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211B1 - 산해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해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211B1
KR102402211B1 KR1020200082716A KR20200082716A KR102402211B1 KR 102402211 B1 KR102402211 B1 KR 102402211B1 KR 1020200082716 A KR1020200082716 A KR 1020200082716A KR 20200082716 A KR20200082716 A KR 20200082716A KR 102402211 B1 KR102402211 B1 KR 102402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blue light
extraction method
sanhaeb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5194A (ko
Inventor
박성민
이정노
박미희
유화선
김낙영
이호영
김성용
김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주식회사 뉴앤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주식회사 뉴앤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to KR1020200082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211B1/ko
Publication of KR20220005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해박(Cynanchum Paniculat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블루라이트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와 블루라이트로부터 발생되는 활성산소와 주름을 억제하여 항노화 효과에 우수한 효과를 가진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물 소재를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하며, 안정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산해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ohibiting Skin Aging By Blue-Light Comprising Cynanchum Paniculat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산해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선(350~780nm) 중 블루라이트(Blue Light)는 380~500nm 파장의 푸른빛을 말한다. 눈으로 볼 수 있는 빛 중에서 파장이 짧고 강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며, 자외선은 아니지만 유사한 파장으로 맑은 날 오전에 자외선을 받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준다.
블루라이트는 스마트폰, 모니터, TV 등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 최근 전자기기의 활용이 증가하면서 유해성 논란이 발생하였다. 블루라이트에 오래 노출되면 눈의 피로를 가중시키고, 안구건조증을 유발하며 심한 경우 눈 속의 망막이나 수정체에 큰 손상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밤늦게 스마트폰이나 PC, TV를 장시간 볼 경우 블루라이트로 인해 수면유도 호르몬 분비가 저하돼 수면을 방해한다. 피부에는 자외선과 같이 그대로 침투하게 되어 산화반응을 일으키게 되어 활성산소를 많이 증가시키고, 생성된 활성산소는 피부노화를 유발하는 Matrix Metalloproteases(MMPs) 효소의 발현을 활성화 하여 피부노화의 원인으로 작용하며,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여 기미 등 색소 침착도 유발 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현대 생활에서 전자기기의 사용이 지속적으로 증대되면서 블루라이트에 많이 노출되기 때문에 이를 차단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블루라이트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조성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7-0050683호(2017.05.11 공개)에는, 서장경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087868호(2020.03.05 등록)에는, 별꽃, 해바라기 및 월귤 혼합물을 초고압 전처리 후 아임계 추출한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 조사 조건에서 우수한 피부세포 보호 효능 및 항노화 효능을 나타내며, 블루라이트 투과를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454150호(2004.10.13 등록)에는, 현호색, 산해박, 댕댕이덩굴, 새모래덩굴, 한방기 등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약초 추출물을 포함하여, 가려움증 예방 및 자극완화에 유용한 저자극성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며, 안정성이 우수하고,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노화 억제에 효과적인 천연물 소재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는 산해박(Cynanchum Paniculat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루라이트는 가시광선 중 380nm 내지 500nm 영역의 파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해박 추출물은, 용매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및 초음파 추출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법을 통해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매 추출법은,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해박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0 중량%를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세럼, 에멀젼, 에센스, 파우더, 파운데이션, 스프렝, 마스크팩 및 수면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블루라이트를 차단하여 피부를 보호하고, 노화를 방지하는데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물 소재를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하며, 안정성이 우수하다.
도 1은 산해박 추출물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인간각질형성세포(human keratinocyte, HaCaT)의 세포 생존율 시험 결과이다.
도 2는 산해박 추출물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인간 피부 섬유아 세포(HDFn)의 세포 생존율 시험 결과이다.
