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275B1 -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개선 또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개선 또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275B1
KR102505275B1 KR1020220104279A KR20220104279A KR102505275B1 KR 102505275 B1 KR102505275 B1 KR 102505275B1 KR 1020220104279 A KR1020220104279 A KR 1020220104279A KR 20220104279 A KR20220104279 A KR 20220104279A KR 102505275 B1 KR102505275 B1 KR 102505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in mugwort
hair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홍
심혜진
이수정
이재성
김윤기
김상진
서만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먼트
주식회사 네오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먼트, 주식회사 네오캠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먼트
Priority to KR1020220104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개선 또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하이페로사이드(hyperoside)를 고함량 함유하는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인진쑥 발효물을 포함함에 따라, 하이페로사이드의 피부침투력을 높이고 두피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두피를 건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5α-환원효소(5α-reductase) 억제에 의한 탈모 방지 및 VEGF 발현 증진에 따른 발모 촉진 효능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게다가, 환경친화적 천연소재인 인진쑥을 주원료로 이용함에 따라 인체에 매우 안전하며, 샴푸나 헤어토닉, 헤어 린스, 헤어 트린트먼트, 헤어 앰플에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개선 또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s composition for prevention, improvement or protection hair loss with phosphorus mugwort extract or phosphorus mugwort fermentation product}
본 발명은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개선 또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은 태양광선, 추위 및 외부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며 미용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탈모증 환자들은 탈모로 인한 이미지의 변화로 사회적, 정신적, 심리적으로 상당한 고통을 받고 있으며, 경제향상과 더불어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탈모로부터 회복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탈모의 원인은 내분기계 이상, 혈액순환장애 등 순환계 이상에 의한 과도한 피지생성, 모근의 영양 결핍, 알레르기, 세균 감염 등의 신체적 요인, 남성 호르몬의 영향 등 호르몬 또는 유전적인 요인, 각종 공해, 가공 식품, 샴푸, 비누, 무스, 헤어젤, 헤어스프레이, 펌, 염색, 헤어드라이어 사용 등 환경적 요인, 과도한 스트레스에 따른 정신적·사회적 요인 및 노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상기의 요인에 의해 탈모가 발생하면 두피 성형술 및 자가모발 이식술 등의 외과적 수술로 회복이 가능하나, 수술에 대한 환자의 심적, 경제적 부담이 매우 큰 단점이 있다.
물론, 내과적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약물을 바르거나 경구투여함으로써 탈모를 개선하는 방법도 존재하지만, 인체의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키는 등 문제점이 적지 않다. 그 중,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외용제로 미국 FDA 공인인증을 받은 미녹시딜(Minoxidil)이 있는데, 모세혈관 확장을 유도하여 탈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나, 빈번한 사용을 요구하고, 약제사용 동안에만 효과가 있어 그 효과가 일시적이며, 가려움증, 두피 자극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발 속 두피와 모근에 유용한 물질의 피부 또는 세포 투과율을 높이면서도 안전한 천연소재의 신규 탈모 예방 조성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86523호 (2021.07.30.)에는, 한방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92004호 (2020.12.10.)에는, 탈모 방지 및 모발 개선 기능을 갖는 샴푸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인진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Lactobacillus gasseri) NCK05 (기탁번호: KFCC11931P)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진쑥 추출물에,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켜 제조한 인진쑥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진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상기 인진쑥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a) 인진쑥 원물에 용매를 가수한 뒤 3~10일 동안 침지시키는 단계; (b) 단계 (a) 후, 30~45℃에서 2~12시간 동안 1차 추출하는 단계; 및 (c) 단계 (b) 후, 10~30℃에서 3~7일 동안 추출하는 2차 추출 단계;를 포함하여 추출한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에탄올,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펜탄디올, 에틸아세테이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c) 후, 35~55℃에서 1~8시간 동안 농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Lactobacillus gasseri) NCK05 (기탁번호: KFCC11931P)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인진쑥 추출물에,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켜 제조한 인진쑥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균주는,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살리서 카제이 (Lactobacillus casei),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 (Bifidobacterium animalis) 및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Bifidobacterium longum)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Lactobacillus gasseri)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Lactobacillus gasseri) NCK05 (기탁번호: KFCC11931P)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효는, 바람직하게는 30~45℃에서 3~15일 동안 수행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상기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인진쑥 발효물은, 하이페로사이드 (Hyperoside)를 100 내지 500ppm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상기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인진쑥 발효물은, 5α-환원효소 (5α-reductase) 억제능, DKK-1 억제능 및 VEGF 증진능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능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탈모 개선 또는 방지효능 외에 두피 탄력 증진, 보습 및 각질 개선 및 모발 윤기 개선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효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하이페로사이드(hyperoside)를 고함량 함유하는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인진쑥 발효물을 포함함에 따라, 하이페로사이드의 피부침투력을 높이고 두피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두피를 건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5α-환원효소(5α-reductase) 억제에 의한 탈모 방지 및 VEGF 발현 증진에 따른 발모 촉진 효능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게다가, 환경친화적 천연소재인 인진쑥을 주원료로 이용함에 따라 인체에 매우 안전하며, 샴푸나 헤어토닉, 헤어 린스, 헤어 트린트먼트, 헤어 앰플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 인진쑥 추출물의 세포독성 시험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인진쑥 발효물의 세포독성 시험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인진쑥 추출물의 5-알파 환원효소 (5α-reductase)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인진쑥 발효물의 5-알파 환원효소 (5α-reductase)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인진쑥 추출물의 DKK-1 감소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인진쑥 발효물의 DKK-1 감소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인진쑥 추출물의 VEGF 증진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인진쑥 발효물의 VEGF 증진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인진쑥 발효물의 제형 안정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인진쑥 추출물의 사용에 따른 모발 밀도 측정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 인진쑥 추출물의 사용에 따른 정수리 부위 모발 밀도 측정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 인진쑥 추출물의 사용에 따른 두피 탄력 개선율을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 인진쑥 추출물의 사용에 따른 즉각적 모발 윤기 지수 개선율을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 인진쑥 추출물의 사용에 따른 인체적용시험 요약문이다.
