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462B1 - 네오마이신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네오마이신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462B1
KR102138462B1 KR1020190028241A KR20190028241A KR102138462B1 KR 102138462 B1 KR102138462 B1 KR 102138462B1 KR 1020190028241 A KR1020190028241 A KR 1020190028241A KR 20190028241 A KR20190028241 A KR 20190028241A KR 102138462 B1 KR102138462 B1 KR 102138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neomycin
niacinamide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지홍
이수진
간상연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8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55Nicotinic acids, e.g. niacin; Derivatives thereof, e.g. esters, 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3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having at least one amino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carbocyclic ring, e.g. streptomycin, gentamycin, amikacin, validamycin, fortimic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오마이신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네오마이신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고 멜라닌 생성의 조절효소인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미백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나이아신아마이드와 병용사용할 경우 피부 미백 상승효과가 있어 화장품 조성물,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네오마이신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Skin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neomycin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네오마이신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체 내에 존재하는 멜라닌은 피부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주요한 생물학적 색소로서 작용한다. 피부 기저층에는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에서 멜라노좀과 멜라닌이 생성되는데 멜라닌은 멜라노좀이라는 세포에 의해 만들어진다. 피부의 멜라닌 생합성에는 다양한 기전들이 연관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도 자외선에 의한 자극으로 p53유전자가 만들어 내는 알파-멜라노사이트-조절호르몬에 의한 조절과, 이 호르몬에 의해 증가된 마이크로프탈미아 연합 전이 요소(MITF)가 멜라노좀 안에 존재하는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화를 촉진하고, 활성화된 타이로시네이즈에 의해 DOPA의 하이드록실레이션 과정이 개시되며, 타이로시네이즈 하위 단백질들인 TRP1과 TRP2에 의해 멜라닌 생합성을 촉진 및 조절하게 된다. 최종 산물인 멜라닌은 표피 세포 안으로 들어가 자외선과 같은 피부 자극 물질로부터 피부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멜라닌 합성의 과다 촉진은 피부에 과색소 침착과 염증성 침착과 같은 기전을 일으키게 된다.
사람 피부에 있는 멜라민 형성 멜라노사이트가 어떤 이유에서건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으면 색소 반점이 생성되어 피부의 주변 영역에 비해 더 밝거나 어두워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러한 색소 반점을 균일하게 해주는 미백제가 사용되고 있다. 많은 피부 미백제가 다소 강력한 타이로시네이즈 억제제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피부 미백제로는 주로 하이드로퀴논, 예를 들면 알부틴과 같은 하이드로퀴논 유도체, 비타민 C, 예를 들어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와 같은 아스코르브산의 유도체, 코지산, 예를 들어 코지산 디팔미테이트와 같은 코지산 유도체가 특히 상업적으로 유용한 피부 및 모발 미백제로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비타민 C와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타이로시네이즈 억제제로서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못하여 미백효과가 불충분하며, 코지산의 경우에는 피부 알레르기를 유발할 염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네오마이신(Neomycin)이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고 멜라닌 생성의 조절효소인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미백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나이아신아마이드와 동시에 사용할 경우 피부 미백에 대한 상승효과를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 색소 침착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색소 침착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처로 인한 피부 색소 침착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네오마이신(Neomycin)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41823497-pat00015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네오마이신(Neomycin)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네오마이신(Neomycin)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색소 침착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네오마이신(Neomycin)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색소 침착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네오마이신(Neomycin)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상처로 인한 피부 색소 침착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오마이신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고 멜라닌 생성의 조절효소인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미백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나이아신아마이드와 병용사용할 경우 피부 미백 상승효과가 있어 화장품 조성물,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네오마이신의 화학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네오마이신을 B16F10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1c는 네오마이신을 HaCaT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2는 네오마이신의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네오마이신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Intracellular melanin contents: 멜라노사이트 내 존재하는 멜라닌의 양).
