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6660A - 미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6660A
KR19990086660A KR1019980019763A KR19980019763A KR19990086660A KR 19990086660 A KR19990086660 A KR 19990086660A KR 1019980019763 A KR1019980019763 A KR 1019980019763A KR 19980019763 A KR19980019763 A KR 19980019763A KR 19990086660 A KR19990086660 A KR 19990086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cid
skin
vitamin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일
강선화
안수미
최현웅
최상원
김효진
Original Assignee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배,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서경배
Priority to KR1019980019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6660A/ko
Publication of KR19990086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6660A/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틸갈레이트를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래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틸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억제작용을 가져 기미, 주근깨 및 햇빛에 피부 그을림 등의 피부색소 침착을 방지하는 등의 피부미백효과가 뛰어난 미백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백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메틸갈레이트를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래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틸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억제작용을 가져 기미, 주근깨 및 햇빛에 피부 그을림 등의 피부색소 침착을 방지하는 등의 피부미백효과가 뛰어난 미백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혈액내의 적혈구, 카로틴 및 멜라닌에 의해서 복합적으로 결정되나 인종간의 피부색 차이나 기미, 주근깨 등의 과색소증은 멜라닌에 의한 영향이다. 피부의 외각인 표피층에 존재하는 멜라닌은 자외선 차단의 역할을하여 진피이하의 피부기관을 보호해주는 동시에 피부생체내에 생겨난 자유라디칼 등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피부내 단백질과 유전자들을 보호해주는 유용한 역할을 한다. 내·외부의 스트레스적 자극에 의해 생겨난 멜라닌은 스트레스가 사라져도 피부 각질화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기전 까지는 없어지지 않는 안정한 물질이다. 생체내에서 멜라닌 생성은 티로신(Tyrosine) 혹은 도파(DOPA)를 기질로하여 티로시나제(Tyrosinase) 등의 효소에 의해 촉매되는 중합화 산화과정으로 피부에서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생성이 많어지거나, 염증반응이 있거나, 자외선 등을 받게되면 멜라닌 생성은 증가된다. 특히 자외선은 멜라닌 생성을 증가시켜 부분적으로 증가된 멜라닌이 기미 등으로 발전하여 미관상 원하지 않는 결과가 생길 수도 있고 더 심하게는 피부암 등을 유발하여 생명에 위험을 줄 수도 있다. 그리하여 미백제라는 이름으로 현재 많은 멜라닌 생성 억제제가 개발되고 있다. 코지산, 알부틴, 글루타치온, 비타민 A, 비타민 C등을 함유한 연고, 크림, 로션 등이 있으나 소비자들이 만족할 만한 미백효과를 갖는 미백제는 없는 실정이다. 하이드로퀴논을 함유한 미백제는 어느정도 효과를 보이나 피부자극이 심하여 의약품으로만 그이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메틸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에 적용하여 자극성, 감작성, 변이원성 등이 없이 안전하면서도 미백 작용이 큰 미백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메틸갈레이트에 부가적으로 닥나무추출물, 효모엑기스, 프라센타 추출물(placenta extract), 멀베리추출물(Mulberry Extract), AHA(알파하이드록시산), 포도씨추출물, 알로에, 알부틴, 코지산, 판토테인산유도체, 감초, 비타민 A(레티놀), 비타민 C 및 엘라기산( Ellagic acid)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써, 메틸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닥나무추출물, 효모엑기스, 프라센타 추출물(placenta extract), 멀베리추출물(Mulberry Extract), AHA(알파하이드록시산), 포도씨추출물, 알로에, 알부틴, 코지산, 판토테인산유도체, 감초, 비타민 A(레티놀), 비타민 C 및 엘라기산( Ellagic acid)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과 메틸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틸갈레이트는 오배자, 밤껍질등의 천연물에도 존재하는 물질이며, 항산화제(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1996 ; Appl. Environ. microbiol. 1982), 인체 DNA 폴리머라제의 저해제(Biochemical pharmacology, 1989), 항암제(Journal of Natural product, 1992), HIV 활성 저해제(Biochemistry, 1990)등의 작용을 하는등의 보고도 있고, 항 바이러스, 면역억제제, NF-kB 활성화 억제제(특허평9-59151) 또는 살균제(EP 307103 A2)등의 특허도 알려졌지만, 미백작용을 갖는다는 보고는 전혀 없었고, 이 화합물을 미백용제제에 응용한 적도 없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틸갈레이트와 함께 사용되는 미백효과가 있는 유효성분은 다음과 같다;
닥나무추출물 : 닥나무 추출물은 항산화 기능과 멜라닌 생성 억제능이 뛰어나며 미백효과가 있다.
