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006B1 -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006B1
KR101794006B1 KR1020150158931A KR20150158931A KR101794006B1 KR 101794006 B1 KR101794006 B1 KR 101794006B1 KR 1020150158931 A KR1020150158931 A KR 1020150158931A KR 20150158931 A KR20150158931 A KR 20150158931A KR 101794006 B1 KR101794006 B1 KR 101794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lant
weight
extract
plan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758A (ko
Inventor
김종남
권보선
Original Assignee
(주)벤우코리아
우리들휴브레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벤우코리아, 우리들휴브레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벤우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58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00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5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6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4Ebenaceae (Ebony family), e.g. persim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녹차잎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감잎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오디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더덕 추출물, 오가피 추출물, 감초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ANTI INFLAMMATORY COMPRISING PLANT EXTRACT}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특히 알러지성(allergic) 피부염 또는 아토피 피부염에 유용한 염증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의약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염증이란 조직의 상해 또는 파괴에 의해 유발되는 국소 보호 반응을 의미한다. 이러한 염증은 상해 유발 물질과 상해된 조직 모두를 파괴하거나, 약화시키거나, 또는 차폐하는 작용을 한다.
구체적으로, 염증 반응에 의해 미세혈관이 천공되고, 혈액 성분이 틈새 공간으로 누출되고, 백혈구가 염증 조직으로 이동된다. 염증 반응의 결과, 홍반, 부종, 통각과민(민감성), 통증과 같은 임상적 증상들이 발생한다.
염증 반응에 따른 물리적 불편함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약학적 제제들이 투여된다. 이러한 제약학적 제제들을 항염증성 약제라 하며, 항염증성 약제는 광범위한 질병의 치료에 사용된다.
대표적인 항염증성 약제로 스테로이드 물질이 있다. 그런데 스테로이드 물질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65498호(2004.07.22. 공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여러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테로이드계 물질의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해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성 약제들이 개발되어 왔다. 널리 사용되는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성 약제로 살리실산염이 있다. 살리실산염계의 항염증성 약제의 대표적인 예로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아스피린이 있다. 하지만, 살리실산염계의 항염증성 약제도 여러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고 우수한 항염 효능을 갖는 물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품, 식품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식물로부터 추출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식물은, 녹차잎, 은행잎, 감잎, 산수유, 오디, 민들레, 자소엽, 더덕, 오가피, 감초, 도라지 및 개똥쑥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물의 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녹차잎은 6 내지 12 중량%, 상기 은행잎은 6 내지 12 중량%, 상기 감잎은 6 내지 12 중량%, 상기 산수유는 6 내지 12 중량%, 상기 오디는 5 내지 10 중량%, 상기 민들레는 5 내지 10 중량%, 상기 자소엽은 5 내지 10 중량%, 상기 더덕은 6 내지 12 중량%, 상기 오가피는 6 내지 12 중량%, 상기 감초는 5 내지 10 중량%, 상기 도라지는 5 내지 10 중량%, 및 상기 개똥쑥은 5 내지 9 중량%의 함량을 갖는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알코올, 아세트산, DMFO (dimethyl-formamide), DMSO(dimethy sulfoxide),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펜탄, 헥산, 클로로포름, 디에틸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용매로 추출된 것이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물로 추출된 것이다.
