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0945A -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0945A
KR20180100945A KR1020170027490A KR20170027490A KR20180100945A KR 20180100945 A KR20180100945 A KR 20180100945A KR 1020170027490 A KR1020170027490 A KR 1020170027490A KR 20170027490 A KR20170027490 A KR 20170027490A KR 20180100945 A KR20180100945 A KR 20180100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iponectin
peptide
hair
deriv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5385B1 (ko
Inventor
정진호
권오상
김은주
김진용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70027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38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0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디포넥틴으로부터 유래되는 펩티드 단편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는 모낭의 모유두 세포 및 겉뿌리 싸개 세포의 세포 분열을 활성화시키고, 모낭에서의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며, 또한 모유두 세포에서 모발 성장 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므로, 상기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발모 촉진 및 탈모 억제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PEPTIDE DERIVED FROM ADIPONECTIN}
본 발명은 아디포넥틴(adiponectin)으로부터 유래되는 펩티드 단편(peptide fragment 또는 small peptide)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은 약 130만개 이상, 두발은 10만~15만개로,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지며 성장기(anagen, the active growth phase), 퇴행기(catagen , the apoptotic regression phase), 휴지기(telogen, the resting phase)의 3단계 주기를 거쳐 성장, 유지 및 탈락한다. 이러한 주기는 3~6년에 걸쳐 반복되는데, 그 결과 정상적으로 하루 평균 50~100개의 모발이 탈락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탈모'라 함은 머리카락이나 털이 어떤 원인에 의하여 정상보다 적거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오늘날 탈모의 원인으로 남성호르몬의 작용과 같은 내적 요인 또는 일상생활에서의 정신적인 스트레스, 두피에서의 과산화지질의 축적과 같은 외적 요인이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복잡하게 관여하여 탈모증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남성형 탈모뿐만 아니라 식생활의 변화, 사회 환경 등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로 인해 여성의 탈모 인구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상기와 같은 두피 및 모발의 이상 증상으로 고민하는 인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그 연령 또한 낮아지고 있다.
상기 여러 요인들 중, 남성호르몬이 탈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테스토스테론이 체내의 5알파-리덕타아제(5α-reductase) 효소와 결합하여 디히드록시테스토스테론(dihydroxytestosterone: 이하 'DHT'라 함)을 생성하게 되고, 이 DHT는 모근의 안드로겐 수용체와 결합하여 모근의 모낭 생성을 저해하는데 지배적인 영향을 주게된다. 따라서, 5α-리덕타아제 효소의 억제제를 사용하여 탈모방지 효과 물질을 개발하려는 연구들이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탈모는 효소작용 외에도 영양부족, 두피 건조, 스트레스 등에 의해서도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원인으로 인한 탈모의 경우 충분한 영양공급, 두피관리 및 항산화 물질의 섭취 또는 투여로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할 수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현재 시판중인 발모제로는 미국 업존사의 미녹시딜(minoxidil), 이태리 크리노스(Crinos, Co.)사의 트리코사카라이드(trichosaccharide)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뚜렷한 효과의 부재 및 부작용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머크사에 의해 전립선비대증 치료제로 개발되었다가 탈모증 치료에 도입된 프로페시아(Propecia, 성분명: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는 모낭에서 남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 대사에 작용하는 효소인 5α-리덕타제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물질로 알려져 있으나 지속적으로 복용해야 하고, 성기능 감소나 알레르기, 우울증 등 부작용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성 탈모는 두피가 두개골보다 발달이 빨리 정지되기 때문에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두피에 혈류장애가 발생하는 것이 원인 중 하나라고 알려져 있는 등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은 호르몬 억제 등의 협소적인 치료는 근시안적인 처방에 불과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독성이 없으면서, 장기사용에도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관련제품들의 경우 기대 수준의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및 모발 개선 효과를 나타내기에 미흡한 경우가 많았다(특허문헌 2).