본 발명은 인진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상기 인진쑥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a) 인진쑥 원물에 용매를 가수한 뒤 3~10일 동안 침지시키는 단계; (b) 단계 (a) 후, 30~45℃에서 2~12시간 동안 1차 추출하는 단계; 및 (c) 단계 (b) 후, 10~30℃에서 3~7일 동안 추출하는 2차 추출 단계;를 포함하여 추출한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에탄올,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펜탄디올, 에틸아세테이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정제수를 제외한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30%(v/v)~70%(v/v)로 희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용매는 에탄올, 특히 70%(v/v) 에탄올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지는 인진쑥 원물 30~50㎏에 용매를 2 내지 3배수 가수하여 5~8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추출은 인진쑥 침지물을 30~40℃에서 4~8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해당 공정은 1회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3회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2차 추출은 10~15℃에서 4~6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c) 후, 35~55℃에서 1~8시간 동안 농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추출방법에 따라, 인진쑥 추출물은 유용성분인 하이페로사이드(Hyperoside)를 100 내지 500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500ppm 함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농축 이전에 여과를 수행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농축 이후, 동결 건조가 더 수행될 수 있는데, 그 방법에 제한을 두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로 10~5torr 내의 조건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원물의 추출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및 발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Lactobacillus gasseri) NCK05 (기탁번호: KFCC11931P)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유용성분인 하이페로사이드 (Hyperoside)의 함량을 더욱 증진시키고, 세포실험에서 가장 우수한 5α-환원효소 (5α-reductase) 억제능, DKK-1 억제능 및 VEGF 증진능을 보인 신규한 균주를 동정하고 해당 균주가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Lactobacillus gasseri)에 해당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해당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Lactobacillus gasseri) NCK05'라 명명하여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2년 06월 15일에 기탁하고, 기탁번호 KFCC11931P를 부여받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인진쑥 추출물에,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켜 제조한 인진쑥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발효는, 바람직하게는 30~45℃에서 3~15일 동안 수행하는 것이 좋다.
상기 인진쑥 발효물의 제조 과정에 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a)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진쑥 추출물에 균주를 접종하는 단계; 및 (b) 30~45℃에서 3~15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인진쑥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인진쑥 발효물 전체 중량% 대비 추출물, 농축물 또는 이의 동결건조 파우더의 형태로 0.5%(w/w) 내지 5%(w/w)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균주는,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살리서 카제이 (Lactobacillus casei),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 (Bifidobacterium animalis) 및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Bifidobacterium longum)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Lactobacillus gasseri)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Lactobacillus gasseri) NCK05 (기탁번호: KFCC11931P)인 것이 좋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Lactobacillus gasseri) NCK05 (기탁번호: KFCC11931P)를 접종하여 발효한 인진쑥 발효물에서 유용성분인 하이페로사이드 (Hyperoside)의 함량을 더욱 증진시키고, 세포실험에서 가장 우수한 5α-환원효소 (5α-reductase) 억제능, DKK-1 억제능 및 VEGF 증진능을 보임을 확인한 바 있다.
이때, 상기 균주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2차 배양에 의해 각각 접종될 수 있다. 이때, 1차 배양에는 3~4×104의 균주가 첨가될 수 있고, 2차 배양에서는 3~4×107의 균주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발효 역시 2단계에 걸쳐 수행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1차 배양은 35~40℃에서 4~6일 동안, 2차 배양은 35~40℃에서 11~13일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2단계에 걸친 발효과정은, 2단계에 걸친 배양과정과 함께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최종 발효가 끝난 후, 추가로 균주를 여과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여과는 그 방법에 제한없이 공지된 어느 방법을 이용하더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인진쑥 발효물은, 하이페로사이드 (Hyperoside)를 100 내지 500ppm 포함할 수 있다.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은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국화과(compositae)의 다년생 초본 식물이며, 더위지기, 사철쑥이라고도 불린다. 인진쑥은 주로 어린순이 사용되며, 항염, 항균, 항여드름, 항산화, 이뇨제, 황달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성분으로는 폴리페놀의 일종인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카페익산(caffeic acid)부터 정유 성분인 올레산(ole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까지 다양한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다.
