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1349B1 - 서장경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서장경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1349B1
KR101761349B1 KR1020150152532A KR20150152532A KR101761349B1 KR 101761349 B1 KR101761349 B1 KR 101761349B1 KR 1020150152532 A KR1020150152532 A KR 1020150152532A KR 20150152532 A KR20150152532 A KR 20150152532A KR 101761349 B1 KR101761349 B1 KR 101761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
composition
extract
disease
allerg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0683A (ko
Inventor
김수남
김형자
김진철
이재욱
박진수
정유정
봉경태
박노준
이다혜
김현진
이설림
신명숙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52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349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7Asclepiadaceae (Milkweed family), e.g. hoy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서장경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유효한 양의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서장경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 or allergic disease comprising Cynanchum paniculatum extract or fraction thereof}
서장경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유효한 양의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체는 외부에서 이물질이 침입하면 이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이물질을 제거하고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반응을 보이는데 이것을 면역반응이라고 한다. 이와 달리 과민반응은 몸에 해롭지 않은 것에 대한 비정상적인 면역반응을 지칭하며 오히려 조직을 파괴하는 면역질환(immune disorder)의 일종이다. 면역질환은 면역계의 기능이상에 의해 발생하며, 자가면역질환, 면역결핍증, 알러지 질환 등을 포함한다. 이중 알러지 질환은 유전적, 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아토피라는 용어는 그리스어에서 파생된 단어로 20세기 초부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대하여 비정상적으로 반응하는 과민반응(hypersensitivity)을 일컫는 말이며, 알러지와 혼용되어 사용된다.
아토피 질환, 즉, 알러지 질환은 동시에 또는 시간차를 두고 발현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알러지 행진"이라는 특성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알러지 행진은 어린 영아가 성장하면서 아토피 피부염, 식품 알러지, 천식 및 알러지 비염의 순서로 알러지 질환을 앓게 되는 현상을 말하며, 알러지 유발원에 대한 감작의 진행과 관련이 있다. 국내 연구에 의하면, 유전적 요인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발생률은 부모 모두 아토피 질환이 있는 경우 41.7%, 부모 모두 알러지 병력이 없을 경우 14.7%로 나타나 아토피 피부염 발생과 부모의 알러지 질환력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알러지 질환 중 아토피 피부염은 알러지 행진이 일어나는 첫 번째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고, 아토피성 질환이 발생할 것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이용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 시기에 면역반응을 조절하지 않을 경우 알러지 행진이 가속화되는 것으로 추정되므로 천식, 비염 등을 예방하기 위해서 아토피 피부염 조절이 필요하다. 또한, 아토피 피부염의 병인은 크게 피부장벽과 연관된 병인(outside-in model)과 비정상적인 면역반응과 연관된 병인(inside-out model)으로 나누고 있으며, 유전과 환경적인 요인에 대한 통합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현재 사용 중인 아토피 질환 치료제는 알러지 반응의 최종산물인 히스타민 분비를 억제하거나 알러지 증상의 하나인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진 스테로이드제 및 항히스타민제에 치중되며, 일부 면역조절제와 광선치료법이 사용되고 있다. 기존 치료제의 경우 알러지 증상 완화에 효과가 있으나 근본적인 치료방법이 아니며 장기적인 사용시 약물의 효능 감소 및 다양한 부작용 발생의 위험이 있다. 스테로이드제의 부작용은 비만, 당뇨, 고혈압, 우울증 등이 있으며, 항히스타민제의 부작용은 우울증, 집중력 장애, 무기력증, 졸림, 성기능 장애 등이 있으며, 면역억제제의 부작용은 국소자극, 고혈압, 신장독성 등이 있다.
따라서,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 및 면역억제제를 대체할 수 있는 혹은 기존 치료제의 사용을 낮출 수 있어 장기간 사용시 부작용이 적은 아토피 질환 치료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일 양상은 서장경(Cynanchum paniculatum)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유효한 양의 상기한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서장경(Cynanchum paniculatum)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 또는 개선 또는 완화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서장경 추출물은 상기 서장경 전초,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로부터 용매에 의하여 추출된 추출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서장경 추출물은 서장경 뿌리, 뿌리 줄기 또는 그의 조합의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일부분은 서장경의 뿌리, 뿌리 줄기, 줄기, 잎, 꽃, 또는 꽃잎일 수 있다.
