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575B1 - 윈터체리의 위다놀라이드를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윈터체리의 위다놀라이드를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575B1
KR101762575B1 KR1020150079779A KR20150079779A KR101762575B1 KR 101762575 B1 KR101762575 B1 KR 101762575B1 KR 1020150079779 A KR1020150079779 A KR 1020150079779A KR 20150079779 A KR20150079779 A KR 20150079779A KR 101762575 B1 KR101762575 B1 KR 101762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inter cherry
whitening
present
melan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3282A (ko
Inventor
이호규
김봉우
김대용
Original Assignee
이호규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규,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호규
Priority to KR1020150079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575B1/ko
Publication of KR20160143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터체리 추출물 또는 위다놀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윈터체리 유래 위다놀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멜라닌 생합성 과정의 주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므로, 기능성 미백 화장품 제조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윈터체리의 위다놀라이드를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용도{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withanolide of Withania somnifera}
본 발명은 윈터체리 추출물 또는 위다놀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윈터체리 유래 위다놀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능성화장품은 효능·효과를 강조한 제품으로 화장품과 의약품의 중간적인 성격을 갖는 제품이며 시장에서는 코스메슈티컬(Cosmetic + Pharmaceutical)이라고도 불린다. 기능성화장품은 단순한 피부보습, 피부보호 차원에서 한층 더 발전해서 피부의 주름, 기미·주근깨, 죽은 각질, 멜라닌 등과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 화장품을 의미한다. 기능성 화장품의 한 분야인 미백화장품의 경우 국내에서 다른 기능성 화장품 분야에 비해 더욱 활발한 연구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분야이다. 예전부터 사용되던 대표적 미백 원료인 알부틴을 비롯하여 코직산, 루시놀, 비타민C, 레즈베라트롤, 피토글리어 EL-1 등의 성분과 화이트플라워 콤들레스, 감초 상백피, 박추출물 등 다양한 천연 원료와 신개념의 성분들이 함유되어 화이트닝 효과가 인정된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인정받고 있다.
한국화장품은 마황 추출물과 산삼부정근 추출물이 포함된 미백 화장품 소재를 개발하였다. 특히 산삼부정근 추출물은 식약처로부터 미백 기능성 원료로 승인을 받았다. 코리아나 화장품은 미백 기능성 원료로 상지 추출물과 천궁을 개발하고, 주름개선 기능성 원료로 예덕나무피, 빈랑자를 개발하여, 제품에 적용해 천연과 기능성 화장품의 조합을 제품에 사용하고 있다.
인디안 윈터체리 (Indian winter cherry)로 알려진 '아슈와간다'는 1,000년 전부터 인도에서 자양 강장이나 장수약으로서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면서 사용돼 왔으며 근래에는 피로회복 건강식품 등으로 외국에서도 시판되고 있다. 나스과의 식물로 평지에 분포해 있으며 인도와 네팔 및 파키스탄 등지서 식생한다.