도 3는 산해박 추출물의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파장별 흡수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산해박 추출물의 피부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블루라이트에 의해 발생되는 활성산소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산해박 추출물의 블루라이트에 의해 발생되는 노화 방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MMP-1 발현 저해 효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1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라는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산해박(Cynanchum Paniculat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블루라이트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산해박(Cynanchum Paniculatum)은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의 여러해살이풀로, 산과 들의 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자란다. 굵은 수염뿌리가 있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늘며 딱딱하고 높이가 40∼100cm이며 마디 사이가 길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6∼12cm의 바소꼴 또는 줄 모양이며 끝이 매우 뾰족하고 밑 부분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고 뒤로 약간 말린다. 꽃은 8~9월에 황색이 띤 갈색으로 피고, 열매는 골돌이고 길이 6~8cm의 좁은 바소꼴이며 털이 없다. 한방에서는 근(根), 근경(根莖) 및 전초(全草)를 서장경(徐長卿)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혈압과 고지혈증을 내리고 진통, 진정, 항균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산해박 추출물은 용매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및 초음파 추출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추출법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 추출법은 물, 탄소수 1-4의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메틸렌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에서 사용되는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저급 1가 알코올, 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글라이콜, 펜탄디올, 헥산디올, 옥탄디올 등의 2가 알코올, 글리세린 등의 3가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음건한 산해박 전초 분쇄물에 70 %(v/v) 에탄올을 첨가하고, 60℃ 온도로 3시간 동안 가열하여 2회 반복 추출하고 여과 후, 55℃ 온도에서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의 산해박 추출물을 농도별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산해박 추출물을 0.01 내지 30.0 중량%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산해박 추출물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거의 없고, 3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 증대에 따른 효과 증진 효과가 미미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렌저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 동물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루라이트는, 파장이 380nm 내지 500nm 영역의 가시광선 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산해박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음건한 산해박 전초 100g을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분쇄물에 70 %(v/v) 에탄올 1,000g을 첨가한 후, 냉각콘덴서가 부착된 추출기에서 60℃ 온도로 3시간 동안 가열하여 2회 반복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400메쉬(mesh) 여과포로 여과한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다시 한 번 여과하였다. 그 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로 55℃ 온도에서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 상태의 산해박 추출물을 농도별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산해박 초임계 추출물의 제조
음건한 산해박 전초 100g을 분쇄한 다음, 초임계추출용기에 넣고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펌프를 이용하여 순수한 이산화탄소를 온도 60℃, 압력 300기압으로 하여 초임계상태를 만들었다. 공용매로 부틸아세테이트를 흘려보내면서 매 5분씩 120분까지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 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로 60℃ 온도에서 감압 농축하여 6.3 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산해박 초음파 추출물의 제조
음건한 산해박 전초 100g을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분쇄물에 정제수 5L를 첨가한 후 초음파추출기로 4시간동안 추출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냉각물을 여과지(Whatman No.2 filter paper, Maidstone, UK)로 여과한 다음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 상태의 산해박 초음파 추출물을 농도별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세포독성 평가
산해박 추출물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인간각질형성세포(human keratinocyte, HaCaT)와 인간 피부 섬유아 세포(HDFn)에 대한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를 실시하였다. 인간각질형성세포 (human keratinocyte, HaCaT)와 인간 피부 섬유아 세포(HDFn)를 각각 2 × 104 cells/well, 1 × 105 cells/well 농도로 96 well plate에 분주한 후, 하루 동안 37℃, 5% CO2 조건의 세포 배양기에서 안정화시켰다.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상기 실시예 1~3을 농도별로 희석한 각 시료를 세포에 처리한 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MTT 용액을 각 well에 20ul씩 첨가하고 세포 배양기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층액을 모두 제거한 뒤, 100ul의 DMSO를 넣어 세포내 형성된 포르마잔(formazan)을 완전히 용해시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1 및 2에 나타냈다. 도 1 및 2를 보면, 각질 형성 세포 및 인간 피부 유래 섬유아세포에 산해박 에탄올 추출물, 산해박 초임계 추출물, 산해박 초음파 추출물을 처리할 때, 100㎍/㎖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하여 매우 안전한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블루라이트에 의한 활성산소 감소 효과
산해박 추출물의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보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블루라이트에 의해 발생하는 활성산소 수준을 확인하였다. 세포내 ROS 수준은 세포 투과 형광 프로브인 CM-H2DCF-DA(invitrogen)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각질형성세포를 6 well plate에 3.5×105cells/well로 분주한 후 하루 동안 37℃, 5% CO2 배양기에서 안정화시켰다. Light-emitting-diode blue light(LED-BL) 30 J/cm2 조사 후 실시예 1~3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세포에 10 uM CM-H2DCF-DA를 첨가하여 1 시간 동안 배양하고 세포를 scraper로 긁어 수집한 후 0.5% BSA가 함유된 PBS로 2회 세척하였다. 유세포 분석기(flow cytometry, FACS calibur)로 세포를 분석하고 CellQuest Pro를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냈다. 도 3을 보면, 산해박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ROS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산해박 추출물이 블루라이트에 의해 발생되는 활성산소를 감소시켜 피부를 보호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시예 3의 산해박 초음파 추출물이 100ug/ml의 농도에서 약 69%의 ROS 억제율을 보여, 산해박 에탄올 추출물(실시예 1)이나 산해박 초임계 추출물(실시예 2)보다 우수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블루라이트 차단에 의한 노화 억제 효과