서장경은 학명이 Cynanchum paniculatum Kitagawa로서 박주가리과 (Asclepiadaceae)에 속하는 다년생 풀이며 식물명은 산해박이다. 서장경은 전국의 양지바른 산기슭이나 풀밭, 산중턱, 길가에서 야생으로자라며, 나무밑이나 깊은 숲속에서는 자라지 않을 수 있고, 일본, 만주, 중국, 다후리아에 분포할 수 있다. 굵은 수염뿌리가 방석처럼 퍼져 있으며 줄기는 60~70cm 높이로 자랄 수 있다. 줄기에 마주나는 좁은 피침형 잎은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뒤로 말릴 수 있다. 5~7월에 줄기 끝이나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자란 꽃대 끝의 취산꽃차례에 황갈색 꽃이 피는데 꽃자루가 길 수 있다. 꽃받침과 꽃부리는 각각 5개로 갈라질 수 있다. 개화기는 5~7월이고 결실기는 8-10월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알콜, 예를 들면, C1-C6 알콜, 예를 들면, C1-C4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C1-C6 알콜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1,3-프로판디올, 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등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예를 들면, 물과 알콜의 혼합물 즉 알콜 수용액일 수 있다. 알콜 수용액의 알콜 농도는 1 내지 99.5 (v/v)%, 예를 들면, 10 내지 99.5 (v/v)%, 1 내지 70(v/v)%, 1 내지 40(v/v)%, 5 내지 25(v/v)%, 7 내지 20(v/v)%, 5 내지 25(v/v)%, 또는 10 내지 20(v/v)%일 수 있다. 상기 알콜 수용액은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상기 서장경 전초,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에 대하여 상기 추출 용매를 3 내지 10 (부피/중량)배, 예를 들면, 3 내지 7 (부피/중량)배, 3 내지 5 (부피/중량)배, 5 내지 10 (부피/중량)배, 또는 4 내지 10배 첨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서장경 전초,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 1kg에 대하여 상기 추출 용매를 3 내지 10 L 첨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가온된 액체 추출, 가압된 액체 추출 (pressurized liquid extraction: PLE), 초음파 도움을 받은 추출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MAE), 아임계 추출 (subcritical extraction: SE),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아임계 추출은 아임계 수추출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SWE)일 수 있다. 아임계 수추출은 초가열된 수추출 (superheated water extraction) 또는 가압된 열수 추출 (pressurized hot water extraction: PHWE)라고도 한다. 상기 가온된 액체 추출은 환류 추출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4℃ 내지 70℃, 예를 들면, 4℃ 내지 50℃, 4℃ 내지 40℃, 4℃ 내지 30℃, 10℃ 내지 70℃, 15℃ 내지 70℃, 20℃ 내지 70℃, 4℃ 내지 50℃, 10℃ 내지 50℃, 4℃ 내지 40℃, 4℃ 내지 30℃, 10℃ 내지 40℃, 10℃ 내지 35℃, 또는 10℃ 내지 30℃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시간은 선택된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1 시간 내지 2개월, 예를 들면, 1 시간 내지 1개월, 1 시간 내지 15일, 1 시간 내지 10일, 1 시간 내지 5일, 1 시간 내지 3일, 1 시간 내지 2일, 1 시간 내지 1일, 5 시간 내지 1개월, 5 시간 내지 15일, 5 시간 내지 10일, 5 시간 내지 5일, 5 시간 내지 3일, 5 시간 내지 2일, 5 시간 내지 1일, 10 시간 내지 1개월, 10 시간 내지 15일, 10 시간 내지 10일, 10 시간 내지 5일, 10 시간 내지 3일, 또는 10 시간 내지 2일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상기 용매 중에 서장경 전초,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를 혼합하고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치는 적당한 교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1회 이상, 예를 들면, 1 내지 5회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식물체 잔사 및 추출액을 여과 등의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또한 얻어진 추출액으로부터 감압 농축과 같은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또한 얻어진 추출물을 동결건조와 같은 건조에 의하여 건조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용어 "분획물(fraction)"은 상기 서장경 추출물이 그 일부의 성분으로 나누어진 물질 즉 분획된 물질을 나타낸다. 상기 분획물을 용매 분획화 (fractionation)에 의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 분획화는 서장경 추출물을 용매와 혼합하고 상기 용매에 존재하는 물질을 분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서장경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헥산, 메틸렌클로리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순차적으로 분획화하여 얻어진 헥산 분획물, 메틸렌클로리드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물 분획물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틸렌클로리드 분획물은 상기 서장경 추출물을 물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다시 메틸렌클로리드와 혼합한 후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한 후 메틸렌클로리드층을 분리하고, 분리된 메틸렌클로리드층으로부터 분획물을 분리하는 것에 의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분획물을 분리하는 것은 메틸렌클로리드층으로부터 메틸렌클로리드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상기 메틸렌클로리드 분획물을 물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다시 에틸아세테이트와 혼합한 후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고,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층으로부터 분획물을 분리하는 것에 의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분획물을 분리하는 것은 에틸아세테이트층으로부터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탄올 분획물은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물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다시 부탄올과 혼합한 후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한 후 부탄올층을 분리하고, 분리된 부탄올층으로부터 분획물을 분리하는 것에 의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분획물을 분리하는 것은 부탄올층으로부터 부탄올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조건, 압력 조건, 시간, 사용된 용매의 양 또는 농도, 교반 등과 같은 상기 분획화의 조건은 상기한 서장경 추출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추출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을 수 있다. 상기 분획화는 1회 이상, 예를 들면, 1 내지 5회 반복될 수 있다.