도 3b는 네오마이신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Extracellular melanin contents: 멜라노사이트 밖으로 분비된 멜라닌의 양).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네오마이신(Neomycin)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41823497-pat00016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를 더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네오마이신과 나이아신아마이드를 동시에 적용할 경우 멜라닌 합성과 분비가 억제됨에 따라 피부 미백에 대한 상승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네오마이신(Neomycin)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은 멜라닌의 생성 억제 및 타이로시네이즈의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어, "미백"이란 피부의 과다 색소 침착을 억제, 저해 또는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피부의 과다 색소 침착은 주근깨, 기미, 자외선 노출 후 과다 색소 침착, 염증 후 과다 색소 침착, 노인흑색점, 갈색 반점 또는 검버섯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네오마이신(Neomycin)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9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유효량"이란 피부의 과다 색소 침착을 억제, 저해 또는 완화시킬 수 있는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화합물의 유효량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상기 화합물이 피부에 적용되는 방법 및 피부에 머무르는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컨대,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피부의 과다 색소 침착에 따른 피부과적 치료를 위한 의약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는 일상적으로 피부에 적용하게 되는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비해 높은 농도로 상기 네오마이신(Neomycin)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유효성분이 단기간 내에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메이크업 제거제, 세정제 등과 같은 워쉬-오프(wash-off)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농도의 상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유효성분이 장기간 동안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등의 리브-온(leave-on)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워쉬-오프 타입의 화장품에 비해 낮은 농도의 상기 네오마이신(Neomycin)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해도 무방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네오마이신(Neomycin)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피부 미백 활성 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피부 미백 활성 성분으로는 코지산 및 이의 유도체, 알부틴, 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유도체, 하이드로퀴논 및 이의 유도체, 레조르시놀, 사이클로알카논, 메틸렌디옥시페닐 알칸올, 2,7-디니트로인다졸 또는 덩굴귤 추출물, 쌀 추출물, 감초 추출물과 같은 식물 추출물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체,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의약품 또는 화장품으로 제형화할 경우, 활성 성분에 대한 담체로 작용하는 피부에 적용가능한 공지의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의약품으로의 제형화시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화장품으로 제형화시에는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문헌들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네오마이신(Neomycin)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41823497-pat00017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는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를 더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네오마이신과 나이아신아마이드를 동시에 적용할 경우 멜라닌 합성과 분비가 억제됨에 따라 피부 미백에 대한 상승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용어 "피부 외용제"는 일반적으로 피부 외용에 사용하는 물질 전반을 포함하는 포괄하는 개념으로, 피부 외용제 제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경고제(PLASTERS), 로션제(LOTIONS), 리니멘트제(LINIMENT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엑스제(EXTRACT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SIONS), 캅셀제(CAPSULES), 크림제(CREAMS), 연질, 경질 젤라틴 캅셀, 첩부제, 또는 서방화제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제제화된 비경구 투여제일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는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패취, 스프레이, 현탁제 및 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외용제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각 제형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본 발명의 조성물 이외의 다른 성분들을 기타 피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피부 색소 침착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네오마이신(Neomycin)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색소 침착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41823497-pat00018
.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색소 침착"은 피부, 손발톱, 구강이나 비강을 둘러싸고 있는 점막 등에 멜라닌 증가에 의해 발생한 과다 색소 침착 반(macule)을 의미하며, 과색소침착이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를 더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네오마이신과 나이아신아마이드를 동시에 적용할 경우 피부 색소침착의 예방 또는 개선에 대한 상승효과를 가져온다.
피부 색소 침착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네오마이신(Neomycin)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색소 침착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41823497-pat00019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를 더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네오마이신과 나이아신아마이드를 동시에 적용할 경우 피부 색소침착의 예방 또는 개선에 대한 상승효과를 가져온다.
상처로 인한 피부 색소 침착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네오마이신(Neomycin)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상처로 인한 피부 색소 침착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41823497-pat0002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를 더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네오마이신과 나이아신아마이드를 동시에 적용할 경우 피부 색소침착의 예방 또는 개선에 대한 상승효과를 가져온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준비예 1> 시약 및 재료
본 실험에 사용한 cell culture plate는 SPL사의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α-MSH(alph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 High Glucose), DPBS(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 Tryrosinase from mushroom, L-DOPA, Arbutin, Niacinamide, Neomycin은 Sigma aldrich korea 제품을 이용하였으며, FBS는 ATCC사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준비예 2> 세포배양
B16F10 cell, HaCaT cell은 한국 세포주은행에서 분양받아 연구를 진행하였다. Heat inactivated FBS 10%와 100 units/ml, 1% penicillin/streptomycin을 첨가한 DMEM에 37℃, 5% CO2 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예 1> 세포 생존율 측정 (Cell viability assay)
네오마이신에 의한 세포 생존율 측정은 Crystal violet(Sigma aldrich) 용액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B16F10 세포와 HaCaT 세포를 6 well plate에 2.5 x 105/ml로 각 well 당 2 ml씩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plate에 안정화 후 나이아신아미드(Niacinamide, 50 uM), 네오마이신 (Neomycin 2, 10, 50 uM)을 각각 처리한 후 3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PBS세척 후 4% 파라포름알데히드 용액(Paraformaldehyde solution)에서 10분간 고정(fixation)을 진행한 후 0.5% crystal violet 용액을 이용하여 10분간 염색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멜라닌 생성세포(B16F10)와 Keratinocyte (HaCaT)세포에서 10uM까지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네오마이신을 저농도로 사용할 경우 피부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성장을 저해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시험관 내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활성 측정 (Cell-free tyrosinase activity assay)
시험관 내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활성 측정은 Yagi등(1986)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든 시험관(6개)에 동일한 양의 0.175 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0.5 ㎖과 10mM L-DOPA 0.2 ㎖을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실험군 시료로써 알부틴(1 mM), 나이아신아미드(50 uM), 네오마이신 (5, 50 uM)을 각각 첨가하였다. 대조군(흰색그래프)을 제외한 5개 시험관(검정색그래프)에 버섯으로부터 분리된 mushroom tyrosinase (100 U/㎖) 0.2 ㎖ 첨가하였다. 모든 시료가 첨가된 용액은 37℃에서 2분간 반응시겼다. 반응과정 중에 생성된 DOPAchrome을 OD475 ㎚파장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오마이신 5uM농도에서 약 20%, 50uM에서는 약 50% 활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네오마이신에 의한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억제는 알부틴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나이아신아미드의 경우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억제 효과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외부 및 내부 멜라닌 함량 측정 (Extra & Intra melanin content assay)
세포배양은 세포 생존율 측정시와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나 phenol red가 없는 배지를 이용하였다. 세포 외부 멜라닌(Extracellular melanin content)의 양은 세포배양액에 분비된 멜라닌에 의한 색의 변화를 OD405 nm에서 측정하였으며, 세포 내부 멜라닌(Intracellular melanin content)은 1N NaOH용액을 이용하여 세포 내 멜라닌을 용출시킨 후 80℃에서 1시간 동안 멜라닌을 용해시킨 후 OD405 nm의 흡광도로 측정하였다.
