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0508A -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 - Google Patents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0508A
KR20160070508A KR1020140177543A KR20140177543A KR20160070508A KR 20160070508 A KR20160070508 A KR 20160070508A KR 1020140177543 A KR1020140177543 A KR 1020140177543A KR 20140177543 A KR20140177543 A KR 20140177543A KR 20160070508 A KR20160070508 A KR 20160070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hair
weight
parts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4645B1 (ko
Inventor
홍인표
Original Assignee
(주)하이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모 filed Critical (주)하이모
Priority to KR1020140177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645B1/ko
Publication of KR20160070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4Low calorie, low sodium or hypoallerg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혼합물을 증숙하여 증숙된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2) 상기 증숙된 혼합물에 백하수오, 당귀를 혼합한 후 황국균 및 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켜 혼합 발효물을 만드는 단계; 3) 상기 혼합 발효물을 건조하여 건조 발효물을 만드는 단계; 및 4) 상기 건조 발효물을 분쇄한 후 과립, 분말, 환, 캡슐 및 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예방 또는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은 황국균 및 유산균의 복합 발효를 통하여 발효 효율을 높이므로, 체내 흡수율이 낮은 현미와 미강의 생리활성 물질과 섬유질이 분해되어 인체 내 흡수율이 향상되며, 양모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등이 갖는 유용물질의 체내흡수를 높여 줄 뿐 아니라, 소화 효소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며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고 있으므로, 초기탈모로 스트레스를 받는 탈모인들을 위한 건강보조식품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Fermented Food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본 발명은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혼합물에 황국균(Aspergillus oryzae) 및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 복합 발효 기술을 적용하여 발효한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 효소 식품에 관한 것이다.
모발이 두피로부터 탈락하는 현상을 탈모라 하며, 탈모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기후, 빛 또는 열에 의한 노출 등의 환경적인 요인과 질병, 출산, 호르몬 분비 및 변화, 약물의 복용, 영양상태 등의 내적인 요인이 있다. 탈모 메커니즘에 관여하는 주요한 호르몬으로 5-알파 환원효소(5-alpha reductase)를 들 수 있다(특허문헌 1 참조). 5-알파 환원효소는 남성호르몬(androgen)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을 DHT(dihydrotestosterone)로 변환시켜 피지 분비를 증가시키는 효소로서 탈모시장에 나와 있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제품 중에도 5-알파 환원효소의 작용 저해를 겨냥한 제품이 다수 판매되고 있다. 탈모는 효소작용 외에도 영양부족, 두피 건조, 스트레스 등에 의해서도 발생될 수 있는데(비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원인으로 인한 탈모의 경우 충분한 영양공급, 두피관리 및 항산화 물질의 섭취 또는 투여로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할 수 있다.
한편, 백하수오는 박주가리과의 덩굴 식물로 제주도를 비롯하여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큰조롱(Cynanchum wilfordii), 은조롱, 백수오, 산백 등으로도 불린다. 주로 뿌리를 말려 약재로 사용하며, 그 효능은 몸을 건강하고 혈기 왕성하게 하며, 혈허증을 치료한다(특허문헌 2 참조).
당귀(Angelica gigas)는 약용식물로 극동지역에서 오랜 기간 전통적인 처방제로 활용되어 왔으며, 특히 동의보감에서는 조경지통(調經止痛)이라고 하여 여성 자궁 통증을 그치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당귀는 항염증, 이뇨제, 거담 및 발열, 류머티즘, 세균 및 진균 감염증, 비뇨기계의 질환 등에 이용되며, 당귀의 성분인 페루릭산은 혈관 신생작용이 있다(비특허문헌 2 참조).
검은콩은 단백질 함량이 높으며, 레시틴, 안토시아닌 등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작용, 항암작용, 항비만작용, 면역조절 작용 등 다양한 약리작용을 나타낸다(특허문헌 3 참조). 또한, 검은콩은 혈전 생성억제를 통한 혈액순환 개선 효과를 가지며, 비타민 E, 비타민 B1, 비타민 B2, 나이아신, 불포화 지방산 및 안토시아닌을 함유하고 있어 혈관확장과 말초혈관의 혈액순환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검은콩은 일반 콩의 4배에 해당하는 항노화 성분과 케라틴 합성 메커니즘의 중간물질인 시스테인(cysteine)을 함유하고 있고 식물성 에스트로겐인 이소플라본의 일종인 제니스테인이 풍부하다.
백미는 현미를 아홉 번 도정하여 만든 '10분도미'를 부르는 명칭으로, 쌀 영양소의 95%가 함유된 쌀 표피층, 즉 쌀눈과 미강이 도정 과정 중 제거된 쌀을 말한다. 현미는 '1분도미'라고도 부르며, 벼에서 겉 부분인 왕겨를 벗겨낸 것을 말한다. 따라서 현미에는 쌀눈과 미강이 그대로 남아있어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비타민, 칼슘 등이 풍부한 완전식품이라 할 수 있으며, 완전식품인 현미를 통해 영양균형을 이루고 미강이 갖는 기능성 성분들을 통해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현미의 성분 중 식이섬유는 변비, 식후 혈당 상승 방지, 대장암 예방 효능이 있고, 토코트리에놀은 항산화작용, 자외선 보호작용, 콜레스테롤 증가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3 참조). 감마-오리자놀은 활성산소제거, 피지 분비 및 혈행촉진 효능이 있고, 피틴산은 지방연소 작용, 항암, 신장 및 간장 기능 강화, 빈혈방지, 고혈압 방지,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 능력이 있으며, 가바(GABA)는 혈행 개선, 중성 지방 억제, 비만 억제, 피부 개선, 혈압 개선, 소취, 신경 진정, 치매 예방과 개선의 효과를 나타낸다. 현미에 포함된 이노시톨은 지방간, 동맥경화 방지, 페루릭산은 활성산소 제거, 멜라닌 색소 생성억제, 옥타코사놀은 콜레스테롤 감소, 글리코겐 증가로 인한 피로회복, 비타민 B2는 세포분열촉진, 비타민 B6는 표피세포 원료 단백 대사촉진, 비타민 E는 활성산소 해독, 칼륨은 고혈압 방지, 칼슘은 골다공증 방지, 아연은 동맥경화 방지, 마그네슘은 심장병 방지, 철은 빈혈방지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현미 및 미강을 활용하여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물을 제조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혼합물에 황국균 및 유산균 복합 발효 기술을 적용하였고, 그 결과 소화 효소에 의해 소화 작용이 증진되어 체내 흡수율이 낮은 현미와 미강의 영양성분과 기능성 성분의 흡수를 높여주어 체내 이용률이 증가되고,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물이 얻어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7776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2941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50962호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8권제2호, p. 89-100, 2012년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제10권제2호, p. 189-197, 2002년 한국생명과학회지, 제17권제8호, p. 1141-1146, 2007년
본 발명의 목적은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을 혼합한 혼합물에 황국균과 유산균 복합 발효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소화효소의 활성과 항산화 물질 및 항산화 효능과 함께 탈모예방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발효 효소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혼합물을 증숙하여 증숙된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2) 상기 증숙된 혼합물에 백하수오, 당귀를 혼합한 후 황국균 및 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켜 혼합 발효물을 만드는 단계;
3) 상기 혼합 발효물을 건조하여 건조 발효물을 만드는 단계; 및
4) 상기 건조 발효물을 분쇄한 후 과립, 분말, 환, 캡슐 및 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예방 또는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의 혼합물은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을 분쇄한 분말 형태일 수 있고, 분쇄 과정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검은콩, 현미 및 미강은 수확기 이후 저장된 것을 기간에 상관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백하수오 및 당귀는 분쇄한 분말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백하수오 및 당귀는 분말화한 것 또는 추출물을 건조하여 분말화한 것을 제한없이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원료로부터 임의의 방법으로 추출된 물질을 제한없이 포함하며, 이렇게 추출된 추출액, 이로부터 얻을 수 있는 농축액, 상기 농축액의 건조물 및 분말을 제한없이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을 혼합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백하수오는 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백하수오는 1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백하수오는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백하수오는 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백하수오는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백하수오가 1 내지 30 중량부 범위 밖으로 포함될 경우, 즉 상한값을 초과해서 포함될 경우에는 필요 이상으로 백하수오가 포함되기 때문에 원료비가 증가되어 생산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을 혼합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당귀는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당귀는 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당귀는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당귀는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당귀는 1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당귀가 1 내지 20 중량부 범위 밖으로 포함될 경우, 즉 상한값을 초과해서 포함될 경우에는 필요 이상으로 당귀가 포함되기 때문에 원료비가 증가되어 생산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을 혼합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검은콩은 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검은콩은 1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검은콩은 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검은콩은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은콩은 