상기 염증은 알러지성 피부염 또는 아토피 피부염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염증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용 의약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염증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염증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물,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알콜, 색소, 방부제 및 향료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개선, 지루(seborrhea) 개선, 건선(psoriasis)개선, 여드름(acne)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건조된 식물을 분쇄하여 식물 건조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식물 건조분말과 용매를 증류기에 투입한 후, 증류기를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에 의해 상기 증류기로부터 발생되는 증기를 채집 및 냉각하여 증류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된 식물은, 녹차잎, 은행잎, 감잎, 산수유, 오디, 민들레, 자소엽, 더덕, 오가피, 감초, 도라지 및 개똥쑥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증기 채집은 상기 용매가 95℃ 내지 105℃로 가열된 상태에서 100 내지 150분간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증 개선용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며, 부작용이 적고 염증 반응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도 1a 및 1b는 인간비만세포(HMC-1) 배양액에 포함된 염증 인자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2a 내지 2d는 도 2b는 웨스턴 블랏(Western blot)법을 이용하여 염증 인자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a 내지 3d는 염증 관련 유전자의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 제조예 및 시험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바, 특정의 실시예만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그렇다고 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추출물(extract)"은 어떠한 물질로부터 분리된 활성 성분을 의미한다. 또한, 추출물은 활성 성분과 활성 성분의 추출에 사용된 추출 용매를 포함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어떠한 물질로부터 추출된 활성 성분이 추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되어 있는 경우, 추출물은 활성 성분과 추출 용매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식물 추출물(plant extract)은 식물로부터 분리된 활성 성분을 의미한다. 용매를 이용하여 식물의 활성 성분이 추출된 경우, 식물 추출물은 추출 용매와 식물로부터 분리된 활성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식물 추출물은, 추출액, 이의 건조 분말 및 이를 이용하여 제형화된 상태의 가공물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식물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조추출물(crude extract)뿐만 아니라, 조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식물 추출물은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얻어진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어진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도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녹차잎, 은행잎, 감잎, 산수유, 오디, 민들레, 자소엽, 더덕, 오가피, 감초, 도라지 및 개똥쑥을 포함하는 식물로 추출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녹차잎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감잎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오디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더덕 추출물, 오가피 추출물, 감초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및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식물은, 식물의 총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6 내지 12 중량%의 녹차잎, 6 내지 12 중량%의 은행잎, 6 내지 12 중량%의 감잎, 6 내지 12 중량%의 산수유, 5 내지 10 중량%의 오디, 5 내지 10 중량%의 민들레, 5 내지 10 중량%의 자소엽, 6 내지 12 중량%의 더덕, 6 내지 12 중량%의 오가피, 5 내지 10 중량%의 감초, 5 내지 10 중량%의 도라지 및 5 내지 9 중량%의 개똥쑥을 포함한다.
이하 각각의 식물 성분을 설명한다.
(1) 녹차 잎은 차 나무의 잎이다. 차나무는 상록관엽수(常綠觀葉樹)로 가을에 다섯 잎의 흰 꽃이 피며 동백 씨앗 같은 열매를 맺는다. 늘 푸른 사철나무로 보통 높이는 60∼90cm이나 10m 이상의 것도 있는데 잎은 길게 둥글고 질기며 겉면은 평평하고 미끄럽고 광택이 난다. 이 차나무의 잎을 녹차 또는 녹차 잎이라고 하며, 녹차 잎을 불에 잘 덖거나 쪄서 말린 후 물에 낸 것을 녹차라 한다. 녹차 잎에는 비타민, 카테킨, 무기질 등이 풍부하다.
(2) 은행잎은 은행나무의 잎이다. 은행잎은 부채 모양으로 가운데가 갈라져 있으며 여름에는 흐린 회녹색에서 황록색을 띠나 가을에는 황금색으로 바뀐다. 심장병 치료에 효능이 있는 성분이 들어 있다.
(3) 감잎은 감나무의 잎이다. 감잎으로 만든 차는 현대인의 성인병을 예방해 주고 미용, 건강을 지켜 주는 대용 차로 각광을 받고 있다. 감잎은 섬유질 단백질 비타민 등을 포함한다.
(4) 산수유는 산수유나무의 열매로, 건조시킨 것은 한방의 약재로 사용된다. 가을에 완전히 익은 열매를 채취하여 씨를 빼고 건조시킨다. 산유수는 타르타르산, 말산, 당분, 수지 등을 포함한다. 산수유는 주로 간과 신장의 경락에 작용하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 독이 없다.
(5) 오디는 뽕나무의 열매이다. 뽕나무는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하는 낙엽 활엽교목으로 키가 10m에 이른다. 잎은 난형으로 다소 두껍고 광택이 있다. 잎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길이가 2~3㎝ 정도이다. 오디는 6월에 흑자색으로 익는다. 뽕나무 잎은 누에를 기르는 데 쓰며, 열매인 오디는 날것을 먹거나 술을 담가 먹는다.
