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629B1 -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가려움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가려움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629B1
KR101986629B1 KR1020170054845A KR20170054845A KR101986629B1 KR 101986629 B1 KR101986629 B1 KR 101986629B1 KR 1020170054845 A KR1020170054845 A KR 1020170054845A KR 20170054845 A KR20170054845 A KR 20170054845A KR 101986629 B1 KR101986629 B1 KR 101986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rape
campbell
itching
grape pru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0906A (ko
Inventor
장선일
조병옥
데니스창 체
추정임
김주희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김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김주희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54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629B1/ko
Publication of KR20180120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도 전정가지(grape pruning ste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려움증의 억제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려움증의 억제 또는 완화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은 가려움증의 억제 또는 완화용 화장품 또는 치료제 개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가려움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pruritic comprising grape pruning stem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가려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가려움증은 피부질환 중에서 흔히 유발되는 감각으로서, 피부를 긁거나 문지르고 싶은 충동을 일으키는 불쾌한 감각이라고 할 수 있다. 가려움증은 개인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같은 사람에게 동일한 자극을 주더라도 때에 따라 가려움증의 정도가 다르게 느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려움증은 내부 및 외부의 가벼운 자극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지만, 심각한 가려움증은 식품(주로 고단백 식품), 병원성 미생물 및 집먼지 진드기 등과 같은 생물학적 항원(biological allergen)과 2,4-디니트로플루오로벤젠(2,4-dinitrofluorobenzene, DNFB)과 같은 화학항원(chemical allergen)에 노출되었을 때 유발될 수 있다.
가려움이 주요한 문제가 되는 피부질환으로는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 피부염, 화폐상 습진, 신경 피부염, 두드러기, 피부 건조증, 지루성 피부염 및 건선 등이 있으며 침범된 부위와 환자의 감수성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가려움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치료제로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제(corticosteroid), 항히스타민제(antihistamine), 면역억제제, 캡사이신 등을 들 수 있다. 스테로이드제는 소염 및 면역억제에 대한 효과가 뛰어나지만,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 피부의 탄력이 사라지고, 피부가 얇아져서 실핏줄이 드러나게 되며, 심한 경우에는 호르몬에 의한 전신증상(systemic symptom), 부신기능 및 면역력의 저하가 나타나며, 약을 중지하면 증상이 폭발적으로 악화되는 단점이 있다. 항히스타민제는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의 방출을 억제하여 가려움증이 가라않게 되지만,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 불면, 불안, 식욕감퇴 등의 부작용이 나타난다. 면역억제제인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은 전신투여 시 고혈압, 신독성, 약물 상호 작용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고 국소 투여시 분자량이 커서 피부통과가 어려워 효능이 약하다. 캡사이신은 가려움 억제 효과가 가장 신속하고 강력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강한 피부 자극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다.
이러한 기존 가려움증 치료제는 개인의 체질에 따라 효과가 상이하고, 특히 성분 및 제조과정 중에 인공적인 화학조성물이 첨가되어 안전성을 신뢰하기 어렵기 때문에 독성이나 피부자극이 적으면서 더욱 안전한 국소용 가려움증 및 피부자극 치료제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포도(Vitis vinifera)는 포도과에 속하는 낙엽덩굴성 수목으로 세계 과일 생산량 중 약 30%로 가장 많이 재배되는 과일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포도의 품종으로는 캠벨얼리가 주를 이루며 그 외에 거봉, 델라웨어, 머스캇베리에이 등이 재배되고 있다. 포도에는 포도당, 과당, 자당, 구연산, 주석산, 초산 및 사과산 등의 다양한 유기산과 비타민 A, B 및 C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포도의 껍질에는 페오니딘, 델피니딘, 말비딘 및 페츄니딘 등의 안토시안계 성분들이 잘 알려져 있지만,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의 가려움증 억제 또는 완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0913436호에는 '포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아토피 또는 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0878331호에는 '포도나무 수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가려움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이 가려움증 관련 사이토카인 IL-31 및 염증성 케모카인 IL-8의 발현을 저해하고,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히스타민의 방출을 저해하며,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포도 전정가지(grape pruning ste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려움증의 억제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려움증의 억제 또는 완화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은 가려움증 관련 사이토카인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히스타민 방출의 저해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므로, 가려움증의 억제 또는 완화를 위한 화장품 또는 치료제의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의 IL-8(A) 및 IL-31(B) 생성 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이다. PMA+A23187: 염증 반응 유발원, GSE: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
도 2는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의 전사인자 NF-κB 활성 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3은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의 히스타민 방출 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4는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분석한 결과이다. tBHP(Tert-Butyl hydroperoxide): 산화 스트레스 유발원.
