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107B1 - 유산균에 의한 오배자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산균에 의한 오배자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107B1
KR100813107B1 KR1020060070424A KR20060070424A KR100813107B1 KR 100813107 B1 KR100813107 B1 KR 100813107B1 KR 1020060070424 A KR1020060070424 A KR 1020060070424A KR 20060070424 A KR20060070424 A KR 20060070424A KR 100813107 B1 KR100813107 B1 KR 100813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lactobacillus
fermentation
fermented
acid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0218A (ko
Inventor
파베츠 쇼캣
배현수
신민규
홍무창
강문규
정환석
조종운
이상문
Original Assignee
퓨리메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퓨리메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퓨리메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0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107B1/ko
Publication of KR20080010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45Lactobacillus casei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53Lactobacillus
    • Y10S435/856Lactobacillus casei

Abstract

본 발명은 유산균에 의한 오배자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활성이 증가된 오배자 유산균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상기 오배자 유산물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백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배자, 유산균, 발효물

Description

유산균에 의한 오배자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ation Product of Galla Rhois By Lactobacillus}
도 1은 피부로의 멜라닌 색소의 침척과정을 보인다. 피부는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으로 표피, 진피, 피하층으로 나뉜다. 진피에 있는 멜라닌 생성세포에 의해 멜라닌이 형성되고, 분비되어 표피로 이동한다. 표피로 이동후 멜라닌 색소의 침척이 일어나 기미, 주근깨, 피부의 갈색화 등이 나타난다.
도 2는 타이로신으로부터 멜라닌의 생성과정을 보인다. 타이로신으로부터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의 수산화기 첨가 반응에 의해 L-DOPA(dihydroxyphenylalanine)가 생성되고 똑같은 효소에 의해 산화작용을 통해 도파퀴논을 생성한다. 이 도파퀴논은 중합화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멜라닌이 생성된다. 멜라닌은 두 종류로 생성된다. 하나는 피오멜라닌(phenomelanine)이고 다른 하나는 유멜라닌(eumelanine)이다. 유멜라닌 생성과정에 또한 타이로시네이즈가 작용한다. 미백화장품의 대표적인 작용은 이러한 타이로시네이즈의 작용을 저해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타이로시네이즈를 저해하면 L-DOPA와 도파퀴논 및 유멜라닌 전구체가 생성되지 않아 멜라닌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이다. 빨간 X 로 표시한 것이 타이로시네이즈를 억제하는 부위이다.
도 3 은 오배자의 유산균 발효물이 오배자보다 더 높은 타이로시네이즈 억제활성을 보이는 것을 보인다. AB는 알부틴(arbutin)을 나타내고, GR은 Galla Rhois (오배자)를 나타내고, FGR은 발효된 오배자 배양액(Fermented Galla Rhois)를 나타낸다. 발효된 오배자 배효물은 오배자를 포함하는 배지에 Lactobacillus Casei PM1를 넣어 발효한 유산균 발효물을 의미한다. 알부틴과 오배자는 각각의 고체 상태의 것을 ml 당10 mg 녹인 것을 10분의 1 희석했거나 (이 경우 최종 투여 농도는 1 mg/ml) 또는 5분의1 희석해서 투여하였다 (이 경우 최종 투여 농도는 2 mg/ml). 오배자 유산균 발효물의 경우는 처음 유산균 배지 1L에 2% (20g)의 미세하게 간 오배자를 넣고 오배자 유산균 발효를 하였다 ml당 20 mg의 오배자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전체 효소반응 부피가 1 ml일 경우 100 ㎕의 유산균 발효물을 투여 하여 오배자 전체 투여량이 2 mg/ml이 되게 하였고, 50 ㎕를 투여경우 전체 투여량이 1 mg/ml이 되도록 하였다.
