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1096A -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1096A
KR20200011096A KR1020180085747A KR20180085747A KR20200011096A KR 20200011096 A KR20200011096 A KR 20200011096A KR 1020180085747 A KR1020180085747 A KR 1020180085747A KR 20180085747 A KR20180085747 A KR 20180085747A KR 20200011096 A KR20200011096 A KR 20200011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amanu
karanja
compositio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3201B1 (ko
Inventor
민유홍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코리아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코리아비앤씨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85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201B1/ko
Publication of KR20200011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식물 유래의 오일을 사용함에 따라 독성이나 부작용이 없는 천연의 자외선차단 성분으로서 효과적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for sun protection using karanja oil and Tamanu oil}
본 발명은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오존층 파괴, 기후변화 및 사람들의 야외 활동이 증가하면서 자외선 노출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피부 건강뿐만 아니라 미적 측면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자외선(UV)은 파장에 따라 자외선A(UVA), 자외선B(UVB), 자외선C(UVC)로 나눈다. 자외선A는 320~400nm의 장파장으로 인체 피부의 진피층까지 침투해 광노화, 색소침착 등을 일으킨다. 자외선B는 290~320nm의 파장으로 피부에 홍반, 일광화상 등을 일으킨다. 자외선C는 200~290nm의 파장으로 대부분 오존층에서 흡수되어 지표면에 거의 도달하지 않으나 피부암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피부의 멜라닌 색소는 이러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보호하고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등 건강에 이로운 작용을 한다. 하지만 멜라닌 색소침착은 미용상 문제가 될 수 있다. 색소침착이란 멜라닌 세포(melanocytes)에서 멜라닌이 생성되어 표피(epidermis)에 축척되는 것으로, 생리적으로 체내에 있는 멜라닌의 양이 비정상적인 경우, 또는 나타나는 위치에 이상이 있을 경우 등이 있다.
이러한 색소침착을 막기 위해서는 자외선차단이 필요하다. 자외선차단제는 기능성 화장품으로 유기화학물질인 화학적 차단제와 무기물질인 물리적 차단제의 두 가지 성분을 사용한다. 화학적 차단제는 자외선을 흡수해서 진동, 열 등으로 변환시켜 차단하는 것으로 피부에 사용 시 투명하여 사용감이 좋지만 해로운 반응성 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을 생성하고 피부자극, 접촉피부염, 광독성, 광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다. 예로는 PABA, benzophenone, salicylate 및 가장 흔히 사용되는 ethylhexyl methoxycinnamate 등이 있다. 물리적 차단제는 자외선을 산란(반사)시켜 차단하는 것으로 사용 시 백탁현상, 모공 막힘, 끈적임을 유발하며 피부에 유해한 광반응성, DNA 손상 등의 가능성이 있다. 예로는 titanium dioxide, zinc oxide 등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기존 자외선 차단성분들의 독성이나 부작용 때문에 천연자외선차단제를 찾으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자외선차단지수 즉 SPF(Sun Protection Factor)는 자외선B를 차단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수치로 자외선 차단제에는 자외선 차단지수가 표기되어 있다. 자외선양이 1일 때 SPF15 차단제를 바르면 피부에 닿는 자외선의 양이 15분의1로 줄어든다는 의미다. 따라서 SPF는 숫자가 높을수록 차단 기능이 강한 것이다.
이러한 자외선차단지수 SPF는 최소홍반량 (minimum erythemal dose, MED;피부에 자외선B를 조사 후 16~24시간에 홍반이 발생하는 최소한의 자외선 조사량)을 측정하여 그 비율로서 나타낼 수 있으나 측정에 많은 비용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식물로부터 유래된 오일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천연 자외선 차단 성분으로의 개발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란자 오일(karanja seed oil) 및 타마누 오일(Tamanu oil)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란자 오일(karanja seed oil) 및 타마누 오일(Tamanu oil)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란자 오일(karanja seed oil) 및 타마누 오일(Tamanu oil)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란자 오일(karanja seed oil) 및 타마누 오일(Tamanu oil)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란자 오일(karanja seed oil) 및 타마누 오일(Tamanu oil)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카란자 오일(karanja seed oil) 및 타마누 오일(Tamanu oil)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식물 유래의 오일을 사용함에 따라 독성이나 부작용이 없는 천연의 자외선차단 성분으로서 효과적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카란자 오일(karanja seed oil) 및 타마누 오일(Tamanu oil)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 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바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폼(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보조제는 화장품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액제, 에어로졸제, 멸균 주사용액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카란자 오일(karanja seed oil)과 타마누 오일(Tamanu oil)을 8:2 내지 2:8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카란자 오일(karanja seed oil)과 타마누 오일(Tamanu oil)을 6:4 내지 4:6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은 290 내지 320 nm 파장의 자외선B에 대한 자외선 차단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로션, 크림, 아이섀도우, 블러셔, 립스틱, 프라이머, 에센스, 메이크업 베이스, BB크림, CC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팩트, 스틱형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 수 있다.