아슈와간다는 아유르베다에서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허브중의 하나로서 인도에서 사천년 이상 사용되어 왔으며, 회춘 및 강장효과로 인해 '인도의 인삼'이라 불리우기도 한다. 이것을 먹으면 말과 같은 힘과 스태미나를 갖게 된다고도 하고, 예부터 질병을 앓고 난 후의 회복을 돕거나 강장제로 사용하였으며, 종양이나 관절염을 비롯한 염증, 여러 가지 감염성 질병 치료에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아프리카의 부족들 사이에서는 열을 내리게 하거나 염증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인디안 윈터체리의 주요성분은 알칼로이드(Alkaloids)와 위다놀라이드 (withanolides)로, 위다놀라이드는 스테로이드 계열로서 인삼의 주성분인 진세노사이드와 그 작용이나 구조상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의 연구결과는 아슈와간다가 면역체계를 강화하며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며 기억력을 진작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미백활성 실험에서 타겟이 되는 멜라닌은 동물, 식물, 미생물에 널리 존재하는 페놀류의 고분자 물질로 이것의 생성은 기미, 주근깨 검버섯을 형성하며 피부노화도 촉진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멜라닌은 표피 기저층의 멜라노사이트 세포내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효소의 연속적 산화반응으로 합성된다. 티로시나아제는 구리를 함유한 멜라닌 생합성 과정의 주요 효소이며 멜라닌 합성의 출발 물질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이다. 티로신이 티로시나아제에 의해 L-3,4-dihydroxyl-L-phenylalanine(L-DOPA)으로, 이것이 다시 DOPAquinone으로 산화되고 다시 DOPAquinone이 DOPAchrome, 5,6-dihydroxyin-dole, indole 5,6-quinone이 되어 중합에 의해 최종적으로 멜라닌이 합성된다. 이렇게 티로시나아제는 티로신을 산화시켜 DOPA를 만드는 티로신 히드록시아제(tyrosine hydroxyase)로, DOPA를 산화시켜 DOPA quinone을 만드는 DOPA 옥시다아제로 작용하며 멜라닌 중합체를 합성하는데 중요 효소로 작용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티로시나아제 억제제로는 hydroquinone, resorcinol, 4-hydroxyanisole, ascorbic acid와 그 유도체, 코직 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glucosamin, oxyreseveratrol(상백피), α-viniferin, ferulic acid 등이 있으나 피부안전성, 제형 안정성 등의 문제로 인해 알부틴과 코직 산이 미백제의 첨가제로 제한된 양만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천연물 유래의 새로운 미백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새로운 미백용 소재에 관하여 연구하던 중 윈터체리 추출물 및 윈터체리 유래의 위다놀라이드가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고, 멜라닌 세포주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윈터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다놀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윈터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위다놀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윈터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위다놀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멜라닌 생합성 과정의 주요 효소인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므로, 기능성 미백 화장품 제조에 효과적이다.
도 1은 윈터체리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X 축: 윈터체리 추출물의 농도).
도 2는 윈터체리 추출물에 의한 티로시나아제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X 축: 윈터체리 추출물의 농도).
도 3은 윈터체리 추출물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3A는 윈터체리 추출물에 의한 멜라닌 세포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한 그래프이다(X 축: 윈터체리 추출물의 농도). 도 3B는 α-MSH에 의한 멜라닌 생성 촉진 효과가 윈터체리 추출물에 의에 억제되는 것을 측정한 그래프이다(con: α-MSH 미처리군; α-MSH: α-MSH 처리군; X 축: 알부틴 또는 윈터체리 추출물의 농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윈터체리(Withania somnifer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윈터체리(학명: Withania somnifera, 일반명: Ashwaghanda, Indian Ginseng, Winter Cherry)는 인도 남서부 및 남아프리카 원산의 키가 작은 나무이며, 예로부터 서구지역에서 그 뿌리를 Withaniae Radix라 해서 전통적인 약용식물로 이용해 왔으나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다. 민간요법으로 인도에서는 윈터체리의 뿌리를 달인 탕제를 노인과 임산부의 영양과 건강을 회복시키는 강장제로 이용하고 있다. 윈터체리 뿌리 추출물은 선병증, 관절염, 천식, 고혈압, 염증, 류머티즘에 대한 민간요법으로 보고되었다(Thakur, R. S., et al., Major medicinal plants of India; Ed.; Central Institute of Medicinal and Aromatic Plants: Lucknow, India, 53 1 (1989)). 또한 잎 역시 종양, 염증, 결막염, 결핵을 비롯한 여러 질환에 대한 치료제로서 사용되었다(Thakur, R.S., et al., Major medicinal plants of India; Ed.; Central Institute of Medicinal and Aromatic Plants: Lucknow, India, 531 (1989)).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윈터체리 추출물은 윈터체리의 다양한 기관, 조직 (예: 뿌리, 잎, 꽃, 줄기, 과실 및 종자 등) 등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윈터체리의 뿌리로부터 얻은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윈터체리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 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 또는 이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 알코올, 부탄올 또는 메탄올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에틸 알코올이다. 상기 에틸 알코올은 바람직하게는 70% 에틸 알코올이다. 상기 추출 용매의 적합한 양은 윈터체리 건조 중량의 1-10 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8배이다.