효모엑기스 : 효모발효액으로 피부보습과 피부세포의 증식작용 등이 알려져 있으며 미백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유럽에서 많이 사용된다.
프라센타 추출물(placenta extract) : 각질 용해작용, 조직호흡항진작용, 혈액촉진작용등으로 피부 상태 개선제로 뛰어나며 인체에 적용시 미백효과가 있다.
멀베리추출물(Mulberry Extract) : 뽕나무 추출물로서 일반적으로 뿌리부문을 많이 쓴다. 알려진 성분은 옥시레스버톨(Oxyresvertol)이다.
알파하이드록시산(AHA) : 카르복시산의 알파위치에 있는 탄소에 하이드록시 그룹이 붙여진 구조에 물질들을 총칭하며 일반적으로 화장품에 쓰이는 것은 글리콜릭산, 젖산, 말릭산, 주석산, 구연산, 만델산등이며 피부 최외각층의 각질층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다.
포도씨추출물 : 플라반-3-올의 모노머인 카테킨, 에피카테킨과 이들의 올리고머인 프로안토시아니딘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pH(1% 수용액)는 4-6정도의 약산성이다.
알로에 : 상처재생효과가 뛰어나며 알로인, 알로에신 등의 성분이 있어 미백효과가 있다.
감초 : 글라브리딘, 글라브렌, 글라브롤 등의 성분이 미백효과가 있으며 항염증효과도 뛰어나다.
비타민 A(레티놀) : 체내에 흡수되어 작용되는 것은 레티노인산(Retinoic acid)의 형태로서 피부세포의 턴오버를 촉진하고 멜라닌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타민 C : 현재 가장 많이 애용되는 미백제로서, 멜라닌 생성의 중간체 혹은 중합체등에 작용하여 환원작용함으로써 미백 작용을 한다. 비타민 C의 형태로는 불안정하여 직접 제품에 응용이 힘들고, 아스코빌산-2황산, 아스코빌산-2인산, 아스코빌산-2글루코시드-2,3,5,6-테트라-2-에칠헥사노일-L-아스코빌산 등과 같은 안정한 형태의 비타민 C 유도체들을 사용한다.
엘라기산( Ellagic acid) : 밤껍질, 딸기, 유칼립투스 마큘라타(Eucalyptus maculata) 등에 존재하며, 티로시나제의 활성 억제효과가 있다.
이하, 참고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예 1 : 메틸갈레이트의 제조
갈산 모노 하이드레이트(gallic acid mono hydrate)(40.3g, 0.21mol)를 350ml의 메탄올에 녹인 후, 40ml의 36% 염산을 적가하여 8시간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이 완결된 후 휘발성 용매를 제거한 다음 얻은 고체를 에틸 아세테이트 500ml에 녹였다. 이 용액을 증류수 500ml로 2회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농축하여 38.43g(0.209 mol, 수율=99.5%)의 메틸 갈레이트를 얻었다.
IR(KBr 펠릿) : 3303.9, 1678, 1615, 1313 cm-1
1H NMR(DMSO-d6, δ) : 6.94(s, 2H), 3.74(s,3H)
13C NMR(DMSO-d6,δ) : 166.6, 145.8, 138.6, 119.5, 108.6, 51.6
시험예 1 : 인체 피부색소세포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효과
메틸갈레이트, 닥나무추출물, 효모엑기스, 프라센타 추출물(placenta extract), 멀베리추출물(Mulberry Extract), AHA(알파하이드록시산), 포도씨추출물, 알로에, 알부틴, 코지산, 판토테인산유도체, 감초, 비타민 A(레티놀), 비타민 C, 엘라기산( Ellagic acid) 등을 시험물질로 하여 이들 물질들에 대한 티로시나제(멜라닌 생성과정중의 가장 중요한 효소)의 활성의 억제정도를 측정하였다. 시험물질들의 조합은 표 1과 같다.
[시험방법] 티로시나제의 활성측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포메란츠 (Pomerantz)의 방법(참고논문; J. Biochem., 24,161-168, (1966))을 따랐다.