상기 분획물을 분리하는 것은 여과 등의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획화는 또한 얻어진 분획물으로부터 감압 농축과 같은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획화는 또한 얻어진 분획물을 농축 및/또는 건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농축은 감압 농축일 수 있다. 상기 건조는 감압 건조, 비등 건조, 분무 건조, 상온 건조 또는 동결건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염증성 질환(inflammatory disease)"은 염증을 주요 변변으로 하는 질환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피부염,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 (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염은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또는 지루성 피부염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러지 질환(allergic disorder)"는 '아토피 질환(atopic diorder)'과 호환적으로 사용되고, 이물질, 즉 알러지원(allergen)에 대한 특이하고 변형된 반응을 나타내는 생화학적 현상에 의해 생긴 질환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알러지 질환은 천식, 과민증,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결막염, 알러지성 피부염, 두드러기, 곤충 알러지, 식품 알러지 또는 약품 알러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러지성 피부염은 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접촉성 피부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치료 (treat)"는 자연 치유에 비하여 단축된 시간에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의 증상이 완화 또는 치유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치료는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의 개선 및/또는 완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료는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특정 이론에 제한됨이 없이, T세포 과다 활성화를 유발하는 인터루킨-4(IL-4), 인터루킨-5(IL-5), 및 인터루킨-13(IL-13)은 Th2 세포에 의해 분비되며 면역글로불린E(IgE)의 합성을 조절하여 알러지 질환, 예를 들면,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에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랑게르한스 포와 염증성 수지상 표피 세포(IDECs)는 미접촉(naive) T 세포를 Th2 타입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알러지성 면역 반응의 시작에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IL-4가 역할을 할 수 있다. 피부에서 IL-4는 T세포 유형 중 아토피 피부염의 병리현상인 Th2 세포의 불균형적인 활성 증대를 유도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으며, 동시에 B세포를 자극하여 IgE 생산을 증대시킴으로써 비만세포에 의한 히스타민 분비를 촉진하여 홍반, 발적, 가려움증 등의 알러지, 또는 아토피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IL-4의 생산 및 이 반응의 결과물인 T 세포의 과도한 증식을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은 일반적인 면역 억제 물질보다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 예를 들면,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에 적합한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이론에 제한됨이 없이, IL-4는 필라그린(filaggrin)이 자연보습인자(NMF)로 전환되는 과정에 필요한 단백분해효소인 카스파아제-14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고, 교소체 단백질을 분해하는 칼리크레인-관련 펩티다아제 7(Kallikrein-related peptidase 7: KLK7)의 발현을 촉진시켜 표피의 박리를 유도하고 경표피 수분 손실을 증가킬 수 있다. 또한,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 카잘-타입 5(Serine protease inhibitor Kazal-type 5: SPINK5) 유전자의 산물인 림프-표피 카잘 타입-관련 억제제(Lympho-epithelial Kazal type-related inhibitor:LEKTI)가 부족하면 과립층에서 SC 키모트립신 효소(SC chymotryptic enzyme:SCCE)인 KLK7의 과활성으로 인해 각질세포와 각질세포 사이의 부착력을 안정화시키는 데스모글레인(desmogleine) 1 이 비정상적으로 분해되면서 각질층의 부착력 약화로 인한 피부장벽기능의 소실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특정 이론에 제한됨이 없이, 또한, β-헥소스아미니다아제(β-hexosaminidase: β-HEX)는 염증 및 알러지 반응과 관련되어 발현되는 물질로, N-아세틸-β-D-헥소스아미니다아제의 N-아세틸-D-헥소스아민을 가수분해시키는데 관여하는 효소일 수 있다. β-헥소스아미니다아제는 면역 세포, 예를 들면, 비만 세포의 탈과립화 표지자일 수 있으며, β-헥소스아미니다아제의 분비,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은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터루킨-4(IL-4)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고, 비만세포의 탈과립화를 억제하며, 피부장벽기능을 강화시키고, 및/또는 란테스(regulated on activation, normal T cell expressed and secreted: RANTES) 및 대식세포-유래 케모킨(macrophage-derived chemokine:MDC)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비만세포의 탈과립화 억제는 베타-헥소스아미니다아제의 분비, 발현 또는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장벽기능 강화는 SPINK5의 발현 또는 활성을 증가시키고, 카스파아제-14의 발현 또는 활성을 증가시키고, 및/또는 KLK7의 발현 또는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의 효과를 가짐으로써,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80 중량%, 예를 들면, 0.01 중량% 내지 60 중량%, 0.01 중량% 내지 40 중량%, 0.01 중량% 내지 30 중량%, 0.01 중량% 내지 20 중량%, 0.01 중량% 내지 10 중량%, 0.01 중량% 내지 5 중량%, 0.05 중량% 내지 60 중량%, 0.05 중량% 내지 40 중량%, 0.05 중량% 내지 30 중량%, 0.05 중량% 내지 20 중량%, 0.05 중량% 내지 10 중량%, 0.05 중량% 내지 5 중량%, 