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여 자외선을 차단하고, 광노화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녹두 (Phaseolus aureus, Phaseolus radiatus, Mung bean, Green bean)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서 원산지는 인도로 추정하며 한국, 중국 및 인도 등의 아시아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녹두는 따뜻한 기후의 양토 (壤土: 모래와 점토가 알맞게 섞인 검은빛의 흙)에서 잘 자라며 높이는 30-80 cm정도이다. 줄기는 가늘고 세로로 난 맥이 있고 10여 개의 마디가 있으며 가지를 친다. 잎은 한쌍의 떡잎과 갓 생겨난 잎이 나온 뒤, 3개의 작은잎으로 된 겹잎이 나온다. 꽃은 노란색으로 8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 몇 개씩 모여나나 3-4쌍만이 열매를 맺는다. 열매는 협과로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익으면 검어지고 길고 거친 털로 덮인다. 길이 5-6 cm이고 한 꼬투리에 10-1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녹색인 것이 많으나 노란색, 녹색을 띤 갈색, 검은빛을 띤 갈색인 것도 있다. 품종을 나누지 않고 종자의 빛깔에 따라 노란색, 녹색을 띤 갈색, 검은빛을 띤 갈색 녹두로 구분하나 녹색 녹두가 전체의 90%를 차지한다. 성분은 녹말 53-54%, 단백질 25-26%로 영양가가 높고 향미가 좋다.
녹두는 원래 강한 해열, 해독작용을 가지고 있어 한방에서 해열 해독제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동의보감 등의 문헌에 나타난 피부 미용과 관련된 처방을 보면 비누처럼 사용하여 얼굴이 옥처럼 예뻐진다는 '옥용서시산', 피부불순물을 제거하고 건조한 피부에 효과적인 '여옥산', 기미를 없애주는 '영기 여옥산', 여름에 잘 발생하는 땀띠를 제거해 주는 '옥녀영'에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피부 각질층에 피부 사상균이 침투하여 발생하는 황수창 (부스럼), 용종 (종기) 및 볼거리 (유행성 이하선염) 등에서도 녹두가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녹두를 건조 분말 형태나 물 또는 꿀 등에 개어 피부 미용에 널리 사용하고 있는데, 녹두의 생 리활성성분은 대부분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으로, 본 발명자들은 한국 특허등록 제 151247호에서 녹두의 피부미용효과를 나타내는 활성성분을 분리 동정하여 비텍신(Vitexin)과 이소비텍신(Isovitexin)임을 밝혔으며, 이 성분들이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개시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녹두 추출물은 다양한 추출 용매,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글라이콜, 부틸 아세테이트를 추출 용매로 하여 녹두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함수 저급 알코올,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수용액을 이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 출물은 진공 농축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녹두 추출물은 본 발명자들의 특허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61333호, 제 463081호, 제 564375호, 제 570093호, 제 628649호에 개시된 추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녹두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01-50.0 중량%이며, 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5.0 중량%이다. 상기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경미하며, 상기 함량이 5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화가 어렵고, 제조 단가가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제형의 안정성, 단가 또는 피부 결점의 커버 및 사용성의 조정을 위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청에 고시된 모든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추가로 소량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3- (4-메칠벤질리덴)캄파,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8,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조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시녹세이트, 옥토크릴렌, 옥틸디메칠파바,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틸트리아존,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파라아미노안식향산,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및 호모살레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징크옥사이드 또는 티타늄옥사이드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녹두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크림,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 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여 자외선을 차단하고, 광노화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화장 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모든 화장 방법을 일컫는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속한다.
상기에서 인간의 피부는 얼굴, 귀, 두피의 대머리 부위, 목, 손 및 공기에 노출되는 모든 곳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 제형은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녹두 추출물 제조
녹두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 거피한 후 미세하게 분말화하였다. 분말화한 녹두 분말 100g에 70% 알코올을 1-15배의 양으로 부가한 다음, 3일 동안 침적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농축하여 4.7g의 건조 추출물을 얻었으며, 상기 건조 추출물을 1% (w/v) 농도가 되도록 50% 1,3-부틸렌 글리콜 용액에 용해하고 여과한 후 본 발명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자외선 차단 효과 실험
모든 시료는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희석시켰으며, 파장별 흡수능은 UV-비지블 스펙트로포토미터 (UV-Visible Spectrophotometer, CARY 100 Con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의 농도는 약 10000ppm으로 희석하였으며 200-400㎚ 영역에서 각 조성물의 파장별 흡수능을 측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실험하였다.