한편, 아디포넥틴은 지방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분비되는 단백질 호르몬인 아디포카인의 일종으로서, 인슐린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인슐린 저항성을 유도함으로써 고혈당, 고인슐린증, 비만, 동맥경화와 같은 심혈관 질환 등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아디포넥틴은 암세포의 전이와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다. 아디포넥틴은 각질세포의 증식뿐만 아니라 피부에서 필라그린(filaggri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과 세포외 기질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상처치료, 섬유화 억제, 피부주름개선, 보습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특허문헌 3). 아울러, 아디포넥틴은 시험관내에서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있음이 공개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아디포넥틴은 24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호서열(signal sequence), N-말단(N-terminal)에 위치한 콜라겐-유사 도메인과 C-말단에 위치한 C1q-유사 구형 도메인(globular domain)으로 이루어져 있다. 육합체(hexamer)와 400 kDa의 고분자 복합체(HMW complex)가 주요한 소중합체(oligomer)로서, 상기 고분자 복합체는 저분자 복합체(LMW complex) 보다 더 활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 다양한 생리적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아디포넥틴 유래의 펩티드 개발은 그간 국내외 많은 연구자들과 제약회사들의 표적이 되어 왔으나 체내 중합체 형성의 어려움으로 최종 성공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피부에 도포 가능하고 뛰어난 생리적 활성을 갖는 아디포넥틴 유래의 짧은 펩티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050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2108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2401호
Chong Hyun Won, et al.,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2012)
본 발명의 과제는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함유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서열번호 16 및 서열번호 2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0.001 내지 20 mM의 농도로 함유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 트리트먼트제, 비누,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팩, 헤어젤, 로션, 컨디셔너, 헤어오일, 무스, 크림, 고형제, 용액제, 유제, 분산제, 미셀, 리포좀, 연고제, 화장수, 에센스, 패취 또는 분무제의 제형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중 하나 이상을 개체에 처리 또는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개체는 인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발모 촉진 효과가 있는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는 모낭의 모유두 세포 및 겉뿌리 싸개 세포의 세포 분열을 활성화시키고, 모낭에서의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며, 또한 모유두 세포에서 모발 성장 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므로, 상기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발모 촉진 및 탈모 억제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의 피부 투과도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가 인간 모낭 유래 모유두 세포 및 겉뿌리 싸개 세포에서 세포 분열 및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로서, Con은 음성대조군, Mnx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미녹시딜, P1-2은 아디포넥틴 펩티드 양성대조군, P3 내지 P10은 본 발명에서 제조된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가 인간 모낭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 및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처리한 모낭 주변에 발현하고 있는 Ki-67 양성 세포에 대한 형광 염색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가 인간 모낭 모유두 세포에서 모발 성장 인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가 인간 겉뿌리 싸개 세포에서 아디포넥틴 수용체의 하위 신호전달 단백질의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전기영동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가 모발의 생장기 유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펩티드가 아디포넥틴 단백질 내에 존재하는 구조적인 위치에 대한 결정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P5 펩티드와 인체 내에 존재하는 다른 단백질들과의 서열 유사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는 아디포넥틴으로부터 유래되는 4개 아미노산(4-mer) 또는 5개 아미노산(5-mer) 길이의 펩티드 단편으로서, 하기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아디포넥틴
펩티드
아미노산 서열
(분자량)
서열번호 아디포넥틴
펩티드
아미노산 서열
(분자량)
서열번호
P4-1 IPGL(398.5) 1 P1 KFHCNIPGLYYFAYHITV (2186.6) 22
P4-2 PGLY(448.52) 2 P2 IPGLYYFA(943) 23
P4-3 GLYY(514.58) 3 P3 IPGLY(561) 14
P4-4 LYYF(604.71) 4 P4 PGLYY(611) 15
P4-5 YYFA(562.63) 5 P5 GLYYF(662) 16
P4-6 YFAY(562.63) 6 P6 LYYFA(676) 17
P4-7 FAYH(536.59) 7 P7 CNIPG(503) 18
P4-8 AYHI(502.57) 8 P8 KFHCN(647) 19
P4-9 YHIT(532.6) 9 P9 HCNIP(582) 20
P4-10 NIPG(399.44) 10 P10 NIPGL(512) 21