0.1 중량% 내지 60 중량%, 0.1 중량% 내지 40 중량%, 0.1 중량% 내지 30 중량%, 0.1 중량% 내지 20 중량%, 0.1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5 중량%의 서장경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또는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유당, 옥수수 전분, 대두유, 미정질 셀룰로오스, 또는 만니톨,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활택제,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미결정 셀룰로오즈, 유당, 저치환도 히드록시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붕해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전분글리콜산 나트륨, 무수인산일수소 칼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활택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 제형은 과립제, 산제, 액제, 정제, 캅셀제, 건조시럽제,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제형은 주사제, 또는 피부외용제일 수 있다.
피부외용제는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로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유성성분, 분말성분, 알코올류, 보습제, 증점제,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제, 각종 피부 영양제, 또는 이들의 조합과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봉쇄제, 카페인, 탄닌, 벨라파밀, 감초추출물, 글라블리딘, 칼린의 과실의 열수추출물, 각종생약, 아세트산토코페롤, 글리틸리틴산,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지산, 글루코스, 프룩토스,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등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 예를 들면,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및 두드러기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인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개선 또는 완화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인 경우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분말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명세서의 화장료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90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개선 또는 완화하기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서장경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 단독 또는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건강식품의 종류 중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또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또한,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유효한 양의 상기한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투여는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예를 들면, 정맥내, 근육내, 경피 (transdermal), 점막, 코안 (intranasal), 기관내 (intratracheal) 또는 피하 투여와 같은 경로로, 임의의 수단에 의하여 개체로 직접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전신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이 존재하는 부위에 국소적으로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사람,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서장경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개체당 0.1 mg 내지 1,000 mg, 예를 들면, 0.1 mg 내지 500 mg, 0.1 mg 내지 100 mg, 0.1 mg 내지 50 mg, 0.1 mg 내지 25 mg, 1 mg 내지 1,000 mg, 1 mg 내지 500 mg, 1 mg 내지 100 mg, 1 mg 내지 50 mg, 1 mg 내지 25 mg, 5mg 내지 1,000 mg, 5 mg 내지 500 mg, 5 mg 내지 100 mg, 5 mg 내지 50 mg, 5 mg 내지 25 mg, 10mg 내지 1,000 mg, 10 mg 내지 500 mg, 10 mg 내지 100 mg, 10 mg 내지 50 mg, 또는 10 mg 내지 25 mg을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에 의하면, 개체의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효율적으로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개체의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 의하면, 개체의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일 구체예에 따른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이 RANTES 및 MDC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의 제조 및 그의 활성 평가
본 실시예에서는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을 제조하고, 그의 활성을 평가하였다.
(1)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의 제조
(1.1) 서장경 추출물의 제조
서장경(Cynanchum paniculatum)은 대한민국 서울시 경동시장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서장경 뿌리 및 뿌리줄기를 분쇄하여, 1 kg을 물 10 L에 담구고 3 시간 동안 초음파 기기(BANDELIN SONOREX SUPER compact baths Friendly Ultrasonic Cleaner, PK1040, BANDELIN electronic GmbH & Co. KG, Berlin, Germany)를 사용하여 초음파를 조사(30 kHz, 실온)하여 서장경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이를 3회 반복하여 얻은 추출액을 감압 건조하여 농축하여 농축물 65.3 g을 얻었다.
서장경 뿌리 및 뿌리줄기 1 kg을 100 % 메탄올 10 L에 담구고 3 시간 동안 초음파 기기(BANDELIN SONOREX SUPER compact baths Friendly Ultrasonic Cleaner)를 사용하여 초음파를 조사하여 서장경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이를 3회 반복하여 얻은 추출액을 감압 건조하여 농축하여 농축물 62.8 g을 얻었다.