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검은콩이 1 내지 50 중량부 범위 밖으로 포함될 경우, 즉 하한값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발효물 내 파이토에스트로겐 함량과 5-알파 환원효소 저해 효과가 낮아져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을 혼합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현미는 1 내지 7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현미는 1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현미는 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현미는 1 내지 4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현미는 1 내지 3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현미가 하한값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토코트리에놀, 감마-오리자놀, 피틴산과 같은 기능성 성분이 충분히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현미가 가진 생리활성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상기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을 혼합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미강은 1 내지 7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미강은 1 내지 6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미강은 1 내지 5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미강은 1 내지 4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강은 1 내지 36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미강이 하한값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미강에 포함된 다당체 성분, 페놀산이 혼합물에 충분히 포함되지 않아서 면역활성, 항암, 항알러지 및 항산화와 같은 생리활성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을 혼합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백하수오는 1 내지 30 중량부, 상기 당귀는 1 내지 20 중량부, 상기 검은콩은 1 내지 50 중량부, 상기 현미는 1 내지 70 중량부 및 상기 미강은 1 내지 7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1)에 있어서,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혼합물은 100 내지 120℃ 온도에서 0.5 내지 3시간 동안 증숙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증자된 검은콩, 현미 및 미강을 사용할 경우에는 증숙 단계는 생략할 수 있다.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혼합물을 증숙함으로써 살균효과와 호화작용을 통해 잡균의 발생을 막고, 황국균 및 유산균이 보다 잘 증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상기 단계 2)의 발효에 있어서, 발효에 사용되는 황국균 및 유산균은 천연 배지에 액체 배양한 생균을 그대로 접종하거나, 황국균 포자 분말 및 동결건조 형태의 유산균 분말과 같은 분말화된 균주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황국균과 유산균은 각각 상기 단계 1)의 증숙된 혼합물에 백하수오와 당귀를 혼합한 전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부로 접종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 중량부로 접종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부로 접종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황국균과 유산균이 각각 상기 단계 1)의 증숙된 혼합물에 백하수오와 당귀를 혼합한 전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28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5℃,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2℃에서, 48 내지 72시간의 조건에서 발효하더라도 최종 발효물의 소화 효소 활성, 항산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고,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에는 초기 접종되는 황국균과 유산균의 양이 많기 때문에 기질로 첨가되는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을 혼합한 혼합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져 0.01 내지 2.0 중량부의 범위로 접종할 때에 비해서 더 빨리 미생물이 정지기에 접어들게 되고 발효 초기에 발생하는 호흡량이 비교적 많게 되어 호흡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여 증식속도가 현저하게 떨어져 발효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균주를 접종 후 발효하기 전에 상기 증숙된 혼합물에 백하수오와 당귀를 혼합한 전체 혼합물의 수분 함량이 전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5 내지 60 중량부가 되도록 수분 함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발효 효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국균 및 유산균의 액체 배양액을 사용할 경우에는 배양액의 수분을 고려하여 전체 수분 함량을 조절하여야 한다. 본 발효는 산소 공급 및 발효 중 발효열에 의해 증가된 발효물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목적으로 행해지는 교반 과정을 포함하지 않는 고체 배양으로서, 발효가 종료될 때까지 정체 상태에서 발효를 진행하고, 호기성인 황국과 혐기성인 유산균 3종, 예로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및/또는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속의 유산균을 동시에 발효하여 발효 효율을 높이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효 효소 식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속에 속하는 미생물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Lactobacillus crispatus), 락토바실러스 델브룩키 서브스피시즈.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델브룩키서브스피시즈. 델브룩키(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존소니(Lactobacillus johnsonii) 등의 락토바실러스속 세균을 들 수 있다. 이들 락토바실러스속 세균 중에서도, 본 발명의 발효 효소 식품의 소화 효소 활성, 항산화 효과를 높이는 점에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또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피러스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발효 식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비피도박테리움속 세균은 비피도박테리움속에 속하는 미생물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베(Bifidobacterium breve),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Bifidobacterium infantis),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스센티스(Bifidobacterium adolescentis),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도박테리움 카테눌라툼(Bifidobacterium catenulatum), 비피도박테리움 슈도카테눌라툼(Bifidobacterium pseudocatenulatum), 비피도박테리움 앙굴라툼(Bifidobacterium angulatum), 비피도박테리움 갈리쿰(Bifidobacterium gallicum),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Bifidobacterium lactis), 비피도박테리움 아니말리스(Bifidobacterium animalis)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비피도박테리움속 세균 중에서도, 본 발명의 발효 효소 식품의 소화 효소 활성, 항산화 효과를 높이는 점에서,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또는 비피도박테리움속 세균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미생물보존센터 등으로부터 누구나 용이하게 분양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락토바실러스속 및 비피도박테리움속의 유산균을 혼합한 혼합유산균으로 동시에 발효하여 발효 효율을 높이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혼합유산균은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및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피러스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황국균 및 유산균을 접종한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혼합물은 26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35℃,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2℃에서, 36 내지 72시간,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48 내지 50시간 동안 발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효 온도를 26 내지 40℃의 온도로 유지하는 것은, 발효 온도가 40℃ 이상의 고온일 경우 유산균의 생육이 저해되거나 흑국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고, 26℃ 미만일 경우 발효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36 내지 72시간의 발효 과정을 거침으로써 혐기성인 유산균과 호기성인 황국균의 증식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주의 생육에 따른 효소(아밀라아제, 프로테아제 등) 활성,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 활성 등의 증가로 영양분 및 생리활성 물질의 체내 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 발효시간을 36 내지 72시간으로 정한 것은 발효 시간이 36시간 미만이면 발효가 충분히 진행될 수 없고, 72시간을 초과하여 발효할 경우에는 발효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효소, 항산화 물질 및 기타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이 증가하기는 하지만, 발효의 원료, 즉 미생물이 생육, 번식 및 대사에 이용하는 기질이 무한적으로 공급되는 것이 아니므로 발효 시간의 경과에 따라 미생물이 이용할 수 있는 기질이 부족해지며, 미생물이 대수기를 거쳐 정지기 및 사멸기에 이르게 되면 증식 속도가 현저하게 떨어져 발효 효율이 낮아지고, 이와 동시에 미생물 호흡 감소 등으로 발효실의 대기 중 수분함량이 낮아져 발효물의 수분이 증발하게 되어 건조가 시작되므로 발효 효율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건조된 발효물을 분쇄한 후 수분을 추가로 혼합하여 가공할 수 있다. 상기 발효물을 분쇄한 후 이를 과립, 분말, 환, 캡슐 또는 정제와 같은 제형으로 가공함으로써 섭취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형화된 식품은 그대로 섭취할 수도 있으나, 제품 유통기한과 지속적인 품질 유지를 위하여 건조 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 효소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발효 효소 식품은 소화효소에 의한 소화 작용과, 항산화 효능 및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도 2 내지 도 4 참조). 또한,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 실험 및 인체 시험 결과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발효 효소 식품이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효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도 5 내지 도 15 참조). 