카란자(Karanja)는 아시아에서 유래하는 콩과(legume family)의 식물이다 특히, 이는 인도, 일본 및 남중국에 존재한다. 이는 20 내지 30m 크기의 나무 또는 튼튼한 덩굴이다.
용어 "카란자"는 특히 하기 종: 퐁가미아 글라브라(Pongamia glabra), 퐁가미아 핀나타(Pongamia pinnata), 밀레티아 핀나타(Milletia pinnata), 데리스 인디카(Derris indica), 가델루파 핀나타(Gadelupa pinnata), 퐁가미아 그란디폴리아(Pongamia grandifolia), 로비니아 미티스(Robinia mitis), 테프로시아 푸르푸레아(Tephrosia purpurea), 테프로시아 하밀토니(Tephrosia hamiltoni), 테프로시아 팔시포르미스(Tephrosia falciformis), 테프로시아 보겔리(Tephrosia vogellii), 테프로시아 란세오라타(Tephrosia lanceolata) 등을 의미한다.
타마누 오일 (tamanu oil)은 주로 동남아시아에서 생산이 되는데 베트남, 말레이시아와 같은 열대지방에서 자라나는 타마누나무(Calophyllum inophyllum)의 씨앗을 압착하여 추출한 오일이다.
구체적인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화를 하기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1은 크림 제형예를 나타낸 것이고, 표 2는 로션의 제형예를 나타낸 것이고, 표 3은 스프레이의 제형예를 나타낸 것이고, 표 4는 스틱의 제형에를 나타낸 것이다 다만, 하기 제형화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국한되지 않을 것이다.
크림
원료 함량 (%, w/w)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7.0
시어버터 2.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6
스테아린산 2.0
세테아릴알코올/폴리소르베이트60 4.0
잔탄검 0.1
글리세린 3.0
1,3-부틸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5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로션
원료 함량 (%, w/w)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6.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4
세테아릴알코올/세테아레스-20 3.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3.0
잔탄검 0.2
글리세린 2.0
1,3-부틸렌글리콜 3.0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스프레이
원료 함량 (%, w/w)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 5.0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5.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1.0
아크릴레이트/옥틸아크릴아마이드 코폴리머 3.0
에틸알코올 잔량
스틱
원료 함량 (%, w/w)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 5.0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5.0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1.0
비즈왁스 22.0
소르비탄올리베이트 10.0
실리카 5.0
방부제 미량
아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잔량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부 광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카란자 오일(karanja seed oil) 및 타마누 오일(Tamanu oil)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은 290 내지 320 nm 파장의 자외선B에 대한 자외선 차단능을 가진다.
자외선에 의한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카란자 오일(karanja seed oil) 및 타마누 오일(Tamanu oil)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은 290 내지 320 nm 파장의 자외선B에 대한 자외선 차단능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in vitro SPF 측정
SPF를 다음의 순서에 따라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에서의 SPF 측정 방법은 Dutra 등의 방법 (Dutra EA, et al. Determination of sun protection factor (SPF) of sunscreens by ultraviolet spectrophotometry. Rev. Bras. Cienc. Farm. 2004, 40, 381-385)을 약간 변형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카란자 오일은 Natural Sourcing사(USA)의 제품을, 타마누 오일은 Kerfoot사(United Kingdom)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① 각 식물성 오일들을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Sigma Aldrich, USA)에 0.1%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Dutra 등의 방법에서는 희석용매로 ethanol을 사용했으나 ethanol에 식물성 오일들이 잘 녹지 않으므로 ethyl acetate 사용).