도 5는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의 세포내 활성산소종(ROS) 생성 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6은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의 MDA(Malondialdehyde) 생성 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7은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의 글루타티온(GSH; A) 생성 및 과산화물제거효소(SOD; B) 활성 촉진 효과를 분석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도 전정가지(grape pruning ste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려움증의 억제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가려움증의 억제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포도 전정가지는 캠벨얼리 품종의 포도 전정가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은 가려움증 관련 사이토카인 IL-31 및 염증성 케모카인 IL-8의 발현을 저해하며,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히스타민의 방출을 저해하고,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여, 가려움증에 대한 억제 또는 완화 효과가 우수한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가려움증의 억제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은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한 추출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이용한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은 포도 전정가지를 물에 세척하고, 37~40℃의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분쇄한 후, 포도 전정가지의 분쇄 분말 100 g에 80% 에탄올 2,000 ㎖을 가하여 1시간 초음파 추출하고 3일간 상온에서 방치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 회수하고 회수된 상층액을 여과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가려움증의 억제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가려움증은 아토피 피부염, 두드러기, 건선, 자외선, 땀띠, 진무름, 동상 또는 노인 소양증 등에 의한 가려움증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가려움증의 억제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피부외용 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트리트먼트, 젤, 스킨 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아이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상기 가려움증의 억제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10~20 중량%의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grape pruning stem extract); 1~7 중량%의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0.01~0.2 중량 %의 잔탄검(Xanthan Gum); 0.1~1 중량%의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3~13 중량%의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1~7 중량%의 스쿠알란(Squalan); 1~5 중량%의 C12-20 알킬글루코사이드(C12-20 Alkyl Glucoside); 1~5 중량%의 C14-22 알코올(C14-22 Alcohol); 1~5 중량%의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0.1~1 중량%의 세라마이드(Ceramide) 및 55~75 중량%의 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15 중량%의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 4 중량%의 부틸렌글라이콜; 0.1 중량 %의 잔탄검; 0.05 중량%의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8.4 중량%의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4 중량%의 스쿠알란; 2 중량%의 C12-20 알킬글루코사이드; 2 중량%의 C14-22 알코올; 2 중량%의 세틸알코올; 0.05 중량%의 세라마이드 및 62.4 중량%의 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포도 전정가지(grape pruning ste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려움증의 억제 또는 완화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가려움증의 억제 또는 완화용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은 가려움증 관련 사이토카인 IL-31 및 염증성 케모카인 IL-8의 발현을 저해하며,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히스타민의 방출을 저해하고,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여, 가려움증에 대한 억제 또는 완화 효과가 우수한 추출물이다.