(6) 민들레는 국화과(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이다. 쌍떡잎 식물로 잎은 날개깃처럼 갈라졌으며 뿌리에서 나와 땅 위를 따라 옆으로 퍼진다. 노란색의 꽃이 4~5월에 두상꽃차례를 이루어 피는데, 이 꽃차례는 잎 사이에서 나온 꽃줄기 위에 만들어지며 꽃줄기는 길이가 30㎝ 정도이다. 열매는 납작한 수과로 흰색 갓털이 붙어 있다. 식물 전체를 캐서 말려 한방에서 소화를 돕는 약재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민들레는 식물 전체가 사용된다.
(7) 자소엽은 꿀풀과에 딸린 한해살이풀로, 차조기, 차즈기, 소엽이라고도 한다. 자소엽은 전체가 자줏빛을 띠고 향기가 있으며, 키는 약 30cm이며, 잎은 넓은 달걀형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자소엽의 잎이 사용된다.
(8) 더덕은 초롱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덩굴식물이다. 사삼(沙蔘)이라고도 한다. 다른 식용 식물에 비해 칼슘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인삼처럼 사포닌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것이 약효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더덕의 뿌리가 사용된다.
(9) 오가피는 인삼과 같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오갈피라고도 하며 한국, 중국, 러시아 등에서 생산된다. 동의보감과 본초강목에 의하면 오가피 뿌리, 줄기 및 가지의 껍질 등을 장기 복용하면 몸을 가볍게 한다고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오가피의 줄기가 사용된다.
(10) 감초는 콩과(―科 Leguminosae)에 속하는 다년생초이며, 시베리아, 몽골, 중국 동부와 북부 등에서 자란다. 감초의 줄기는 곧추서고 털이 덮여 있으며, 잎은 7~17장의 잔잎으로 이루어진 겹잎 구조이다. 7~8월에 연한 보라색 꽃이 잎겨드랑이에 핀다. 감초의 열매는 협과로 열리며 활처럼 구부러지고 밤색 털로 덮여 있다. 뿌리를 햇볕에 말린 것을 감초라고 하는데 맛이 달고 특이한 냄새가 나 한약의 독한 냄새와 맛을 없애는 데 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감초의 뿌리줄기가 사용된다.
(11) 도라지는 초롱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 또는 그 뿌리이다. 도라지는 온대지방의 평지 및 해발 1,000m 정도에 이르는 산지의 양지바른 곳에서 자란다. 도라지의 줄기의 높이는 40∼100㎝로 곧추서고, 뿌리는 먹을 수 있으며 굵고 짧게 자라며, 잎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8∼9월이면 다섯쪽으로 갈라진 통꽃이 피는데, 보통은 청자주색을 띠나 흰색의 꽃이 피는 것도 있다. 도라지 뿌리에는 당질ㅇ칼슘ㅇ철분이 많고 섬유질이 풍부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도라지의 뿌리가 사용된다.
(12) 개똥쑥은 국화과의 한해살이 풀이다. 개똥쑥의 잎 길이는 대략 4~7cm이며 표면에 잔털과 선점이 있다. 개똥쑥은 대략 1m까지 자라며 가지가 많이 나고 줄기에는 털이 없다. 6~8월에 꽃이 피며 원추 형태로 꽃이 달린다. 꽃은 반구형태이며 황색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개똥쑥의 줄기와 잎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용매 및 식물의 건조분말을 이용한 용매 추출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용매 추출에는 천연물 또는 생약을 추출할 때 적용되는 방법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공지된 추출방법으로부터 용도에 맞는 적절한 추출방법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식물 추출물의 제조를 위해, 식물을 건조 및 분쇄하여 얻어진 식물의 건조 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식물의 건조 분말은, 건조 분말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6 내지 12 중량부의 녹차잎 분말, 6 내지 12 중량부의 은행잎 분말, 6 내지 12 중량부의 감잎 분말, 6 내지 12 중량부의 산수유 분말, 5 내지 10 중량부의 오디 분말, 5 내지 10 중량부의 민들레 분말, 5 내지 10 중량부의 자소엽 분말, 6 내지 12 중량부의 더덕 분말, 6 내지 12 중량부의 오가피 분말, 5 내지 10 중량부의 감초 분말, 5 내지 10 중량부의 도라지 분말 및 5 내지 9 중량부의 개똥쑥 분말을 포함한다.