인간과 포유동물의 피부 및 모발의 색조는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지만 그 중에서도 멜라닌 세포에서 합성되는 멜라닌 색소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도 1 참조). 멜라닌 세포에서 합성되는 멜라닌 색소는 기본적으로 갈색 및 검은색인 유멜라닌(eumelanin)과 황색 또는 홍갈색인 피오멜라닌(pheomelanin)의 2가지 종류가 있으며, 이들 색소는 멜라노좀 내에서 타이로신(tyrosine)을 DOPA와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시키는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의 작용에 의해 형성된다(도 2 참조). 유멜라닌은 도파퀴논의 산화 환원에 의해 생긴 5,6-디하이르록실 인돌의 단일중합체 (homopolymer)이며 피오멜라닌은 도파퀴논이 시스테인닐도파(cysteinyldopa)에서 파생되는데, 멜라닌 세포내의 멜라노좀의 발달 정도와 이러한 멜라닌 색소의 합성능의 차이로 인종에 따른 피부색의 차이가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urnett, J.B., Seiler, H., Brown, J.C. S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ultiple forms of tyrosinase from mouse melanoma. Cancer Res 27:880-889, 1967.; Hearing, V.J., Nicholson, J.M., Montague,P.M., et al. Mammalian tyrosinase:Structural and functional interrelationship of isozyme.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522:327-339, 1978.; Jimbow, M., Kanoh, H., Jimbow, K. Characterization of biochemical properties of melanosomes for structual and functional differentiation: Analysis of the compositions of lipids and proteins in melanosomes and their subfractions. J.Invest. Dermatol. 79:97-102, 1982. 6. Prota, G. Recent advances in the chemistry of melanogenesis in mammals. J. Invest. Dermal. 75:122-126, 1980.; Sober, A.J. Fitzpatrick, T.B. Pathophysiology of melanin pigmentation in man. Prog Chem Org Natural Products.31:521-582, 1974.).
본 발명자들은 오배자의 유산균 발효물의 타이로시네이즈 억제활성을 조사하던 중 천연의 오배자보다 더 향상되게 타이로시네이즈 억제활성이 증가하여 미백화장품의 원료물질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이 증가된 오배자 유산균 발효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상기 오배자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백화장품 및 이의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배자를 발효기질의 하나로 이용하고,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활성이 증가된 발효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산균이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활성이 증가된 발효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유산균이라 함은 유산균은 탄수화물을 발효하여 최종 대사산물로 유산을 생산하는 세균을 말하는바, 유산균은 통상적으로 김치 또는 요구르트 등 발효식품의 제조과정에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식품에 활용되는 유산균으로는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속, 락토바실러스 (Lactobacillus)속, 락토코커스(Lactococcus)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속, 웨이쎌라속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유산균은 비피더스균, 락토바실러스균 및 락토코커스균 등과 같은 다양한 유산균을 1종 또는 그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락토바실러스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산균이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피엠원 (Lactobacillus casei PM1; KCCM 10766P)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의 양태는 상기 오배자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만들어진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활성이 증가된 발효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3의 양태는 상기 오배자 유산균 발효물 조성물을 포함하는 미백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미백화장품 조성물은 피부의 미백효과를 목적으로 사용되며,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고,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또한,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다른 성분들은 기타 화장료 조성물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목적하는 효과를 얻기 위하여 상기의 오배자 유산균 발효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 중량%로 함유된다. 0.0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였을 때는 적절한 효능을 기대하기 어렵고, 10 중량% 초과하여 사용 할 경우에는 제품의 안전성 및 안정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의 양태는 오배자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유산균이 특별한 관심을 끄는 이유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식품에서 널리 이용되어 섭취되어 왔으므로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식하는 'GRAS'(generally regarded as safe) 미생물이다. 이런 안전한 생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오배자의 유산균 발효물은 식품으로서 안정하게 이용되어질 수 있다. 오배자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식품은 쥬스, 요구르트, 치즈, 생균제제 등의 식품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배자 유산균 발효물은 식품첨가제로서도 이용가능하다. 상기 식품첨가제는 일반식품에 첨가되어서, 일반식품이 미백효과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오배자 발효물의 제조
발효조건
오배자(Galla Rhois)는 옴니허브 파마슈티컬사(Omniherb Pharmaceutical company, seoul, Korea)로부터 구매하였다. L-DOPA 및 버섯 타이로시네이즈는 시그마 케미컬사(Sigma Chemical Co., U.S.A)로부터 구매하였다. 오배자는 분쇄되었고,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피엠1(Lactobacillus casei PM1; KCCM 10766P)과 같이 발효되었다. 오배자 추출물의 경우는 100g의 오배자를 분쇄기로 갈아서 증류수 1 L에 넣고 1 시간동안 100℃에서 끊인 다음 여과해서 추출액을 얻은 다음 이를 동결건조하여 최종적으로 32g의 오배자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수율 32%).