이는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 효소 식품이 황국균과 유산균의 복합 발효를 통하여 체내 흡수가 어려운 현미 및 미강의 생리활성 물질 및 영양 성분과 함께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등의 원료가 함유하는 유효성분의 흡수율을 높여줄 수 있고, 발효에 의해 체내 이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건조된 발효물을 분쇄한 후 부원료 및 수분을 추가로 혼합하여 가공할 수 있다. 상기 부원료로는 케라틴 합성 메커니즘에 관여하는 물질인 L-시스틴, 산화아연, 비타민 B6와 모발 건강에 유익한 원료로 알려진 건조효모, 감초, 녹차, 산약, 갈근, 홍삼, 솔잎, 흑임자, 다시마, 호두, 익모초, 인진쑥, 산수유, 복분자, 육계, 토사자, 황기, 우슬, 두충, 건지황, 한련초, 생강, 영지버섯, 숙지황, 백봉령, 흑상심, 흑지마, 대추, 백작, 동충하초, 오미자, 길경, 검은쌀 및 쌍화농축액분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발효 효소 식품의 효능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양모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질이라면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현미 및 미강 영양성분의 체내 흡수율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소화작용을 도와 양질의 영양소가 체내에 잘 흡수되며, 항산화 활성과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함유 발효 효소 식품의 제조를 위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른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혼합물의 발효물은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혼합물을 황국균 및 유산균을 이용하여 복합 발효함으로써 현미에 존재하는 미네랄과 비타민의 활성도가 증가하고, 발효물에 함유된 효소와 미생물에 의해 생산된 효소에 의해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을 소화가 잘되는 형태로 변화시켜 이의 소화가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른 발효물은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과를 나타내고, 체내 흡수율이 낮은 현미와 미강의 영양 성분과 기능성 성분의 흡수를 높여주어 체내 이용률이 증가되므로 현대인의 영양 불균형 개선과 건강 증진 및 모발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아울러,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에 포함된 생리 활성 물질로 인해 건강 유지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함유 발효 효소 식품 제조 방법의 간략한 공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함유 발효 효소 식품의 효소 활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함유 발효 효소 식품의 항산화 물질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함유 발효 효소 식품의 항산화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함유 발효 효소 식품의 마우스를 이용한 양모 효능 평가 시험에서 시험기간 중 모발 재성장의 육안 변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함유 발효 효소 식품의 마우스를 이용한 양모 효능 평가 시험에서 시험기간 중 모발 재성장 개시를 보인 동물의 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함유 발효 효소 식품의 마우스를 이용한 양모 효능 평가 시험에서 시험기간 중 모발 재성장 충만기에 이른 동물의 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함유 발효 효소 식품의 마우스를 이용한 양모 효능 평가 시험에서 시험기간 중 모발 재성장 면적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함유 발효 효소 식품의 마우스를 이용한 양모 효능 평가 시험에서 모낭 조직의 조직학적 변화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함유 발효 효소 식품의 인체 시험의 시험시작일과 종료일의 현미경 촬영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함유 발효 효소 식품을 섭취한 피검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중 피검자가 느끼는 총 탈락 모발 수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함유 발효 효소 식품을 섭취한 피검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중 피검자가 느끼는 기상 시 탈락된 모발 수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함유 발효 효소 식품을 섭취한 피검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중 피검자가 느끼는 샴푸 시 탈락되는 모발 수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함유 발효 효소 식품을 섭취한 피검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중 피검자가 느끼는 모발 굵기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함유 발효 효소 식품을 섭취한 피검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중 피검자가 느끼는 모발 성장속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의 제조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을 분쇄하여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80 내지 100 메쉬, 현미 80 내지 90 메쉬, 미강 50 내지 60 메쉬 분말로 준비한 다음,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검은콩 분말 15 중량부, 미강 36 중량부, 현미 35 중량부를 혼합하여 100 내지 120℃에서 0.5 내지 3시간 동안 증숙하거나 시중에 증자하여 판매하는 증자분말 원료를 혼합하였다. 그런 다음 백하수오 분말 10 중량부, 당귀 분말 3 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0.5 중량부의 황국균(A. oryzae; 충무발효) 및 0.5 중량부의 유산균(비아이 혼합유산균 - B. bifidum, B. longum, L. acidophilus; 비전바이오켐)을 각각 접종한 후 전체 수분 함량을 50 중량%로 맞추었다. 이렇게 배합된 원료를 30℃ 온도의 발효실에서 60시간 동안 발효하여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물을 만들었다. 발효 후 약 24시간이 경과하면 균의 증식에 의해 발효물이 하얗게 변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발효 시간이 48시간 정도 경과하면 녹색으로 포자가 피기 시작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60 내지 72시간 동안 발효를 진행하면 발효물이 황국 포자로 덮여 전체적으로 녹색을 띄게 되는데, 이 후로는 미생물의 증식 속도가 현저하게 낮아지고 발효물의 건조가 시작되어 발효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60시간의 발효 과정을 거친 후 발효물을 40℃ 내지 50℃ 건조기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하여 발효를 종료시켰다. 그런 다음 건조된 발효물을 분쇄한 후 발효물의 0.019 중량부의 비타민 B6, 0.1 중량부의 산화아연, 3.0 중량부의 건조효모, 1.0 중량부의 L-시스틴, 1 중량부의 쌍화농축액 분말과 수분을 혼합하여 과립 또는 환의 형태로 제형화하였고, 보관의 용이성 및 저장성 증가를 위해 제형화한 제품을 40 내지 50℃ 건조기에서 다시 최종 건조시켜 수분함량 10% 이하의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이하, '실시예 1의 발효물'이라 칭하기도 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단일원료 발효물의 제조 및 추출
백하수오, 당귀 및 검은콩 단일 원료의 발효물과 상기 발효효소 식품과의 활성을 비교해 보기 위하여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을 각각 미강과 혼합하여 발효하였다. 상기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각 원료와 미강의 혼합물은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분말 각 40 중량부 및 미강 60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0.5 중량부의 황국균(A. oryzae; 충무발효) 및 0.5 중량부의 유산균(비아이 혼합유산균 - B. bifidum, B. longum, L. acidophilus; 비전바이오켐)을 각각 접종한 후 전체 수분 함량을 50 중량%로 맞추었다. 이렇게 배합된 원료를 30℃ 온도의 발효실에서 60시간 동안 발효하여 단일원료를 사용한 곡류효소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물을 건조한 후 분쇄하고, 분쇄물 300 g에 70% 발효알코올(Barozoro, 대정화금, 한국) 3 ℓ를 가하여 실온에서 10시간 교반한 후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였으며,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에탄올 추출물을 여과한 후 농축(rotary vacuum evaporator, N-1100, EYELA, Japan)하여 동결건조(Dry-20R, 일신바이오베이스, 한국) 후 냉장실에 보관하면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발효 효소 식품의 소화 효소 효능의 확인
1-1. 아밀라아제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의 아밀라아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백하수오, 당귀 및 검은콩을 첨가했을 때의 효소 활성 차이와 백하수오, 당귀 및 검은콩이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각각의 단일 원료와 미강을 혼합한 후 발효하여 건조, 분쇄한 백하수오 발효물, 당귀 발효물, 검은콩 발효물 및 현미, 미강, 대두를 주원료로 발효한 자사제품(제품명: 하이생)과의 아밀라아제 활성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을 위해 1% 전분 용액 및 1% 2,4-디니트로살리실산(DNS) 용액을 준비하였으며, 실험은 다음의 방법에 따라 시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발효 효소 식품과 백하수오 발효물, 당귀 발효물, 검은콩 발효물 및 자사제품을 3 g 측량한 후 포스페이트 완충용액(pH 6.7) 60 ㎖을 가하고 상온에서 60분간 교반하여 조효소액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조효소액을 3,2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고체분말을 가라앉힌 후 상등액을 와트만 여과지(No.1)로 여과하여 실험에 사용할 시험액을 얻었다. 상기 시험액 0.5 ㎖에 37℃에서 5분간 중탕한 1% 전분 용액 0.5 ㎖을 첨가한 후 37℃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1% 2,4-DNS 용액을 1 ㎖씩 넣고 100℃에서 5분간 가열하여 효소 활성을 멈추게 한 후 실온에 15 내지 20분간 방치하였다. 별도로 100℃에서 5분간 가열하여 효소 활성이 불활성화된 시험액 0.5 ㎖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작하여 공시험용으로 사용하였다. 공시험군과 시험군의 흡광도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파장 550 ㎚에서 측정하였다. 효소 반응에 의해 분해된 전분으로부터 생성된 글루코오스는 DNS 용액으로 발색하여 미리 작성한 글루코오스 표준 곡선으로부터 그 함량을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값은 3회 반복 실험하여 평균값 및 표준 오차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발효물과 백하수오 발효물, 당귀 발효물, 검은콩 발효물 및 자사제품의 아밀라아제 활성은 각각 5.15, 4.97, 4.44, 5.00 및 4.45 ㎎/min·g으로 나타났다(도 2의 a). 현미, 미강 및 대두를 주원료로 발효한 기존 자사제품과 비교시 활성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으나 백하수오, 당귀 및 검은콩을 단일 발효하는 것보다 혼합하여 발효할 경우 아밀라아제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사제품과의 비교 결과로부터 백하수오, 당귀 및 검은콩이 효소 활성 저하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음을 확인하였다.