용매 추출에 적용될 수 있는 용매로, 예를 들어, 물, C1~C4의 알코올, 아세트산, DMFO(dimethyl-formamide), DMSO(dimethy sulfoxide),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펜탄, 헥산, 클로로포름, 디에틸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 등이 있다. 여기서, C1~C4의 알코올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등이 있다.
식물 추출물 제조를 위한 용매로 특히 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에탄올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예를 들어 열탕 추출법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식물 추출물 제조에 사용되는 식물들을 모두 혼합하여 한꺼번에 추출을 진행하거나, 개개 식물들을 최적의 조건에서 추출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들을 혼합하여 식물 추출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건조된 식물을 분쇄하여 식물 건조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식물 건조분말과 용매를 증류기에 투입한 후, 증류기를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에 의해 상기 증류기로부터 발생되는 증기를 채집 및 냉각하여 증류 원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식물 건조 분말 혼합물을 면주머니에 담아 증류기에 투입한 후, 약 10 내지 20배 부피의 물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물이 끓으면서 생기는 증기를 수집 및 냉각하여 증류 원액을 제조함으로써 식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증류 원액이 식물 추출물이며, 증기 채집은 용매가 95℃ 내지 105℃로 가열된 상태에서 100 내지 150분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증기를 냉각시킨 후, 필터링에 의해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식물 추출물 제조를 위해 용매로 물이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식물 건조 분말을 물에 가하여 혼합물을 만든 후, 혼합물을 70℃ 이상, 또는 80℃ 이상의 온도에서 2 시간 이상, 필요한 경우 3시간 이상 가열하고, 가열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추출액 상태의 식물 추출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지나치게 높은 온도에서 혼합물을 가열하는 경우 추출 시간은 줄어들지만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고, 낮은 온도에서 가열하게 되면 식물의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추출 온도와 추출 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추출액을 건조하여 사용하거나 추출 상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나일론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걸러 내거나 냉동 여과법 등을 이용하여 여과를 진행할 수 있다.
건조 방법으로,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식물 추출물 자체가 염증 개선용 조성물이 될 수도 있고, 또는, 이러한 식물 추출물에 다른 유효 성분이 추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염증 개선용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에 더하여 항염 활성을 저해하지 않는 다른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염증 개선용 조성물에서 식물 추출물의 함량은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염증 개선용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50.0 중량%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염증 단백질인 TNF-α 또는 인터류킨-6(IL-6)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항염 활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인체 피부에 안전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된다(시험예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염증 개선용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지루 (seborrhea), 건선 (psoriasis), 여드름 (acne) 등과 같이 염증 반응을 동반하는 피부질환 관련 제품, 자극완화 또는 피부 진정 등을 위한 의약품, 식품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염증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은 그 제형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경구용 제제, 비경구용 제제, 국소투여용 제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용 제제는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구용 제제 중 액상제제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있다. 이러한 경구용 액상제제는 희석제인 물 또는 리퀴드 파라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용 제제로 연고제, 스프레이제, 로션제, 패취제, 패드제, 크림제 등이 있다.
국소 투여용 제제로 주사제가 있다. 주사제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염증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염증 개선용 조성물을 농산물, 축산물 또는 수산물에 첨가하여 가공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품의 예로, 과자, 음료, 주류, 발효식품, 통조림, 우유가공식품, 육류가공식품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품은 건강식품을 포함한다. 건강 식품은 기능성 식품 또는 건강 보조식품이라고도 한다. 건강식품은 정제, 캡술제, 분말, 과립, 액상제, 환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항염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개선, 지루(seborrhea) 개선, 건선(psoriasis)개선, 여드름(acne)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항염 개선용 조성물에 더하여 유지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활성제, 알코올, 유기 안료,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색소, 향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그 성분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화장료인 경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품에 배합되는 성분들인 물,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저급알콜, 색소, 방부제, 향료와 같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보습제로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보습제, 지용성 고분자 보습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에몰리언트제로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린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연고, 크림, 로션, 스프레이, 토닉,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시험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제조예 또는 시험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식물 추출물의 제조
먼저, 식물 재료, 즉, 녹차 잎, 은행잎, 감잎, 산수유, 오디(뽕나무 열매), 민들레, 자소엽, 더덕, 오가피, 감초, 도라지 및 개똥쑥을 준비한다.