서장경 뿌리 및 뿌리줄기 1 kg을 100 % 에탄올 10 L에 담구고 3 시간 동안 초음파 기기(BANDELIN SONOREX SUPER compact baths Friendly Ultrasonic Cleaner)를 사용하여 초음파를 조사하여 서장경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이를 3회 반복하여 얻은 추출액을 감압건조하여 농축하여 농축물 69.2 g을 얻었다.
(1.2) 서장경 분획물의 제조
상기 1.1절에서 제조한 서장경-메탄올 추출물 50 g을 500 ml의 증류수에 현탁시키고 계통학적 분획방법에 따라 동량의 메틸렌클로리드, 에틸아세테이트(EtOAc) 및 부탄올 (n-BuOH)로 순차적으로 각각 3회씩 추출하여 분획하고, 감압농축하여 서장경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분획물은 각각 메틸렌클로리드 층에서 24.05g, 에틸아세테이트 층에서 2.49 g, 부탄올 층에서 2.49 g을 획득하였고, 물현탁액에서 부탄올층 분획후 남은 잔여층을 말려 물층에서 19.12 g을 획득하였고, 이하에서 이를 MC 분획, EA 분획, Bu 분획 및 물 분획이라 한다.
(2)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의 활성 평가
(2.1)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이 IL-4 발현에 미치는 영향 평가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이 IL-4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RBL-2H3 세포(Rat basophilic leukemia cell)에서 IL-4의 발현량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RBL-2H3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 (Korea Cell Line Bank; Seoul, Korea)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RBL-2H3 세포는 호염구이지만 비만세포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어서 비만세포와 함께 IL-4 및 IL-13 분비에 관여하는 약물의 효과를 연구하고, 항원 항체 반응에 의한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항알러지 약물을 개발하는데 사용되는 모델로 알려져 있다. RBL-2H3 세포를 5x105개 농도로 6-웰 플레이트(6-well plate)의 각 웰에 접종하여 10% 우태아혈청 (fetal bovine serum: FBS)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함유된 둘베코 변형된 이글 배지(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DMEM) 배지 중 37 ℃,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16시간 후에 1 μM의 시클로스포린 A와 서장경 추출물 또는 분획물 시료를 10 μg/ml의 농도로 농도로 첨가하고,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에, 포르볼 12-미리스테이트 13-아세테이트(phorbol 12-myristate 13-acetate:PMA) (50 ng/ml)와 이오노미신(ionomycin) (1 μM)을 가하여 9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에 상기 세포에서 RNeasy mini kit (Qiagen)을 사용하여 QIAsymphony 또는 QIAQube (Qiagen) 기기에 장착하여 R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RNA는 Agilent 2100 BioAnalyzer (Agilent Technologies, SantaClara, CA, USA)를 사용하여 온전성(integrity)을 확인하였다. 또한, ImProm-II Reverse Transcription System (Promega, Madison, WI, USA)을 이용하여 1 ug의 RNA를 cDNA로 합성하였다.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은 GeneAmp PCR System 9700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0.02 μl Ex taq 폴리머라아제 (TAKARA, Otsu, Shiga, Japan), 2 μl Ex taq 폴리머라아제 버퍼, 1.6 μl dNTP (10 mM), 2 μl 정방향 프라이머 (20 μM), 2 μl 역방향 프라이머 (20 μM), 11.38 μl 뉴클리아제 무첨가 물 및 1 μl의 상기 합성한 cDNA를 혼합하여 20 μl 용량으로 PCR을 수행하였다. 프라이머는 IL-4에 대해 서열번호 1 및 2의 조합, 및 베타-액틴에 대해 서열번호 3 및 4의 조합을 사용하였다. PCR 조건은 IL-4에 대해 94 ℃에서 4분 (1 cycle), 94 ℃에서 30초, 60 ℃에서 30초, 72 ℃에서 30초 (25 cycles), 72 ℃에서 5분 (1 cycle)이었고, 베타-액틴에 대해 94 ℃에서 4분 (1 cycle), 94 ℃에서 30초, 55 ℃에서 30초, 72 ℃에서 30초 (20 cycles), 및 72 ℃에서 5분 (1 cycle) 이었다. QIAxcel advanced (Qiagen)기기를 사용하여 밴드의 강도를 측정하였고, PMA+이오노미신(PI) 처리군을 100%로 하여 각 시료에서의 상대적인 IL-4 발현을 결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IL-4 발현 (%)
무처리군 15.5
PI 100
PI + CsA 34.6
PI + 서장경메탄올추출물 58.9
PI + 서장경MC분획 16.0
PI + 서장경EA분획 45.7
PI + 서장경Bu분획 17.0
PI + 서장경물분획 98.0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은 RBL-2H3 세포에서 IL-4의 발현을 강하게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의 결과로 일 구체예에 따른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은 염증성 질환 및, 아토피 피부염을 포함하는 알러지 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2)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이 면역세포 탈과립화에 미치는 영향 평가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이 비만세포주인 상기 RBL-2H3세포에서 탈과립화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베타-헥소스아미니다아제 분석(beta-hexosaminidase assay)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RBL-2H3세포를 10% 소태아혈정 (FBS)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이 첨가된 돌베코 변형된 이글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DMEM) 배지에서 37 ℃, 5% CO2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베타-헥소스아미니다아제 분비량 측정을 위해 배양한 RBL-2H3 세포를 10% FBS 및 DMEM 배지에 현탁시킨 후 24-웰 플레이트에 5 X 105 cells/well의 양으로 분주한 뒤 37 ℃, 5% CO2 배양기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각 웰에 마우스 단일클론항체 Ig E(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를 0.1 ug/ml 농도로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배양한 뒤, 시라가니안 버퍼(Siraganian buffer)로 2회 세척하였다. 