하이페로사이드(Hyperoside)는 케르세틴 O-글리코사이드로서 3번 위치에 베타-D-갈락토실 잔기가 부착된 케르세틴으로, 쑥에서 분리하여 간 보호 활성 및 식물에서는 항균/항염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탈모방지를 위한 유용성분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본 발명은 상기 설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방법을 적용함에 따라 하이페로사이드(Hyperoside)를 고함량 함유하는 인진쑥 추출물 및 인진쑥 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상기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인진쑥 발효물은, 5α-환원효소 (5α-reductase) 억제능, DKK-1 억제능 및 VEGF 증진능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능을 짐을 본 발명의일 실시예를 통해 확인하였다.
피나스테라이드는 5α-환원효소 억제제로 남성의 안드로겐성 탈모증(androgenetic alopecia)에서 육모를촉진시키기 위해 이용되고 있는바, 탈모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하여 5α-환원효소의 억제능이 매우 중요한 인자 중 하나로 알려졌다.
Wnt/βcatenin 신호체제는 모발성장을 조절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기전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중 DKK-1은 Wnt/βcatenin의 길항제로 작용하는바, 이의 억제는 모발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이 알려져 있어, 특히 유전적 탈모 개선 효능을 판단하는데 중요한 인자 중 하나로 이용된다.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sh-polypeptide-9)는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로, 혈관 안쪽의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인자로, 혈관의 신생을 유도하여, 모낭의 모세혈관의 크기 및 분포도를 증가시켜, 혈관발달 및 지지를 통한 세포성장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모발 주기 동안 모낭 주변의 혈관형성을 조절하고, 탈모 후, 모발의 재생성을 촉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인진쑥 추출물 및 인진쑥 발효물은 세포독성과 피부 자극을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발모 촉진 인자를 증가시키고, 탈모 촉진 인자를 감소시키는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인진쑥 발효물은 유효성분으로 하이페로사이드를 포함하며 탈모 인자인 5α-환원효소, DKK-1을 감소시키고 발모 촉진 인자인 VEGF 인자를 증가시켜 발모 촉진 및 탈모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탈모 개선 또는 방지 효능 외에 두피 탄력 증진, 보습 및 각질 개선 및 모발 윤기 개선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효능을 더 갖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탈모 방지용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두피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일 예로, 헤어 컨디셔너, 샴푸, 헤어토닉, 헤어 에센스, 헤어 애플 또는 두피에 사용하는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일 예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으로 이루어진 기초화장료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상기 조성물은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인진쑥 발효물을 함유되어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며 샴푸, 헤어토닉, 헤어 린스,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앰플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또는 폼부스터 형태로 피부에 적용될 수도 있고, 고체 형태 또는 반고체 형태로 피부에 적용될 수도 있다. 다만, 반드시 이와 같은 제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탈모를 방지하거나 발모를 촉진할 수 있는 그 어떤 형태의 제형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조성물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 효과에 상승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함유하는 것도 무방하다.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를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드라가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인진쑥 추출물의 제조]
인진쑥 원물 15 내지 45㎏을 정제수 100L, 30% 부틸렌글라이콜 100L, 50% 에틸아세테이트 100L 또는 70% 에탄올 100L에 넣고 3일 또는 7일 동안 상온에서 침지하였다. 그 후, 35℃ 내지 50℃에서 4시간 또는 8시간 동안 환류 추출을 하였으며, 이를 1 또는 3회 반복하였다.
2차 추출 종료 후 바로 10℃ 내지 15℃에서 3일 또는 5일 동안추출을 진행하였다. 추출 종료 후 상온에서 3㎛ 필터 여과지로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40℃ 내지 45℃로 3시간 또는 5시간 동안 농축을 진행하고, 추가로 70℃ 내지 -80℃로 10~5torr 내에서 동결 농축을 하였다.
구체적인 추출조건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인진쑥
(kg)
용매 침지 /추출온도/추출시간/횟수 2차
추출
농축 동결
건조
실시예 1-1 30 30% butylene glycol 3일/35℃/8시간/3회 10℃, 3일 42℃, 3시간
실시예 1-2 30 70% Ethanol 3일/40℃/4시간/3회 15℃, 3일 42℃, 3시간
실시예 1-3 30 70% Ethanol 3일/50℃/8시간/3회 10℃, 3일 42℃, 3시간
실시예 1-4 45 30% butylene glycol 7일/35℃/4시간/3회 10℃, 5일 42℃, 3시간
실시예 1-5 45 70% Ethanol 7일/35℃/4시간/3회 10℃, 5일 42℃, 3시간
실시예 1-6 45 70% Ethanol 7일/40℃/8시간/3회 10℃, 5일 42℃, 3시간
실시예 1-7 15 70% Ethanol 7일/40℃/8시간/3회 X 42℃, 3시간
실시예 1-8 45 50% Ethyl acetate 7일/40℃/4시간/3회 10℃, 5일 42℃, 3시간
실시예 1-9 45 70% Ethanol 7일/40℃/8시간/1회 10℃, 5일 45℃, 5시간
비교예 1-1 45 정제수 7일/40℃/8시간/3회 10℃, 5일 40℃, 5시간
비교예 1-2 45 정제수 7일/40℃/4시간/3회 X 42℃, 3시간 ×
[ 실시예 2 및 비교예 2: 인진쑥 발효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6의 인진쑥 추출물, 이의 농축물 또는 이의 동결건조 파우더를 0.5% 내지 5%를 첨가하여 37℃에서 5일 동안 1차 본 배양을 진행하였다. 그 후, 1차 본 배양과 동일한 균주를 접종하고 37℃에서 12일 동안 2차 본 배양을 진행하였다.