상기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은 캠벨얼리 포도의 전정가지 추출물로, 추출물의 종류 및 제조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상기 가려움증의 억제 또는 완화용 약학 조성물에서, 상기 가려움증은 아토피 피부염, 두드러기, 건선, 자외선, 땀띠, 진무름, 동상 또는 노인 소양증 등으로 인한 가려움증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가려움증의 억제 또는 완화용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제, 외용제, 좌제 및 주사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 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 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 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분,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 사용된 포도 전정가지는 전라북도 정읍시 신태인읍 농업회사법인 (주)한스올가닉 포도농장에서 재배된 캠벨얼리 품종의 포도 전정가지를 사용하였다. 포도 전정가지를 물에 세척하고, 37~40℃의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분쇄기로 분쇄하였다. 포도 전정가지의 분쇄 분말 100 g에 80% 에탄올 2,000 ㎖을 가하여 1시간 초음파 추출하고 3일간 상온에서 방치 후 3,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상기 상층액은 0.45 ㎛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기에서 건조하여 회수하여 -20℃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2.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의 가려움증 관련 사이토카인 IL-31 및 염증성 케모카인 IL-8 생성 저해 효과
HMC-1 세포(human mast cell, 인간비만세포)를 6-웰 배양용기에 최종농도 5×105 개/㎖가 되도록 분주하여 37℃,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25, 50, 100 ㎍/㎖)을 1시간 동안 전처리한 후, 염증(알러지) 반응 유도 물질인 50 nM PMA(phorbl-12-myrsitate-13 acetate) 및 1 μM A23187로 자극하여 12시간 동안 배양하고, 상층액을 취한 다음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BioLegend(San Diego, 미국) 및 R&D systems(Minneapolis, 미국)가 제공하는 방법으로 IL-31 및 IL-8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염증 반응 유도 물질인 PMA 및 A23487를 처리한 군의 경우, IL-8 및 IL-31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전처리한 군에서는, 25 ㎍/㎖ 농도의 처리군을 제외한 50 및 100 ㎍/㎖ 농도 처리군에서는 IL-8 및 IL-31 생성량이 현저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1).
실시예 3.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의 전사인자 NF-κB 활성 저해 효과
HMC-1 세포를 100 mm 배양용기에 최종농도 5×105 개/㎖가 되도록 분주하고 37℃,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25, 50, 100 ㎍/㎖)을 처리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염증(알러지) 반응 유도 물질인 50 nM PMA 및 1 μM A23187로 자극하여 30분 동안 배양한 다음, PBS로 세척하고 세포를 배양용기로부터 떼어낸 후, 원심분리하여 세포 펠렛(pellet)을 얻었다. 상기 펠렛에 NE-PER 핵 및 세포질 추출 시약(clear and cytoplasmic extraction reagents kit, Pierce, 미국)을 사용하여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핵과 세포질의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상기 추출된 핵 단백질은 NF-κB 전사인자분석키트(NF-κB transcription factor assay kit)를 사용하여 제조사(Abcam, 미국)의 방법에 따라 전사인자 NF-κB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PMA 및 A23187을 처리한 군의 경우, NF-κB의 활성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의 25 ㎍/㎖ 농도 전처리군은 PMA 및 A23187를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NF-κB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의 50 및 100 ㎍/㎖ 농도 전처리군에서는 NF-κB의 활성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실시예 4.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의 히스타민(histamine) 방출 저해 효과
HMC-1 세포를 6-웰 배양용기에 최종농도 5×105 개/㎖가 되도록 분주하여 37℃,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25, 50, 100 ㎍/㎖)을 1시간 동안 전처리한 후, 염증(알러지) 반응 유도 물질인 50 nM PMA(phorbl-12-myrsitate-13 acetate) 및 1 μM A23187로 자극하여 12시간 동안 배양하고, 상층액을 취한 다음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제조사(BioLegend, 미국)의 방법에 따라 히스타민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PMA 및 A23187을 처리한 군의 경우, 히스타민 방출량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와는 대조적으로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처리한 군은 히스타민 방출량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실시예 5.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의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
HaCaT(인간각질형성세포) 세포를 96-웰 배양용기에 최종농도 2×105 개/㎖가 되도록 분주하고 37℃,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세포에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25, 50, 100 ㎍/㎖)을 1시간 전처리하고 1 mM tBHP를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EZ-Cytox 세포생존율 분석키트(EZ-Cytox cell viability assay kit)를 사용하여 제조사(DAEIL lab, 한국)의 방법에 따라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tBHP만 처리한 군의 경우, 세포 생존율이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고, 이와는 대조적으로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전처리한 군은 tBHP만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이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4).