락토바실러스에 의한 오배자의 발효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PM1(Lactobacillus casei PM1; KCCM 10766P)에 의한 오배자의 발효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하기의 조성을 가진 MRS 배지(Difco, 100 ml)에 KCCM10766P (MRS agar에 보존된)를 접종하여 하룻밤 동안 배양 (배양시간: 24hr-30hr, 610 nm에서 OD값이 0.6 이상되었을때)하여 100 ml의 접종액을 준비하였다. 2% (20g) 오배자 및 1 % (10g) 포도당을 포함하고 있는 900ml의 배지에 접종액 (100 ml)을 접종하였다. 1L를 배양하기 위해서 독일제 발효기인 비브라운 바이오테크 인터네셔널(B. Braun Biotech International)의 모델명 바이오스탓 비(BIOSTAT B) 발효기를 사용하였다. 초기의 pH는 6.5로 맞추어졌고, 배양시간 48시간동안 1M NaOH 용액에 의해 자동적으로 pH가 6.5로 조절되었다. 시료는 L-DOPA 기질을 이용하여서 항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을 측정하였다.
MRS 배지 (1 리터당의 성분비)
프로테오스 펩톱 넘버 310.0g
비프 익스트랙트10.0g
이스트 익스트랙트 5.0g
덱스트로스20.0g
폴리소베이트 80 1.0g
암모니늄 시트레이트 2.0g
소디움 아세테이트 5.0g
마그네시움 설페이트 0.1g
망간 설페이트 0.05g
디포타시움 포스페이트 20.g
[실시예] 타이로시네이즈 억제활성의 측정
타이로시네이즈 억제활성의 측정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은 포메란츠 등(Pomerants S. H., 1963 J. Biol. Chem., 238, 2351-2357)의 방법을 약간 수정하여 이용하였다. 40㎕의 5mM L-DOPA 용액, 80㎕ 의 67mM 인산완충용액(pH 6.8) 및 40㎕ (오배자, 알부틴의 시험용액농도 10 mg/ml) 시험 샘플 용액을 가진 것 또는 가지지 않은 것을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40㎕ (100 단위/ml)의 버섯 타이로시네이즈가 반응 혼합액에 첨가되었다. 이 때 시험용액의 최종농도는 2mg/ml이었다. 시험용액의 최종농도가 1mg/ml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40㎕의 5mM L-DOPA 용액, 100 ㎕ 의 67mM 인산완충용액(pH 6.8) 및 20 ㎕ (오배자, 알부틴의 시험용액농도 10 mg/ml)의 시험 샘플 용액을 가진 것 또는 가지지 않은 것을 혼합하였고, 다음으로 40㎕ (100 단위/ml)의 버섯 타이로시네이즈가 반응 혼합액에 첨가하여 시험하였다. 오배자의 유산균 발효액의 경우는 40㎕의 5mM L-DOPA 용액, 100㎕ 의 67mM 인산완충용액(pH 6.8) 및 20㎕ (오배자 유산균 발효용액 농도 20 mg/ml)의 시험 샘플 용액을 가진 것 또는 가지지 않은 것을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40㎕ (100 단위/ml)의 버섯 타이로시네이즈가 반응 혼합액에 첨가되었다. 이 때의 오배자의 유산균 발효용액의 최종농도는 2mg/ml 이었다. 오배자의 유산균 발효용액의 최종농도가 1mg/ml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40㎕의 5mM L-DOPA 용액, 110 ㎕ 의 67mM 인산완충용액(pH 6.8) 및 10 ㎕ (유산균발효용액 농도 20 mg/ml)의 시험 샘플 용액을 가진 것 또는 가지지 않은 것을 혼합하였고, 다음으로 40㎕ (100 단위/ml)의 버섯 타이로시네이즈가 반응 혼합액에 첨가하여 시험하였다. 도파크롬(DOPAchrome; ε490= 3600 M-1·Cm-1) 의 형성 때문에 490nm에서 흡광도의 증가가 스펙트로포토미터(몰레큘러디바이스, 프리사이젼 마이클로 플레이트, USA)를 이용하여 시간의 함수로서 모니터링 되었다. 초기 속도는 타이로시네이즈 활성도를 측정하는데 이용되었다.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의 억제 백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되었다.
% 억제 =[(A-B)/A]x100
여기에서 A는 샘플시료 없이 490nm에서의 흡광도이고, B는 샘플시료 있을 때의 490nm에서의 흡광도이다.
발효물의 타이로시네이즈 억제활성과 대조하기 위해서 알부틴과 발효되지 않은 오배자를 대조군으로 실험하였다. 알부틴과 오배자는 각각의 고체 상태의 것을 ml 당10 mg 녹인 것을 10분의 1 희석했거나 (이 경우 최종 투여 농도는 1 mg/ml) 또는 5분의1 희석해서 투여하였다 (이 경우 최종 투여 농도는 2 mg/ml). 오배자 유산균 발효물의 경우는 처음 유산균 배지 1L에 2% (20g)의 미세하게 간 오배자를 넣고 오배자 유산균 발효를 하였다 ml당 20 mg의 오배자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전체 효소반응 부피가 1 ml일 경우 100 ㎕의 유산균 발효물을 투여 하여 오배자 전체 투여량이 2 mg/ml이 되게 하였고, 50 ㎕를 투여경우 전체 투여량이 1 mg/ml이 되도록 하였다.