1-2. 프로테아제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의 프로테아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백하수오, 당귀 및 검은콩을 첨가했을 때의 효소 활성 차이와 백하수오, 당귀 및 검은콩이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상기 아밀라아제 활성 측정에서 사용한 백하수오 발효물, 당귀 발효물, 검은콩 발효물 및 자사제품과의 프로테아제 활성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의 발효 효소 식품과 백하수오 발효물, 당귀 발효물, 검은콩 발효물 및 자사제품을 상기 개시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시험액을 얻었으며, 실험을 위해 0.6% 카제인 용액, 0.1N NaOH, 0.4M TCA, 0.4M 탄산나트륨 용액과 1N 폴린(Folin) 시약 및 시험액을 준비하였다. 실험은 다음의 방법에 따라 시행하였다. 카제인 용액 3 ㎖와 시험액 1 ㎖을 혼합한 후 30℃에서 10분간 반응시켰고, 대조군으로는 시험액 대신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여기에 TCA 용액 5 ㎖을 가하여 분해되지 않고 남은 단백질을 응고시킨 후 반응물을 거름종이로 걸러 응고된 미분해 단백질을 제거하였다. 여액 1 ㎖, 탄산나트륨 용액 2.5 ㎖ 및 폴린 시약 0.5 ㎖을 혼합한 후 30℃에서 30분간 발색 반응을 시킨 후 66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분해된 단백질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표준곡선은 티로신을 이용하여 작성하였으며, 프로테아제 활성은 측정된 티로신 함량을 기준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모든 측정값은 3회 반복 실험하여 평균값 및 표준오차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상기 실시예 1의 발효물의 프로테아제 활성은 티로신 188.27 ppm으로 측정되었고, 백하수오 발효물, 검은콩 발효물 및 자사제품의 프로테아제 활성은 각각 86.28, 258.70 및 203.7 ppm으로 나타났으며, 당귀 발효물의 경우 프로테아제 활성을 전혀 보이지 않았다(도 2의 b). 상기 결과로부터,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을 혼합하여 발효할 경우 각각 발효할 때보다 프로테아제 활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백하수오와 당귀는 프로테아제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발효 효소 식품의 항산화 효능 확인
2-1. 폴리페놀의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발효 효소 식품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백하수오 발효물, 당귀 발효물, 검은콩 발효물 및 현미, 미강, 대두를 주원료로 제조한 자사 발효식품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폴리페놀은 활성 산소에 노출되어 손상되는 DNA의 보호나 세포 구성 단백질 및 효소를 보호하는 항산화 능력이 커서 다양한 질병에 대한 위험도를 낮춘다고 보고되어 있는 물질이다. 천연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등의 페놀성 물질의 함량에 비례하여 전자공여능 등의 항산화 활성이 증가한다는 연구 보고가 있으며, 이 보고들에 따르면 페놀성 물질은 천연물의 항산화 작용 효과를 검증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시험액은 상기 아밀라아제 및 프로테아제 측정을 위한 시험액 제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정제수 90 ㎖에 2N 폴린 시약 10 ㎖을 혼합하여 0.2N 폴린 시약을 제조하였고, 53 g의 탄산나트륨을 정제수에 용해한 후 총 부피를 1 ㎖이 되도록 맞춰 1N 탄산나트륨 용액을 준비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하였다. 시험액 50 ㎕에 450 ㎕ 증류수와 0.2N 폴린 용액 2.5 ㎖을 가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30℃에서 5분간 방치하고, 1N 탄산나트륨 용액 2 ㎖을 가하여 30℃에서 90분간 반응시킨 후 76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갈산(Gallic acid)을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후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액 1 L 중의 ㎎ 갈산(㎎GAE/L)으로 나타내었고, 모든 측정값은 3회 반복 실험하여 평균값 및 표준오차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발효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1027.60 ㎎/㎖, 백하수오 발효물, 당귀 발효물, 검은콩 발효물 및 자사제품의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724.65, 645.46, 691.48 및 967.30 ㎎/㎖로서, 백하수오 발효물, 당귀 발효물, 검은콩 발효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을 동시에 발효한 실시예 1의 발효물에 비해 상당히 낮은 수치를 보였다(도 3의 a).
2-2.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플라보노이드는 폴리페놀과 함께 항산화력이 높다고 알려져 있고 활성 산소종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폴리페놀과 마찬가지로 항바이러스, 항염증,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발효 효소 식품의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백하수오 발효물, 당귀 발효물, 검은콩 발효물 및 현미, 미강 및 대두를 주원료로 발효한 자사제품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 비교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시험에 사용할 시료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과 백하수오 발효물, 당귀 발효물, 검은콩 발효물 및 자사 발효식품 각 3 g에 20배의 에탄올 60 g을 넣어 추출한 후 와트만 여과지 No.1로 여과하여 준비하였다. 시료 추출액 100 ㎕에 디에틸렌 글리콜 1 ㎖을 잘 혼합한 후 1N NaOH 100 ㎕를 가하여 37℃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2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나린진을 표준물질로 하여 0∼0.8 ㎎/㎖의 농도범위에서 얻어진 검량선으로부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시료 g 중의 ㎎으로 나타내었으며, 모든 측정값은 3회 반복 실험하여 평균값 및 표준오차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발효물과 백하수오 발효물, 당귀 발효물, 검은콩 발효물 및 자사제품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0.1757, 0.1670, 0.1820, 0.1670 및 0.1877 ㎎/g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도 3의 b).
2-3. DPPH 시험
DPPH 분석은 항산화력 측정법의 일종으로 페놀과 방향족 아민 화합물의 항산화력 측정에 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발효 효소 식품의 항산화력과 백하수오 발효물, 당귀 발효물, 검은콩 발효물 및 자사발효식품의 항산화력을 측정, 비교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시험액은 상기 아밀라아제 및 프로테아제 측정을 위한 시험액 제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0.15 mM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용액(DPPH 2.9574 ㎎을 50 ㎖ 에탄올에 용해)을 시험 직전에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시험군(S)은 100 ㎕의 시험액에 1.9 ㎖의 DPPH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액에 빛이 들어오지 않도록 알루미늄 호일 등으로 감싼 후 37℃에서 1시간 반응하였다. 공시험군(C)으로는 시험액 대신 증류수 100 ㎕를 가하였으며, 추출한 시험물질 내 존재하는 발색 물질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시험액 100 ㎕에 에탄올 1.9 ㎖(So), 증류수 100 ㎕에 에탄올 1.9 ㎖(Co)를 첨가한 후 상기 시험군 및 공시험군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하고, 이에 얻어진 흡광도 값을 시험군 및 공시험군에서 각각 빼주었다. 자유라디컬 소거능(%)은 아래 공식에 의해 계산되었으며, 실험은 3회 반복하여 시행하여 얻어진 결과로 평균과 오차 값을 얻었다.
자유라디컬 소거능(%) = [{1-(S-So)/(C-Co)}]×100.
그 결과, 실시예 1의 발효물과 백하수오 발효물, 당귀 발효물, 검은콩 발효물 및 자사제품의 DPPH 활성은 각각 93.39, 89.04, 66.86, 64.88 및 91.04%로 나타나, 상기 당귀 발효물 및 검은콩 발효물은 실시예 1의 발효물에 비해 상당히 낮은 DPPH 활성을 나타내었다(도 4의 a).
2-4. FRAP 시험
FRAP(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시험은 낮은 pH에서 TPTZ(ferric 2,4,6-tripyridyl-s-triazine)가 Fe2+(ferrous) 형으로 환원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시험 물질의 환원력을 측정하는 항산화력 테스트 방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발효 효소 식품의 항산화력과 백하수오 발효물, 당귀 발효물, 검은콩 발효물 및 자사발효식품의 항산화력을 측정, 비교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FRAP 반응 시약은 40 mM 염산 용액에 TPTZ를 10 mM 농도로 용해하여 준비하고, 여기에 10 mM TPTZ 용액의 10배 부피에 해당하는 300 mM 아세테이트 버퍼(pH 3.6)와 10 mM TPTZ 용액과 동량의 20 mM 염화 제2철(ferric chloride) 용액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37℃에서 30분간 정치하여 제조하였다.