이후에 글루코오스가 포함된 시라가니안 버퍼에 각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을 10 μg/ml의 농도로 첨가하고, 37 ℃, 5% CO2 배양기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항원(DNP-BSA, 1㎍/㎖)을 가하여 37 ℃, 5% CO2 배양기에서 30분간 배양하고 얼음에서 10분 냉각시킨 뒤 반응을 종결시켰다. 다음에, 상층액 25 ㎕를 96 웰플레이트에 옮기고 기질(2 mM 4-p-nitrophenyl-N-acetyl-β-D-glucosaminide, 0.05M Sodium citrate, pH 4.5) 25㎕를 넣고 37 ℃에서 1시간 동안 배양시킨 다음 각 웰 당 정지 용액(stop solution) 200㎕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마지막으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Power Wave XS, BioTek Instruments, Inc.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40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무처리군(대조군)을 100%로 하여 각 시료에서의 상대적인 베타-헥소스아미니다아제의 분비량을 결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베타-헥소스아미니다아제
대조군 100 ± 2%
IgE + DNP-BSA 440 ± 2.2%
서장경메탄올추출물 308 ± 5.2%
서장경MC분획 298 ± 2.8%
서장경EA분획 292 ± 3.7%
서장경Bu분획 332 ± 4.1%
서장경물분획 411 ± 3.6%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은 베타-헥소스아미니다아제의 분비를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의 결과로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은 비만세포의 탈과립화를 억제함으로써 염증 반응 및 알러지 반응을 억제함을 알 수 있다.
(2.3)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이 SPINK5 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이 단백질분해효소 저해제인 SPINK5(serine protease inhibitor Kazal-type 5)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우선, SPINK5의 프로모터(-954 ~ +40)를 갖고, 리포터로서 반딧불 루시퍼라아제(Firefly luciferase) 유전자를 갖는 플라스미드(pGL-3-Promoter Vector, Promega, Madison, WI, USA)를 사용하였다. 또한, 레퍼런스(reference)로서 유니버셜 프로모터 및 레닐라 루시퍼라아제 (Renilla luciferase) 유전자를 갖는 플라스미드(pRL-SV40, Promega, USA)를 사용하였다. 이후에, CV-1 세포(ATCC, CCL-70TM)를 5x104의 농도로 24-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후 24시간 동안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두 종류의 플라스미드 유전자를 상기 세포에 일시적 형질감염(transient transfection) 시켰다. 이후 24시간 배양한 후 1 x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로 세척하였다. 다음에, 각 10 ug/ml의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 시료를 세포에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에, 다시 1xPBS로 세척 후 1xPLB(Passive Lysis Buffer, Promega)로 세포를 파쇄한 후, 듀얼-루시퍼라아제 수용체 분석 시스템 키트(Dual-Luciferase Reporter Assay System kit, Promega, USA)를 사용하여 사용자 지시서에 따라 시료와 레퍼런스의 루시퍼라아제 활성(luciferase activity)을 측정하였다. 무처리군의 SPINK5의 활성을 100%로 하여, 각 시료에서의 상대적인 SPINK5 활성을 결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 활성화 정도 (%)
무처리군 100
서장경메탄올추출물 126
서장경MC분획 96
서장경EA분획 94
서장경Bu분획 119.5
서장경물분획 99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은 SPINK5에 대해 높은 활성 가짐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과로 하기 실시예에서 후술될 바와 같이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이 KLK7의 발현을 감소시켜 피부장벽기능을 회복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고,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2.4)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이 카스파아제 -14 및 KLK7 발현에 미치는 영향 평가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이 카스파아제-14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및 칼리크레인-관련 펩티다아제 7(Kallikrein-related peptidase 7: KLK7)의 발현을 감소시켜 피부장벽기능 손상을 회복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HaCat (human immortalized keratinocytes, CLS) 세포를 10% 소태아혈청 (FBS) 및 1% 페니실리/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돌베코 변형 이글 배지(DMEM) 배지에서 37 ℃, 5% CO2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정상 각질형성세포(NHK: Normal Human Keratinocyte, Lonza)는 각질형성세포용 특수 배지인 KGM 완전배지(Keratinocyte Basal Medium(KBM)에 Keratinocyte Growth Medium-2(KGM-2) growth supplements (insulin,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bovine pituitary extract, hydrocortisone, epinephrine, transferrin, gentamicin/amphotericin B)를 추가한 배지), Lonza, Basel, Switzerland)에서 배양하였다. HaCaT에서는 KLK7의 발현량을 측정하였고, NHK에서는 카스파아제-14의 발현양을 측정하였다. 배양한 HaCaT 세포 또는 NHK 세포를 각각의 배지에 현탁시킨 후 6-웰 플레이트에 1 X 105 cells/well의 양으로 분주한 후 37 ℃, 5% CO2 배양기에서 18시간 이상 배양하였다. 각 웰에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 시료들을 10ug/ml의 농도로 첨가하여 37 ℃, 5% CO2 배양기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재조합 hIL4/polyI:C (25 ng/ml/10 ug/ml)을 가하여 37 ℃,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를 회수하여 총 RNA를 분리한 뒤 역전사효소를 이용하여 cDNA 합성 후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RT-PCR을 수행하였다. KLK7에 대해 서열번호 5 및 6의 조합, 카스파아제-14에 대해 서열번호 7 및 8의 조합, 및 GAPDH에 대해 서열번호 9 및 10의 조합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였다. RT-PCR 조건은 94℃에서 4분(1 cycle), 94℃에서 30초, 60℃에서 30초 그리고 72℃에서 30초(25 cycles), 72℃에서 5분 (1 cycle)이었다. QIAxcel advanced (Qiagen) 기기를 사용하여 밴드의 강도를 측정하였고, 무처리군을 100%로하여, 각 시료에의 상대적인 KLK7 및 카스파아제-14의 발현량을 결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카스파아제-14 KLK7
