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982B1 - 곡정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곡정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982B1
KR102309982B1 KR1020160139499A KR20160139499A KR102309982B1 KR 102309982 B1 KR102309982 B1 KR 102309982B1 KR 1020160139499 A KR1020160139499 A KR 1020160139499A KR 20160139499 A KR20160139499 A KR 20160139499A KR 102309982 B1 KR102309982 B1 KR 102309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opic dermatitis
lotion
extract
cream
improving atop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5933A (ko
Inventor
김민지
노윤화
이경은
남진주
박지은
강승현
김연준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9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982B1/ko
Publication of KR20180045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Y10S514/857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정초(Eriocaulon buergerian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는 싸이토카인인 TSLP 및 염증성 케모카인인 MDC 및 TARC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곡정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Skin external prepara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extract of Eriocaulon buergerianum}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곡정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 피부염은 심한 가려움증을 가지는 만성의 염증성 피부상태를 나타내는 피부 질환으로 대게 영· 유아기간에 나타나 어른이 되어서도 지속 되거나 일생 동안 지속 되기도 한다. 어린이의 10-20%, 어른에게서는 1-3%의 유발율을 보이고, 이는 지난 30년간 2-3배 증가하였고, 최근에는 성인에서도 유발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런 아토피 피부염으로 인해 불면, 정서장애, 학습장애 및 사회적 활동의 어려움 등이 나타날 수 있는데, 유전적인 요소와 함께 면역학적, 생리학적 생화학적 유발 등의 복합적인 요인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현재까지는 그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박영립 등, 대한피부연구학회지, 2007, 14(3), 67-72).
아토피 피부염의 70-80%를 차지하는 외인성 피부염은 IgE 관련 면역기전에 의해 발생되는데, 이 경우 T세포 이상에 의한 지연성 면역 반응이 관여한다는 보고들이 많다. 아토피 피부염이 발생한 부위에는 대식세포, Th 림프구, 비만세포 등 면역관련 세포의 침윤이 크게 증가한다.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는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경우 혈중 IgE의 농도가 높은데 이는 Th2 세포의 수가 증가하며 이 세포가 분비한 IL-4, 13 등 Th2 사이토카인의 B 림프구 자극을 통해 IgE 분비를 촉진하기 때문이다. 특히 초기 아토피 피부염의 경우 IL-4, IL-13이 중요하게 작용한다(Donald Y.M. Leung et al., J Clin Invest. 2004, 113, 651-657).
근래의 보고에 의하면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TSLP)가 아토피 피부염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각질형성세포에서는 TSLP의 농도가 증가한데 반해, 다른 피부염에서는 그 농도가 정상과 비슷하여 아토피 피부염에 특이한 인자로 알려지고 있다. TSLP는 물리·화학적인 자극에 노출된 각질형성세포에서 증가한 pro-inflammatory cytokine과 Th2 cytokine에 의해 증가한다(Eric B. Brandt et al. J Clin Cell Immunol, 2011, 2(3)). 이렇게 증가한 TSLP는 CD11c+ 수지상 세포를 활성화 시키고, 활성화된 수지상세포는 T세포로부터 케모카인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TARC)와 macrophage-derived chemokine(MDC)를 Th2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촉진시킨다. (Sarah R et al., Cell, 155, 285-295).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를 위해서는 보습제를 꾸준히 바르고, 심할 때는 스테로이드 연고나 항히스타민제를 처방한다. 이는 일시적으로 증상을 완화해주는 효과는 있으나 스테로이드 호르몬제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피부가 위축되거나 모세혈관이 확장될 수 있고, 오히려 피부장벽기능의 약화 및 골다공증 유발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아토피 치료에는 뛰어난 효과는 있으면서 부작용은 적은 새로운 기작의 아토피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곡정초”는 Eriocaulon buergerianum의 꽃줄기에 달려있는 꽃차례로서, 풍(風)과 열(熱)을 없애고 눈을 밝게 해주고 눈에 생긴 예막(膜)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는 약재이다. 또한 곡정초의 약리활성 측면에서는 항암활성, 항진균 활성에 대한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곡정초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곡정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경우,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는 싸이토카인인 TSLP 및 염증성 케모카인인 MDC 및 TARC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KR 10-2009-0098732 A KR 10-2005-0063164 A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는 싸이토카인인 TSLP 및 염증성 케모카인인 MDC 및 TARC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 곡정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곡정초(Eriocaulon buergerian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곡정초”는 Eriocaulon buergerianum의 꽃줄기에 달려있는 꽃차례로서, 곡정초의 약리활성 측면에서 항암활성, 항진균 활성에 대한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항바이러스용, 