FRAP 시험을 위한 시험액은 상기 아밀라아제 및 프로테아제 측정을 위한 시험액 제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시험액 40 ㎕에 증류수 160 ㎕를 넣어 균일하게 혼합한 후 1.8 ㎖의 FRAP 반응시약을 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별도로 시험액 대신 증류수 200 ㎕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하여 공시험용으로 하였으며, 분광광도계 593 ㎚에서 공시험군과 시험군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시험군의 흡광도 값에서 공시험군의 흡광도 값을 빼서 FRAP 시약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제거하였다. 분석 결과는 FeSO4·6H2O을 표준물질로 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후 시료의 흡광도를 mM FeSO4 eq./㎎ extract로 표시하였으며, 모든 측정값은 3회 반복 실험하여 평균값 및 표준오차를 구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발효물과 백하수오 발효물, 당귀 발효물, 검은콩 발효물 및 자사제품의 FRAP 시험 결과는 각각 3.22, 1.57, 1.22, 1.07 및 2.18 mM FeSO4 eq./㎎으로 DPPH 활성과는 달리 발효물 간의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도 4의 b), 백하수오, 당귀 및 검은콩을 혼합하여 발효할 때의 환원력이 단일원료를 발효하는 경우보다 상당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마우스를 이용한 양모 효능 평가
3-1. 시험동물
마우스를 이용하여 상기 발효물의 양모 효능을 평가하였다. 6주령의 암컷C57BL/6 마우스(대한바이오링크; 충북 음성군 삼성면 대야리)를 구입하여 1주일간의 순화기간을 거친 후 실험을 실시하였다. C57BL/6 마우스는 검은색의 체모와 함께 자발적 탈모(spontaneous alopecia)의 유전적 특징을 갖고 있으며, 멜라닌세포가 모낭에 제한적으로 존재하면서 멜라닌 합성 주기가 모발의 성장 주기와 거의 같아 육안적인 피부색 관찰만으로 모발의 성장 주기를 판정할 수 있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른 모주기에 대한 판별 연구와 모발 연구 모델로서 가장 표준화되고 폭넓게 연구된 모델로서, 실험 적용에 있어 재현성과 안정성이 뛰어나고, 양모 시험에 있어 비교할 만한 시험 기초 자료가 축적되어 있는 장점이 있어 모발 생리 및 모발성장 촉진 연구 등에 많이 사용된다.
3-2. 동물실 환경 조건
실험을 위한 동물실 환경조건은 다음과 같다.
가. 사육 케이지 PSU, 223 × 267 × 145 ㎜
나. 온도 21±2℃
다. 습도 50±20%
라. 환기방식 및 회수 전배기, 10회/hr 이상
마. 조명시간 및 명암주기 12hr/day/night
(day:08:00~20:00, night: 20:00~08:00)
바. 조도 150 - 300 lux
사. 소음 및 암모니아 농도 60 db 이하 / 20 ppm 이하
아. 사료 및 및 음수
실험동물용 쥐사료(Agribrands Purina Korea Inc. Analysis Service of Central Laboratory; 경기도 평택시 장당동 627)를 자유 공급하고 여과 멸균된 정제수를 폴리카보네이트제 음수병(250 ㎖)에 넣어 자유 섭취시켰다.
3-3. 시험물질
시험물질로는 상기 실시예 1의 발효물과 함께, 비교예 1의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발효물을 에탄올로 추출한 후 동결건조하여 사용하였고, 상기 실시예 1의 발효물과의 양모 효능을 비교하였다. 모든 시료는 증류수에 용해한 후 초음파분쇄기(sonicator)를 이용하여 균질화한 후 사용하였으며, 당일 조제, 당일 투여하였다.
3-4. 시험군의 구성
시험군 및 일일 투여량은 아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시험군 투여량a) 용매 투여방법 식이b) 투여기간c)
대조군 0 ㎎/㎏ 증류수 경구투여 실험동물용 쥐사료 3주
백하수오 발효물 300 ㎎/㎏
당귀 발효물
검은콩 발효물
실시예 1의 발효물 1,000 ㎎/㎏
a) 시험물질은 10 ㎖/㎏ 투여용량으로 경구투여하였고, 대조군은 시험물질 투여기간동안 동량의 증류수만을 경구투여하였다.
b) 실험동물용 쥐사료는 Agribrands Purina Korea Inc. Analysis Service of Central Laboratory(경기도 평택시 장당동)에서 구매하였다.
c) 입고시 동물은 1주간 순화 과정을 거쳐 군분리를 실시하였고, 제모 후 3주간 본 시험 과정을 거쳤다.
3-5. 시험 방법
3-5-1. 검역 및 순화
동물 입수 후 수의학적 검역을 실시하고 7일간의 순화기간을 두었다. 순화기간 중 일반증상 관찰을 통해 시험을 실시하는데 적합하고 건강한 동물을 선별하는 자료로 사용하였다.
3-5-2. 제모
검역 및 순화 기간 중 이상이 발견되지 않은 건강한 동물만을 대상으로 시험개시 전일 순화종료 시점(생후 49∼50일령)에 전기 제모기(electric clipper) (ER143, Panasonic, Japan)를 이용하여 등 부위를 1차 제모한 후, 제모 크림(Niclean, Ildong Co., Ltd, Korea)을 바르고 물을 묻힌 거즈를 이용하여 가로로 등쪽 경부에서 꼬리 기시부까지의 길이와 세로로 등쪽 정중선을 기준으로 좌·우 각각 1 ㎝ 이상의 폭에 대하여 2차 제모를 실시하여 등쪽 피부색이 균질한 핑크색을 보이는 개체만을 선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3-5-3. 군 분리
군 분리는 제모 다음날 실시하였으며, 제모 과정에서 찰과상 및 심한 발적이 발생하지 않은 동물만을 이용하여 체중 기준으로 Z 배열법에 따라 군 분리하였다.
3-5-4. 개체식별 및 사육관리
사육 상자에는 개체식별 카드를 부착하고 개체식별은 꼬리 마킹법을 사용하였다. 사육실의 환경은 항온(21±2℃), 항습(50±20%), 12시간 간격(08:00∼20:00)의 광주기로 일정한 조건을 유지하고 시험기간 동안 폴리설폰 우리에 3마리의 사육밀도로 수용하여 관리하였다. 깔짚은 실험동물 전용 연질깔짚을 사용하였고, 주 1회 사육 상자를 교환하였으며, 사육실 내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자재 및 깔짚은 121℃에서 20분간 고압 증기멸균하여 사용하였다.
3-5-5. 시험물질의 투여
군분리 당일(day0)부터 시험물질 투여군은 각각 시험물질을 증류수에 균질화하여 10 ㎖/㎏의 투여량으로 1일 1회 21일간 경구투여하였다. 대조군은 동량의 증류수만을 1일 1회 21일간 경구투여하였다. 각 군의 실험동물은 6시간 절식 후 21일 차에 희생하여 조직학적 평가 분석에 이용하였다.
3-5-6. 임상증상 관찰
시험기간 중 최소 1일 1회 임상증상에 대하여 개체별로 관찰하였다.
3-5-7. 사진 촬영 및 모발 재성장의 육안 변화
제모 당일을 0 일로 하여 0, 11, 12, 13, 14, 16, 18, 19 및 21일의 총 9회에 걸쳐 디지털 카메라(Canon EOS 30D / Canon / Japan)를 이용하여 동물실 조명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정된 장소의 200∼300 lux 실광하에 사진대(Copy stand CS-30, LPL, Japan)에서 사진촬영을 하였다. 매 사진촬영 시 조건은 피사체와의 거리는 55 ㎝로 동일하게 하며, 렌즈 규격(canon zoom lens, EF 28-105 ㎜ 1:3.5-4.5 Ⅱ) 및 모드(mode) 조건은 자동 모드(AI focus on, 중앙 피사체 focus, auto white balance, no-flash)로 3504 × 2336의 디지털 이미지로 사진 촬영하여 'jpg' 파일로 저장하였다. 사진촬영에 사용되는 동물은 디메틸 에테르를 이용하여 가볍게 마취하여 한 장의 사진에 5마리의 동물이 포함되도록 사진촬영하였다. 사진촬영은 상기에 명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조건(조명, 높이)에서 실시하도록 하며 촬영되는 사진에는 개체의 표식과 기준자(scale bar)(㎜ 단위)가 포함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시험물질의 4주간의 경피 적용에 따른 0, 11, 12, 13, 14, 16, 18, 19 및 21일의 총 9회의 경시적인 모발 재성장의 육안적인 변화를 보면 대부분의 동물에서 제모 11일 이후부터 털이 꼬리쪽 등 부위와 목쪽 등 부위에서 모발 성장이 시작된 후, 15일에 말굽 모양 모발 성장 라인이 형성되고, 척추를 따라 모발 재성장 양상을 보였으며, 군별 유의적인 모발 재성장 육안 변화 소견의 차이는 없었다(도 5).