P4-11 CNIP(445.54) 11
P4-12 HCNI(485.56) 12
P4-13 팔미토일-LYYF 13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는 화장료 조성물 내 0.001 내지 20 mM의 농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 내지 10 mM의 농도로 함유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펩티드의 농도가 0.001 mM 미만이면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 효과를 얻기 어렵고, 20 mM을 초과하면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아서 생산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일반적인 화학합성, 예를 들어 고체상 펩티드 합성기술(solid-phase peptide synthesis)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상기 펩티드를 코딩하는 핵산을 함유하는 재조합 벡터로 형질전환된 미생물을 배양하여 상기 펩티드를 발현시킨 다음, 통상의 방법으로 정제하여 제조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펩티드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펩티드의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발모 촉진 효과가 알려져 있는 임의의 다른 물질들뿐만 아니라,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또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두피 트리트먼트제, 비누,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팩, 헤어젤, 로션, 컨디셔너, 헤어오일, 무스, 크림, 고형제, 용액제, 유제, 분산제, 미셀, 리포좀, 연고제, 화장수, 에센스, 패취 또는 분무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는 피부에 대한 투과도가 현저하게 뛰어나고(도 1 참조), 모유두 세포 및 겉뿌리 싸개 세포의 세포 분열을 촉진시키며(도 2 참조), 모낭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도 3 참조)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는 인간 모낭 모유두 세포에서 FGF7, FGF10, HGF, IGF 등과 같은 모발 성장 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고(도 4 참조), 인간 겉뿌리 싸개 세포에서 아디포넥틴 수용체의 하위 신호전달 단백질의 인산화를 증가시키며(도 5 참조), 또한 모발의 생장기를 현저하게 유도할 수 있다(도 6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는 모낭의 모유두 세포 및 겉뿌리 싸개 세포의 세포 분열을 활성화시키고, 모낭에서의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며, 또한 모유두 세포에서 모발 성장 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므로, 상기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발모 촉진 및 탈모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모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피부,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되고,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병소내 주사 또는 주입기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연질캅셀제, 환 등이 포함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멸균된 수용액, 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좌제,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제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투여시간, 투여 경로, 배출률, 약물 배합 및 특정 질환의 중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단위 용량 형태로 제형화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약 0.01 내지 1,500 ㎎의 단위용량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성인 치료에 필요한 투여량은 투여의 빈도와 강도에 따라 하루에 약 1 내지 500 ㎎ 범위가 보통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성인에게 근육 내 또는 정맥 내 투여 시 일 회 투여량으로는 하루에 보통 약 5 내지 300 ㎎의 전체 투여량이면 충분할 것이나, 일부 환자의 경우 더 높은 일일 투여량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중 하나 이상을 개체에 처리 또는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0.00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처리 또는 투여량은 특정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기간, 투여방법, 제거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처리 또는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개체는 척추동물이고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 또는 쥐, 토끼, 기니아피크, 햄스터, 개, 고양이와 같은 실험동물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처리 또는 투여 방법은 도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자궁내 경막 주사, 뇌혈관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의 제조