준비된 각각의 식물 재료를 6일 동안 15℃~20℃가 유지되는 그늘에서 1차 건조하여 반 건조물을 만든다. 1차 건조된 반 건조물을 25℃이상의 온도에서 햇볕에 3일간 재 건조하여 건조물을 만든다.
건조된 각각의 식물 재료 및 파쇄기를 이용하여 각 식물별 건조 분말을 제조하고, 아래 표 1의 함량비에 따라 각각의 건조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된 식물의 건조분말(이하 "식물 건조분말"이라 한다) 1kg을 제조한다.
종류 식물명 사용부분 함량비(건조 중량%)
녹차잎 Green-tea leaf 9
은행잎 Ginkgo leaf 9
감잎 Persimmon leaf 9
산수유 cornus fruit 열매(fruit) 9
뽕나무 mulbery 열매(fruit) 7.8
민들레 dandelion 전체 7.8
자소엽 Perilla frutescens 7.8
더덕 deodeok 뿌리 9
오가피 acanthopanax 줄기 9
감초 liquorice 줄기 7.8
도라지 platycodon 뿌리 7.8
개똥쑥 Artemisia annua 줄기, 잎 7
한편, 건조된 각각의 식물을 필요한 양만큼 파쇄기에 혼합 투입하고 분쇄하여 식물 건조분말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식물 건조분말 1kg을 면주머니에 담아 증류기에 투입한 후, 물 20리터를 첨가하고 가열한다. 가열에 의해 물이 끓으면서 생기는 증기를 냉각하여 증류 원액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100℃에서 120분간 가열하여 생기는 증기를 냉각시킨 후, 필터링에 의해 불순물을 제거하여 증류 원액을 만든다. 이와 같이 얻어진 증류 원액을 식물 추출액 또는 "식물 추출물 12"라 한다.
<시험예 1> 염증인자의 감소 확인
염증 반응의 예로, 알러지 반응(allergic response)이 있다. 알러지 반응(allergic response)은 자가면역질환 (autoimmune disease), 교원병(collagen disease)등을 포함한다. 알러지 반응에 의한 질환으로 아나필락시스 쇼크, 알레르기성 비염, 화분증, 기관지 천식, 약제 알레르기, 두드러기, 습진,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등이 있다. 이러한 알러지성 질환의 대표적인 예로 아토피성 질환 (atopic disease)이 있다.
알러지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인 알레르겐(allergen)에 의해 유도되는데, 인체에서 알레르겐이 작용하면, 비만세포(mast cells)의 과도한 활성화 등의 면역불균형(immune disorder)에 의한 급성 및 만성 염증 반응(acute/chronic inflammatory response)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세포는 아토피 피부염을 비롯한 대부분의 알러지성 질환에서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을 일으키는 핵심적 세포로 알려져 있다. 인간 비만세포는 에를리히(Ehrlich)에 의해 처음 관찰, 명명 되었는데 결합조직에 많이 존재하며, 다른 세포와 달리 크고 굵은 과립을 함유하고 있다.
면역학적 또는 비면역학적 자극에 의하여 활성화된 비만세포는 세포질 과립에 저장된 매개물질들(히스타민, 헤파린, 세로토닌, 가수분해효소 등)과 많은 사이토킨(cytokine)을 분비하여 여러 면역반응과 염증 반응에 관여한다. 특히, 인터류킨-8(Interleukin-8, IL-8)은 염증조직 안으로 호중구를 보충해 주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염증성 매개자 이며, 자극원의 자극에 의해서 강력하게 활성화 된다.