3-5-8. 모발 재성장 개시기(Hair growth initiation time) 및 모발 재성장 충만기(Hair growth completion time) 평균일수 산출
1일 1회 육안 관찰을 통하여 제모 부위에서 명확하게 모발관찰이 가능한 최소 시점을 '모발 재성장 개시기'로 하여 개체별로 기록하고, 전체 제모면적 중 80% 이상 모발 재성장 시점의 관찰이 가능한 최소 시점을 '모발 충만기'로 하여 개체별로 기록하였다. 단, 모발 충만기의 경우, 면적 측정시 오차 및 제모시 손상 피부조직 발생 등을 감안하여 전체 제모면적 중 80% 이상 모발 재성장시점을 모발 충만기로 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군별 모발 재성장 개시기는 개시기 평균 일수로 계산하여 표현하였으며, 모발 충만기는 제모 후 21일째의 전체 동물 중 모발 충만기 동물수의 비율로 표현하였다.
군별 모발 재성장 개시기 평균 일수 및 시험 종료일의 모발 재성장 충만기율은 아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시험군 모발 재성장
모발 개시기(일)a 모발 충만기(%)b
대조군 13.13±2.10 37.5
백하수오 발효물 12.13±0.64 75.0
당귀 발효물 11.88±0.35 75.0
검은콩 발효물 11.88±0.83 75.0
실시예 1의 발효물 11.88±0.64 100.0
a 평균±표준편차(n = 8)
b 모발 충만기에 이른 마우스 비율(n = 8)
군별 모발 재성장 개시기 및 모발 재성장 충만기에 다다른 개체들을 누적하여 얻은 경시적 분석 결과 중 모발 재성장 개시일은 모든 군에서 제모 후 11일째부터 모발 재성장이 개시된 개체가 관찰되었으며, 시험군별 모발 재성장 개시일 평균일수를 보면 대조군 13.13±2.10 일, 백하수오 발효물 투여군 12.13±0.64 일, 당귀 발효물 투여군 11.88±0.35 일, 검은콩 발효물 투여군 11.88±0.83 일, 실시예 1의 발효물 투여군 11.88±0.64 일로 모발 재성장 개시기의 경향은 '발효물 투여군 = 당귀 발효물 투여군 = 검은콩 발효물 투여군 > 백하수오 발효물 투여군 > 대조군' 순으로 모발 재성장 개시일이 빨랐다(도 6).
모발 재성장 충만기에 다다른 개체를 누적하여 얻은 경시적 분석 결과에서는 제모 15일 후부터 검은콩 발효물, 당귀 발효물, 및 실시예 1의 발효물 투여군에서 충만기 개체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제모 21일 후에는 대조군을 제외하고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75% 이상의 동물이 모발 재성장 충만기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제모 후 21일째의 군별 모발 재성장 충만기에 이른 동물 비율을 보면 대조군은 37.5%, 백하수오 발효물 투여군 75.0%, 당귀 발효물 투여군 75.0%, 검은콩 발효물 투여군 75.0%, 실시예 1의 발효물 투여군은 100%로, 실시예 1의 발효물 투여군 > 당귀 발효물 투여군 = 검은콩 발효물 투여군 = 백하수오 발효물 투여군 > 대조군의 순으로 모발 재성장 충만기에 이르렀다(도 7).
3-5-9. 모발 재성장 면적 변화
사진 평가에서 얻어진 이미지 파일을 대상으로 평가 시점별로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ImagePartner / SaramSoft / Korea)를 이용하여 전체 제모면적 중 모발이 성장한 부분의 비율을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사진촬영시 동물의 자세변화로 인해 전체 제모면적이 각 사진마다 차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매 계산시마다 전체 제모면적을 함께 측정하였다.
모발 재성장 면적 / 제모 면적(%), mini = 0, max = 100%
시험 기간 중 0, 11, 12, 13, 14, 16, 18, 19 및 21일의 총 9회 사진 촬영으로 얻어진 디지털 이미지 파일을 이용하여 평가 시점별로 전체 제모면적 중 모발이 성장한 부분의 비율(%)을 구한 재성장 면적 변화 결과는 아래 표 3과 같다.
모발
재성장
면적(%)
시험군
대조군 단일 원료 발효물 실시예 1의
발효물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11일 a0.06±0.11 0.07±0.19 0.68±1.92 0.45±0.71 0.23±0.43
12일 1.13±1.33 1.70±2.25 2.12±3.45 4.14±5.65 2.46±2.93
13일 4.06±4.50 11.27±15.41 9.95±13.79 10.56±12.19 10.07±11.65
14일 15.41±20.54 28.89±25.81 25.41±20.98 25.33±22.61 32.28±23.61
16일 30.76±26.45 47.72±25.51 50.92±23.87 42.99±21.80 59.30±17.25*
18일 36.86±25.15 55.74±26.86 59.22±23.71 55.23±21.02 74.24±11.15**
19일 50.34±28.51 70.23±19.79 72.59±17.41 69.81±16.31 83.01±12.09*
21일 57.76±29.27 77.78±14.57 79.18±15.56 77.90±16.49 87.68±8.62*
a: 평균±표준편차(n = 8)
*: 대조군과 유의적 차이 있음(p<0.05)
**: 대조군과 유의적 차이 있음(p<0.01)
그 결과, 제모 후 14일째까지는 대조군(15.41±20.54%)을 제외하고 모든 군에서 25.41∼32.28%로 모발 재성장 면적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제모 후 16일째부터 대조군의 모발 재성장 면적은 30.76±26.45%, 백하수오 발효물 투여군은 47.72±25.51%, 당귀 발효물 투여군은 50.92±23.87%, 검은콩 발효물 투여군은 42.99±21.80%, 실시예 1의 발효물 투여군은 59.30±17.25%로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모발 재성장 면적이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실시예 1의 발효물 투여군은 대조군 및 단일 원료 발효물에 비해 모발 재성장 면적이 증가하였다.
제모 후 18일째 대조군의 모발 재성장 면적은 36.86±25.15%, 백하수오 발효물 투여군은 55.74±26.86%, 당귀 발효물 투여군은 59.22±23.71%, 검은콩 발효물 투여군은 55.23±21.02%, 실시예 1의 발효물 투여군은 74.24±11.15%로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모발 재성장 면적이 증가하였으며, 실시예 1의 발효물 투여군의 모발 재성장 면적은 대조군 및 단일 원료 발효물에 비해 증가하였다.
또한, 제모 후 19일째에도 대조군의 모발 재성장 면적은 50.34±28.51%, 백하수오 발효물 투여군은 70.23±19.79%, 당귀 발효물 투여군은 72.59±17.41%, 검은콩 발효물 투여군은 69.81±16.31%, 실시예 1의 발효물 투여군은 83.01±12.09%로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모발 재성장 면적이 증가하였으며, 실시예 1의 발효물 투여군의 모발 재성장 면적은 대조군 및 단일 원료 발효물에 비해 증가하였다.
또한, 시험 종료일인 제모 후 21일째 각 군별 모발 재성장 면적은 대조군 57.76±29.27%, 백하수오 발효물 투여군 77.78±14.57%, 당귀 발효물 투여군 79.18±15.56%, 검은콩 발효물 투여군 77.90±16.49%, 실시예 1의 발효물 투여군 87.68±8.62%로 모발 재성장 면적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백하수오 발효물 투여군은 35%, 당귀 발효물 투여군은 37%, 검은콩 발효물 투여군은 35%, 실시예 1의 발효물 투여군은 52% 증가하였으며, 실시예 1의 발효물 투여군의 모발 재성장 면적은 대조군 및 단일 원료 발효물에 비해 증가하였다(도 8).