실시예 6.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의 활성산소종(ROS) 생성 저해 효과
HaCaT 세포를 6-웰 배양용기에 최종농도 2×105 개/㎖가 되도록 분주하고 37℃,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25, 50, 100 ㎍/㎖)을 1시간 전처리한 후, 산화스트레스 유발 물질인 1 mM tBHP를 처리하여 30분 동안 배양하였고, 10 μM carboxy-H2DCFDA((5-(6)-carboxy-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를 처리하여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회수하여 인산완충식염수(PBS, phosphate buffered saline)로 2회 세척하고, 유세포분석기(CytoFLEX, 미국)를 사용하여 세포내 활성산소종(ROS,Reactive Oxygen Species)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tBHP만 처리한 군의 경우, ROS의 생성이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고, 이와는 대조적으로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처리한 군은 tBHP만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ROS의 생성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실시예 7.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의 말론디알데하이드(MDA) 생성 저해 효과
HaCaT 세포를 6-웰 배양용기에 최종농도 2×105 개/㎖가 되도록 분주하여 37℃,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25, 50, 100 ㎍/㎖)을 1시간 전처리하고 1 mM tBHP를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된 세포를 회수하여 인산완충식염수로 2회 세척하고 단백질을 분리한 다음, MDA(Malondialdehyde )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제조사(Cell Biolab, 미국)의 방법에 따라 MDA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tBHP만 처리한 군의 경우, 지질과산화물인 MDA의 생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고, 이와는 대조적으로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처리한 군은 tBHP만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MDA의 생성이 저해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6).
실시예 8.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의 글루타티온(GSH) 생성 및 과산화물제거효소(SOD) 활성 촉진 효과
HaCaT 세포를 6-웰 배양용기에 최종농도 2×105 개/㎖가 되도록 분주하여 37℃,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25, 50, 100 ㎍/㎖)을 1시간 전처리하고 1 mM tBHP를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된 세포를 회수하여 인산완충식염수로 2회 세척하고 단백질을 분리한 다음, GSH 분석키트(Glutathion assay kit) 및 SOD 분석키트(Superoxide Dismutase Assay Kit)를 사용하여 제조사(Cayman Chemical, 미국)의 방법에 따라 GSH 생성 및 SOD 활성을 측정하였다.
GSH의 생성을 분석한 결과,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tBHP만 처리한 군의 경우, 항산화물인 GSH의 생성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고,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의 25 ㎍/㎖ 농도를 처리한 군은 tBHP만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GSH의 생성이 유의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의 50, 100 ㎍/㎖ 농도에서는 GSH의 생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SOD의 활성을 분석한 결과, 무처리 대조군에 비해 tBHP만 처리한 군의 경우, 항산화효소인 SOD의 활성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와는 대조적으로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처리한 군은 tBHP만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효소인 SOD의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7). 상기의 결과를 통해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9. 가려움증 완화에 대한 임상 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조예 1과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을 제조한 화장료(크림) 조성물에 대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및 사용감 평가를 수행하였다. 아토피 병변을 갖고 있는 25세 미만의 피부질환자 20명을 2그룹으로 분류하여 한 그룹 당 10명씩 적용하였고, 아토피 피부염의 병변 부위에 크림을 각각 1일 3회씩 1주간 지속적으로 사용하였으며, 평가 점수는 10으로 나눈 값을 평가치로 하였다.