한편 본 발명의 윈터체리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위다놀라이드(withanolide)를 포함한다.
위다놀라이드는 C-22와 C-26이 산화되어 δ-락톤을 형성하는 에르고스테롤 골격(ergosterol skeleton)을 보유하는 구조적으로 다양한 스테로이드 화합물이다(Ray, A. B., et al., Prog. Chem. Org. Nat. Prod. 63, 1-106 (1994)). 윈터체리(W. somnifera)의 뿌리와 잎에 대한 화학적 연구에서, 여러 위다놀라이드가 분리되고 특성화되었다(Matsuda, M., et al., Bioorg. Med. Chem. 9, 1499-1507 (2001)). 위다놀라이드는 구조적 골격에 따라 분류되는데(Ray, A. B., et al., Prog. Chem. Org. Nat. Prod. 63, 1-106 (1994)), 이런 구조적 편차는 폭넓은 제약학적 활성의 원인이다. 위다놀라이드는 소염, 항종양, 세포독성, 면역조절 활성 및 CCl4-유도된 간세포독성으로부터 보호가 조사되었다(Ray, A. B., et al., Prog. Chem. Org. Nat. Prod. 63, 1-106 3 (1994); Anjaneyulu, A. S. R., et al., Studies in L Natural Products Chemistry: Structure and Chemistry (Part I); Ed. Atta-ur-Rahman, Vol. 20, 135-261 (1998)). 이들은 또한, 동물 모형에서 II-단계 효소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이는 암 화학예방법에서 기전 중의 하나로서 간주되고 있다(Misico, R.I., et al., J. Nat. Prod. 65, 677-680 (2002); Su, B. N., et al., Tetrahedron 58, 3453-3466 (2002)).
본 발명의 추출물은 위다놀라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출물 내 위다놀라이드의 함유여부와 그 함량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및 Gravimetric 분석 방법을 통하여 확인되었다.
윈터체리 추출물내의 위다놀라이드의 함량은 추출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예를 들어 윈터체리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중량% 내지 10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윈터체리를 에탄올 추출하여 추출물 내의 위다놀라이드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에탄올 추출물 내의 위다놀라이드의 함량은 8.32% 인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멜라닌 색소의 생성 억제를 통한 피부 미백 효능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본 발명 추출물 투여에 따른 미백관련 유전자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 추출물 투여에 의해 티로시나아제 억제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윈터체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특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윈터체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멜라닌 합성의 처음 두 단계 반응을 촉매하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활성에 윈터체리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윈터체리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를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B16-F10 멜라닌 세포주를 이용하여 윈터체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측정하였으며, α-MSH에 의한 멜라닌 생성 촉진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억제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윈터체리 추출물은 멜라닌 세포주의 멜라닌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α-MSH에 의한 멜라닌 생성 촉진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미백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알부틴을 대조군으로 하여 동일한 실험을 한 결과, 알부틴보다 α-MSH에 의한 멜라닌 생성 촉진을 억제하는 효능이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윈터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위다놀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위다놀라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윈터체리에서 유래된 위다놀라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윈터체리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0.001 내지 20중량%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물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윈터체리 추출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윈터체리 추출물에 추가로 다른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윈터체리 추출물 또는 위다놀라이드 이외에도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conceal stick)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윈터체리 추출물 또는 위다놀라이드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스프레이,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바디크림,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트리트먼트, 미용액,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 등의 제형을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윈터체리 추출물 제조
윈터체리는 인도 자생 식물로 국내에서 재배가 어려워 인도의 원료 구입처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윈터체리(WITHANIA SOMNIFERA)의 뿌리를 세척, 세절한 후 에탄올과 물 혼합용액에 넣고 추출하였다.