해당 균주의 성장을 위해서 본 배양 전에는 37℃에서 2일간 전 배양을 진행하였으며 1차 본 배양에는 MRS broth (BD 288130) 배지 20g을 첨가하였으며 2차 본 배양에서는 MRS broth (BD 288130) 배지 35g을 첨가하였다. 해당 균주의 수는 1차 본 배양에는 3×104을 첨가하였으며, 2차 본 배양에서는 4×107을 첨가하였다. 발효가 끝난 후 0.22㎛ 필터로 균주를 제거하여 발효물을 수득하였다. 사용한 미생물 균주를 비롯한 구체적인 발효조건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발효 균주 인진쑥 추출물 1차
본 배양
2차
본 배양
실시예 2-1 L. gasseri-NCK05 3% 추출물
실시예 2-2 L. gasseri-NCK05 5% 추출물
실시예 2-3 L. gasseri-NCK05 0.5% 농축물
실시예 2-4 L. gasseri-NCK05 1% 동결건조 파우더
실시예 2-5 L. gasseri-NCK05 3% 동결건조 파우더 ×
실시예 2-6 L. gasseri-NCK05 3% 동결건조 파우더
비교예 2-1 L. plantarum 3% 동결건조 파우더
비교예 2-2 L. rhamnosus 3% 동결건조 파우더
비교예 2-3 L. casei 3% 동결건조 파우더
비교예 2-4 B. animalis 3% 동결건조 파우더
비교예 2-5 B. longum 3% 동결건조 파우더
[ 실험예 1: 인진쑥 추출물 및 인진쑥 발효물의 하이페로사이드 ( Hyperoside ) 함량 분석]
인진쑥 추출물과 인진쑥 발효물의 하이페로사이드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Sunfire 컬럼 (C18 4.6×250㎜, 5㎛), 1.0㎖/min 유량하에, 0.1% 포름산 (시그마, F0507)과 아세토나이트릴 (삼전, 000A3628) 용리액을 HPLC-UV (영인크로매스) 구배 용리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컬럼의 온도를 30℃로 분석시간 동안 유지하고, 용액 유량을 0분 내지 15분까지 0.1% 포름산 용리액을 78% 구배 주입하였다.
이후, 컬럼 세척을 위해 15.1분 내지 25분까지는 0.1% 포름산 용리액을 20% 구배 주입하였고 Stanby Time 10분을 적용하여 초기 조건과 동일하게 유지시켰다. 주입량은 10㎕로 UV 검출기 330㎚ 파장에서 하이페로사이드 함량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인진쑥 추출물의 하이페로사이드 함량 분석 결과
인진쑥 추출물 Hyperoside 함량
실시예 1-1 1197.42
실시예 1-2 2619.11
실시예 1-3 2784.86
실시예 1-4 1379.09
실시예 1-5 4049.23
실시예 1-6 4323.17
실시예 1-7 2269.64
실시예 1-8 1494.49
실시예 1-9 1826.31
비교예 1-1 137.19
비교예 1-2 71.18
인진쑥 발효물의 하이페로사이드 함량 분석 결과
인진쑥 발효물 Hyperoside 함량
실시예 2-1 472.87
실시예 2-2 568.43
실시예 2-3 161.66
실시예 2-4 352.24
실시예 2-5 473.05
실시예 2-6 601.27
비교예 2-1 391.82
비교예 2-2 285.27
비교예 2-3 443.91
비교예 2-4 245.31
비교예 2-5 207.75
[ 실험예 2: 인진쑥 추출물 및 인진쑥 발효물의 세포독성 시험]
상기에서 제조한 인진쑥 추출물 및 인진쑥 발효물 각각의 세포독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모유두세포인 HFDPC (Promocell)를 혈구계(hemacytometer)를 이용하여 계수한 후, 96웰 플레이트에 2×103 cell/well 농도로 분주하였다. 이를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모유두세포에 인진쑥 추출물, 인진쑥 발효물을 각각 100㎍/㎖ 농도로 각 웰에 첨가하고,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5% 우태아 혈청이 포함된 FDPCGM 배지(Follicle Dermal Papilla Cell Growth Medium) 100㎕를 이용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FDPCGM 배지와 WST 용액(EZ-cytox)을 9: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첨가한 다음 37℃, 5% CO2 배양기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45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독성 정도(세포 생존율)는 시료물질과 같은 용매를 사용한 대조군의 흡광 강도를 기준으로 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계산식 1]
세포 생존율 (%) = (시료물질 첨가군 흡광도 / 대조군 흡광도) × 100
실험 결과, 실시예 1의 인진쑥 추출물 전체 시료 및 실시예 2의 인진쑥 발효물 전체 시료 모두에서 세포독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특이하게 실시예 1-5 및 실시예 1-6의 인진쑥 추출물과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5 및 실시예 2-6의 인진쑥 발효물에서 모유두세포 증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중에서도 특히 실시예 1-6의 인진쑥 추출물과 실시예 2-6의 인진쑥 발효물은 모유두세포에 대한 증식 효과 가장 높게 나타났고, 둘을 비교한다면 실시예 2-6의 인진쑥 발효물의 모유두세포 증식 효과가 더욱 우수하게 나타났다 (도 1 내지 2). 도 1은 본 발명 인진쑥 추출물의 세포독성 시험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2는 본 발명 인진쑥 발효물의 세포독성 시험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 실험예 3: 인진쑥 추출물 및 인진쑥 발효물의 5-알파 환원효소 ( -reductase) 억제능 시험]