배양된 사람의 피부색소 세포를 초음파분쇄한 액을 효소의 쏘스로 사용하였다. 동위원소(트리튬)로 표지된 티로신을 사용하여 80mM인산 완충용액에서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 시킨후 10%트리클로로아세틱산으로 효소를 불활성화하여 침전시키고 동위원소 표지된 티로신과 반응 중간물질을 활성탄으로 제거한 뒤 순수히 효소의 활성에 의하여 완충액으로 유리되는 티로신의 트리튬만을 액체 섬광계수기로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제의 활성 저해정도는 저해물질을 녹인 비이클(Vehicle)의 효과를 대조군 100%로 했을 때 저해물질의 상대적인 활성(대조군대비 활성%)을 표시했다. 결과는 표 1과 같다.
[시험결과]
인체 피부색소세포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효과 측정 결과
구분 메틸갈레이트 비타민C 닥나무추출물 알로에 감초추출물 포도씨추출물 알파히드록시산 엘라기산 알부틴 멀베리추출물 코지산 효모엑기스 판토테인산유도체 프라센타추출물 비타민 A 활성(대조군 대비 %)
시료1 O 21.5
2 O O 20.9
3 O O 2.68
4 O O 18.2
5 O O 8.75
6 O O 15.3
7 O O 19.5
8 O O 13.3
9 O O 17.1
10 O O 12.8
11 O O 11.7
12 O O 14.2
13 O O 19.1
14 O O 21.3
15 O O 20.7
16 O O O 3.71
17 O O O 8.90
18 O O O 6.05
19 O O O O 18.9
20 O O O O 16.9
21 O O O O 1.60
22 O O O O O 1.55
대조군은 효소 활성 측정시 물질을 녹였던 비이클 만을 처리했을 때를 말하며 위의 물질들은 모두가 10ppm의 농도로 측정하였다..
시험예 2 : 멜라닌 색소생성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억제효과
메틸갈레이트, 닥나무추출물, 효모엑기스, 프라센타 추출물(placenta extract), 멀베리추출물(Mulberry Extract), AHA(알파하이드록시산), 포도씨추출물, 알로에, 알부틴, 코지산, 판토테인산유도체, 감초, 비타민 A(레티놀), 비타민 C, 엘라기산( Ellagic acid) 등을 시험물질로 하여 이들 물질들에 대한 멜라닌 생성억제능력을 시험하기 위하여 멜라닌을 생성하는 피부색소세포를 배양하면서 유효성분 물질들을 처리한 뒤 생성 멜라닌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시험물질들의 조합은 표 2와 같다.
[실험방법] 시.로메로-그라일렛(C.Romero-Graillet) 등의 방법(참고문헌;JBC 271(45), 2802-28056(1996))을 따라서 행하였다.
사람의 피부세포를 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105cells/well의 농도로 접종한 뒤 2일간 배양한다. 이후 시험물질이 포함된 배지로 교환하여 4시간 배양한 뒤 동위원소(14C)로 표지된 도파(DOPA)를 0.5μCi/Well의 농도로 처리하고 19시간 동안 배양한다. 이동안 멜라닌생성에 첨가된 14C-DOPA의 양을 액체섬광계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2와 같다.
[시험결과]
구분 메틸갈레이트 비타민C 닥나무추출물 알로에 감초추출물 포도씨추출물 알파히드록시산 엘라기산 알부틴 멀베리추출물 코지산 효모엑기스 판토테인산 유도체 프라센타추출물 비타민 A 활성(대조군 대비 %)
시료1 O 42.1
2 O O 39.5
3 O O 26.8
4 O O 38.2
5 O O 28.7
6 O O 25.3
7 O O 39.5
8 O O 36.3
9 O O 37.1
10 O O 41.8
11 O O 31.7
12 O O 34.2
13 O O 39.1
14 O O 38.2
15 O O 40.7
16 O O O 18.5
17 O O O 36.8
18 O O O 29.0
19 O O O O 24.1
20 O O O O 23.5
21 O O O O 25.0
22 O O O O O 14.8
대조군은 효소 활성 측정시 물질을 녹였던 비이클 만을 처리했을 때를 말하며 위의 물질들은 모두가 10ppm의 농도로 측정하였다..
시험예 3 : 인체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 시험
[실험 방법] 건강한 12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피검자의 윗팔뚝부위에 직경1.5cm의 구멍6개가 뚫린 불투명 테이프를 부착한 뒤 각 피검자의 최소홍반량의 1.5-2배정도의 자외선(UVB)을 조사하여 피부의 흑화를 유도한 뒤 시험물질들을 발라서 두달 후에 색차계를 이용하여 피부의 명암을 측정하였다. 각 시험물질들은 프로필렌글리콜/에탄올(8/2)의 비이클에 각각이 1%의 농도가 되게 녹여 하루에 2회씩(아침, 저녁) 매일 바르게 하였다.