산해박 추출물의 블루라이트에 의한 노화 방지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MMP-1 발현 저해 효능을 확인하였다. 인간 피부 섬유아 세포(HDFn)를 5×104cells/well의 농도로 24 well-plate에 분주 한 후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안정화시켰다. PBS로 2번 헹군 뒤, PBS가 있는 상태에서 Light-emitting-diode blue light(LED-BL) 30 J/cm2로 조사하였다. 2% FBS가 첨가된 배지로 교환과 동시에 실시예 1~3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양성대조군으로 100g/ml adenosine(주름기능성고시원료)을 사용하였다. 48시간 후에 상층액을 수집하여 MMP-1 발현량을 확인하기 위해 R&D systems kit (DY901)를 사용하였다. MMP-1 ELISA assay 후 450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MMP-1양을 계산한 후, 대조군과 비교하여 MMP-1 발현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냈다. 도 4를 보면, 본 발명의 산해박 추출물이 블루라이트에 의한 MMP-1 생성 억제 효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의 산해박 초음파 추출물을 100ug/ml 처리하였을 때 MMP-1의 발현을 약 42%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산해박 에탄올 추출물(실시예1)이나 산해박 초임계 추출물(실시예2) 보다 우수하게 노화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 측정
산해박 추출물의 블루라이트 차단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블루라이트 파장영역인 380 ~ 500nm의 흡수율을 확인하였다. 활성산소 감소효과와 노화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했던 실시예 3의 산해박 초음파 추출물을 정제수에 10중량%로 용해하여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로 각 파장대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냈다. 도 5를 보면, 블루라이트 파장대인 430~520nm의 빛을 흡수하는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제형예 1: 산해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산해박 추출물을 0.1 중량% 포함한,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표의 조성으로 설명하나,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제형예의 화장료 조성물은 아래 표 1의 함량에 따라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20069781142-pat00001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 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산해박(Cynanchum Paniculat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가시광선 중 380nm 내지 500nm 영역의 파장의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를 갖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해박 추출물은 용매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및 초음파 추출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추출법으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추출법은 물, 탄소수 1-4의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메틸렌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세럼, 에멀젼, 에센스, 파우더, 파운데이션, 스프렝, 마스크팩 및 수면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82716A 2020-07-06 2020-07-06 산해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02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716A KR102402211B1 (ko) 2020-07-06 2020-07-06 산해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716A KR102402211B1 (ko) 2020-07-06 2020-07-06 산해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194A KR20220005194A (ko) 2022-01-13
KR102402211B1 true KR102402211B1 (ko) 2022-05-27

Family

ID=79341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716A KR102402211B1 (ko) 2020-07-06 2020-07-06 산해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2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4094A (ko) 2022-03-11 2023-09-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천일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55323A (ko) 2022-10-20 2024-04-29 주식회사 팜스킨 강황 초음파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026B1 (ko) 2016-11-29 2017-11-1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팜크래프트 혈액순환 및 아토피 진정 효능을 갖는 기능성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150B1 (ko) * 2001-06-15 2004-10-26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약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화장료 조성물
KR101567325B1 (ko) * 2013-07-16 2015-11-10 (주)국심 국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1761349B1 (ko) * 2015-10-30 2017-07-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서장경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026B1 (ko) 2016-11-29 2017-11-1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팜크래프트 혈액순환 및 아토피 진정 효능을 갖는 기능성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서예주 외 3명. 서장경을 이용한 수용성 키토산의 항산화 활성. J. Chitin Chitosan, 2017, pp. 97-1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194A (ko)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9811B2 (ja) 皮膚外用剤
KR100771829B1 (ko) 유해 환경에서 유래되는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효능을 갖는 식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50139688A (ko) 미백 활성을 갖는 당유자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8974B1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02211B1 (ko) 산해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4246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3655A (ko) 비타민c를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2181A (ko) 대황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보호용화장료 조성물
KR20220112447A (ko)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1835356B1 (ko)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974502B1 (ko) 회리바람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89632B1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2147623B1 (ko) 붉가시나무 열매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노화방지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092313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6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119288B1 (ko) 송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17679A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2395854B1 (ko) 송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605602B1 (ko) 천문동 및 천연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89943B1 (ko)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50092314A (ko)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미백용 화장료
KR20010018657A (ko) 괴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82458B1 (ko)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12446A (ko) 돌가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