본 발명의 펩티드를 합성하기 위해 메리필드(Merrifield)의 SPPS(Solid PhasePeptide Synthesis) 방법(J. Am. Chem. Soc., 85(14), 2149-2154)을 이용하였다. 먼저, 본 발명의 펩티드 합성을 위해 2-클로로트리틸 클로라이드(CTC) 수지를 이용하여 합성을 시작하였으며, 첫 단계의 Fmoc(9-fluorenylmethoxy carbonyl) 아미노산은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N,N-diisopropylethylamine, DIEA)를 사용하여 디클로로메탄 (dichloromethane, DCM) 용매 하에서 커플링하였다. 그 다음 단계의 Fmoc 아미노산부터는 HATU(N-[(디메틸아미노-)-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1-일-메틸렌]-N-메틸메탄아미니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와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HOAt) 혹은 HBTU(N-[(1H-벤조트리아졸-1-일)(디메틸아미노)메틸렌]-N-메틸메탄아미니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와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HOBt)에 DIEA(N,N-diisopropylethylamine)를 함께 사용하여 커플링을 해나가는 방법으로 펩티드의 사슬을 연장시켰다. 이때, C-말단에서부터 N-말단 방향으로 합성해 나가며, 아미노 말단에 Fmoc-아미노산을 커플링시킨 후, 20% 피페리딘 용액으로 Fmoc기를 제거(Solid-Phase Synthesis: A Practical Guide (1 ed.). CRC Press.848)하고 DMF(Dimethylforamide)으로 여러번 씻어준 다음 커플링해 나가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Fmoc-아미노산을 커플링시킨 후, 20% 피페리딘 용액으로 Fmoc기를 제거하고 카르복실산과 N,N'-디이소프로필 카르보디이미드(DIC), 1-히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HOAt)을 함께 사용하여 아실기를 커플링한 다음 DMF로 여러번 세척하여 건조시켰다. 여기에 TFA(Trifuloroacetic acid)-H2O-트리이소프로필실란(95:2.5:2.5,vol./vol.) 용액을 가하고, 2 내지 3시간 동안 반응시켜 보호기(Protecting group)의 제거 및 수지로부터 펩티드를 분리시킨 후, 디에틸에테르(diethylether)로 펩티드를 침천시켜 상기 표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각각의 펩티드들을 합성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얻은 조(crude) 펩티드는 0.1% TFA가 포함된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과 물의 구배 용매 조성으로 RP-HPLC(2996 Detector, 515 Pump, Waters)를 이용하여 순도를 확인하였으며, 순도 확인 결과 95% 이하의 펩티드는 Prep-LC로 분리 정제하여 97% 이상의 펩티드를 얻었다. 상기 펩티드의 정확한 성분 확인을 위하여 원소 분석기(EA1112, CE Instrument, Italy)로 원소 분석을 한 결과, 펩티드의 원소별 함유량이 아미노산 서열로부터 계산하여 얻은 원소별 함유량과 일치하므로 정확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의 피부 투과도 측정
아디포넥틴은 구형 도메인(globular domain)을 포함하는 더 작은 단위로 분해되기도 하고, 전체 길이를 갖는 아디포넥틴 보다 구형 도메인을 갖는 소단위가 활성이 더 높으며, 이러한 이러한 아디포넥틴에 대한 수용체는 아디포넥틴 수용체1(AdipoR1)과 아디포넥틴 수용체2(AdipoR2)로 알려져 있다(Crystal structures of the human adiponectin receptors. Nature. 2015 Apr 16;520(7547):312-6. doi: 10.1038/nature14301). 이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의 피부 투과도를 사람피부와 가장 유사하여 일반적으로 투과도 테스트에 사용되는 돼지피부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돼지 피부의 크기를 가로, 세로 2 ㎝로 자른 후 FITC 형광 부착된 해당 펩티드 스톡(양성대조군 8-mer 길이의 2번 펩티드, 4-mer 4번 펩티드)과 DMSO를 농도별로 준비한 후 돼지 피부 위에 충분한 양을 도포하였다. 빛을 차단하여 37℃ 인큐베이터에서 2시간 동안 두었다. LN2를 이용해 급속냉동후에 동결절단(Cryosection)을 시행하였다. DAPI(핵염색)로 5분간 처리후 세척하였고,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는 대조군으로 사용된 8개 아미노산 길이의 펩티드와 비교하여 피부에 대한 투과도가 현저하게 뛰어남을 확인하였다(도 1).
실시예 3.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가 인간 모낭 유래 모유두 세포 및 겉뿌리 싸개 세포에서 세포 분열 및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일차 배양한 인간 모낭 유래 모유두 세포 및 겉뿌리 싸개 세포를 패시지 2-3 까지 계대배양한 후, 종래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미녹시딜을 양성대조군으로 1 mM 농도로 처리하고, 이와는 별도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0.5 및 5 ㎍/㎖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48시간 후에 활성화된 살아있는 세포를 MTT 용액으로 염색하여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의 분열 및 활성화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는 모유두 세포 및 겉뿌리 싸개 세포의 세포 분열을 촉진하였고, 특히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중 P5와 P10 펩티드와 두 개 펩티드의 조합물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미녹시딜보다도 뛰어난 효과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2).
실시예 4.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가 인간 모낭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자원자로부터 얻은 인간 모낭을 이용하여 시험관내에서 모낭 기관 배양 시험을 수행하였다. 종래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미녹시딜을 양성대조군으로 1 mM 농도로 처리하고, 이와는 별도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5 ㎍/㎖의 농도로 처리하여 인간 모낭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인간 모낭 배양 실험 이후 3일째, 6일째 자라나는 모발의 길이를 측정하고 이를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인간 모낭의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는 모낭의 성장을 촉진하였고, 특히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중 P5 및 P10을 조합한 아디포넥틴 펩티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미녹시딜보다도 유의하게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였다(도 3). 또한, 상기 모낭을 급속 냉동 처리한 뒤에 조직 절편으로 섹션하고, 세포 분열 및 활성화의 마커인 Ki-67 항체를 이용하여 조직 내의 세포를 표지하고 Ki-67 항체를 검출할 수 있는 형광 이차 항체를 이용하여 형광으로 표지한 후, 암실에서 형광 현미경으로 이용하여 모낭 주변에 발현하고 있는 Ki-67 양성 세포의 개수를 확인한 결과, 음성대조군에 비해 P5 및 P10을 조합한 아디포넥틴 펩티드 군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 4).