<실시예 2> 윈터체리 추출물 분석
추출물을 HPLC 및 Gravimetric 분석 방법으로 성분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윈터체리 추출물에는 위다놀라이드가 8.32%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15054388143-pat00001
<실시예 3> 미백 관련 유전자 활성 평가
미백과 관련된 Tyrosinase 및 IRS-1 활성 유전자 평가 시스템에 본 발명의 윈터체리 추출물을 투여하여 유전자 활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인슐린 수용체 기질 insulin receptor substrate (IRS)-1 변화 및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억제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윈터체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측정
멜라닌의 생성은 티로시나아제에 의한 타이로신의 연속적 산화과정에 의한 일어나게 되므로, 항산화 효과가 있는 성분은 멜라닌 생성 과정을 저해할 가능성이 높다. 윈터체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법을 수행하였다.
윈터체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DPPH는 안정한 자유라디칼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로 항산화력이 있는 물질의 환원작용에 의해 라디칼이 소거되어 탈색된다.
메탄올과 증류수의 혼합용매 (6:4, v/v)에 녹인 0.1 mM DPPH와 농도별로 희석된 각각의 추출물을 2:1 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상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대조군으로 시료 대신 메탄올을 첨가하였으며 흡수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윈터체리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으며, 추출물 농도 250 μg/ml에서 22.2%, 500 μg/ml에서 41.4%, 1,000 μg/ml에서 73.3%의 소거 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버섯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 측정
윈터체리 추출물에 의한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버섯 티로시나아제에 의한 L-tyrosine의 산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멜라닌 합성에 필요한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특정하여 미백효과를 측정하였다. 96 well plate에 0.1 M 인산염완충액 (phosphate buffer, pH 6.5)에 농도별로 희석된 윈터체리 추출물 170 μL와 1,000 U/mL mushroom tyrosinase 10 μL 및 1.5 mM L-tyrosine 20 μL를 넣고 37℃에서 10 min 반응시킨 후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윈터체리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 효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00 μg/ml 농도에서 38.3%의 억제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B16-F10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닌 생성에서 윈터체리 추출물의 억제 효과
<6-1> B16-F10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측정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가 있는 윈터체리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마우스 유래의 B16-F10 세포에 추출물을 농도별로 48시간 처리한 후, 세포 내 생성된 멜라닌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윈터체리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인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최고 농도 200 μg/mL에서 63.5%의 억제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6-2> α-MSH에 의해 유도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측정
α-MSH는 잘 알려진 멜라닌 생성 호르몬의 일종으로 멜라노사이트의 수용체에 결합하여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킨다. 윈터체리 추출물의 α-MSH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B16-F10 세포에 윈터체리 추출물을 농도 의존적으로 전 처리한 후, α-MSH에 의해 생성 유도된 멜라닌 양을 측정하였다.