결 과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오배자의 유산균 발효물이 오배자보다 더 높은 타이로시네이즈 억제활성을 보이는 것을 보인다. AB는 알부틴(arbutin)을 나타내고, GR은 Galla Rhois (오배자)를 나타내고, FGR은 발효된 오배자 배양액(Fermented Galla Rhois)를 나타낸다. 발효된 오배자 배양액은 오배자를 포함하는 배지에 Lactobacillus Casei PM1를 넣어 발효한 유산균 발효물을 의미한다.
[실시예 3] 오배자 발효물의 조성
오배자 발효물의 조성을 LC-Mass 성분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액체크로마토그라피-매스스펙트럼 분석 방법
오배자 및 오배자 발효물로부터의 글리콜릭산 , 아젤라익산, 니코틴아미드, L-젖산, 코직산, 4-(베닐옥시)페놀, 비타민 C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오배자 및 오배자 발효물을 10 ml의 증류수에 녹이고, 0.45μM 주사위 필터(PVDF 아크로디스크 엘시, 워터스, 미국)으로 여과하였으며, 표준물질이 캅셀 팩 C18, 2.0x50mm, 5μm; ACN (2%)/ 물 0.1%, 포름산 (98%) 200㎕/분의 용출조건; 멀티 SIM 모드 네가티브 및 컬럼온도는 30℃로 분석되었다.
오배자 유산균 발효물의 조성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오배자 유산균 발효물에는 글릭콜릭산(Glycolic acid), 아제라익산(Azelaic acid), 니코틴아미드, 젖산(L-lactic acid), 4-(벤질옥시)페놀(4-(benzyloxy)phenol), 비타민 C가 더 풍부하게 들어 있었다.
[표1] 오배자 추출물과 오배자 유산균 발효물의 성분비교표
표준물질 오배자 오배자 유산균 발효물
글리콜릭산 0.231 ㎍ 8.85 ㎍
아젤라익산 ND 40.9 ㎍
니코틴아미드 0.227 ㎍ 9.55 ㎍
젖산 2.359 mg 92.45 mg
4-(벤질옥시)페놀 2.51 ㎍ 120.6 ㎍
비타민 C 0.126 ㎍ 6.3 ㎍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및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글리콜릭산, 니코틴아미드, 젖산, 4-(벤질옥시)페놀, 비타민 C의 경우 천연 오배자와 비교해 각각 38배,42배,39배, 48배, 50배의 높은 함량을 보였다. 특히 젖산의 경우 mg 단위 정도로 함량이 매우 높아졌다. 한편, 천연 오배자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던 아젤라익산(azelaci acid)가 오배자 유산균 발효물에서는 검출되었다. 오배자 유산균 발효물에서 증가된 것으로 나온 각각의 성분의 알려진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젖산은 미백, 각질제거, 수분증가효과, 습윤, 보습, 피부의 pH유지,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니코틴아미드는 미백, 보습, 주름제거 효과가 알려져 있다. 비타민 C는 타이로시네이즈 억제활성, 멜라닌색소의 생성억제, 잔주름 제거효과가 알려져 있다. 글리콜릭산은 타이로시네이즈 억제활성, 멜라닌 색소의 생성억제, 각질제거, 자외선 차단효과가 알려져 있다. 아젤라익산은 각질을 제거함으로써 멜라닌이 빨리 탈피하도록 하여 미백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4-(벤질옥시)페놀은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억제 및 멜라닌 색소의 생성억제 효과가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들의 성분 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성분에 의해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효과가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4] 오배자 유산균 발효물의 제조
먼저 오배자를 기질의 하나로 사용하고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생산된 발효물을 3,000 rpm, 30분-1시간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얻은 후 와트만 여과지(Whatman filter paper) 2를 이용해 유산균을 제거하였다. 보다 완벽하게 유산균을제거하기 위해 다시 한번 더 0.45 μM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거의 모든 유산균을 제거하였다. 이를 -20 ℃ 냉동 보관 혹은 -70 ℃ 저온 냉장고(deep freezer)에 보관하였다. 보관 후 사용시에는 상온에서 녹여 썼다.