② 0.1% 용액을 다시 5배 희석하여 최종적으로 0.02%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③ 상기 ②의 용액을 cuvette (quartz, path length 10mm, Starna Scientific, United Kingdom)에 넣고 290nm부터 320nm까지 5nm간격으로 spectrophotometer (UV-1800, Shimadzu, Japan)를 이용하여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③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blank로 사용하였다.
④ Mansur 공식을 이용하여 in vitro SPF를 계산하였다. 총3회 반복측정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계산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Mansur 공식은 아래 식 1과 같다
[식 1]
Figure pat00001
CF = correction factor = 10
EE(λ) = erythemal effect spectrum
I(λ) = solar intensity spectrum
Abs(λ) = absorbance
여기서 EE × I 값은 <표 1>의 수치대로 적용하였다.
EE × I 값
파장 (nm) EE Ⅹ I
290 0.0150
295 0.0817
300 0.2874
305 0.3278
310 0.1864
315 0.0839
320 0.0180
Oil Wavelength (nm)
290 295 300 305 310 315 320
카란자 0.583 0.613 0.618 0.616 0.620 0.627 0.623
타마누 1.043 1.139 1.180 1.150 1.076 0.933 0.753
카란자 + 타마누 1.746 1.859 1.902 1.868 1.778 1.636 1.443
상기 측정된 흡광도를 Mansur 공식에 대입하여 in vitro SPF를 계산한 결과, 카란자 오일의 SPF는 6.18±0.12이고, 타마누 오일의 SPF는 11.17±0.14로 나타났다.
<실시예 2>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의 상승 효과 분석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의 혼합 시 상승효과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0.02% 카란자 오일과 0.02% 타마누 오일을 혼합하여 상기와 실시예 1의 방법으로 in vitro SPF를 측정하였다. 이를 하기의 콜비식(Colby’s equation)으로 계산한 값과 비교하여 상승효과 여부를 판정하였다.
[식 2]
E = (A + B) - (A × B / 100)
A는 0.02% 카란자 오일의 in vitro SPF이고,
B는 0.02% 타마누 오일의 in vitro SPF이며,
E는 0.02% 카란자 오일 및 0.02% 타마누 오일 혼합물의 in vitro SPF 예상치로
in vitro SPF 실측치가 예상치(E)보다 높게 나타나면 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정.
측정결과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의 in vitro SPF는 각각 6.18 및 11.17로 나타났다. 1:1 혼합물의 in vitro SPF는 18.31로 측정되었고, 이는 콜비식으로 계산한 예상치 16.66보다 높은 수치로 상승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의 혼합물은 자외선 차단에 상승효과가 나타나며 새로운 자외선 차단 조성물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n vitro SPF 측정치
in vitro SPF
카란자 오일 6.18±0.12
타마누 오일 11.17±0.14
카란자 오일 + 타마누 오일 18.31±0.38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카란자 오일(karanja seed oil) 및 타마누 오일(Tamanu oil)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카란자 오일(karanja seed oil)과 타마누 오일(Tamanu oil)을 8:2 내지 2:8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카란자 오일(karanja seed oil)과 타마누 오일(Tamanu oil)을 6:4 내지 4:6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290 내지 320 nm 파장의 자외선B에 대한 자외선 차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란자 오일(karanja seed oil) 및 타마누 오일(Tamanu oil)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로션, 크림, 아이섀도우, 블러셔, 립스틱, 프라이머, 에센스, 메이크업 베이스, BB크림, CC크림, 파운데이션, 파우더, 팩트, 스틱형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제.