피부노화개선용 및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도로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곡정초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탄소수 3 내지 6의 다가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구입한 곡정초를 건조 및 분말화 한 후, 시료 중량의 약 1~ 20배에 달하는 부피의 70% 에탄올을 가하여 70 내지 90℃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환류냉각 열탕 추출을 실시하고, 30 내지 50℃에서 감압농축장치로 농축하여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3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량을 벗어날 경우, 조성물의 안전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TSLP(thymic stromal lymphopoietin)의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SLP는 사이토카인에 속하는 단백질로 항원전달세포의 활성을 통해 T 세포 성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근래의 보고에 의하면 TSLP는 아토피 피부염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각질형성세포에서는 TSLP의 농도가 증가하는데 반해, 다른 피부염에서는 정상과 비슷하여 아토피 피부염에 특이한 일자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아토피 피부염과 직· 간접적으로 관련 있는 TSLP의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TSLP를 유도하는 PolyI:C 및 IL-4와 함께 곡정초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과 발현된 TSLP, MDC 및 TARC가 곡정초 추출물에 의해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조성물은 PolyI:C 및 IL-4에 의해 증가된 TSLP의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 예방 및 개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실험예 1).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연고,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고체상 등 다양한 성상으로 적용가능하다 (제형예 1, 2).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곡정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의 병리적인 면역기전인 TSLP, MDC 및 TARC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켜 궁극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곡정초 추출물 처리 시 TSLP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실험예 1의 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2는 곡정초 추출물 처리 시 MDC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실험예 1의 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3은 곡정초 추출물 처리 시TARC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실험예 1의 결과에 대한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곡정초 추출물의 분리 및 동정
곡정초는 경동시장(서울, 한국)에서 구입한 것을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건조시킨 곡정초를 분말화 한 후, 10㎖의 70% 에탄올을 가하여 80℃에서 3시간 동안 3회 환류냉각 열탕 추출을 실시하고, 40℃에서 감압농축장치로 농축하여 에탄올 조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TSLP , MDC , TARC 저해능 시험
1-1. 인간피부 각질형성세포주 HaCaT 세포 배양
TSLP (thymic stromal lymphopoietin)은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으로 파악되는 type 2 helper T cell 매개성 면역 편향을 개시하는 최상위 싸이토카인으로 분류된다. MDC, TARC는 염증성 케모카인으로 TSLP의 하위 인자이다. 상기 실시예 1이 인간 각질형성세포 HaCaT에서 발생하는 싸이토카인과 케모카인의 발현에 미치는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의 유전자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인간피부의 구성 세포주인 각질형성세포 HaCaT는 10% fetal bovine serum (FBS)과 항생제가 들어있는 DMEM 배양액을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용기는 75T-flask와 6 well plate를 사용하였으며 5% CO2가 공급되는 37℃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액은 3~4일마다 교환해 주며 세포가 과다하게 증식되었을 때는 계대배양 하였다. 세포를 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분주하고 배양 24시간 후, 인산 완충 식염수 용액(PBS)로 세척하고, 각 웰에 FBS를 넣지 않은 DMEM 배지에 Poly I:C 및 IL-4와 함께 곡정초 추출물을 최종 농도가 10 ppm이 되도록 희석시켜 각 웰에 첨가하였다. 양성대조군은 덱사메타손 1 uM을 처리하였다. 4시간 후 cDNA를 합성하고 PCR을 실시하여 유전자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1-2. Real-time PCR을 이용한 TSLP , MDC , TARC 발현 영향 시험
합성된 cDNA를 타겟 주형(primer) 및 시아닌 염료인 SYBR 그린(green) 마스터 혼합물(master mix)을 사용하여 실시간(real-time)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TSLP의 유전자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유전자에 관한 발현은 Ct(threshold cycle) 방법에 의한 내부 대조 유전자 β-actin의 보정 정량화를 통한 상대적인 값으로 비교되었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바와 같이, poly I:C와 IL-4에 의해 과 발현된 TSLP, MDC 및 TARC가 곡정초 추출물 처리에 따라 유의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조군에 대하여 ##:p<0.01; + 대조군에 비하여 **: p<0.01)
제형예 1 및 비교 제형예 : 크림제의 제조
곡정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제를 제조하기 위해의 표 1과 같은 조성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각각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로 하였다.