본 발명에 따라 유산균에 의해 발효된 오배자 유산균 발효물은 종래의 천연 오배자를 직접 사용할 때 보다 16 내지 18% 이상의 우수한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종래의 대표적인 미백제로 알려진 알부틴 보다 약 21% 높은 항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유산균에 의한 오배자 발효물은 보다 우수한 멜라토닌 생성억제 효과가 기대되고,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미백제제 또는 미백화장품으로 사용가능하다.

Claims (7)

  1. 오배자를 발효기질의 하나로 이용하고,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활성이 증가된 발효물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이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활성이 증가된 발효물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이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PM1(Lactobacillus casei PM1; KCCM 10766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활성이 증가된 발효물 제조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따라 만들어진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활성이 증가된 발효물.
  5. 제 4 항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백화장품.
  6. 제 4 항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식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쥬스, 요구르트, 치즈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식품.
KR1020060070424A 2006-07-26 2006-07-26 유산균에 의한 오배자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KR100813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424A KR100813107B1 (ko) 2006-07-26 2006-07-26 유산균에 의한 오배자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424A KR100813107B1 (ko) 2006-07-26 2006-07-26 유산균에 의한 오배자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218A KR20080010218A (ko) 2008-01-30
KR100813107B1 true KR100813107B1 (ko) 2008-03-17

Family

ID=39222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424A KR100813107B1 (ko) 2006-07-26 2006-07-26 유산균에 의한 오배자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31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641B1 (ko) 2010-05-25 2010-12-01 주식회사 한국천연물사이언스 분자캡슐화 된 붉나무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3607901A (zh) * 2011-06-16 2014-02-26 维利奥有限公司 干酪及其制备
US9913799B2 (en) 2014-07-11 2018-03-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215B1 (ko) * 2008-02-15 2010-02-26 (주)파파야 피부과학연구소 파파야와 오배자 혼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호용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660A (ko) * 1998-05-29 1999-12-15 서경배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302504B1 (ko) 1998-12-12 2001-09-22 이세복 유산균발효액및이를함유하는화장료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660A (ko) * 1998-05-29 1999-12-15 서경배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302504B1 (ko) 1998-12-12 2001-09-22 이세복 유산균발효액및이를함유하는화장료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641B1 (ko) 2010-05-25 2010-12-01 주식회사 한국천연물사이언스 분자캡슐화 된 붉나무 추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3607901A (zh) * 2011-06-16 2014-02-26 维利奥有限公司 干酪及其制备
US10080374B2 (en) 2011-06-16 2018-09-25 Valio Ltd. Cheese and preparing the same
US9913799B2 (en) 2014-07-11 2018-03-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0123968B2 (en) 2014-07-11 2018-11-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0231922B2 (en) 2014-07-11 2019-03-19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0617633B2 (en) 2014-07-11 2020-04-14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US11969498B2 (en) 2014-07-11 2024-04-30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218A (ko) 200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166B1 (ko) 피부 색소침착 조절용 식품 보충제에서의 치커리산 및 락틱 박테리아의 용도
KR102553057B1 (ko) 피부 유래 유산균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미백용 조성물
KR20160092569A (ko) 효모, 유산균 2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개선,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0829A (ko)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hy7301 우유 발효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0813107B1 (ko) 유산균에 의한 오배자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KR20080094456A (ko)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6321401B2 (ja) 化粧料
KR20160092564A (ko) 효모,유산균 2단 발효 용해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개선,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00961B1 (ko) 갈대 추출물 또는 그 발효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CN115025129B (zh) 含乳酸杆菌的组合物及其预防及/或改善皮肤老化的用途
EP2123290A1 (en) Melanogenesis inhibitory composition
KR100898311B1 (ko) 두유 복합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0165B1 (ko) 피부 색소침착 조절용 식품 보충제에 있어서 카프타르산 및 락틱 박테리아의 용도
KR101194226B1 (ko) 파프리카 효모발효 추출액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89604B1 (ko) 미백용 화장료
KR102350857B1 (ko) 국화 및 목련 유성온천수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65655B1 (ko) 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80071721A (ko) 발효 꾸지뽕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429548B1 (ko) 수용화 매스틱 검을 이용한 기미, 검버섯 등의 개선을 위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333208B1 (ko) 율무 미강 추출물 또는 그 발효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80135305A (ko) 신규한 퀘르세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743750B1 (ko) 홍해삼 복합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활성 증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한 조성물
TW202235069A (zh) 含乳酸桿菌之組成物及其預防及/或改善皮膚老化的用途
KR102010345B1 (ko) 피부 광노화 억제 및 피부손상세포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 광노화 억제 및 피부손상세포 재생용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69823A (ko) 화장품에 이용가능한 미백 기능성 새싹삼 발효추출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