  7. 카란자 오일(karanja seed oil) 및 타마누 오일(Tamanu oil)을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290 내지 320 nm 파장의 자외선B에 대한 자외선 차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카란자 오일(karanja seed oil) 및 타마누 오일(Tamanu oil)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290 내지 320 nm 파장의 자외선B에 대한 자외선 차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80085747A 2018-07-24 2018-07-24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93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747A KR102093201B1 (ko) 2018-07-24 2018-07-24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747A KR102093201B1 (ko) 2018-07-24 2018-07-24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096A true KR20200011096A (ko) 2020-02-03
KR102093201B1 KR102093201B1 (ko) 2020-03-25

Family

ID=69627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747A KR102093201B1 (ko) 2018-07-24 2018-07-24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2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764B1 (ko) 2021-09-29 2024-03-13 문은빈 비타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품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238A (ko) * 1989-11-10 1991-06-28 원본미기재 자외선차단제 조성물
FR2794973A1 (fr) * 1999-06-18 2000-12-22 Mousny Brigitte Utilisation d'huile de plantes du genre calophyllum extraite a temperature ambiante dans des compositions cosmetiques, dietetiques et therapeutiques
US20110286946A1 (en) * 2010-05-24 2011-11-24 International Flora Technologies Ltd. Sunscreen compositions containing hydrolyzed jojoba esters for improved water resistance
FR3008314A1 (fr) * 2013-07-11 2015-01-16 Jean-Noel Thorel Composition cosmetique solaire sprayable sans silicone et sans ethanol
KR20180031748A (ko) * 2015-07-22 2018-03-28 바이오신디스 카란자 오일의 퐁가몰 풍부화를 위한 방법
CN108524392A (zh) * 2018-05-28 2018-09-14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含有大麦若叶粉和海棠果油的防晒组合物及防晒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238A (ko) * 1989-11-10 1991-06-28 원본미기재 자외선차단제 조성물
FR2794973A1 (fr) * 1999-06-18 2000-12-22 Mousny Brigitte Utilisation d'huile de plantes du genre calophyllum extraite a temperature ambiante dans des compositions cosmetiques, dietetiques et therapeutiques
US20110286946A1 (en) * 2010-05-24 2011-11-24 International Flora Technologies Ltd. Sunscreen compositions containing hydrolyzed jojoba esters for improved water resistance
FR3008314A1 (fr) * 2013-07-11 2015-01-16 Jean-Noel Thorel Composition cosmetique solaire sprayable sans silicone et sans ethanol
KR20180031748A (ko) * 2015-07-22 2018-03-28 바이오신디스 카란자 오일의 퐁가몰 풍부화를 위한 방법
CN108524392A (zh) * 2018-05-28 2018-09-14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含有大麦若叶粉和海棠果油的防晒组合物及防晒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adhavarao Buddepu et al, ‘Determination of In -Vitro Sunscreen Activity of Pongamia Pinnata (L.) Essential Oil’, Drug Invention Today, 2011, Vol.3, No.8, pp.197-199* *
T. Saida et al, ‘Cytoprotective effect against UV-induced DNA damage and oxidative stress: Role of new biological UV filter’, European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2007, Vol.30, pp.203-21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201B1 (ko) 202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85657A1 (en) Method of selecting antioxidants for use in topically applied compositions
DE19827624A1 (de) Verwendung von einem mit einem Gehalt an Catecinen oder einem Gehalt an Extrakt von grünem Tee in kosmetischen Zubereitungen zur Bräunung der Haut
EP2806849B1 (en) A photostable sunscreen composition
US9034304B2 (en) Sunscreen composition
KR20190107856A (ko) 청색광 및 자외선을 차단하는 화장료 조성물
EA027437B1 (ru) Солнцезащитная композиция
US20200038305A1 (en) Sunscreen or Sunblock Composition
CN111150670B (zh) 一种抗紫外线和抗蓝光的液晶纳米脂质液及其制备方法
KR102093201B1 (ko) 카란자 오일 및 타마누 오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54352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638453B1 (ko) 계면활성제 프리 액상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6445981B2 (ja) 脂肪酸および非イオン性直鎖ポリマーを含む日焼け止め剤組成物
KR101934793B1 (ko) 고욤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광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83718B1 (ko) 카모마일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2798B1 (ko) 자외선 유도된 지질 과산화를 감소시키는 상승작용 조성물, 제형 및 방법
EP3122321B1 (en) Photostable sunscreen composition for topical application
KR100858630B1 (ko)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및 광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2572991B1 (ko) Dhhb 및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KR20190086939A (ko) 보리 또는 유색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Sowman The potential of plant polyphenols as natural photostable sunscreen active ingredients.
ES2631191B1 (es) Composición para la protección solar y reparación de la piel mediante complejos protectores
Jondhale et al. Potential of Herbs in Skin-Care
KR20210081540A (ko) 리그닌 및 카테킨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BRPI0901822A2 (pt) formulações cosméticas e/ou farmacéuticas contendo extratos de cynara scolymus e/ou echinacea purpur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