5-알파 환원효소의 억제제는 탈모치료제로 연구되고 있다. 이에, 상기에서 제조한 인진쑥 추출물 및 인진쑥 발효물 각각의 5-알파 환원효소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모유두세포인 HFDPC는 혈구계(hemacytometer)를 이용하여 계수한 후, 6웰 플레이트에 5×104 cell/well 농도로 분주하였다. 이후, 24시간 동안 FDPCGM 배지 (5% 우태아혈청,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에서 배양한 후 테스토스테론 (Sigma PHR2027)과 인진쑥 추출물, 인진쑥 발효물을 각각 100㎍/㎖ 농도로 각 웰에 첨가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동안 시료를 처리 후 배양액을 회수하고 5-알파 환원효소 ELISA(Cloud clone, SEM285Ra)를 진행하였다. ELISA는 제조사에서 제공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였다.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는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 Sigma F1293) 5㎍/㎖를 처리하여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실시예 1-3, 실시예 1-5 및 실시예 1-6의 인진쑥 추출물 및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5 및 실시예 2-6의 인진쑥 발효물에서 5-알파 환원효소 억제능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특히 실시예 1-6의 인진쑥 추출물 및 실시예 2-6의 인진쑥 발효물에서 5-알파 환원효소 억제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둘을 비교한다면 실시예 2-6의 인진쑥 발효물의 5-알파 환원효소 억제능이 더욱 우수하게 나타났다 (도 3 내지 4). 도 3은 본 발명 인진쑥 추출물의 5-알파 환원효소 (5α-reductase)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인진쑥 발효물의 5-알파 환원효소 (5α-reductase)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 실험예 4: 인진쑥 추출물 및 인진쑥 발효물의 DKK -1 억제능 시험]
DKK-1은 유전적 탈모 유발 DHT 호르몬으로, 모낭파괴인자로도 알려졌다. 이에, 상기에서 제조한 인진쑥 추출물 및 인진쑥 발효물 각각의 DKK-1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모유두세포인 HFDPC는 혈구계(hemacytometer)를 이용하여 계수한 후, 6웰 플레이트에 5×104 cell/well 농도로 분주하였다. 이후, 24시간 동안 FDPCGM 배지 (5% 우태아혈청,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에서 배양한 후 테스토스테론 (Sigma PHR2027)과 인진쑥 추출물, 인진쑥 발효물을 각각 100㎍/㎖ 농도로 각 웰에 첨가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24시간 동안 시료를 처리 후 배양액을 회수하고 DKK-1 ELISA(R&D systems, DKK100)를 진행하였다. ELISA는 제조사에서 제공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였다.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는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 Sigma F1293) 5㎍/㎖를 처리하여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실시예 1-5 및 실시예 1-6의 인진쑥 추출물 및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5 및 실시예 2-6의 인진쑥 발효물에서 DKK-1 감소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특히 실시예 1-6의 인진쑥 추출물 및 실시예 2-6의 인진쑥 발효물에서 DKK-1 감소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둘을 비교한다면 실시예 2-6의 인진쑥 발효물의 DKK-1 감소 효과가 더욱 우수하게 나타났다 (도 5 내지 6). 도 5는 본 발명 인진쑥 추출물의 DKK-1 감소 효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인진쑥 발효물의 DKK-1 감소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 실험예 5: 인진쑥 추출물 및 인진쑥 발효물의 VEGF 발현 증진능 시험]
VEGF는 휴지기(telogen)에 신생혈관 생성을 촉진시키는 인자로써 작용하여 새로운 모발 성장기를 유도하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 즉, VEGF 유전자 발현의 감소는 탈모로의 진행을 의미한다. 이에, 상기에서 제조한 인진쑥 추출물 및 인진쑥 발효물 각각의 VEGF 발현 증진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모유두세포인 HFDPC는 혈구계(hemacytometer)를 이용하여 계수한 후, 6웰 플레이트에 5×104 cell/well 농도로 분주하였다. 이후, 24시간 동안 FDPCGM 배지 (5% 우태아혈청,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에서 배양한 후 테스토스테론 (Sigma PHR2027)과 인진쑥 추출물, 인진쑥 발효물을 각각 100㎍/㎖ 농도로 각 웰에 첨가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24시간 동안 시료를 처리 후 배양액을 회수하고 VEGF ELISA(R&D systems, DVE00)를 진행하였다. ELISA는 제조사에서 제공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였다.