실시예 5.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가 인간 모낭 모유두 세포에서 모발 성장 인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일차 배양한 인간 모낭 유래 모유두 세포를 패시지 2-3 까지 계대배양한 뒤에 종래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미녹시딜을 양성대조군으로 1 mM 농도로 처리하고, 이와는 별도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0.5 및 5 ㎍/㎖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3시간 후에 모유두 세포에서 mRNA를 추출하여 이를 다시 cDNA로 합성하고 실시간 정량적 PCR 방법을 이용하여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발 성장 인자로 알려져 있는 FGF7, FGF10, HGF 및 IGF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는 FGF7, FGF10, HGF 및 IGF의 발현을 증가시켰고, 특히 가장 중요한 모발 성장 인자들로 알려져 있는 FGF7 및 FGF10의 발현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미녹시딜보다도 현저하게 증가시켰음을 확인하였다(도 5).
실시예 6.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가 인간 겉뿌리 싸개 세포에서 아디포넥틴 수용체의 하위 신호전달 단백질의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
아디포넥틴 펩티드가 실제로 아디포넥틴 수용체를 통하여 작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차 배양한 인간 모낭 유래 겉뿌리 싸개 세포에 아디포넥틴 수용체 저해제를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은 군으로 분리하여, 각각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P5와 P10을 조합하여 0, 0.05, 0.1, 0.5, 1, 5, 10 ㎍/㎖의 농도로 처리하고, 양성대조군으로는 AdipoR1, AdipoR2 등의 아디포넥틴 수용체의 선택적 작용제인 아디포론(adiporon)(AdipoR agonis)을 처리하였다. 10분 후에 상기 세포에서 단백질만을 추출하여 이를 정제한 뒤에 단백질 양을 모두 일정하게 정량하였고, 이후 웨스턴 블롯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단백질을 크기별로 분리하였으며, 표적 단백질에 특이적인 항체를 이용하여 검출한 뒤 이를 퍼옥시다아제(peroxidase) 방법을 이용하여 발색하였다. 이를 통해 AdipoR1, AdipoR2 등의 아디포넥틴 수용체의 하위 신호전달 단백질인 아세틸-CoA 카르복실라아제(ACC) 및 AMP-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AMPK)의 인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는 아디포넥틴 수용체의 하위 신호전달 단백질인 ACC 및 AMPK의 인산화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아디포론과 같은 수준으로 현저하게 증가시켰음을 확인하였다(도 6).
실시예 7.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가 모발의 생장기 유도에 미치는 영향
마우스는 생후 7 내지 8주령에 모든 털이 휴지기로 진입하였다가 이후 다시 털이 생장기로 전환되는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C57BL/6 마우스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가 상기 생장기 유도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마우스의 아래쪽 등피부에 종래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미녹시딜 3%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P5와 P10 조합물을 0.1 mM 농도로 매일 1회씩 도포한 후 모발의 생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약 3주 후에 처음 털을 제거한 부위 중 생장기 모발이 자란 부위의 비율이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처리한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이후 해당 부위의 조직 검사를 시행하여 생장기 모낭의 형성 여부를 평가하였을 때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도포한 군에서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미녹시딜을 처리한 군과 유사하게 모낭의 형성이 촉진되었음을 확인하였다(도 7).