대조군 100 100
IL-4/Poly I:C 36 420
서장경메탄올추출물 97 284
서장경MC분획 96 262
서장경EA분획 94 228
서장경Bu분획 99 216
서장경물분획 60 373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은 카스파아제-14의 발현저해를 회복시켜주며, KLK7의 발현증가를 감소시켜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의 결과로,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이 피부장벽기능손상을 회복시켜 주어, 아토피 피부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5)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이 염증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평가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이 염증인자 발현인 RANTES(regulated on activation, normal T cell expressed and secreted) 및 MDC(macrophage-derived chemokine)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HaCat (human immortalized keratinocytes, CLS) 세포를 10% 소태아혈청 (FBS) 및 1% 페니실리/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돌베코 변형된 이글 배지(DMEM) 배지에서 37 ℃, 5% CO2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배양한 HaCaT 세포를 배지에 현탁시킨 후 6-웰 플레이트에 1 x 105 cells/well의 양으로 분주한 뒤 37 ℃, 5% CO2 배양기에서 18시간 이상 배양하였다. 각 웰에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 시료들을 10ug/ml의 농도로 첨가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재조합 hIL4/polyI:C (25 ng/ml/10 ug/ml)을 가하여 37 ℃,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를 회수하여 총 RNA를 분리한 뒤 역전사효소를 이용하여 cDNA 합성 후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RT-PCR을 수행하였다. RANTES에 대해 서열번호 11 및 12의 조합, MDC 대해 서열번호 13 및 14의 조합, 및 GAPDH에 대해 서열번호 15 및 16의 조합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였다. RT-PCR 조건은 94℃에서 4분(1 cycle), 94℃에서 30초, 60℃에서 30초 그리고 72℃에서 30초(25 cycles), 72℃에서 5분 (1 cycle)이었다. QIAxcel advanced (Qiagen) 기기를 사용하여 밴드의 강도를 측정하였고, 무처리군을 100%로 하여, 각 시료에의 상대적인 RANTES, 및 MDC의 발현량을 결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일 구체예에 따른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이 RANTES 및 MDC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은 염증관련 인자인 RANTES 및 MDC의 발현을 저해시킴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과로, 일 구체예에 따른 서장경 추출물 및 분획물은 IL-4의 발현을 저해하고, 비만세포의 탈과립화를 억제하며, SPINK5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카스파아제-14의 활성을 증가시키며, KLK7의 활성을 감소시키고, RANTES 및 MDC의 활성을 감소시킴에 따라, 피부염, 예를 들면, 아토피 피부염 등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및 알러지 질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10>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120> Composition f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 or allergic disease comprising Cynanchum paniculatum extract or fraction thereof <130> PN111991 <160> 16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IL4 <400> 1 ccaccttgct gtcaccctgt tctgct 26 <210> 2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IL4 <400> 2 gtgttgtgag cgtggactca ttcacg 26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beta actin <400> 3 accgtgaaaa gatgacccag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beta actin <400> 4 tgtcagctgt ggtggtgaag 20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KLK7 <400> 5 ctcagtggca atcagctcca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KLK7 <400> 6 gtcaccattg caggcgtttt 20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caspase14 <400> 7 atccgcggtc tttggaagag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caspase14 <400> 8 acgtgcaagg catctgtgta 20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GAPDH <400> 9 accacagtcc atgccatcac 20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GAPDH <400> 10 tccaccaccc tgttgctgta 20 <210> 11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RANTES <400> 11 ccccgtgccg agatcaagga gtattt 26 <210> 12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RANTES <400> 12 cgtccagcct ggggaaggtt tttgta 26 <210> 13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MDC <400> 13 aggacagagc atggctcgcc tacaga 26 <210> 14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for MDC <400> 14 taatggcagg gagctagggc tcctga 26 <210> 1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for GAPDH <400> 15 accacagtcc atgccatcac 20 <210> 1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1 for GAPDH <400> 16 tccaccaccc tgttgctgta 20

Claims (15)