피부의 명암은 "L"값으로 표현되며 0(검정)에서 100(순백색) 사이의 값을 나타낸다(한국인은 일반적으로 50-70의 값을 나타냄).
시험물질을 도포하면 효과가 있는 경우는 L값이 점차 증가하게 되며 시험물질들 사이의 비교는 ΔL(최종 L값 - 시험물질 도포를 바르기 직전의 값)으로 표현 하였다.
[시험결과]
구분 메틸갈레이트 비타민C 닥나무추출물 알로에 감초추출물 포도씨추출물 알파히드록시산 엘라기산 알부틴 멀베리추출물 코지산 효모엑기스 판토테인산 유도체 프라센타추출물 비타민A ΔL
시료1 O 1.6
2 O O 1.7
3 O O 2.3
4 O O 1.8
5 O O 2.0
6 O O 1.8
7 O O 1.9
8 O O 1.7
9 O O 1.6
10 O O 1.6
11 O O 2.1
12 O O 1.9
13 O O 1.6
14 O O 1.7
15 O O 2.1
16 O O O 2.5
17 O O O 1.9
18 O O O 2.0
19 O O O O 2.2
20 O O O O 1.7
21 O O O O 2.7
22 O O O O O 2.4
실시예 1-7
표 4의 처방에 따라서 시험제품을 만들었다. 즉, A, B, C 각각을 평량해서 B에 A를 서서히 가하여 호모믹서를 이용해 1차 유화하고 나서 다시 C를 서서히 가해 2차 유화를 실시한 다음 교반 냉각하여 시험제품을 얻었다.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A 스테아릴알콜폴리솔베이트60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유동파라핀스쿠알란방부제트리에탄올아민 10.01.20.610.05.00.20.2 10.01.20.610.05.00.20.2 10.01.20.610.05.00.20.2 10.01.20.610.05.00.20.2 10.01.20.610.05.00.20.2 10.01.20.610.05.00.20.2 10.01.20.610.05.00.20.2
B 글리세린정제수 5.0To 100 5.0To 100 5.0To 100 5.0To 100 5.0To 100 5.0To 100 5.0To 100
C 카르복시비닐폴리머메틸갈레이트닥나무추출물감초추출물코지산비타민 A효모엑기스알파히드록시산향 0.22.0------적량 0.21.01.0-----적량 0.21.0-1.0----적량 0.21.0--1.0---적량 0.21.0---1.0--적량 0.21.0--0.5-0.5-적량 0.20.50.5--0.5-0.5적량
비교예 1-3
실시예 1의 처방에서 메틸갈레이트 대신 비타민 C(비교예 1), 엘라기산(비교예 2), 프라센타추출물(비교예 3)을 각각 적용하여 시험제품을 만들었다.
평가예 : 미백임상 효과
[시험방법] 얼굴에 기미등의 색소침착이 있어 고민하는 피검자100명(각 시료당 20명)을 대상으로 본 발명물이 함입된 시료(실시예 1-7)와 기존의 알려진 미백제를 포함한 대조시료(비교예 1-3)를 아침 저녁에 각 1회씩 3개월간 매일 2회씩 얼굴의 기미부위에 바르게 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와 같다.
[평가방법] 사용후에 색소침착의 개선정도를 아래의 판정 기준에 따라서 판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효과 탁월: 색소침착이 거의 눈에 띄지 않게 되었다.
효과 있음: 색소침착이 아주 연해졌다.
약간효과있음: 색소침착이 연해졌다.
