2015-05-11 전라남도 딸기 식물체 분말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15721584A (zh) * 2021-08-31 2023-03-03 北京工商大学 一种草莓叶水提物及其在降低黑色素生成中的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660A (ko) * 1998-05-29 1999-12-15 서경배 미백 화장료 조성물
US20030096023A1 (en) 1998-06-08 2003-05-22 Warren Steck Tyrosinase inhibitors from plants
KR100444599B1 (ko) * 2001-08-17 2004-08-16 주식회사 태평양 피부자극 및 염증완화 효과를 갖는 라스베리 잎 또는 열매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06117430A1 (en) 2005-04-29 2006-11-09 Aromtech Ltd Skin lightening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660A (ko) * 1998-05-29 1999-12-15 서경배 미백 화장료 조성물
US20030096023A1 (en) 1998-06-08 2003-05-22 Warren Steck Tyrosinase inhibitors from plants
KR100444599B1 (ko) * 2001-08-17 2004-08-16 주식회사 태평양 피부자극 및 염증완화 효과를 갖는 라스베리 잎 또는 열매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06117430A1 (en) 2005-04-29 2006-11-09 Aromtech Ltd Skin lightening composition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329B1 (ko) 2009-10-01 2010-01-06 주식회사 제마유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장딸기의 열매 추출물
KR101091641B1 (ko) * 2009-10-06 2011-12-08 전라남도 석류로부터 엘라그산을 효율적으로 분리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1518707B1 (ko) * 2012-11-29 2015-05-11 전라남도 딸기 식물체 분말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04382813A (zh) * 2014-10-25 2015-03-04 维西傈僳族自治县碧罗雪山生物资源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含有青刺果油的唇膏及其制备方法
CN104382813B (zh) * 2014-10-25 2017-05-31 迪庆香格里拉碧罗雪山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青刺果油的唇膏及其制备方法
CN115721584A (zh) * 2021-08-31 2023-03-03 北京工商大学 一种草莓叶水提物及其在降低黑色素生成中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1222B1 (en) Melatonin and immunostimulating substance-based compositions
KR20080097487A (ko) 베어바스코사이드 및 루테오린을 포함하는 조합물 또는 식물 추출물 및 색소침착 조절을 위한 화장품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에서의 이의 용도
WO2011018885A1 (ja) 皮膚外用剤、美白剤、抗酸化剤および抗老化剤
KR100905388B1 (ko)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재배딸기류의 잎 추출물
TWI466686B (zh) Whitening agents, anti-aging agents and antioxidants, and whitening endermic agents, anti-aging and anti-skin external oxidation method for producing a skin external preparation of
WO2021014057A1 (fr) Composition cosmétique de blanchiment de la peau comprenant de l&#39;hexylresorcinol, de l&#39;undecylenoyl phenylalanine et du trimethoxybenzylidene pentanedione
EP3466419B1 (fr) Utilisation du trimethoxybenzyl acetylsinapate, avantageusement en combinaison avec au moins un filtre solaire, pour la protection de la peau
KR20160137900A (ko) 인삼잎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41596B1 (ko) 미백과 세포 증식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101827655B1 (ko) 바나나를 포함하는 백발 예방 및 흑모유발 촉진용 조성물
KR20090117364A (ko) 아담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EP1327437B1 (fr) Compositions pour la coloration de la peau comprenant un extrait de sorgho et utilisation
KR100935329B1 (ko)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장딸기의 열매 추출물
KR100563547B1 (ko) 싸리나무 및/또는 까마중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101921903B1 (ko) 녹차 종자 유래의 21-o-안젤로일데아사포젠올 e3 성분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20100088463A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120090A (ko) 연호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200087439A (ko) 피뿌리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2613802B1 (ko)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배양물 및 벌사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EP2590622B1 (fr) Utilisation d&#39;un extrait de populus balsamifera comme agent dépigmentant
WO2024008902A1 (fr) Composition cosmétique de soin anti-âge comprenant de la caulerpine
KR101274606B1 (ko) 초고압 대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06131A (ko)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06133A (ko) 꾸지뽕나무 열매 유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