  1. 서장경(Cynanchum paniculatum)의 메탄올 추출물의 메틸렌클로리드 분획물 또는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장경은 서장경 뿌리, 뿌리 줄기 또는 그의 조합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터루킨-4(interleukin-4: IL-4)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만세포의 탈과립화를 억제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장벽기능을 강화시키는 것이고, 상기 피부장벽기능의 강화는 각질세포 사이의 부착력이 안정화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란테스(regulated on activation, normal T cell expressed and secreted: RANTES) 및 대식세포-유래 케모킨(macrophage-derived chemokine:MDC)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13. 서장경(Cynanchum paniculatum)의 메탄올 추출물의 메틸렌클로리드 분획물 또는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또는 완화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14. 삭제
  15. 서장경(Cynanchum paniculatum)의 메탄올 추출물의 메틸렌클로리드 분획물 또는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또는 완화를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KR1020150152532A 2015-10-30 2015-10-30 서장경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KR101761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532A KR101761349B1 (ko) 2015-10-30 2015-10-30 서장경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532A KR101761349B1 (ko) 2015-10-30 2015-10-30 서장경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683A KR20170050683A (ko) 2017-05-11
KR101761349B1 true KR101761349B1 (ko) 2017-07-26

Family

ID=58742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532A KR101761349B1 (ko) 2015-10-30 2015-10-30 서장경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3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211B1 (ko) * 2020-07-06 2022-05-27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산해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150B1 (ko) * 2001-06-15 2004-10-26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약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화장료 조성물
KR101468127B1 (ko) 2012-12-06 2014-12-08 한국식품연구원 백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150B1 (ko) * 2001-06-15 2004-10-26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약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화장료 조성물
KR101468127B1 (ko) 2012-12-06 2014-12-08 한국식품연구원 백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log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2006. Vol.29, No.5, pp.971-97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683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1014B1 (en) Daphne genkwa extract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fractions of the extracts or compounds separated from the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KR101367423B1 (ko)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86588A (ko)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 효능이 우수한 Ge-8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0821A (ko)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51093B1 (ko) 항염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15367B1 (ko) 행채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KR101934794B1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1761349B1 (ko) 서장경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KR101336094B1 (ko) 피부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86629B1 (ko)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가려움용 조성물
KR20130140378A (ko)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101600A (ko)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50095012A (ko) 코디세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치료 또는 예방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72237B1 (ko) 천연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JP5452827B2 (ja) 皮膚賦活用組成物
KR101746158B1 (ko) 은시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890220B1 (ko)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인삼열매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7002B1 (ko) 금강송 간벌 부산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아토피 조성물
KR20170050682A (ko) 패장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KR102309982B1 (ko) 곡정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061370A (ko) 대나물 지상부 추출물 및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986008B1 (ko) 레스베라트롤 쌀 또는 레스베라트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87364B1 (ko) 땅콩 지상부 추출물 및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200040402A (ko) 택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