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는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 Sigma F1293) 5㎍/㎖를 처리하여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실시예 1-5 및 실시예 1-6의 인진쑥 추출물 및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5 및 실시예 2-6의 인진쑥 발효물에서 VEGF 증진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특히 실시예 1-6의 인진쑥 추출물 및 실시예 2-6의 인진쑥 발효물에서 VEGF 증진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둘을 비교한다면 실시예 2-6의 인진쑥 발효물의 VEGF 증진 효과가 더욱 우수하게 나타났다 (도 7 내지 8). 도 7은 본 발명 인진쑥 추출물의 VEGF 증진 효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인진쑥 발효물의 VEGF 증진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 실시예 3: L. gasseri - NCK05 균주의 기탁]
인진쑥 발효물 실험에 사용한 균주를 대상으로 하이페로사이드 함량 증진 및 세포 실험에서 가장 우수한 효능을 보인, NCK05라 명명한 균주는 요구르트를 10진 희석법으로 10-2, 10-3, 10-4, 10-5, 10-6으로 희석한 후 MRS 배지 [프로테오스 펩톤(Proteose peptone) No.3 10g/L, 육 추출물(Beef extract) 10g/L,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5g/L, 덱스트로스(Dextrose) 20g/L, 폴리소르베이트(Polysorbate) 80 1g/L, 시트르산 암모늄(Ammonium citrate) 2g/L, 아세트산나트륨(Sodium acetate) 5g/L,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0.1g/L, 황산망간(Manganese sulfate) 0.05g/L, 이인산칼륨(Dipotassium phosphate) 2g/L, agar 15.0g/L, Difco, USA)에서 배양하여 분리하였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분리한 NCK05 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16s rRNA 서열분석을 수행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염색체 DNA(chromosomal DNA) 추출을 실시하여 획득한 gDNA로부터 유니버셜 프라이머(universal primer)인 785F (5'-GGA TTA GAT ACC CTG GTA-3')와 907R (5'-CCG TCA ATT CMT TTR AGT TT-3')을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리 균주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genus)에 속하는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Lactobacillus gasseri)와 99.95%의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해당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Lactobacillus gasseri) NCK05'라 명명하여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22년 06월 15일에 기탁하고, 기탁번호 KFCC11931P를 부여받았다.
16s rRNA 서열분석 결과는 서열번호 1에 나타내었다.
[ 실시예 4 및 실시예 5: 탈모방지용 샴푸의 제조]
상시 실험 결과에 따라 가장 우수한 효능을 보인 실시예 1-6의 인진쑥 추출물 및 실시예 2-6의 인진쑥 발효물을 함유하는 삼푸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상성분을 메인 믹서에 투입하고 70℃로 가온하여 믹서로 혼합 및 용해시킨 후 계면활성제성분을 메인믹서에 추가 투입하고 75℃로 가온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이후, 메인 믹서의 온도를 75~80℃로 유지하면서 실시예 1-6의 인진쑥 추출물 또는 실시예 2-6의 인진쑥 발효물의 함량을 상이하게 추가하여 탈모 방지용 샴푸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인진쑥 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샴푸의 조성을 하기 표 5 및 표 6에 각각 나타내었다.
성분 실시예 4-1 실시예 4-2 실시예 4-3 실시예 4-4
함량( 중량% )
수상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6.0 6.0 6.0 6.0
1,2- 헥산다이올 2.0 2.0 2.0 2.0
계면활성제 폴리쿼터늄 -10 1.8 1.8 1.8 1.8
코코 -베타인 15.0 15.0 15.0 15.0
데실글루코사이드 5.0 5.0 5.0 5.0
기능성 원료 실시예 1-6의 인진쑥 추출물 1.0 2.0 3.0 4.0
합계 100.0 100.0 100.0 100.0
성분 실시예 5-1 실시예 5-2 실시예 5-3 실시예 5-4
함량( 중량% )
수상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6.0 6.0 6.0 6.0
1,2- 헥산다이올 2.0 2.0 2.0 2.0
계면활성제 폴리쿼터늄 -10 1.8 1.8 1.8 1.8
코코 -베타인 15.0 15.0 15.0 15.0
데실글루코사이드 5.0 5.0 5.0 5.0
기능성 원료 실시예 2-6의 인진쑥 발효물 1.0 2.0 3.0 4.0
합계 100.0 100.0 100.0 100.0
실험 결과, 인진쑥 추출물 및 인진쑥 발효물을 각각 3.0 중량% 투입한 군에서 제형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도 9). 도 9는 본 발명 인진쑥 발효물의 제형 안정도를 나타낸 도이다.
이 중 상기한 실험 결과가 우수하게 나타난 실시예 1-6의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4-3의 탈모방지샴푸를 대표적으로 이용한 인체적용시험을 수행하였다.