효과없음: 변화 없음.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미백효과
◎: 피검자중 "효과탁월" 또는 "효과있음"을 나타내는 비율이 80%이상○: 피검자중 "효과탁월" 또는 "효과있음"을 나타내는 비율이 50% 내지 80%△: 피검자중 "효과탁월" 또는 "효과있음"을 나타내는 비율이 30% 내지 50%×: 피검자중 "효과탁월" 또는 "효과있음"을 나타내는 비율이 30% 미만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메틸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를 갖고, 기미, 주근깨 및 햇빛에 피부 그을림 등의 피부색소 침착을 방지하는 등의 피부미백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2)

  1.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메틸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 화학식 1
  2. 제1항에 있어서, 메틸갈레이트, 닥나무추출물, 효모엑기스, 프라센타 추출물(placenta extract), 멀베리추출물(Mulberry Extract), AHA(알파하이드록시산), 포도씨추출물, 알로에, 알부틴, 코지산, 판토테인산유도체, 감초, 비타민 A(레티놀), 비타민 C, 및 엘라기산( Ellagic acid)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부가적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KR1019980019763A 1998-05-29 1998-05-29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9990086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763A KR19990086660A (ko) 1998-05-29 1998-05-29 미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763A KR19990086660A (ko) 1998-05-29 1998-05-29 미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660A true KR19990086660A (ko) 1999-12-15

Family

ID=65899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763A KR19990086660A (ko) 1998-05-29 1998-05-29 미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6660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0882A (ko) * 1999-12-28 2001-07-07 서경배 미백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327674B1 (ko) * 2000-01-20 2002-03-08 황분순 멜라닌성 색소집락의 감소 및 제거를 위한 피부 미화 청결제의 조성물
KR20020046034A (ko) * 2000-12-12 2002-06-20 안경옥 화장용 미백크림 제조방법
KR20030091461A (ko) * 2002-05-28 2003-12-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05048972A1 (en) * 2003-11-19 2005-06-02 Amorepacific Corporation Skin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KR100710657B1 (ko) * 2005-11-24 2007-04-24 코스맥스 주식회사 디하이드로퀘세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813107B1 (ko) * 2006-07-26 2008-03-17 퓨리메드 주식회사 유산균에 의한 오배자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KR100905388B1 (ko) * 2008-12-26 2009-07-01 충청남도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재배딸기류의 잎 추출물
KR100907685B1 (ko) * 2007-06-01 2009-07-14 게놈앤메디신(주) 노근으로부터 분리한 페놀성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0882A (ko) * 1999-12-28 2001-07-07 서경배 미백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327674B1 (ko) * 2000-01-20 2002-03-08 황분순 멜라닌성 색소집락의 감소 및 제거를 위한 피부 미화 청결제의 조성물
KR20020046034A (ko) * 2000-12-12 2002-06-20 안경옥 화장용 미백크림 제조방법
KR20030091461A (ko) * 2002-05-28 2003-12-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및 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05048972A1 (en) * 2003-11-19 2005-06-02 Amorepacific Corporation Skin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KR100710657B1 (ko) * 2005-11-24 2007-04-24 코스맥스 주식회사 디하이드로퀘세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813107B1 (ko) * 2006-07-26 2008-03-17 퓨리메드 주식회사 유산균에 의한 오배자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KR100907685B1 (ko) * 2007-06-01 2009-07-14 게놈앤메디신(주) 노근으로부터 분리한 페놀성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05388B1 (ko) * 2008-12-26 2009-07-01 충청남도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재배딸기류의 잎 추출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8204B1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containing at least one extract of mulberry, at least one extract of skullcap and at least one salicylic acid derivative
EP2114362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 mixture of arctiin and arctigenin
KR101516074B1 (ko) 폴리다틴과 트라넥삼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90044109A (ko) 고려 인삼 유래의 멜라닌 합성 저해 물질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KR19990086660A (ko) 미백 화장료 조성물
US20040042984A1 (en)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arbutin and glucosidase as active ingredients
US20080146633A1 (en) Compositions for skin lightening and toning down pigment disorders, comprising creatinine and/or creatinine derivatives as active substances
KR101511252B1 (ko) 백출추출물과 트라넥삼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795514B1 (ko) 디오스게닌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EP2772255B1 (en) Composition comprising syringaresinol for improving the skin
KR20010060882A (ko) 미백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JPH06279257A (ja) メラニン生合成阻害剤
KR20120105623A (ko) 마데카소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제
KR20230012482A (ko) 흰머리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161738B1 (ko) 진센노사이드 알에이치2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JP3113407B2 (ja) 化粧料
JPH01207225A (ja) 毛髪化粧料
JP3120086B2 (ja) 白髪の防止及び白髪黒色化用毛髪化粧料
KR100901519B1 (ko) 플라티코딘-디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제
KR100364314B1 (ko) 탈색제로서 미발효된 당밀의 용도
KR101155695B1 (ko) 진센노사이드 알지3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138462B1 (ko) 네오마이신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89559A (ko) 항노화 조성물
KR100821482B1 (ko)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H08217659A (ja) メラニンの脱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