B16-F10 세포를 6 well dish에 1 × 105 cells/well로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 후, 윈터체리 추출물을 농도별로 well에 처리하고, α-MSH를 200nM 처리하여 2일 동안 더 배양하였다. 배양 후 1 N NaOH 450 μL를 처리하여 1시간 동안 60℃ 항온조에서 반응시켜 멜라닌을 완전히 용해시킨 후,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농도에 따른 well 수는 3배수로 준비하였다. 대조군으로 윈터체리 추출물 대신 알부틴(Arbutin)을 동일 농도로 처리하여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B16-F10 세포에서 α-MSH에 의한 멜라닌 생성은 200% 이상 증가하였지만, 윈터체리 추출물을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그 생성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재 미백 소재로 많이 사용되는 대조물질인 알부틴은 200 μM에서 51%의 억제 효과를 보이는 반면, 윈터체리 추출물은 최고 농도 200 μM에서 122%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보이고 있어, 윈터체리는 우수한 천연 미백제의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미백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제조예 1> 유연화장수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함량 (중량%)
윈터체리 추출물 1.0
1.3-부틸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올레일알코올 0.1
폴리솔베이트 20 0.5
에탄올 15.0
벤조페논-9 0.05
향,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제조예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함량 (중량%)
윈터체리 추출물 2.0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1.2
토코페닐아세테이트 3.0
유동파라핀5.0스쿠알란 3.0
마카다이아너트오일 2.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1.0
비에치티이 0.01
EDTA-2Na 0.01
향,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제조예 3> 영양크림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함량 (중량%)
위다놀라이드 2.0
세토스테아릴알콜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트리옥타노인 5.0
폴리솔베이트 60 1.2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스쿠알란 5.0
유동 파라핀 3.0
싸이클로메치콘 3.0
비에이치티이 0.05
델타-토코페롤 0.2
농글리세린 4.0
1,3-부틸렌글리콜 2.0
산타검 0.1
EDTA-2Na 0.05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Claims (8)

  1. 윈터체리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터체리 뿌리 추출물은 위다놀라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다놀라이드는 윈터체리 뿌리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터체리 뿌리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 또는 이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터체리 뿌리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079779A 2015-06-05 2015-06-05 윈터체리의 위다놀라이드를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1762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779A KR101762575B1 (ko) 2015-06-05 2015-06-05 윈터체리의 위다놀라이드를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779A KR101762575B1 (ko) 2015-06-05 2015-06-05 윈터체리의 위다놀라이드를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282A KR20160143282A (ko) 2016-12-14
KR101762575B1 true KR101762575B1 (ko) 2017-08-14

Family

ID=57575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779A KR101762575B1 (ko) 2015-06-05 2015-06-05 윈터체리의 위다놀라이드를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25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366B1 (ko) 2018-11-06 2019-08-20 주식회사 에이치앤비나인 아슈와간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7330A (ja) * 2000-11-29 2002-06-11 Shiseido Co Ltd 美白用皮膚外用剤およびメラニン生成抑制剤
JP2010116381A (ja) 2008-11-14 2010-05-27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紫外線に対する感受性制御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7330A (ja) * 2000-11-29 2002-06-11 Shiseido Co Ltd 美白用皮膚外用剤およびメラニン生成抑制剤
JP2010116381A (ja) 2008-11-14 2010-05-27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紫外線に対する感受性制御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366B1 (ko) 2018-11-06 2019-08-20 주식회사 에이치앤비나인 아슈와간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282A (ko)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532560A (ja) 鉄皮石斛(デンドロビウム・カンディダム)花の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101492074B1 (ko) 수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71837B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U2012208626B2 (en) Monoterpene derivatives of chalcone or dihydrochalcone and their use as depigmenting agents
KR102193209B1 (ko) 갈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7338105B2 (ja) カポックの木の花抽出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美容、医薬又は皮膚科用組成物
KR101922635B1 (ko) 마유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4076957A (ja) 脱糖化剤及び皮膚外用剤
AU2012208626A1 (en) Monoterpene derivatives of chalcone or dihydrochalcone and their use as depigmenting agents
KR20210108911A (ko) 로즈마리 이온성 액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20140012456A (ko) 아케비아 사포닌-디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00064240A (ko)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80049332A (ko) 미백용 합마유 추출물
JP2003160461A (ja) 皮膚外用剤
KR102241951B1 (ko) 참당귀 및 사상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질환 또는 탈모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762575B1 (ko) 윈터체리의 위다놀라이드를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0894714B1 (ko) 피부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백모사 추출물
KR20130023606A (ko) 회화나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00064309A (ko) 탈모 또는 피부 염증 억제용 조성물
KR102400090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5086168A (ja) リパーゼ阻害剤および皮脂コントロール用皮膚化粧料
KR20130136753A (ko) 박태기나무 또는 붉은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WO2008156330A1 (en) Use of xanthorrhizol for anti-wrinkle treatment
KR20160062235A (ko) 꾸지뽕잎 및 뽕잎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6086B1 (ko) 닥나무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보습, 및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