다만, 상기 실험 결과에 따라 실시예 2-6의 인진쑥 발효물은 실시예 1-6의 인진쑥 추출물에 비하여 더욱 우수한 탈모완화(방지) 효능이 확인된바, 하기 실제 인체적용 실험에서 실시예 1-6의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샴푸의 탈모완화(방지) 효능이 확인된다면, 실시예 2-6의 인진씩 발효물을 포함하는 샴푸에서도 동일한 혹은 그보다 더 개선된 효능을 가질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 실험예 6: 모발 밀도 전문가 육안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 이용에 따른 모발 밀도 변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고해상도 디지털 카메라(Canon EOS 550D, Japan)로 평가 시점마다 동일 조건, 구조 및 위치에서 동일한 부위(정수리 및 이마라인)를 촬영한 임상 사진을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실시예 4-3의 탈모방지샴푸의 조성 중, 실시예 1-6의 인진쑥 추출물이 정제수로 대체된 샴푸를 이용하였으며, 대조군은 두 명의 시험자를 대상으로 설계하고 각각 '21913-H1-04' 및 '21913-H1-05'이라 명명하여 구분하였다.
실험군은 4-3의 탈모방지샴푸를 이용하였으며, '21913-H1-06'이라 명명하여 구분하였다.
시험 결과, 도 10 내지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제품 사용 군(실험군)은 대조제품 사용 군(대조군)과 비교하여 사용 전 대비 사용 8주 후, 16주 후, 24주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도 10은 본 발명 인진쑥 추출물의 사용에 따른 모발 밀도 측정 사진이고, 도 11은 본 발명 인진쑥 추출물의 사용에 따른 정수리 부위 모발 밀도 측정 사진이다.
[ 실험예 7: 두피 탄력 개선 효능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 이용에 대한 시험 부위 두피 탄력 개선 정도를 Cutometer®(2㎜ probe)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두피 탄력 개선 효능을 평가하였다. 측정 지표는 생물학적 탄력(Biological Elasticity)을 나타내는 R7 수치를 통해 탄력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Cutometer®은 흡입강을 이용하여 피부의 점탄성(viscoelastic property)을 통해 피부의 신장력(distensibility), 탄력성(elasticity)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이다.
총 4주간의 시험기간 동안 21명의 연구 대상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샴푸를 1회 사용한 시험부위는 사용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두피 탄력이 증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샴푸가 두피 탄력 개선에 도움을 주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도 12). 도 12는 본 발명 인진쑥 추출물의 사용에 따른 두피 탄력 개선율을 나타낸 도이다.
[ 실험예 8: 즉각적 모발 윤기 개선 효능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 이용에 대한 사용 전·후 모발 윤기 개선 정도를 Glossymeter를 이용하여 총 윤기지수(Gloss Value)를 측정 및 분석하고, 즉각적 모발 윤기 개선 효능을 평가하였다.
Glossymeter는 표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측정하여 모발 표면의 윤기(광택도)를 확인하는 장비로서, 측정 표면에 60°의 입사각으로 조사한 빛을 입사각과 동일한 반사각 60°에 배치된 센서와, 표면 바로 위에 배치된 센서로 모발 표면에서 반사된 빛의 양과 산란된 빛의 양을 측정하는 장비이다.
총 21명의 연구 대상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샴푸를 1회 사용한 시험부위는 시료 사용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총 윤기 지수(Gloss value)가 증가하여, 즉각적 모발 윤기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도 13). 도 13은 본 발명 인진쑥 추출물의 사용에 따른 즉각적 모발 윤기 지수 개선율을 나타낸 도이다.
[ 실험예 9: 일시적 두피 보습 개선 효능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 이용에 대한 사용 전·후 두피 보습 개선 정도를 Hydration pin을 이용하여 측정 및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Hydration pin는 동심원 모양의 전극으로 구성된 평면 프로브와 8개의 핀전극이 있는 핀 브로브의 두 가지 형태로 구성되어있으며, 일정하지 않은 피부 표면이나 두피에서 피부의 각질층 수분함량을 측정하는데 용이하다.
구분 평균 ± 표준편차 개선율 P -value
사용 전 사용 후
시험 부위 28.71 ± 7.41 43.22 ± 9.65 56.55% <0.0011)
1) by wilcoxon signed rank test.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 적용 시, 두피 수분함량이 사용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증가하여, 일시적 두피 보습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 실험예 10: 일시적 두피 각질 개선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 이용에 대한 사용 전·후 두피 각질 개선 정도를 각질 채집을 위한 특수 호일과 화상분석장비를 이용하여 측정 및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구분 평균 ± 표준편차 개선율 P -value
사용 전 사용 후
시험 부위 12.11 ± 2.04 8.62 ± 1.34 27.69% <0.0011)
1) by Paired t-test.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샴푸를 1회 사용한 시험부위는 두피 각질 지수(Cesquamation index)가 시료 사용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감소하여 일시적 두피 각질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 실험예 11: 탈모 완화 임상시험]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 이용에 대한 탈모 방지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에 의해 탈모증으로 진단받은 사람에 대하여 시험제품을 24주 동안 두피 및 모발에 사용하도록 하고, 사용 전·후의 모발 밀도 및 탈모 증상 전문가 육안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유효성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시험제품의 탈모증에 대한 개선 효과와 예외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이상반응을 관찰하여 시험제품의 안전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58명(시험군: 29명, 대조군: 29명)을 대상으로 선정검사를 진행했고, 모두 선정기준에 적합하여 시험에 참여하였다. 58명 중 7명(시험군: 3명, 대조군: 4명)이 중도탈락하여 51명이 최종 시험을 종료하였다 (도 14). 도 14는 본 발명 인진쑥 추출물의 사용에 따른 인체적용시험 요약문이다.