비만세포는 또한, 다양한 염증성 질환에서 염증 반응의 개시와 유지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비만세포는 항 면역글로불린 E(anti-IgE)를 비롯한 칼슘 이오노포어(calcium ionophore) A23187, 포르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 (phorbol myristate acetate, PMA)와 화합물 48/80(compound 48/80)과 같은 면역학적 및 약리학적 자극원에 의해 활성화된다. 비만세포가 활성화되면, 종양 괴사 인자 알파(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인터류킨-1(interleukin-1, IL-1), 인터류킨-6(IL-6), 인터류킨-8(IL-8)과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inflammatory cytokines)이 생성될 뿐만 아니라 히스타민과 같은 가려움 유발물질(pruritogen)이 방출된다. 이와 같이, 비만세포 유래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염증 반응을 더욱 촉진시키며, 히스타민과 같은 가려움 유발물질은 가려움증을 더욱 촉진시켜 피부장벽을 붕괴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부작용 없이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가려움 매개물질을 억제시킬 수 있는 물질 및 아토피 피부염을 비롯한 각종 알레르기성 질환을 제어하는 물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식물 추출물 12"가 이러한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지 in vitro 실험을 통해서 확인한다.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식물 추출물 12의 항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in vitro 시험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비만세포(HMC-1)에 염증유도물질인 포르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 (phorbol myristate acetate, PMA)와 칼슘 이오노포어(calcium ionophore) A23187의 혼합물(이하 "PMACI")를 5시간 처리하여 염증을 유발하고, 식물 추출물 12가 염증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염증 저해 확인을 위해 인간비만세포(HMC-1)에 발생된 염증 물질의 양을 측정하였다.
(1) 인간비만세포(HMC-1)의 배양
인간비만세포(HMC-1)를 현탁 배향(Suspension culture)한다.
구체적으로, 12웰 플레이트(12 well plate)의 각 웰(well)에 인간비만세포(HMC-1)를 1x106개씩 분주(seeding)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여 시료를 제조한다. 배양을 위해 IMDM(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기저 배지(basal medium)에 10%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과 1% 항생제(antibiotics)를 첨가한 배양액이 사용된다.
(2) 염증유발
염증유발을 위해, 인간비만세포(HMC-1)를 배양하는 시료에 PMACI(phorbol 12-myristate 13-acetate(PMA)와 calcium ionophore A23187의 혼합물)을 첨가한다. 구체적으로, 1uM의 PMA와 40nM의 A23187를 첨가하고, 37℃, 5% CO2 농도에서 5시간 배양한다.
이때, 염증 유발 감소 시험을 위해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식물 추출물 12가 첨가된다.
구체적으로, 염증이 유발되지 않은, 즉, PMACI가 첨가되지 않은 시료를 대조군이라 하고, PMACI는 첨가되지만 식물 추출물 12가 첨가되지 않은 시료를 비교군이라 하고, PMACI 및 식물 추출물 12가 첨가된 시료를 시험군이라 한다. 시험군은, 식물 추출물 12가 1% 농도로 처리된 시험군 1, 10% 농도로 처리된 시험군 2 및 20% 농도로 처리된 시험군 3을 포함한다.
(3) in vitro 확인 시험
시험군, 비교군 및 대조군 시료의 배양 배지 상층액(supernatant)과 세포에서 추출된 RNA, 단백질을 이용하여 염증 인자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엘리사 키트(Elisa kit)을 이용하여, 인간비만세포(HMC-1) 배양액에 포함된 발현된 염증 단백질을 확인한다. 엘리사 키트(Elisa kit)로 TNF-α Elisa kit (AbFrontier LF-EK0193) 및 IL-6 Elisa kit (LF-EK0260)가 사용된다.
도 1a 및 도 1b는 염증 인자의 농도 측정 결과이다.
도 1a에 TNT-α의 흡광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 IL-6의 흡광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와 도 1b는 450nm의 파장을 갖는 빛에 대한 대조군, 비교군 및 시험군의 상대적인 흡광도를 나타낸다.