실험예
2 :
파장별
흡수능
측정
실험예 2-1: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의 파장별 흡수능 측정
자외선 차단제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ROCHE, 스위스 국)의 자외선 차단 효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의 파장별 흡수율은 309 ㎚ 영역에서 2.601, 225 ㎚ 영역에서 1.599 및 209 ㎚ 영역에서 1.389 등으로 나타나,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가 UVB에 대한 차단 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2: 녹두 추출물의 희석 배율에 따른
파장별
흡수능
측정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녹두 추출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녹두 추출물의 파장별 흡수율은 345㎚ 영역에서 2.840 및 290㎚ 영역에서 2.742등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녹두 추출물이 UVB, UVA에 대한 차단 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녹두 추출물과 에탄올을 각각 1:9, 2:8, 3:7, 4:6, 5:5의 중량비로 혼합 희석한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녹두 추출물과 에탄올 혼합조성물 또한 200nm-400nm에서 폭 넓게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3: 녹두 추출물과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의 혼합 조성물의 파장별 흡수능 측정
상기 실시예 2-2에서의 혼합 희석된 녹두 추출물(2:8, 3:7, 4:6)과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를 중량비 1:1로 혼합한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녹두 추출물과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를 4:6으로 혼합 희석한 혼합 조성물의 파장별 흡수율은 315 ㎚ 영역에서 2.748 및 241 ㎚ 영역에서 2.445 등으로 나타나,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의 단독 사용의 경우에 비해 315 ㎚ 영역에서는 유사한 흡수능을 보였으나, 241 ㎚ 영역에서는 흡수능이 8배 이상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녹두 추출물과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의 혼합 조성물은 상승적인 작용으로 인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가 훨씬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제조예
2: 선 크림의 제조
하기 표1의 조성에 따라, 본 발명의 선 크림 및 비교예의 선 크림을 제조하였다. 먼저, A상 및 B상을 각각 70℃에서 완전히 용해시킨 후, 서로 혼합하여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그런다음, 이 혼합액을 40℃로 냉각하고 C상을 넣은 후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상구분 |
성분명 |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비교예1 |
비교예2 |
A |
정제수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글리세린 |
3.0 |
3.0 |
3.0 |
3.0 |
3.0 |
제조예1의 1% 녹두 추출물 |
15.0 |
15.0 |
20.0 |
- |
- |
암모늄아크로일디메칠타 우레이트/VP폴리머 |
0.1 |
0.1 |
0.1 |
0.1 |
0.1 |
미립자이산화티탄 |
- |
3.0 |
3.0 |
3.0 |
- |
소듐메타포스페이트 |
0.02 |
0.02 |
0.02 |
0.02 |
0.02 |
방부제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B |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
- |
7.0 |
7.0 |
- |
7.0 |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
- |
0.7 |
- |
- |
0.7 |
소르비탄올리베이트 |
2.0 |
2.0 |
2.0 |
2.0 |
2.0 |
폴리데센 |
2.0 |
2.0 |
2.0 |
2.0 |
2.0 |
비타민E아세테이트 |
0.5 |
0.5 |
0.5 |
0.5 |
0.5 |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
1.0 |
1.0 |
1.0 |
1.0 |
1.0 |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 코스디스테아레이트 |
2.0 |
2.0 |
2.0 |
2.0 |
2.0 |
C |
향료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
Total |
100 |
100 |
100 |
100 |
100 |
실험예
3:
화장료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 실험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선 크림, 그리고 비교예 1, 비교예 2 의 선 크림을 이용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를 실험하였다. 측정방법은 시료 2㎎/㎠를 폴리포어 테이프 (polypore tape, 3M)에 도포한 후 20분간 건조시키고, 125W CW Xenon arc 램프가 장착된 SPF 290 분석기 (Optometrics LLC.)를 이용하여 인 비트로(in vitro) 방법으로 자외선 차단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비교예1 |
비교예2 |
SPF 값 |
5.96 |
24.29 |
24.59 |
5.35 |
19.89 |
UVA/UVB 비율 |
0.33 |
0.68 |
0.61 |
0.31 |