시험 결과, 제품을 사용하는 기간 동안 특별한 피부 이상반응에 대한 보고는 없었으며, 피부과 전문가에 의한 이학적 검사상에도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대조제품 대비 24주 사용으로 탈모 방지 효과에 도움을 주는 제품으로 판단된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KFCC11931P 20220615

Claims (12)

  1. (a) 인진쑥 원물에 70%(v/v) 에탄올을 가한 뒤 5~8일 동안 침지시키는 단계;
    (b) 단계 (a) 후, 30~40℃에서 4~8시간 동안 1차 추출하는 단계; 및
    (c) 단계 (b) 후, 10~15℃에서 4~6일 동안 추출하는 2차 추출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인진쑥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d) 상기 단계 (c) 후, 35~55℃에서 1~8시간 동안 농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따른 인진쑥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Lactobacillus gasseri) NCK05 (기탁번호: KFCC11931P)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켜 제조한 인진쑥 발효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30~45℃에서 3~15일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인진쑥 발효물은,
    하이페로사이드 (Hyperoside)를 100 내지 500ppm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인진쑥 발효물은,
    5α-환원효소 (5α-reductase) 억제능, DKK-1 억제능 및 VEGF 증진능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탈모 개선 또는 방지효능 외에 두피 탄력 증진, 보습 및 각질 개선 및 모발 윤기 개선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104279A 2022-08-19 2022-08-19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개선 또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5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279A KR102505275B1 (ko) 2022-08-19 2022-08-19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개선 또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279A KR102505275B1 (ko) 2022-08-19 2022-08-19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개선 또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275B1 true KR102505275B1 (ko) 2023-03-09

Family

ID=85511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279A KR102505275B1 (ko) 2022-08-19 2022-08-19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개선 또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27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667A (ko) * 1999-08-20 2001-03-15 유상옥 인진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70508A (ko) * 2014-12-10 2016-06-20 (주)하이모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
KR102131569B1 (ko) * 2019-11-27 2020-07-08 두리화장품 주식회사 쑥 발효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육모용 조성물
KR102192004B1 (ko) 2019-06-24 2020-12-16 김영지 탈모 방지 및 모발 개선 기능을 갖는 샴푸 조성물
KR102286523B1 (ko) 2019-09-30 2021-08-05 최은숙 한방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667A (ko) * 1999-08-20 2001-03-15 유상옥 인진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70508A (ko) * 2014-12-10 2016-06-20 (주)하이모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
KR102192004B1 (ko) 2019-06-24 2020-12-16 김영지 탈모 방지 및 모발 개선 기능을 갖는 샴푸 조성물
KR102286523B1 (ko) 2019-09-30 2021-08-05 최은숙 한방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1569B1 (ko) * 2019-11-27 2020-07-08 두리화장품 주식회사 쑥 발효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육모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229B1 (ko) 녹용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탈모 치료용 기능성 조성물
KR101885501B1 (ko) 녹용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기능성 조성물
KR100853761B1 (ko) 노각나무 추출물 및 그 용도
KR101599763B1 (ko)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101848671B1 (ko) 식물세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및 발모 개선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KR102456734B1 (ko) 스타필로코커스속 균주 및 그의 용도
CN113694115A (zh) 一种茯茶提取物在制备皮肤调节产品中的用途
KR20190091162A (ko) 녹차잎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및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8096146A (zh) 具有美白、抗衰老、消炎功效的玫瑰酵素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KR101147862B1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3679765A (zh) 白鲜皮提取物及其应用
KR101207558B1 (ko) 홍삼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89935B1 (ko)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2101949B1 (ko) 우장지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우장지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62287B1 (ko) 해양 심층수와 복숭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미네랄 화장료 조성물
KR101347910B1 (ko) 생강 초임계 추출물 및 발효 미나리 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1648148B1 (ko) 그라비올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87479A (ko) 감꼭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2505275B1 (ko)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개선 또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14506B1 (ko) Tslp 저해능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가지는 한방 조성물
EP3162375B1 (en)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scutellaria alpina extract
KR20130023324A (ko) 대두, 겨우살이, 모근으로 구성된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보습과 진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106440B1 (ko) 블루베리 및 흑미 추출물 배양 유산균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60055118A (ko) 대두, 겨우살이, 모근의 혼합 발효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보습 및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7376B1 (ko) 홍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