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889B1 - 만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만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889B1
KR102178889B1 KR1020170046049A KR20170046049A KR102178889B1 KR 102178889 B1 KR102178889 B1 KR 102178889B1 KR 1020170046049 A KR1020170046049 A KR 1020170046049A KR 20170046049 A KR20170046049 A KR 20170046049A KR 102178889 B1 KR102178889 B1 KR 102178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nitol
skin
acceptable salt
present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4390A (ko
Inventor
김대현
장주연
추정하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70046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88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4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8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만니톨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만니톨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개선용 피부 외용제; 만니톨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만니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색소 침착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만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Skin-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Mannitol as a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만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만니톨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만니톨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개선용 피부 외용제; 만니톨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만니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색소 침착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 내 멜라닌(melanin)의 농도와 분포에 따라 유전적으로 결정되나, 태양 자외선이나 피로,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또는 생리적 조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피부의 색을 결정하는 멜라닌 생성에 대한 화학적 작용은 현재까지 여러 논문 등을 통해 많이 보고되고 있는데, 멜라닌 생성세포인 멜라노사이트 (melanocyte)가 멜라노좀(melanosome)이라는 세포내 소기관 내에서 자외선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는 멜라닌을 합성한 후, 상기 멜라닌은 멜라노사이트에서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로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렇게 각질형성세포로 이동된 멜라닌이 피부색을 결정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 멜라닌 생합성 과정에서 필요한 전구물질은 티로신(tyrosine)이라는 아미노산으로, 이 티로신은 디히드록시페닐알라닌(dihydroxyphenylalanine, DOPA)으로 전환되고, 그 후 도파퀴논(dopaquinone)이라는 물질 등을 거쳐 최종적으로 멜라닌으로 전환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렇게 합성된 멜라닌은 피부색을 짙게 만드는데, 건강 또는 미용상의 요구로 인해 상기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여 피부색을 밝게 하려는 피부 미백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미백 성분으로서, 코지산(Kojic acid) 또는 알부틴(Arbutin) 등과 같은 티로시나제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물질,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비타민 C(L-Ascorbic acid) 또는 이들의 유도체와 각종 식물 추출물이 있다. 이들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의 개선이 가능하다. 그러나 피부 적용 시,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만니톨은 분자식 C6H14O6, 분자량 182.17을 가지는 화합물로서, 만니트(Mannit) 등으로도 명명된다. 천연에는 물푸레나무 만난, 양파, 곶감 등의 식물이나, 조류, 균류, 버섯류에 유리형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부형제, 분석용 시약, 삼투성 이뇨제, 감미제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나, 만니톨이 직접적으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는 것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한 물질에 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만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멜라닌 합성 억제 및 멜라닌 총량 감소 효과를 나타냄을 규명함으로써, 이를 활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외용제, 건강기능식품 및 피부 색소 침착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만니톨 (Mannitol)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만니톨 (Mannitol)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만니톨 (Mannitol)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만니톨 (Mannitol)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만니톨 (Mannitol)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색소 침착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만니톨 (Mannitol)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7034802784-pat00001
본 발명에서 "만니톨 (Mannitol)"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고, 분자식 C6H14O6, 분자량 182.17을 가지며, 만니트 (Mannit) 등으로도 명명된다. 천연에는 물푸레나무 만난, 양파, 곶감 등의 식물이나, 조류, 균류, 버섯류에 유리형으로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부형제, 분석용 시약, 삼투성 이뇨제, 감미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만니톨 자체의 피부 미백 효과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다.