제조예 1 및 비교예 1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첨가 또는 미첨가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정제수,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 부틸렌글라이콜, 잔탄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를 혼합한 수상베이스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에 스쿠알란, C12-20 알킬글루코사이드, C14-22 알코올, 세틸알코올, 세라마이드를 혼합한 오일베이스를 56℃로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용해된 수상베이스와 오일베이스를 소량씩 주입하고 호모믹서(분당 3,000회)를 이용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크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7041777121-pat00001
상기 표 1의 제조예 1 및 비교예 1을 사용한 가려움증 억제,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사용감 평가를 위한 임상 실험의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Figure 112017041777121-pat00002
상기 표 2의 내용에 따르면, 본 발명의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크림)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가려움증 및 아토피 피부의 증상을 억제 및 완화하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7)

  1. 캠벨얼리(Campbell early) 포도 전정가지(grape pruning ste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려움증의 억제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캠벨얼리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은 캠벨얼리 포도의 전정가지를 물에 세척하고, 37~40℃의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분쇄한 후, 캠벨얼리 포도 전정가지의 분쇄 분말 100 g에 80% 에탄올 2,000 ㎖을 가하여 1시간 초음파 추출하고 3일간 상온에서 방치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 회수하고 회수된 상층액을 여과하여 제조된 것이며,
    상기 캠벨얼리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은 가려움증 관련 사이토카인 IL-31의 생성 억제 및 히스타민 방출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캠벨얼리(Campbell early) 포도 전정가지(grape pruning ste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려움증의 억제 또는 완화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캠벨얼리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은 캠벨얼리 포도의 전정가지를 물에 세척하고, 37~40℃의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분쇄한 후, 캠벨얼리 포도 전정가지의 분쇄 분말 100 g에 80% 에탄올 2,000 ㎖을 가하여 1시간 초음파 추출하고 3일간 상온에서 방치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 회수하고 회수된 상층액을 여과하여 제조된 것이며,
    상기 캠벨얼리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은 가려움증 관련 사이토카인 IL-31의 생성 억제 및 히스타민 방출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려움증은 아토피 피부염, 두드러기, 건선, 땀띠, 진무름, 동상 또는 노인 소양증 등에 의한 가려움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려움증의 억제 또는 완화용 약학 조성물.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외용제, 좌제 및 주사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려움증의 억제 또는 완화용 약학 조성물.
KR1020170054845A 2017-04-28 2017-04-28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가려움용 조성물 KR101986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845A KR101986629B1 (ko) 2017-04-28 2017-04-28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가려움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845A KR101986629B1 (ko) 2017-04-28 2017-04-28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가려움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906A KR20180120906A (ko) 2018-11-07
KR101986629B1 true KR101986629B1 (ko) 2019-06-07

Family

ID=64363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845A KR101986629B1 (ko) 2017-04-28 2017-04-28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가려움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6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329B1 (ko) * 2019-10-25 2020-03-12 장은정 자주방아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008B1 (ko) * 2019-08-23 2022-05-11 (주)다럼앤바이오 포도속 식물 또는 베리류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Applied Pharmacology, Vol. 9, Pages 188-193(공개일: 2001.)*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공개일: 2016. 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329B1 (ko) * 2019-10-25 2020-03-12 장은정 자주방아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906A (ko)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35486B1 (ko) 식물세포 발효 나노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개선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KR100772575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EP2711014B1 (en) Daphne genkwa extract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fractions of the extracts or compounds separated from the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KR101702056B1 (ko) 피부세포증식 촉진, 항산화 및 항알러지 효과가 우수한 알로에 베라 새순 농축물 또는 추출물
KR101302222B1 (ko) 아토피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식물성 혼합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34794B1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86629B1 (ko) 포도 전정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가려움용 조성물
KR20180130080A (ko) 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3792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190064714A (ko) 레몬머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KR102150927B1 (ko)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CN113350232B (zh) 含马齿苋、艾叶及红景天的混合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皮肤保护及刺激缓解用化妆品组合物
KR102342503B1 (ko) 루테올린 및 아피게닌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가려움용 조성물
KR101702621B1 (ko) 꽃잔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102017002B1 (ko) 금강송 간벌 부산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아토피 조성물
KR102642293B1 (ko) 거문도닥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96771A (ko) 플라티코딘 d를 함유하는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접촉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06982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백두산떡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540960B1 (ko) 무화과 효소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448072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병꽃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572769B1 (ko) 초고압 전처리된 메밀새싹 및 캐모마일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부 자극으로 손상된 두피 케어용 또는 스트레스성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16652B1 (ko)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자극 완화 및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6008B1 (ko) 레스베라트롤 쌀 또는 레스베라트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