실시예 8. 아디포넥틴 단백질 내 아디포넥틴 펩티드의 구조 및 생체 내 중합체 형성을 통한 작용 가능성 확인
인간에 존재하는 아디포넥틴 단백질의 3차원적 구조를 분석하여 본 발명에서 제조한 아디포넥틴 펩티드의 구조적인 위치와 생체 내 아디포넥틴 수용체 작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디포넥틴 펩디드의 경우 아디포넥틴 단백질의 작용 부위로 알려져 있는 구형 도메인에 총 3번이 반복하여 트라이머(trimer) 형태로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특히나 작용부위 구형 도메인의 구형 구조의 최외곽 쪽에 분포하고 있어서 실제로 아디포넥틴 수용체에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았다. 특히, P5 펩티드의 경우에는 아디포넥틴 단백질에서 3번 반복하는 펩티드 서열이 3차원 단백질 구조를 살펴보았을 때 중합체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중합체의 내부에 친유성 아미노산, 중합체의 외부에 친수성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실제로 친수성 물질이 많은 인체 내에 투과되었을 경우에 다시 중합체를 형성하는 양상이 되어 아디포넥틴 수용체에 작용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8).
실시예 9. 아디포넥틴 펩티드의 서열의 타 단백질과의 중복 여부 검색
본 발명에서 제조한 아디포넥틴 펩티드의 경우 5-mer로 구성된 짧은 아미노산 서열이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인체 내에 존재하는 다른 단백질에 포함된 아미노산 서열과 중복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아디포넥틴에만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서열로 보기 힘들고, 따라서 아디포넥틴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미국 NCBI에서 제공하는 UniProt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인체 내에 존재하는 모든 단백질 서열 중에 아디포넥틴 펩티드 서열과 중복되는 서열을 검색하였다.
그 결과, 특히 본 발명의P5 펩티드의 경우 아디포넥틴 단백질이 속해 있는 C1q 보체 단백질 슈퍼패밀리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아디포넥틴 단백질에 매우 특이적인 펩티드 서열로 확인되었다(도 9).
제조예 1. 화장료의 제조
<1-1> 유연 화장수의 제조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연 화장수는 하기 표 2와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실시예 1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10.00
1,3-부틸렌글리콜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알란토인 0.1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시트릭애씨드 0.01
소듐시트레이트 0.02
글리세레스-26 1.00
알부틴 2.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0
에탄올 30.00
보존제 미량
착색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잔량
<1-2> 영양 크림의 제조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영양크림은 하기 표 3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실시예 1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10.0
1,3-부틸렌 글리콜 7.0
글리세린 1.0
D-판테놀 0.1
식물 추출물 3.2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
PEG-40 스테아레이트 1.2
스테아릭애씨드 2.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
세테아릴알코올 3.0
미네랄오일 4.0
스쿠알란 3.8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8
식물성 오일 1.8
디메치콘 0.4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보존제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잔량
<1-3> 로션의 제조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로션은 하기 표 4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실시예 1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3.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6
스테아린산 1.4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8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2.6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탈 0.6
스쿠알렌 4.8
마카다이아오일 2
호호바오일 2
초산토코페롤 0.4
메칠폴리실록산 0.2
에칠파라벤 0.1
초산토코페롤 0.4
메칠폴리실록산 0.2
에칠파라벤 0.1
프로필파라벤 0.1
1,3-부칠렌글리콜 4
메칠파라벤 0.1
산탄검 0.1
글리세린 4
d-판데놀 0.15
알란토인 0.1
카르보머(2% aq. Sol) 4
트리에탄올아민 0.15
에탄올 3
pt 41891 0.1
p-H20 48.3
<1-4> 헤어 토닉의 제조
하기 표 5와 같은 조성의 헤어토닉을 일반적인 헤어 토닉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실시예 1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5.0
판데놀 0.2
멘톨 0.3
살리실산 0.25
시트르산 나트륨 0.65
PEG-40 수소첨가 피마자유 0.6
C12-14 파레스-12 0.6
색소 적량
향료 적량
에탄올 적량
정제수 잔량
<1-5> 헤어 샴푸의 제조
하기 표 6과 같은 조성의 헤어샴푸를 일반적인 헤어 샴푸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실시예 1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5.0
판데놀 0.5
이코틴산 아미드 0.3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1
비오틴 0.06
구연산 0.3
라우릴 황산 나트륨액(28%) 40.0
코코암포카르복시글리시네이트 5.0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3.0
코카마이드 DEA 1.2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1.0
디메치콘 1.2
폴리쿼터늄-10 0.5
트리에탄올아민 0.55
글리세린 0.5
카보머 적량
색소 적량
향료 적량
에탄올 적량
정제수 잔량
<1-6> 헤어 컨디셔너의 제조
하기 표 7과 같은 조성의 헤어 컨디셔너를 일반적인 헤어 컨디셔너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실시예 1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5.0
아연피리치온액 0.6
판테놀 0.5
살리실산 0.2
베헨트리모늄클로라이드 5.0
세틸알코올 3.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2.0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0.75
PEG-100 스테아레이트 0.75
폴리소르베이트 0.5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0.5
디메치콘 3.0
공중합 메틸폴리실록산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0.3
프로필렌글리콜 2.0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색소 적량
향료 적량
페녹시에탄올 적량
정제수 잔량
제조예 2. 약학적 제제의 제조
<2-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2 g
유당························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100 ㎎
옥수수 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2-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100 ㎎
옥수수 전분 ···················100 ㎎
유당·······················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2-4> 환의 제조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1 g