상기 만니톨의 획득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만니톨은 용매화된 형태뿐만 아니라 비-용매화된(unsolvated)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만니톨은 결정형 또는 무정형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물리적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 상기 만니톨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0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만니톨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01 내지 1 중량%일 수 있으며, 가장 구체적으로 0.002 내지 0.006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만니톨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만니톨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만니톨"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만니톨이 다른 물질과 결합한 염의 형태인 것으로, 화장품학적으로 만니톨과 비슷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미백”이라 함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을 개선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에 첨가한 후 멜라닌 총량을 측정한 결과, 상기 화합물을 첨가한 실험군의 경우 우수한 멜라닌 총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1).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의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 효과를 확인한 결과, 상기 화합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노마 세포의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알부틴보다 낮은 농도에서도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저해함을 확인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재확인하였다 (표 2).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만니톨 (Mannitol)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만니톨"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염"이란, 만니톨이 다른 물질과 결합한 염의 형태인 것으로, 만니톨과 비슷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피부 외용제"는 일반적으로 피부 외용에 사용하는 물질 전반을 포함하는 포괄하는 개념으로, 피부 외용제 제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경고제(PLASTERS), 로션제(LOTIONS), 리니멘트제(LINIMENT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엑스제(EXTRACT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SIONS), 캅셀제(CAPSULES), 크림제(CREAMS), 연질, 경질 젤라틴 캅셀, 첩부제, 또는 서방화제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에 첨가한 후 멜라닌 총량을 측정한 결과, 상기 화합물을 첨가한 실험군의 경우 우수한 멜라닌 총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1).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의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 효과를 확인한 결과, 상기 화합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노마 세포의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알부틴보다 낮은 농도에서도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저해함을 확인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재확인하였다 (표 2).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제제화된 비경구 투여제일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는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패취, 스프레이, 현탁제 및 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외용제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각 제형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본 발명의 조성물 이외의 다른 성분들을 기타 피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만니톨 (Mannitol)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만니톨"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피부 미백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에 첨가한 후 멜라닌 총량을 측정한 결과, 상기 화합물을 첨가한 실험군의 경우 우수한 멜라닌 총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1).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의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 효과를 확인한 결과, 상기 화합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노마 세포의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알부틴보다 낮은 농도에서도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저해함을 확인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피부 미백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재확인하였다 (표 2).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식품 100 중량부 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만니톨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색소 침착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만니톨"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란 만니톨이 다른 물질과 결합한 염의 형태인 것으로, 약학적으로 만니톨과 비슷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색소 침착"은 피부, 손발톱, 구강이나 비강을 둘러싸고 있는 점막 등에 멜라닌 증가에 의해 발생한 과다 색소 침착 반(macule)을 의미하며, 과색소침착이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에 첨가한 후 멜라닌 총량을 측정한 결과, 상기 화합물을 첨가한 실험군의 경우 우수한 멜라닌 총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색소 침착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1).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쥐의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의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 효과를 확인한 결과, 상기 화합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노마 세포의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알부틴보다 낮은 농도에서도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저해함을 확인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피부 색소 침착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재확인하였다 (표 2).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 색소 침착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에어로졸, 멸균 주사용액 등의 형태로 제형화가 가능하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포함되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 등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텍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즈, 메틸 셀루로오즈,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즈, 미정질 셀룰로오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플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이산화규소 등의 광물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구체적인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환자의 상태 및 체중, 환자의 성별, 연령,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 배설 속도, 반응 감응성 등과 같은 요인들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투여량 및 횟수는 어떠한 면에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구, 정맥, 근육 또는 피하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만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여 세포 내 멜라닌 총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알부틴보다 낮은 농도에서도 멜라닌 합성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만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 또는 건강기능식품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멜라닌 총량 감소 확인
만니톨을 마우스의 B-16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의 미백 효과를 실험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배양액을 기준으로 만니톨의 최종농도가 10 μg/ml, 20 μg/ml이 되도록 배지에 첨가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인 알부틴은 100 μg/ml의 농도로 배지에 첨가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배지에 추가적인 시료를 첨가하지 않았다.
상기 각각의 배지에서 B-16 멜라노마 세포를 3일간 배양한 후, 배양된 세포에 트립신 (trypsin)을 처리하여 배양용기로부터 분리하여 원심분리 하였다. 원심분리한 세포로부터 멜라닌을 추출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분리된 세포에 수산화 나트륨 용액 (1N 농도) 1 ml를 첨가하고 10 분간 가열하여 멜라닌을 녹이고,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400 나노미터(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멜라닌의 양을 측정하였다.
상기 멜라닌 양은 단위 세포수당 (106 cell) 흡광도로 나타나도록 측정하였으며, 음성 대조군의 멜라닌 총량에 대한 상대적인 저해율(%)을 계산한 결과를 하기 표에 정리하였다.