성분(함량: 중량%) 제형예 1 비교제형예
곡정초 추출물 1 -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2.0 2.0
폴리솔베이트60 0.5 0.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5 0.5
피토스쿠알란 5.0 5.0
호호바 오일 3.0 3.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0.0 10.0
알로에 버터 3.0 3.0
밀납 1.0 1.0
스테아릴 알코올 0.5 0.5
베헤릴 알코올 0.5 0.5
스테아린산 0.5 0.5
글리세린 7.0 7.0
부틸렌 글리콜 5.0 5.0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2 0.2
아르기닌 0.3 0.3
디메치콘 0.5 0.5
방부제 미량 미량
향료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제형예 2 : 로션제의 제조
곡정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로션제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낸 조성 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곡정초 추출물 1
글리세린 3.0
부틸렌 그리콜 2.0
C14-22알코올/C12-20알킬글루코사이드 2.0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0.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0.0
유동파라핀 5.0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Claims (5)

  1. 곡정초(Eriocaulon buergerian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SLP(thymic stromal lymphopoietin)의 발현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탄소수 3 내지 6의 다가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3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연고,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39499A 2016-10-25 2016-10-25 곡정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309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499A KR102309982B1 (ko) 2016-10-25 2016-10-25 곡정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499A KR102309982B1 (ko) 2016-10-25 2016-10-25 곡정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933A KR20180045933A (ko) 2018-05-08
KR102309982B1 true KR102309982B1 (ko) 2021-10-12

Family

ID=62187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499A KR102309982B1 (ko) 2016-10-25 2016-10-25 곡정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9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9784B (zh) * 2020-08-14 2023-03-28 百特威(上海)化妆品有限公司 一种眼部修护精华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6748A (ja) * 2008-09-19 2010-04-30 Saga Univ アトピー性皮膚炎の検出方法および予防・治療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194B1 (ko) 2003-12-22 2006-05-24 이승정 코디세핀을 함유하는 당뇨병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219520B1 (ko) 2008-03-13 2013-01-08 주식회사 미셀 바이오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KR101315265B1 (ko) * 2010-10-14 2013-10-08 소셜테크 주식회사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160104979A (ko) * 2015-02-27 2016-09-06 한국 한의학 연구원 곡정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면역 증진 및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6748A (ja) * 2008-09-19 2010-04-30 Saga Univ アトピー性皮膚炎の検出方法および予防・治療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933A (ko) 201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1014B1 (en) Daphne genkwa extract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fractions of the extracts or compounds separated from the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KR102189416B1 (ko) 금불초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KR101367423B1 (ko)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08678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발효 조성물
KR20180010961A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147862B1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07230977A (ja)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gm−csf)産生抑制剤ii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1227758B1 (ko) 폭쇄처리된 굴참나무 목재칩을 용매로 추출한 굴참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309982B1 (ko) 곡정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87479A (ko) 감꼭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2139328B1 (ko) 두충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쿨링 또는 피부 홍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14506B1 (ko)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한방 조성물
KR101698869B1 (ko) 한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4003282B1 (en) Treatment of aging or uv-damaged skin
KR102144566B1 (ko) 택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36213B1 (ko) 긴잎모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95765A (ko) 현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KR101761349B1 (ko) 서장경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KR20150095012A (ko) 코디세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치료 또는 예방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10068936A (ko) 천연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0900197B1 (ko)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억제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581609B1 (ko) 알리신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86008B1 (ko) 레스베라트롤 쌀 또는 레스베라트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05275B1 (ko)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개선 또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