유당·······················1.5 g
글리세린······················1 g
자일리톨·····················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2-5> 과립의 제조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150 ㎎
대두추출물 ····················50 ㎎
포도당······················200 ㎎
전분·······················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2-6> 주사액제의 제조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10 ㎍/㎖
묽은 염산 BP ·················pH 3.5로 될 때까지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최대 1 ㎖
적당한 용적의 주사용 염화나트륨 BP 중에 본 발명의 TRPV1 억제 펩티드를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의 pH를 묽은 염산 BP를 사용하여 pH 3.5로 조절한 후, 주사용 염화나트륨 BP를 사용하여 용적을 조절하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용액을 투명유리로 된 5 ㎖ 타입 I 앰플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공기의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켰으며, 120℃에서 15분 이상 오토클래이브시켜 살균하여 주사액제를 제조하였다.
<110>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120>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PEPTIDE DERIVED FROM ADIPONECTIN <130> 2017-DPA-1875 <160> 2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4-1 peptide from adiponectin (IPGL) <400> 1 Ile Pro Gly Leu 1 <210> 2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4-2 peptide from adiponectin (PGLY) <400> 2 Pro Gly Leu Tyr 1 <210> 3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4-3 peptide from adiponectin (GLYY) <400> 3 Gly Leu Tyr Tyr 1 <210> 4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4-4 peptide from adiponectin (LYYF) <400> 4 Leu Tyr Tyr Phe 1 <210> 5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4-5 peptide from adiponectin (YYFA) <400> 5 Tyr Tyr Phe Ala 1 <210> 6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4-6 peptide from adiponectin (YFAY) <400> 6 Tyr Phe Ala Tyr 1 <210> 7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4-7 peptide from adiponectin (FAYH) <400> 7 Phe Ala Tyr His 1 <210> 8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4-8 peptide from adiponectin (AYHI) <400> 8 Ala Tyr His Ile 1 <210> 9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4-9 peptide from adiponectin (YHIT) <400> 9 Tyr His Ile Thr 1 <210> 10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4-10 peptide from adiponectin (NIPG) <400> 10 Asn Ile Pro Gly 1 <210> 11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4-11 peptide from adiponectin (CNIP) <400> 11 Cys Asn Ile Pro 1 <210> 12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4-12 peptide from adiponectin (HCNI) <400> 12 His Cys Asn Ile 1 <210> 13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4-13 peptide from adiponectin (palmitoyl-LYYF) <400> 13 Leu Tyr Tyr Phe 1 <210> 14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3 peptide from adiponectin (IPGLY) <400> 14 Ile Pro Gly Leu Tyr 1 5 <210> 15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4 peptide from adiponectin (PGLYY) <400> 15 Pro Gly Leu Tyr Tyr 1 5 <210> 16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5 peptide from adiponectin (GLYYF) <400> 16 Gly Leu Tyr Tyr Phe 1 5 <210> 17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6 peptide from adiponectin (LYYFA) <400> 17 Leu Tyr Tyr Phe Ala 1 5 <210> 18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7 peptide from adiponectin (CNIPG) <400> 18 Cys Asn Ile Pro Gly 1 5 <210> 19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8 peptide from adiponectin (KFHCN) <400> 19 Lys Phe His Cys Asn 1 5 <210> 20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9 peptide from adiponectin (HCNIP) <400> 20 His Cys Asn Ile Pro 1 5 <210> 21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10 peptide from adiponectin (NIPGL) <400> 21 Asn Ile Pro Gly Leu 1 5 <210> 22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1 peptide from adiponectin (KFHCNIPGLYYFAYHITV) <400> 22 Lys Phe His Cys Asn Ile Pro Gly Leu Tyr Tyr Phe Ala Tyr His Ile 1 5 10 15 Thr Val <210> 23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2 peptide from adiponectin (IPGLYYFA) <400> 23 Ile Pro Gly Leu Tyr Tyr Phe Ala 1 5

Claims (9)

  1.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서열번호 16 및 서열번호 2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0.001 내지 20 mM의 농도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 트리트먼트제, 비누,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팩, 헤어젤, 로션, 컨디셔너, 헤어오일, 무스, 크림, 고형제, 용액제, 유제, 분산제, 미셀, 리포좀, 연고제, 화장수, 에센스, 패취 및 분무제의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5.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서열번호 16 및 서열번호 2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중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0.001 내지 20 mM의 농도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8. 화장품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서열번호 1 내지 서열번호 2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중 하나 이상을 개체에 처리 또는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인간인 발모 촉진 방법.