만니톨의 멜라닌 총량 감소 효과 (반복수 = 3)
시료 멜라닌 총량(Abs) 저해율(%)
Mannitol (20 μg/ml) 0.060 26.31
Mannitol (10 μg/ml) 0.067 18.17
음성 대조군(무첨가) 0.082 -
알부틴(100 μg /ml) 0.042 48.78
그 결과,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만니톨은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노마 세포의 멜라닌 총량을 감소시켜,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알부틴보다 낮은 농도에서도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총량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만니톨은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총량을 감소시켜, 피부 미백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타이로시네이즈 ( tyrosinase ) 활성 감소 확인
만니톨을 마우스의 B-16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 수준에서의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 효과를 실험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배양액을 기준으로 만니톨의 최종농도가 10 μg/ml, 20 μg/ml이 되도록 배지에 첨가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인 알부틴은 100 μg/ml의 농도로 배지에 첨가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배지에 추가적인 시료를 첨가하지 않았다.
상기 각각의 배지에서 B-16 멜라노마 세포를 3일간 배양한 후, 배양된 세포에 트립신 (trypsin)을 처리하여 배양용기로부터 분리하여 원심분리 하였다. 원심분리한 세포를 세포 용해액 (1% triton-100, 0.1% PMSF 가 포함된 0.1M phosphate buffer)에 용해시키고, 1mM의 도파 (DOPA, dihydroxyphenylalanine)를 섞어 1시간 동안 37도에서 반응을 시킨다. 이후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475 나노미터(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 정도는 단위 세포수당 (106 cell) 흡광도로 나타나도록 측정하였으며, 음성 대조군의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에 대한 상대적인 저해율(%)을 계산한 결과를 하기 표에 정리하였다.
만니톨의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감소 효과 (반복수 = 3)
시료 타이로시네이즈 활성(Abs) 저해율(%)
Mannitol (20 μg/ml) 0.37 51.32
Mannitol (10 μg/ml) 0.51 32.89
음성 대조군(무첨가) 0.76
알부틴(100 μg /ml) 0.42 44.74
그 결과,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만니톨은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노마 세포의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알부틴보다 낮은 농도에서도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저해하여, 결과적으로 멜라닌 총량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만니톨은 멜라노마세포의 멜라닌 총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멜라닌 합성과 관련된 효소인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저해함을 확인함으로써, 만니톨의 우수한 피부 미백 용도를 재확인 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만니톨 (Mannitol)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미백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니톨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유효 농도는 10 내지 20 μg/ml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합성 억제, 멜라닌 총량 감소, 또는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만니톨 (Mannitol)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미백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만니톨 (Mannitol)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미백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색소 침착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70046049A 2017-04-10 2017-04-10 만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78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049A KR102178889B1 (ko) 2017-04-10 2017-04-10 만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049A KR102178889B1 (ko) 2017-04-10 2017-04-10 만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390A KR20180114390A (ko) 2018-10-18
KR102178889B1 true KR102178889B1 (ko) 2020-11-13

Family

ID=6413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049A KR102178889B1 (ko) 2017-04-10 2017-04-10 만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8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5458A (ja) * 2000-05-29 2001-12-04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2013170157A (ja) 2012-02-22 2013-09-02 Nippon Menaade Keshohin Kk メラノサイト分化誘導抑制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5458A (ja) * 2000-05-29 2001-12-04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2013170157A (ja) 2012-02-22 2013-09-02 Nippon Menaade Keshohin Kk メラノサイト分化誘導抑制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Cosmetics, Dermatological Sciences and Applications, 2012, 2, 151-15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390A (ko)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074B1 (ko) 수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30017159A (ko) 효소 처리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02627B1 (ko) 스피노신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83040B1 (ko) 아트락틸레놀라이드 i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1863895B1 (ko)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초석잠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78889B1 (ko) 만니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356451B1 (ko) 샨즈히시드 메틸에스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348149B1 (ko) 파르테노리드를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324182B1 (ko) 오르틱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324181B1 (ko) 메발로노락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10134589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93781B1 (ko) 리보플라빈 포스페이트 나트륨 또는 피탄트리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503107B1 (ko) 폴리갈라사포닌 f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65413B1 (ko) Prim-O-글루코실시미푸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022620B1 (ko) 스피노신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04305B1 (ko) 모노미리스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272476B1 (ko) 이소핌피넬린을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670238B1 (ko) 타이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25547B1 (ko) 물질 p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7253A (ko) 스워티아자포닌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60119548A (ko) 현삼 온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80042707A (ko) 스트리크닌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72477B1 (ko) 4'-O-β-D-글루코실-5-O-메틸비사미놀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228039B1 (ko) 아스트라갈로시드 i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277526B1 (ko) 아칸토파낙스 센티코시드 b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