0.55 |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높은 SPF 값을 얻었으며, 유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지 않고도 어느 정도의 자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소량의 유기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유기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지 않고 녹두 추출물만 함유하는 실시예 1에 비해 SPF 값이 높을 뿐만 아니라 UVA/UVB 비율도 높았으며,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2에 비해서도 약 25% 자외선 차단 효과가 상승하였고, UVA/UVB 비율도 약 23% 정도 높게 나타났다. 게다가 UVA를 특이적으로 차단하는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을 포함하는 실시예 2에 비교하여 이를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 3의 SPF 값 및 UVA/UVB 비율값에서 유사한 결과를 얻음으로써,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UVA 차단효과에도 우수함을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높은 수준의 자외선 차단 상승효과를 나타내며, 각 성분의 상승적인 작용으로 인하여 UVA 및 UVB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 인체시험을 통한 녹두 추출물 함유 제형에서의 자외선에 의한 피부홍반 완화효능평가
시험에 들어가기 전 한 달 동안에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및 기타 스테로이드 제제를 복용한 경력이 없는 건강한 자원자를 대상으로 녹두추출물의 자외선(UVB)에 의한 피부 홍반 유발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건강한 15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피험자의 등에 솔라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각 피험자의 최소홍반량(Minimal Erythma Dose, MED)의 2배 정도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홍반을 유도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제형을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 1시간 전과 자외선 조사 직후에 도포하였다. 자외선 조사 후 24, 48, 72시간 후의 홍반 발생의 정도를 칼라리미터(Colorimeter, Minolta CR 300, Japan)를 이용하여 (a* : +값은 붉은색, -값은 그린색을 측정하는 지표)값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
실시예1 |
비교예1 |
시험전 |
6.85 |
6.72 |
자외선 조사 후 24시간 경과 |
10.96 |
13.56 |
자외선 조사 후 48시간 경과 |
8.22 |
11.94 |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녹두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에 비해 사람의 피부에서 자외선에 의한 홍반 유발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피부 안전성 시험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선 크림을 이용하여 피부 안전성을 시험하였다. 시험은 CTFA 안전성 시험 지침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건강한 아비노 토끼 (Abino Rabbits)를 대상으로 한 안점막 시험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먼저, 정제수에 시험 물질 (수용성 물질) 5%와 스쿠알란 (왁스) 5%를 용해시켜 0.1 ㎖를 토끼의 한쪽 눈에 떨어뜨린 후, 그 반대쪽 눈을 기준 조건으로 하여 1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및 1주일 후에 관찰하였고, 반응도는 통상적 방법인 드레이즈 점수 (Draize Score)를 이용하였으며, 상기 실험의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
반응도 |
1시간 |
24시간 |
48시간 |
72시간 |
1주일 |
실시예1 |
0.2 |
0 |
0 |
0 |
0 |
실시예2 |
0.3 |
0 |
0 |
0 |
0 |
비교예1 |
0.5 |
0 |
0 |
0 |
0 |
비교예2 |
1.2 |
0.6 |
0 |
0 |
0 |
제조예 1의 녹두 추출물 |
0.2 |
0 |
0 |
0 |
0 |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피부자극수치가 낮을 뿐만 아니라, 녹두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2에 비하여서도 낮은 피부 자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자극이 적어 피부 안전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제형 안정성 및 사용성 실험
본 발명의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및 비교예1, 비교예2의 화장료를 이용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제형 안정성을 시험하였다. 상기 시료는 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4℃, 45℃, -4℃~40℃로 하루 2회씩 온도를 변화시키는 사이클링 조건에서 4주 동안 보관한 후, 변색은 육안으로 변취는 숙달된 사람의 후각을 통해 비교 측정하였다. 이때 제품 변색 및 변취 정도는 하기의 표 5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또한, 사용감 테스트를 위하여 20~40대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관능 평가법으로 상대 비교평가를 실시, 그 사용성을 5점 만점으로 평가하여 그 평균값을 표 6에 같이 나타내었다.
제품 변색 평가 기준
점수 |
평가 기준 |
0 |
변화 없음 |
1 |
극히 조금 변함 |
2 |
조금 변함 |
3 |
조금 심하게 변함 |
4 |
심하게 변함 |
5 |
극히 심하게 변함 |
제형 안정도
|
45℃ |
Cycling (-4℃~40℃;2회/1일) |
4℃ |
사용성 5-매우 우수, 0-매우 나쁨 |
실시예 1 |
변색 |
1 |
0 |
0 |
4 |
변취 |
1 |
0 |
0 |
실시예 2 |
변색 |
1 |
0 |
0 |
4 |
변취 |
1 |
1 |
0 |
실시예 3 |
변색 |
1 |
1 |
0 |
3 |
변취 |
2 |
1 |
0 |
비교예 1 |
변색 |
1 |
0 |
0 |
3 |
변취 |
1 |
0 |
0 |
비교예 2 |
변색 |
1 |
1 |
0 |
3 |
변취 |
2 |
2 |
0 |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은 녹두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2에 비해서 제형안정성이 떨어지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일반적인 제형의 경우 추출물 함량이 많아짐에 따라 변색, 변취가 쉽게 일어나지만, 본 제형에서는 안정성뿐만 아니라 사용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