KR1020170027490A 2017-03-03 2017-03-03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915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490A KR101915385B1 (ko) 2017-03-03 2017-03-03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490A KR101915385B1 (ko) 2017-03-03 2017-03-03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945A true KR20180100945A (ko) 2018-09-12
KR101915385B1 KR101915385B1 (ko) 2018-11-08

Family

ID=63593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490A KR101915385B1 (ko) 2017-03-03 2017-03-03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3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0428A1 (ko) * 2018-09-03 2020-03-12 (주)정진호이펙트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23106896A1 (ko) * 2021-12-10 2023-06-15 서울대학교병원 신규 아디포넥틴 유래 펩토이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2401A (ko) 2013-09-17 2015-03-2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아디포넥틴으로부터 유래한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021086A (ko) 2013-05-22 2016-02-24 김성욱 나팔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60070508A (ko) 2014-12-10 2016-06-20 (주)하이모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086A (ko) 2013-05-22 2016-02-24 김성욱 나팔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50032401A (ko) 2013-09-17 2015-03-2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아디포넥틴으로부터 유래한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070508A (ko) 2014-12-10 2016-06-20 (주)하이모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효능을 갖는 발효 효소 식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ong Hyun Won, et al.,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2012)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0428A1 (ko) * 2018-09-03 2020-03-12 (주)정진호이펙트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US11771636B2 (en) 2018-09-03 2023-10-03 Jungjinho Effect Inc.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diponectin-derived peptide
WO2023106896A1 (ko) * 2021-12-10 2023-06-15 서울대학교병원 신규 아디포넥틴 유래 펩토이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385B1 (ko) 201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7972B2 (ja) 環状ペプチドを含む組成物および使用方法
KR20150126621A (ko) 피부 회춘을 위한 펩타이드 및 이것을 사용하는 방법
US7674451B2 (en) Cosmetic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eptides, uses and treatment processes
BR112014002695A2 (pt) peptídeos derivados da família wnt e utilização dos mesmos
CN104024271A (zh) 基质金属蛋白酶活性抑制肽及其用途
KR101967630B1 (ko)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또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092915B1 (ko) 성장인자―유래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915386B1 (ko)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용 조성물
KR101915385B1 (ko)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EP2740740A1 (en) Edar ligand-derived peptide and uses thereof
US11771636B2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diponectin-derived peptide
EA039431B1 (ru) Конъюгат финастерида с пептидом
US20100261658A1 (en) Peptide for activating aquaporin synthesis
EA038745B1 (ru) Конъюгат миноксидила и пептида
US20230365643A1 (en) Peptide, and cosmetic composi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me
WO2020050427A1 (ko)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 또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US10874709B2 (en) Conjugate of salicylic acid and peptide
KR20190009402A (ko) 미녹시딜과 펩타이드의 결합체
US20080171076A1 (en) Dermatological and/o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olypeptides
WO2020050429A1 (ko) 아디포넥틴 유래 펩티드를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용 조성물
EP3967327A2 (en) Trolox-peptide conjugate and use thereof
KR102016658B1 (ko) 살리실산과 펩타이드의 결합체
KR20180019974A (ko) 지방분해 촉진 효과를 가지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EA041180B1 (ru) Конъюгат салициловой кислоты и пептида
JP5946447B2 (ja) 環状ペプチド化合物またはその薬理的に許容される塩、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