ELISA법(Elisa kit)을 이용한 확인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식물 추출물 12를 10% 처리한 시험군 2와, 20% 처리한 시험군 3에서의 염증 단백질(염증 인자)인 TNF-alpha는 20% 이상, IL-6는 10% 이상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a, 2b, 2c 및 2d는 웨스턴 블랏(Western blot)법을 이용하여 염증 인자를 확인한 결과이다.
웨스턴 블랏(Western blot)법에 따라, 인간비만세포(HMC-1)에서 추출된 단백질 20ug을 SDS 젤에 로딩하고, PVDF membrane에 옮긴 후, 염증관련 특정 단백질인 TNF-α 및 IL-6를 검출한다. 이때, 단백질량의 비교를 위해 액틴(actin) 단백질이 사용된다. 액틴 단백질은 염증 인자와 상관없이 세포에 존재하는 단백질로, 액틴 단백질의 농도는 세포량과 비례한다.
도 2a 및 2b는 대조군, 비교군 및 시험군에 포함된 염증 관련 단백질인 TNF-α와 IL-6의 농도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또한, 도 2c 및 2d는 액틴 단백질의 흡광도와 비교한 대조군, 비교군 및 시험군의 상대적인 흡광도를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대조군과 비교하여 식물 추출물 12를 10%한 처리한 시험군 2와, 20%를 처리한 시험군 3에서 TNF-α의 양이 40%, IL-6의 양이 20% 이상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a, 3b, 3c 및 3d는 PCR법을 이용하여 염증 관련 유전자의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인간비만세포(HMC-1)로부터 추출된 RNA 1μg을 정량하고 cDNA를 합성한 후, 염증관련 유전자를 증폭시켜 그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이 때 프라이머로 Gapdh가 사용된다. 도 3a 내지 3d를 참조하면, 대조군과 비교하여 식물 추출물 12를 10% 처리한 시험군 2와, 20% 처리한 시험군 3에서 TNF-α, IL-1 및 IL-4의 발현량이 각각 50%, 40% 및 50% 정도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식물 추출물 12를 이용하여 하기 배합비로 다양한 제형의 제품 및 조성물을 제조한다.
<제조예 2> 정제의 제조
성분 함량
식물 추출물 12 (제조예 1) 100mg
유당 200mg
전분 2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표 2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3> 캡슐제의 제조
성분 함량
식물 추출물 12 (제조예 1) 100mg
유당 50mg
전분 50mg
탈크 2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표 3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4> 액제의 제조
성분 함량
식물 추출물 12 (제조예 1) 1000mg
설탕 20g
이성화당 20g
계피향 적량
정제수 to 1000ml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표 4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이때 계피향 대신 다른 향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레몬향과 같은 과일향을 사용할 수도 있고 한약재향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조예 5> 음료의 제조
성분 함량
식물 추출물 12 (제조예 1) 1000 mg
비타민 A 0.1 m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C 10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 to 1000ml
통상의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표 5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음료 제조에 사용한다.
표 5의 비타민 및 무기질 혼합물의 조성비는 임의로 변형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통상의 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표 5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이를 다른 식품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표 5의 조성비는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 제조예 6> 유연화장수
유연화장수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표 6의 조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식물 추출물 12 (제조예 1) 5.0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PEG 1500 1.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이.디.티.에이-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3.0
에탄올 10.0
옥틱도데세스-16 0.2
폴리솔베이트 20 0.1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7> 수렴화장수
수렴화장수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표 7의 조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식물 추출물 12 (제조예 1) 1.5
글리세린 2.0
1,3-부틸렌글리콜 2.0
알란토인 0.2
DL-판테놀 0.2
이.디.티.에이-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3.0
에탄올 15.0
폴리솔베이트 20 0.3
구연산 미량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8> 크림
크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표 8의 조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식물 추출물 12 (제조예 1) 1.5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세틸아릴알콜 2.2
스테아린산 1.5
밀납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경화식물유 1.0
스쿠알란 3.0
광물유 5.0
트리옥타노인 5.0
디메치콘 1.0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글리세린 5.0
베타인 3.0
트리에탄올아민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9> 에센스
에센스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표 9의 조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식물 추출물 12 (제조예 1) 5.0
글리세린 10.0
베타인 5.0
피이지 1500 2.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이.디.티.에이-2Na 0.02
벤조페논-9 0.04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소듐히아루로네이트 8.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틸도데칸올 0.3
옥틸도데세스-16 0.4
에탄올 6.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10> 팩
팩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표 10의 조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식물 추출물 12 (제조예 1) 3.0
폴리비닐알콜 15.0
셀룰로오스 검 0.15
글리세린 3.0
피이지1500 2.0
사이크로데스트린 0.15
DL-판테놀 0.4
알란토인 0.1
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0.3
니코틴아미드 0.5
에탄올 6.0