3-5-10. 모낭조직의 조직학적 변화
실험동물은 방혈을 이용하여 치사시킨 후 최초 제모 부위를 절취하였다. 절취된 조직은 여과지(Watman No.2 185 ㎜, Watman, Germany)를 이용하여 펼친 상태로 10% 중성 완충 포르말린(neutral buffered formalin)에서 1∼2일간 고정하였다. 각 개체별로 가로 0.5 ㎝, 세로 2.5 ㎝의 스트립(strip) 2개를 얻은 후 2개의 스트립을 하나의 카세트에 담아 단계별로 알코올과 자일렌으로 일반적 조직처리 과정을 거쳤다. 각 개체별로 파라핀 블록(스트립 2개 포함)을 제작한 후 4 ㎛ 두께로 연속된 박절편을 제작하였다. 이후 슬라이드 당 박절된 스트립 절편을 각각 포함시키도록 하여 탈파라핀, 함수 과정을 거친 후 헤마톡실린(hematoxylin)과 에오신(eosin)으로 염색을 실시하였다. 염색한 슬라이드는 광학현미경(JP/BX51, Olympus, Japan)을 이용하여 모유두(DP, dermal papilla)의 크기, 모낭수와 크기, 모간(Hair shaft)의 성장 정도 등의 모낭 조직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성장기의 모낭은 표피층의 상피세포와 진피층에 있는 모유두 세포의 상호작용에 의해 모낭이 형성되면서 피하지방층까지 성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시험에서 시험 종료 시(21일) 얻은 피부의 조직학적인 소견을 보면 대조군에 비해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모낭의 수가 증가하였고 그 크기 또한 증가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뿐만 아니라 대조군의 피부조직에서 관찰되는 모낭은 휴지기에서 성장기로 접어들면서 그 모양이 원형에서 타원형으로 길어지기 시작하는 모낭이 주로 관찰된 반면, 시험물질 투여군의 피부조직에서 관찰되는 모낭은 대조군에 비해 모유두의 크기도 증가하였고 모간의 길이도 길어져 관찰되었다. 그리고, 실시예 1의 발효물 > 당귀 발효물 > 검은콩 발효물 > 백하수오 발효물 투여군 순으로 모낭의 모근이 진피 및 표피층까지 발달하여 존재하는 것이 많이 관찰되었으며, 피하층에는 성장기로 발달하는 새로운 모낭들이 다수 관찰되는 소견을 보였다(도 9).
상기 결과로부터, C57BL/6J 마우스 탈모증 모델에서 상기 실시예 1의 발효물과 백하수오, 당귀 및 검은콩 발효물의 3주간의 경구 투여에 따른 모발 개시기 및 모발 재성장 충만기의 평균 일수 변화, 모발 재성장의 육안 변화 소견, 모발 재성장 면적의 변화, 조직학적 평가 등의 결과를 보면, 제모 후 16일째부터 모든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모발 재성장을 촉진시키는 경향이 있었으며, 실시예 1의 발효물 투여군은 유의적으로 모발 재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5-11. 통계학적 분석
모든 실험 결과는 평균값±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모든 자료들에 대해 분산의 동질성을 비교하기 위한 터키 테스트(Turkey test)를 실시하였으며, 분산이 동질성을 갖는 경우 ANOVA(one-way analysis of variance)를 실시하여 유의성이 관찰되면 대조군과의 유의차가 있는 시험군을 알아보기 위하여 Student's t-test를 실시하였다.
실험예 4. 인체시험을 통한 모발성장 효과 평가
4-1. 피험자 선발
상기 실시예 1의 발효물이 인체에 미치는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확인하고자 피검자를 모집하여 8주간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탈모증세가 있는 남녀 60명을 선정하였으며, 섭취, 설문 및 사진 촬영 불성실 등의 이유로 중간에 탈락한 피험자가 발생하여 최종 24명의 시험 자료를 근거로 결과를 산출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발효물을 8주간(2014년 5월 24일부터 2014년 7월 19일) 섭취한 24명 피험자의 연령대는 20대 5명, 30대 4명, 40대 14명 및 50대 1명이었으며, 성별로는 남성이 15명, 여성이 9명이었다.
4-2. 모발 굵기 및 모발 생성 수 변화
모발 굵기와 모발 생성 수는 현미경 촬영(Dino-Lite Premier Digital Microscope AM4113T; 대만)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현미경 촬영 후 모발 두께 및 개수는 DinoCapture 2.0(Version 1.5.5)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시험 개시일 및 종료일에 촬영배율 50배, 면적 744.66 ㎟(7.7 ㎜ × 5.81 ㎜)로 각각 동일 부위를 촬영하였으며, 지방에 거주하는 피검자 13명을 제외한 11명의 피검자를 대상으로 하였다(도 10). 피검자 성별은 남성이 6명, 여성이 5명이었다.
11명의 피검자 중 모발 두께가 두꺼워진 피검자는 8명으로, 모발의 두께가 25% 이상 두꺼워진 피검자 2명, 50% 두꺼워진 피검자 4명 및 100% 이상 두꺼워진 피검자가 2명이었다. 모발 두께가 두꺼워진 8명 중 4명이 남성, 4명이 여성이었으며, 전체적으로 72.73%가 모발 두께가 두꺼워지는 효과를 나타내었다(표 4).
11명의 피검자 중 모발 개수가 증가된 피검자는 8명으로, 모발 개수 10% 이하 증가자 2명, 10%이상 20% 이하 증가가 4명, 25% 증가자 1명 및 44% 증가자 1명으로, 모발 개수가 증가한 8명의 성비는 모발 두께와 마찬가지로 남, 여 각각 4명이었다(표 5).
모발 두께 변화(㎜)
남성 피검자 여성 피검자
번호 0주차 8주차 번호 0주차 8주차
M1 0.050 0.078 F1 0.077 0.091
M2 0.059 0.059 F2 0.061 0.053
M3 0.061 0.076 F3 0.075 0.109
M4 0.050 0.075 F4 0.041 0.093
M5 0.055 0.052 F5 0.066 0.092
M6 0.035 0.076
모발 개수 변화
남성 피검자 여성 피검자
번호 0주차 8주차 번호 0주차 8주차
M1 38 37 F1 47 56
M2 41 43 F2 36 36
M3 30 36 F3 34 49
M4 38 44 F4 32 40
M5 40 44 F5 42 48
M6 37 36
4-3. 설문조사
시험 4주차 및 8주차에 피검자가 체감하는 총 탈락 모발 수, 기상 시 빠져있는 모발 수, 샴푸 시 탈락 모발 수, 모발의 굵기 변화 및 모발 성장속도 변화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탈락 모발 수의 변화에 대한 피검자의 응답은 4주차에 10명(41.7%)이 조금 덜 빠지거나 덜 빠진다는 응답을 하였으며, 8주차에는 17명(70.8%)이 조금 덜 빠짐 및 덜 빠진다는 응답을 하였다(도 11). 아침 기상 시 탈락 모발 수에 대한 피검자 응답은 4주차에 12명(50.0%)이, 8주차에 17명(70.8%)이 긍정적인 대답을 하였으며, 샴푸 시 탈락 모발 수의 변화에 대한 피검자의 응답은 4주차에 12명(50.0%), 8주차에는 17명(70.8%)이 긍정적인 대답을 하였다(도 12 및 도 13).
피검자가 느끼는 모발 굵기의 변화는 조금 굵어지거나 굵어진다고 응답한 피검자가 4주차에 12명(50.0%), 8주차에 16명(66.7%)으로 섭취 기간이 길수록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으나(도 14), 모발 성장 속도의 변화는 조금 빨라지거나 빨라진다고 응답한 피검자가 4주차에 9명(37.5%), 8주차에 8명(33.3%)로 8주차 섭취 시에 모발 성장속도 빨라진다고 응답한 피검자가 다소 감소하였다(도 15).