멜라닌 생성세포에 나이아신아미드와 네오마이신을 각각 전처리하고 1시간동안 세포배양기에서 약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1시간 후 멜라닌 생성세포에 대조군(도 3 흰색그래프 참조)을 제외한 5개 실험군에 0.1mM의 MSH를 처리하였다. MSH와 실험물질을 첨가한 멜라닌 생성세포를 3일 간 배양한 후 세포추출액으로부터 세포 내 멜라닌 양을 분석하고, 세포배양액을 이용하여 세포 외 멜라닌 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오마이신 (2uM)을 단독 처리한 결과 세포 내 멜라닌 합성이 약 30% 정도 감소하였으며, 나이아신아마이드와 네오마이신을 병행 처리한 결과 세포 내 멜라닌 농도가 약 30%정도로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네오마이신은 세포 내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며, 나이아신아마이드의 경우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지 않는 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MSH자극에 의해 합성된 멜라닌이 멜라닌 생성세포밖으로 운반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오마이신을 단독처리한 결과 약 20%정도 세포밖 멜라닌 농도가 감소하였으며, 네오마이신과 나이아신아마이드를 병행처리 한 결과 세포 밖 멜라닌 농도가 약 70%까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기존의 미백화장품 소재인 나이아신아마이드와 네오마이신을 병용사용할 경우 미백효과에 대한 상승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네오마이신(Neomycin)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0041823497-pat00021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 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총 조성물 함량에서 상기 네오마이신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0.0001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오마이신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은 멜라닌의 생성 억제 및 타이로시네이즈의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네오마이신(Neomycin)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
    [화학식 1]
    Figure 112020041823497-pat00022
    .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는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
  8.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네오마이신(Neomycin)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색소 침착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0041823497-pat00023
    .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네오마이신(Neomycin)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색소 침착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0041823497-pat00024
    .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네오마이신(Neomycin)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상처로 인한 피부 색소 침착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0041823497-pat00025
    .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90028241A 2019-03-12 2019-03-12 네오마이신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8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241A KR102138462B1 (ko) 2019-03-12 2019-03-12 네오마이신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241A KR102138462B1 (ko) 2019-03-12 2019-03-12 네오마이신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8462B1 true KR102138462B1 (ko) 2020-07-27

Family

ID=71894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241A KR102138462B1 (ko) 2019-03-12 2019-03-12 네오마이신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46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074B1 (ko) 수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TW201117832A (en) Heparanase activity inhibitor
KR102193209B1 (ko) 갈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US10973748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lightening skin and reducing hyperpigmentation
KR102302304B1 (ko) 2-푸코실락토오스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
KR102002627B1 (ko) 스피노신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38462B1 (ko) 네오마이신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18139A (ko) 돌나물 추출물 및 리포익산-peg 콘쥬게이트를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002628B1 (ko) 스워티아자포닌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30012482A (ko) 흰머리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427027B1 (ko) 모과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88113B1 (ko) 브라시닌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11051920A (ja) 美白剤
KR101762575B1 (ko) 윈터체리의 위다놀라이드를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2128454B1 (ko) 마크루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US20160374911A1 (en) Plant extract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and reducing melanin as well as application thereof
JP3113407B2 (ja) 化粧料
KR102272476B1 (ko) 이소핌피넬린을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30089559A (ko) 항노화 조성물
KR102324182B1 (ko) 오르틱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78889B1 (ko) 만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511114B1 (ko) 항진균제를 함유한 피부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및 이를포함하는 미백용 외용제
KR100432449B1 (ko) 케토코나졸 함유 피부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KR102324181B1 (ko) 메발로노락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868692B1 (ko) BDD(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노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