피이지 40 경화피마자유 0.3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식물 추출물은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물질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은 부작용 없이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물질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발명이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식물 재료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녹차잎 6 내지 12 중량%, 은행잎 6 내지 12 중량%, 감잎 6 내지 12 중량%, 산수유 6 내지 12 중량%, 오디 5 내지 10 중량%, 민들레 5 내지 10 중량%, 자소엽 5 내지 10 중량%, 더덕 6 내지 12 중량%, 오가피 6 내지 12 중량%, 감초 5 내지 10 중량%, 도라지 5 내지 10 중량% 및 개똥쑥 5 내지 9 중량%을 함유하는 식물 재료로부터 추출되는 식물 추출물로서,
    물에 상기 식물 재료를 넣고 가열한 후 발생된 증기를 냉각하여 얻어진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은 95 내지 105℃에서 100 내지 15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인 염증 개선용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은 알러지성 피부염 또는 아토피 피부염인 염증 개선용 조성물.
  6. 제1항의 염증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용 의약품.
  7. 제1항의 염증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식품.
  8. 제1항의 염증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알러지성 피부염 치료용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물,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알콜, 색소, 방부제 및 향료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10. 삭제
KR1020150158931A 2015-11-12 2015-11-12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1794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931A KR101794006B1 (ko) 2015-11-12 2015-11-12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931A KR101794006B1 (ko) 2015-11-12 2015-11-12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758A KR20170055758A (ko) 2017-05-22
KR101794006B1 true KR101794006B1 (ko) 2017-11-07

Family

ID=59049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931A KR101794006B1 (ko) 2015-11-12 2015-11-12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0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588A (ko) 2021-03-05 2022-09-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패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456B1 (ko) * 2018-05-30 2019-07-0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엠제이푸드 도라지 티백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도라지 티백차
KR102145297B1 (ko) * 2018-12-06 2020-08-18 주식회사 진셀팜 청호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및 무화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염 조성물
KR102162134B1 (ko) * 2018-12-13 2020-10-06 박서영 개똥쑥 추출물을 이용한 맛과 약효를 극대화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883B1 (ko) * 2008-12-12 2010-09-16 주식회사 아데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05599B1 (ko) * 2013-12-09 2015-03-30 하재순 친환경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개선용 크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883B1 (ko) * 2008-12-12 2010-09-16 주식회사 아데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05599B1 (ko) * 2013-12-09 2015-03-30 하재순 친환경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개선용 크림 및 그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약학회.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2001년 10월 1일, pp. 209, PC1-2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588A (ko) 2021-03-05 2022-09-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패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758A (ko) 201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998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KR20110134719A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21617B1 (ko) 멀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102304498B1 (ko) 항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tgev)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20180110939A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1367423B1 (ko)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84660B1 (ko) 프로폴리스, 로얄젤리 및 꿀을 포함하는 천연물의 효소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12249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US20190000905A1 (en) Gynostemma pentaphyllum fermented extracts comprising Saponins as an active functional food ingredi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11079754A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及び保湿剤
KR20180130080A (ko) 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67295B1 (ko) 한방발효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체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80887B1 (ko) 하늘타리 추출물 및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6176436A (ja) Scf発現阻害剤
KR102150927B1 (ko)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102099147B1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14133B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496926B1 (ko) 황금, 황련, 황백, 작약 및 루이보스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 예방 및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5142B1 (ko) 조팝나무, 배나무, 뱀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64249B1 (ko) 사상자 추출물 및 카퍼트리펩타이드-1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95765A (ko) 현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JP5896618B2 (ja) メラニン産生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