Claims (10)

1) 검은콩, 현미 및 미강 혼합물을 증숙하여 증숙된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2) 상기 증숙된 혼합물에 백하수오, 당귀를 혼합한 후 황국균 및 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켜 혼합 발효물을 만드는 단계;
3) 상기 혼합 발효물을 건조하여 건조 발효물을 만드는 단계; 및
4) 상기 건조 발효물을 분쇄한 후 과립, 분말, 환, 캡슐 및 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예방 또는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의 제조 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하수오, 당귀, 검은콩, 현미 및 미강을 혼합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백하수오는 1 내지 30 중량부, 상기 당귀는 1 내지 20 중량부, 상기 검은콩은 1 내지 50 중량부, 상기 현미는 1 내지 70 중량부 및 상기 미강은 1 내지 7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의 제조 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황국균 및 유산균은 상기 단계 1)의 증숙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0.01 내지 2.0 중량부로 접종되는 것인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의 제조 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증숙된 혼합물에 백하수오와 당귀를 혼합한 전체 혼합물의 수분 함량이 전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5 내지 60 중량부가 되도록 수분 함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의 제조 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증숙은 100 내지 120℃ 온도에서 0.5 내지 3시간 동안 실시되는 것인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의 제조 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발효는 28 내지 35℃의 온도에서 48 내지 72 시간 동안 실시되는 것인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의 제조 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건조는 40 내지 50℃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인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의 제조 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속 및 비피도박테리움속의 유산균을 혼합한 혼합유산균인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의 제조 방법.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혼합유산균은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및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피러스로 구성된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의 제조 방법.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
KR1020140177543A 2014-12-10 2014-12-10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 KR101704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543A KR101704645B1 (ko) 2014-12-10 2014-12-10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543A KR101704645B1 (ko) 2014-12-10 2014-12-10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508A true KR20160070508A (ko) 2016-06-20
KR101704645B1 KR101704645B1 (ko) 2017-02-08

Family

ID=56354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543A KR101704645B1 (ko) 2014-12-10 2014-12-10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64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680B1 (ko) * 2016-08-12 2017-02-02 박호근 발효 하수오 제조방법
CN107012096A (zh) * 2017-04-27 2017-08-04 普洱恩波生物农业有限责任公司 一种酵素菌发酵方法
KR20180100945A (ko) 2017-03-03 2018-09-12 서울대학교병원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18221956A3 (ko) * 2017-06-01 2019-03-28 한국식품연구원 양모 촉진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커베투스 wikim55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20050428A1 (ko) 2018-09-03 2020-03-12 (주)정진호이펙트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239890B1 (ko) * 2020-12-23 2021-04-13 주식회사 건영이앤씨 유산균의 융합 발효를 통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제의 제조방법
KR102505275B1 (ko) * 2022-08-19 2023-03-09 주식회사 에코먼트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개선 또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10870B1 (ko) * 2022-12-14 2023-03-17 유스킨컴퍼니 주식회사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육모촉진용 조성물
CN116058494A (zh) * 2021-10-29 2023-05-05 江苏恒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补气固发的益生菌发酵药食同源饮料及其制备方法
KR20230169544A (ko) 2022-06-08 2023-12-18 최인귀 항산화 기능성 발효 액상 식품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513B1 (ko) 2019-05-06 2021-05-11 서길원 탈모 및 발모를 개선하는 건강보조식품
JP7170357B2 (ja) * 2019-05-07 2022-11-14 一般社団法人夢源 育毛・発毛用外用剤
KR20200141148A (ko) 2019-06-10 2020-12-18 최인귀 기능성 발효 식품 및 그의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412A (ko) 2002-03-29 2002-04-18 신승호 흰머리가 검어지는 효능을 가진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50962A (ko) 2003-11-26 2005-06-01 주식회사농심 면역 활성이 강화된 검은콩 단백 가수 분해물
KR20080077762A (ko) 2007-02-21 2008-08-26 주식회사 웰코스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효과를 가지는 생약화장료조성물
KR20130085782A (ko) * 2012-01-20 2013-07-30 고재칠 발모촉진용 헤어 제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36865A (ko) * 2012-06-05 2013-12-13 (주)하이모 황국균 및 유산균 복합발효기술을 이용한 발효효소식품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412A (ko) 2002-03-29 2002-04-18 신승호 흰머리가 검어지는 효능을 가진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50962A (ko) 2003-11-26 2005-06-01 주식회사농심 면역 활성이 강화된 검은콩 단백 가수 분해물
KR20080077762A (ko) 2007-02-21 2008-08-26 주식회사 웰코스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효과를 가지는 생약화장료조성물
KR20130085782A (ko) * 2012-01-20 2013-07-30 고재칠 발모촉진용 헤어 제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136865A (ko) * 2012-06-05 2013-12-13 (주)하이모 황국균 및 유산균 복합발효기술을 이용한 발효효소식품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제10권제2호, p. 189-197, 2002년
백수오 하수오 발효식품 추석선물세트 추천. 네이버 블로그, [online], 2013.09.10., [2016.07.19. 검색], 인터넷:&lt;URL: http://blog.naver.com/juin90e/40196876531 &gt;*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8권제2호, p. 89-100, 2012년
한국생명과학회지, 제17권제8호, p. 1141-1146, 2007년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680B1 (ko) * 2016-08-12 2017-02-02 박호근 발효 하수오 제조방법
KR20180100945A (ko) 2017-03-03 2018-09-12 서울대학교병원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N107012096A (zh) * 2017-04-27 2017-08-04 普洱恩波生物农业有限责任公司 一种酵素菌发酵方法
US11559064B2 (en) 2017-06-01 2023-01-24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Lactobacillus curvatus WIKIM55 having activity of promoting hair growth,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WO2018221956A3 (ko) * 2017-06-01 2019-03-28 한국식품연구원 양모 촉진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커베투스 wikim55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20050428A1 (ko) 2018-09-03 2020-03-12 (주)정진호이펙트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US11771636B2 (en) 2018-09-03 2023-10-03 Jungjinho Effect Inc.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diponectin-derived peptide
WO2022139372A1 (ko)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건영이앤씨 유산균의 융합 발효를 통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제의 제조방법
KR102239890B1 (ko) * 2020-12-23 2021-04-13 주식회사 건영이앤씨 유산균의 융합 발효를 통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제의 제조방법
CN116058494A (zh) * 2021-10-29 2023-05-05 江苏恒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补气固发的益生菌发酵药食同源饮料及其制备方法
KR20230169544A (ko) 2022-06-08 2023-12-18 최인귀 항산화 기능성 발효 액상 식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05275B1 (ko) * 2022-08-19 2023-03-09 주식회사 에코먼트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개선 또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10870B1 (ko) * 2022-12-14 2023-03-17 유스킨컴퍼니 주식회사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육모촉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645B1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645B1 (ko)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
ES2672871T3 (es) Producto de fermentación del eje embrionario de soja que contiene equol y método de obtención del mismo
JP4942322B2 (ja) 皮膚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KR20080094459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01563078A (zh) 包含迷迭香酸的组合物的改善的生物学作用
KR20160008128A (ko) 당 비함유 파인애플 추출물과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CN104922171A (zh) 红藜萃取物用于制备促进胶原蛋白生成及抗皮肤老化的组合物的用途
CN109965219A (zh) 一种纳豆粉的制备方法及含有纳豆粉的美白祛斑营养组合物
KR101336804B1 (ko) 버섯을 이용한 전복 버섯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CN108042456B (zh) 一种铁皮石斛发酵物的制备方法和应用
CN110464003A (zh) 一种益生菌固态发酵的抗氧化功能性食品及其制备方法
KR100843745B1 (ko) 스피루리나 발효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74627B1 (ko) 스피루리나 발효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95368B1 (ko)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CN116270987A (zh) 具有美白、抗氧化、祛黄褐斑功能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914345B1 (ko) 발효콩, 발효쌀, 발효감자, 발효인삼 및 발효율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력과 미백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11752B1 (ko)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KR20160074116A (ko) 산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95959B1 (ko) 율피 열수추출물 또는 율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8186542A (zh) 具有舒缓抗敏作用的护唇口红
KR102294278B1 (ko) 발효오디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1666783B1 (ko) 한방과실발효물이 함유된 미백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713115B1 (ko) 발효 오신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0770B1 (ko) 효소 식품 및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여성 손톱 개선용 조성물
KR20150073438A (ko) 미생물을 이용한 단삼 발효산물을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